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362B1 - 접속 품질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접속 품질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362B1
KR101059362B1 KR1020097003876A KR20097003876A KR101059362B1 KR 101059362 B1 KR101059362 B1 KR 101059362B1 KR 1020097003876 A KR1020097003876 A KR 1020097003876A KR 20097003876 A KR20097003876 A KR 20097003876A KR 101059362 B1 KR101059362 B1 KR 10105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nection quality
processo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473A (ko
Inventor
케니 포크
에릭 치 충 잎
징후이 양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들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품질 특징들에 대응한다. 추가적으로, 본 방법의 본 특징은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에 따라 상기 통신에 관련되는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상기 발생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속 품질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NECTION QUALITY METRICS}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들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출원은, 출원일이 2006년 7월 26일이고 출원 번호가 60/833,563이며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NECTION QUALITY METRICS"이고 여기에서의 양수인에 양수되고 참조로서 명백하게 통합되는 미국 특허 가출원에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동 전화기들, 호출기들, 휴대용 컴퓨터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비지니스적 이용 및 개인적 이용 모두에 대해 점차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한 가지 이점은 이들이 사용자들이 원하는 언제나 그리고 어디서나 활용되게 하는, 이들의 "무선" 특징이다. 무선 디바이스들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관련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성장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어떠한 장소에서도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다는 계속-증가하는 기대를 갖는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를 이용할 때 사용자가 만족하는 한 가지 양상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 접속을 수립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과 더불어,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에 대한 것이다.
일부 양상들에서,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품질 양상들에 대응한다. 추가적으로, 본 방법의 본 양상은 접속 품질 상태 머신(state machine)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와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에 대응하여 생성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제 1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품질 양상들에 대응한다.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와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따라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 양상들을 생성하는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생성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한다.
일 양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product)은 복수의 코드들의 세트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게 하는 제 1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품질 특징들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와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따라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들을 생성하도록 하는 제 2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생성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게 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품질 특징들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와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들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생성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접속 품질 상태 머신 및 각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품질 특징들에 대응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생성할 상기 통신 디바이스-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을 실행시키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으로,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집 구성(collection 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양상에서, 본 방법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들에 대응한다. 추가적으로, 본 양상에서, 본 방법은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로, 본 양상에서, 본 방법은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분석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 양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집 구성을 수신하는 제 1 모듈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 방법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서 생성하는 제 2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분석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하는 제 4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복수의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집 구성을 수신하게 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서 생성하게 하도록 동작하는 제 2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에 대응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게 하도록 동작하는 제 3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분석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하게 하도록 동작하는 제 4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집 구성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양상에서, 본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서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들에 대응한다. 추가로, 본 양상에서, 본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양상에서, 본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분석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추가적 양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싱 엔진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들에 대응한다. 추가로 본 양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세싱 엔진과 통신하는 메모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접속 품질 모듈, 수집 구성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 품질 모듈은 상기 프로세싱 엔진에 의해 상기 수집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도록 실행가능하다. 추가로, 상기 선택된 정보는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적용에 따라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정의하도록 동작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후에 상기 개시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것이며 한정하지 않도록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기재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명칭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며, 여기서: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들 또는 메트릭들을 결정하는 시스템의 양상에 대한 기능 컴포넌트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신 디바이스의 양상에 대한 기능 컴포넌트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네트워크의 양상에 대한 기능 컴포넌트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양상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유휴 상태 대 액세스된 상태 전이 양상에 대한 보다 상세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무엇보다도, 액세스된 상태 동안 동시적인 신규 호(call)의 발생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액세스된 상태 동안 액세스 실패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액세스 성공으로도 지칭되는, 접속된 호를 결정한다;
도 9는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무엇보다도, 상기 접속된 상태 동안 동시적인 신규 호의 발생을 결정한다;
도 10은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상기 접속된 상태를 달성한 후에 호 단절을 결정한다;
도 11은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무엇보다도, 상기 접속된 상태를 달성한 후의 정상적인 호 종료를 결정한다;
도 12는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WCDMA 시스템에서 GSM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동안 액세스된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13은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WCDMA 시스템에서 GSM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동안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14는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GSM 시스템에서 WCDMA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동안 액세스된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15는 도 4의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의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화된 상태도이며, 상기 부분은 GSM 시스템에서 WCDMA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동안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16-26은 도 1의 접속 품질 결정 시스템의 일 양상에서 통신 디바이스(22)의 프로세싱 엔진(38)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36)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7은 도 1의 접속 품질 결정 시스템(20)의 셀룰러 전화 구현의 일 양상에 대한 기능 컴포넌트들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는 방법의 양상에 대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양상에 대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네트워크 간의 통신과 관련되는, 액세스 실패 및/또는 호(call) 단절(drop)과 같은, 접속 특성들의 결정에 관련되는,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바이스 및 방법들은 무선(over-the-air) 메시지들과 같은, 통신 메시지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의 다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 의해 생성되는 관련 이벤트 데이터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들을 모니터링 및 수집한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정보의 이용은 상기 이벤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원인(cause)들과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되는 호의 타입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유효하고 간결한 부분을 제공한다. 