KR101060131B1 - 절연 구조를 갖는 필기 입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절연 구조를 갖는 필기 입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0131B1 KR101060131B1 KR1020100007294A KR20100007294A KR101060131B1 KR 101060131 B1 KR101060131 B1 KR 101060131B1 KR 1020100007294 A KR1020100007294 A KR 1020100007294A KR 20100007294 A KR20100007294 A KR 20100007294A KR 101060131 B1 KR101060131 B1 KR 1010601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cb
- input device
- handwriting input
- connection terminal
- exposed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필기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전압 공급 라인에 접속된 제1접속 단자와 리드아웃 라인에 접속된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제1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2노출 부분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층과, 상기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노출 부분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박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필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절연 구조를 갖는 필기 입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화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상기 필기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전자장 센서 보드 방식, 카메라 센서 방식, 전자장 신호 인식 방식, 및 전도성 패널을 이용한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들로서 상기 사용자가 전용 펜 또는 전용 패널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필기를 입력하고 인식 장치가 상기 사용자 필기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종래의 인식 장치 위에 종이를 놓고 사용자 필기를 입력하면 상기 인식 장치가 상기 사용자 필기를 인식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사용자 필기 입력 방법은 값비싼 전용 펜 또는 전용 패널 등을 필요로 하며 오프라인 데이터가 남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유지비가 적게 들며 사용자의 편이를 증대시킬 수 있는 사용자 필기 입력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절연 구조를 갖는 필기 입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는 전압 공급 라인에 접속된 제1접속 단자와 리드아웃 라인에 접속된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2노출 부분 위(on)에 형성된 절연 층; 및 상기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노출 부분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박막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장치는 전자 메모지이다.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PCB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전압 공급 라인으로 동작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 공급 회로; 및 상기 PCB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리드아웃 라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 감지 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호 감지 회로는 상기 도체 박막의 찢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를 갖는 이진 신호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은 PCB 내부에 전압 공급 라인과 리드아웃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제1접속 단자를 상기 전압 공급 라인과 접속시키고 제2접속 단자를 상기 리드아웃 라인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제1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2노출 부분 위에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도체 박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노출 부분을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PCB 내부에 전압 공급 라인과 리드아웃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PCB의 동일한 층 또는 서로 다른 층에 상기 전압 공급 라인과 상기 리드아웃 라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는 도체 박막의 찢김을 잘못 인식하여 방생하는 신호의 잘못된 검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회로도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회로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필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회로도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회로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필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메모지 또는 E-노트패드(E-notepad)와 같은 사용자 필기 입력 장치(10)는 입력 패드(20)를 포함한다. 입력 패드(20)는 복수의 단위 입력 셀들(21, 21은 도 3의 21A 및 도 5의 21B를 포함함)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입력 셀들(21) 각각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필기 입력, 예컨대 기호, 도형, 문자, 또는 그림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검출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 패드(20)는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WL1~WLn), 복수의 리드아웃 라인들(BL1~BLm), 및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WL1~WLn)과 복수의 리드아웃 라인들 (BL1~BLm)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단위 입력 셀들(21)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WL1~WLn)과 복수의 리드아웃 라인들(BL1~BLm)은 PCB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 (WL1~WLn)과 복수의 리드아웃 라인들(BL1~BLm)은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10)는 로우 디코더(30)와 리드아웃 회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압 공급 회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로우 디코더(30)는 컨트롤러 (50)로부터 출력된 로우 어드레스들(X-ADD)을 디코딩하고 디코딩 결과에 따라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WL1~WL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로우 디코더(30)는 선택된 하나의 전압 공급 라인으로는 제1전압(예컨대, 3.3V)를 공급하고 선택되지 않은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로는 제2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로우 디코더(30)가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WL1~WLn) 중에서 i번째 전압 공급 라인으로 제1전압을 공급할 때 로우 디코더(30)는 상기 i번째 전압 공급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로 제2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로우 디코더(30)에 의하여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WL1~WLn) 각각이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장치(10)는 컨트롤러(50)의 제어 하에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WL1~WLn) 각각으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발생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우 디코더(30)는 전압 발생기(40)에 의하여 생성된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을 로우 어드레스들(X-ADD)에 따라 복수의 전압 공급 라인들(WL1~WLn) 각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신호 감지 회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리드아웃 회로(60)는 컨트롤러(50)로부터 출력된 리드 어드레스들(Y-ADD)을 디코딩하고 디코딩 결과에 따라 복수의 리드아웃 라인들(BL1~BLm)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신호(D1~Dm)를 처리, 예컨대 증폭 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리드아웃 회로(60)는 선택된 전압 공급 라인에 접속된 복수의 단위 입력 셀들에 접속된 복수의 리드아웃 라인들 (BL1~BLm)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리드 어드레스들(Y-ADD)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리드아웃 회로(60)는 각각의 리드아웃 라인(BL1~BLm)으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각각의 증폭기, 예컨대 감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드아웃 회로(60)는 상기 각각의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증폭된 신호를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각각의 아날로그-디지털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리드아웃 회로(60)는 각각의 리드아웃 라인(BL1~BLm)으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신호를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각각의 아날로그-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필기 입력 장치(10')는 입력 패드(20)와, 입력 패드 (20)의 동작, 예컨대 전압 공급 동작, 디코딩 동작, 및 데이터 리드아웃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70)는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30, 40, 50, 및 6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회로도의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단위 입력 셀(21A)은 전압 공급 라인(WLi, 1≤i≤n, i와 n은 자연수)에 접속된 제1접속 단자(22-1), 예컨대 제1비아(via), 리드아웃 라인(BLj, 1≤j≤m, j와 m은 자연수))에 접속된 제2접속 단자(22-2), 예컨대 제2비아, 및 제1비아(22-1)의 접촉 부분(22-3)과 제2비아(22-2)의 접촉 부분(22-4)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도체 박막(23)을 포함한다. 도체 박막(23)은 사용자 필기 입력에 따라 파괴 또는 찢어질 수 있다.
단위 입력 셀(21A)은 PCB(100)의 상부에 노출되고 접촉 부분(22-3)을 제외한 제1접속 단자(22-1)의 노출 부분과 PCB(100)의 상부에 노출되고 접촉 부분(22-4)을 제외한 제2접속 단자(22-2)의 노출 부분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층(25)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10)는 절연 층(23)이 찢어진 후 찢어진 부분이 상기 각 노출 부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사용자 필기 입력이 입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사용자 필기 입력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체 박막(23)을 통하여 제1접속 단자(22-1)의 노출 부분(22-3)과 제2접속 단자(22-2)의 노출 부분(22-4)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 경우, 전압 공급 라인 (WLi; 110)을 통하여 공급된 제1신호, 예컨대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은 리드아웃 라인(BLj; 120)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입력 셀(21A)은 데이터 1을 나타낸다고 또는 저장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체 박막(23)이 파괴 또는 찢어져 제1접속 단자(22-1)의 노출 부분(22-3)과 제2접속 단자(22-2)의 노출 부분(22-4)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된 경우, 전압 공급 라인(WLi; 110)을 통하여 공급된 제1신호는 리드아웃 라인(BLj; 120)으로 출력될 수 없다. 이 경우 단위 입력 셀(21A)은 데이터 0을 나타낸다고 또는 저장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리드아웃 회로(60)는 도체 박막(23)이 파괴 또는 찢어진 여부에 따라 단위 입력 셀(21A)이 나타내는 사용자 필기 입력, 즉 데이터 1 또는 데이터 0을 판별하고 판별된 데이터를 처리, 예컨대 증폭 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회로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위 입력 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단위 입력 셀(21B)은 전압 공급 라인(WLi, 1≤i≤n, i와 n은 자연수)에 접속된 제1접속 단자(22-1), 예컨대 제1비아(via), 리드아웃 라인(BLj, 1≤j≤m, j와 m은 자연수))에 접속된 제2접속 단자(22-2), 예컨대 제2비아, 및 제1비아(22-1)의 접촉 부분(22-3)과 제2비아(22-2)의 접촉 부분(22-4)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도체 박막(23)을 포함한다. 도체 박막(23)은 사용자 필기 입력에 따라 파괴 또는 찢어질 수 있다.
단위 입력 셀(21B)은 PCB(100)의 상부에 노출되고 접촉 부분(22-3)을 제외한 제1접속 단자(22-1)의 노출 부분(27)과 PCB(100)의 상부에 노출되고 접촉 부분(22-4)을 제외한 제2접속 단자(22-2)의 노출 부분(27)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층(25)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10)는 절연 층(23)이 찢어진 후 찢어진 부분이 각 노출 부분(27)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사용자 필기 입력이 입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사용자 필기 입력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체 박막(23)을 통하여 제1접속 단자(22-1)의 노출 부분(22-3)과 제2접속 단자(22-2)의 노출 부분(22-4)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 경우, 전압 공급 라인 (WLi; 110)을 통하여 공급된 제1신호, 예컨대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은 리드아웃 라인(BLj; 120)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입력 셀(21B)은 데이터 1을 나타낸다고 또는 저장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체 박막(23)이 파괴 또는 찢어져 제1접속 단자(22-1)의 노출 부분(22-3)과 제2접속 단자(22-2)의 노출 부분(22-4)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된 경우, 전압 공급 라인(WLi; 110)을 통하여 공급된 제1신호는 리드아웃 라인(BLj; 120)으로 출력될 수 없다. 이 경우 단위 입력 셀(21B)은 데이터 0을 나타낸다고 또는 저장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리드아웃 회로(60)는 도체 박막(23)이 파괴 또는 찢어진 여부에 따라 단위 입력 셀(21A)이 나타내는 사용자 필기 입력, 즉 데이터 1 또는 데이터 0을 판별하고 판별된 데이터를 처리, 예컨대 증폭 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필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200)은 버스 (201)에 접속된 필기 입력 장치(10)와 마이크로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필기 입력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필기 입력 장치(10)를 사용자 필기 입력을 대기하는 스텐바이 상태로 진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필기 입력 장치(10)로 입력된 글씨 또는 그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200)은 인터페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30)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제어 하에 필기 입력 장치(10) 또는 메모리(2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인터페이스(230)가 무선 송신 모듈로 구현될 때, 상기 무선 송신 모듈은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제어 하에 필기 입력 장치(10) 또는 메모리 (2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데이터를 호스트 또는 리더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시스템(200)은 컴퓨터 시스템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필기 입력 장치
20: 입력 패드
30: 로우 디코더
40: 전압 발생기
50: 컨트롤러
60: 리드아웃 회로
210: 마이크로프로세서
220: 메모리
20: 입력 패드
30: 로우 디코더
40: 전압 발생기
50: 컨트롤러
60: 리드아웃 회로
210: 마이크로프로세서
220: 메모리
Claims (7)
- 전압 공급 라인에 접속된 제1접속 단자와 리드아웃 라인에 접속된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2노출 부분 위(on)에 형성된 절연 층; 및
상기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노출 부분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박막을 포함하는 필기 입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전자 메모지인 필기 입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상기 PCB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전압 공급 라인으로 동작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 공급 회로; 및
상기 PCB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리드아웃 라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 감지 회로를 더 포함하는 필기 입력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 회로는 상기 도체 박막의 찢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를 갖는 이진 신호를 감지하는 필기 입력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상기 필기 입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상기 신호 감지 회로의 출력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무선 신호를 리더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필기 입력 장치. - PCB 내부에 전압 공급 라인과 리드아웃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제1접속 단자를 상기 전압 공급 라인과 접속시키고 제2접속 단자를 상기 리드아웃 라인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제1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접속 단자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상기 PCB 상에 노출된 제2노출 부분 위에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도체 박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1노출 부분과 상기 제2노출 부분을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CB 내부에 전압 공급 라인과 리드아웃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PCB의 동일한 층 또는 서로 다른 층에 상기 전압 공급 라인과 상기 리드아웃 라인을 형성하는 필기 입력 장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35392 | 2009-12-31 | ||
KR1020090135392 | 2009-12-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417A KR20110079417A (ko) | 2011-07-07 |
KR101060131B1 true KR101060131B1 (ko) | 2011-08-29 |
Family
ID=4491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7294A KR101060131B1 (ko) | 2009-12-31 | 2010-01-27 | 절연 구조를 갖는 필기 입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013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5499B1 (ko) | 2009-01-08 | 2010-01-06 | 이성호 | 터치 패널 |
-
2010
- 2010-01-27 KR KR1020100007294A patent/KR1010601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5499B1 (ko) | 2009-01-08 | 2010-01-06 | 이성호 | 터치 패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417A (ko) | 201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88922B2 (en) | Fingerprint/touch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107346195B (zh) |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 |
US20100205341A1 (en) | Card recognition method for micro sd adapter | |
US9128574B2 (en) | Touch screen panel | |
US20140111707A1 (en) | Touch Screen Panel | |
KR20170036687A (ko) | 커버 유리내 고해상도 전계 감지기 | |
JP2007172630A (ja) | 着脱可能な電子カードのインタフェース | |
KR20140106956A (ko) | 안티 퓨즈를 이용하여 디스에이블 동작을 수행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방법 | |
US20150042609A1 (en) | Touch pane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 |
US20120051716A1 (en) | Keyboard having video and audio recording function | |
KR101060131B1 (ko) | 절연 구조를 갖는 필기 입력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 |
KR101185004B1 (ko) | 필기 입력 장치 | |
KR101049770B1 (ko) | 필기 입력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 |
KR101052769B1 (ko) | 재사용이 가능한 전자 메모지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 |
KR101052768B1 (ko) | 도체 박막 필기 입력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 |
KR101127526B1 (ko) | 필기 입력 장치와 상기 필기 입력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 |
KR101144847B1 (ko) | 필기 입력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 |
CN109596958B (zh) | 传感器单元、指纹传感芯片以及电子设备 | |
KR101134097B1 (ko) | 필기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상기 필기 입력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 |
CN106959792B (zh) | 具指纹辨识功能的触控检测装置 | |
US20120250235A1 (en) | Interface module with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 |
CN104007847A (zh) | 外部输入设备、输入方法及控制芯片 | |
TW202137174A (zh) | 影像感測系統及電路 | |
TWI678636B (zh) | 感測器單元、指紋識別方法及指紋識別晶片 | |
US20150324197A1 (en) | Input system of macro activ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