추가로, 이러한 디바이스 및 방법들은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을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적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에 관련된 액세스 실패-관련 이벤트들 및/또는 호 단절-관련 이벤트들과 같은, 접속 품질 특성들 및/또는 메트릭(metric)들을 결정한다. 상기 상태 머신은 통신 디바이스-사용자 관점으로부터 및/또는 시스템 관점으로부터 이러한 특성들 및/또는 메트릭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리하게 어느 하나의 관점을 제공하거나 또는 두 가지 관점들 모두를 제공한다.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정보를 통해, 상기 상태 머신은 사용자-인지(user-perceived) 접속 품질 특성들과 네트워크-인지 접속 품질 특성들을 구분하도록 동작한다. 기재된 디바이스 및 방법들은 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UMTS") 프로토콜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표준화된 접속-품질-관련 이벤트 매커니즘들이 없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특히 적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접속 품질 특성들을 결정하는 시스템(20)은 통신 네트워크(26)와 통신(24)을 교환하도록 동작하는 통신 디바이스(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22)는 무선 셀룰러 전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음성 및/또는 데이터 메시지들 및/또는 패킷들과 같은, 통신(24)을, 역시 통신 네트워크(26)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 교환하게 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2)는 컴퓨터 플랫폼(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접속 품질 모듈(30)을 저장 및 실행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수집 구성(collection configuration)(32)에 기초하여(이는 관심 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접속 품질 모듈(30)은 통신(24)에 관련되는 프로세싱 엔진(38)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이벤트 정보(36)로부터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모니터링 및/또는 수집하도록 동작한다. 추가로,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이벤트 정보(36)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6) 간에 교환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메시지들(24)의 어떠한 일부분 및/또는 일부 조합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이를 나타내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들 및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양상들로, 이러한 통신 메시지들(24)은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6)에 의해 활용되는 주어진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무선(over-the-air, OTA) 메시지들 및/또는 데이터 패킷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이벤트 정보(36)는 통신 디바이스(22)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의 일부분 또는 일부 조합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이를 나타내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들 및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배경 프로세스들에서 또는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에 발생하는 동작들과 같은,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고 발생하는 동작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몇몇의 양상들로,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는 접속 품질 로그(40)에 축적되고 저장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는 통신 네트워크(26) 상의 통신 디바이스(22)의 동작들과 관련하여 모니터링되도록 요구되는 접속 품질 특성들 및/또는 메트릭들 중 하나 또는 일부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로, 시스템(20)은 통신 디바이스(22)로부터 접속 품질 로그(40) 및/또는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수신 및/또는 검색(retrieve)하도록 동작하는, 사용자 관리자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2)는 접속 품질 관리자 모듈(46)을 저장 및 실행하도록 동작하는 컴퓨터 플랫폼(44)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품질 관리자 모듈(46)은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을 선택된 이벤트 정보(34)에 적용하고, 접속 품질 보고(54)에서와 같은,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품질 메트릭(52)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분석기(4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은 복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34) 중 하나 또는 몇몇의 조합의 적어도 일부분을, 액세스 실패 및/또는 호 단절 및/또는 서비스 상태 이탈(out of service state)과 같은,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접속 품질 특성들과 관련시킨다.
추가로,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은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관점으로부터,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 관점으로부터의 접속 품질 특성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호를 접속시키기 전에, 통신 디바이스(2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이동(moving) 그래픽과 같은, 표시를 제공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호를 접속시키는 프로세스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관점으로부터, 상기 호가 접속되면,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은 하나의 호 시도 및 하나의 호 성공을 포함하는 레코드(recor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 시도 동안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면서, 통신 디바이스(22) 상의 상기 호 접속 프로세스는 상기 호를 접속시킬 수 있기 전에 다수의 실패한 시도들 및 재시도들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네트워크 관점으로부터,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은 3개의 호 시도들, 2개의 액세스 실패들, 및 하나의 액세스 성공을 레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품질 관리자 모듈(44)은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들, 및/또는 접속 품질 특성들의 일부 조합을 활용하여, 액세스 실패들의 횟수들 및/또는 비율들, 호 단절들의 횟수 및/또는 비율들 및/또는 서비스 상태 이탈의 횟수 및/또는 레이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접속 품질 메트릭들(52)을 정의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2)의 운영자, 및/또는 임의의 다른 이해관계자는, 통신 디바이스(22)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26)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접속 품질 보고(54)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접속 품질 메트릭들(52)을 수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액세스, 및 분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양상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22)는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화된,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22)는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양-방향 문자 호출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포털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및 무선 통신 포털을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또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에 대한 유선 접속을 가질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22)는 원격 센서들, 진단 도구들, 데이터 릴레이들 등과 같은, 원격-슬레이브 또는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는 그 최종-사용자를 가지지 않지만, 단순히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한다. 대체 특징들로, 통신 디바이스(22)는 유선 전화, 개인용 컴퓨터,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디바이스 및 방법들은, 무선 모뎀들, PCMCIA 카드들, 액세스 단말들, 개인용 컴퓨터들, 전화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부-조합을, 제한없이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포털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유선 또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모듈 상에서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 디바이스(22)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들을 생성하는 입력 매커니즘(56),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이용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출력 매커니즘(5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매커니즘(56)은 키패드 또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음성 인식 모듈과 관련되는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매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양상들에서, 입력 매커니즘(56)은 복수의 이벤트 정보(36) 중 하나 이상에 관련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출력 매커니즘(58)은 디스플레이, 오디오 스피커, 촉각 피드백 매커니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매커니즘(58)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운드, 진동과 같은 느낌 등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출력들은 복수의 이벤트 정보(36)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될 수 있다.
추가로, 통신 디바이스(22)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일부 특징들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루틴들과 애플리케이션들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 및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플랫폼(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입력 매커니즘(56) 및 출력 매커니즘(58)과 상호작용한다. 컴퓨터 플랫폼(28)은 메모리(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판독-전용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플래시 메모리 셀들, 및/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메모리(60)는 자기 매체, 광 매체, 테이프, 또는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전자 파일 시스템 및 임의의 2차 및/또는 3차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활성 메모리 또는 저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컴퓨터 플랫폼(28)은 프로세싱 엔진(38)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주문형 반도체(ASIC), 또는 다른 칩셋, 프로세서, 논리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양상들로, 통신 디바이스(22)가 셀룰러 전화를 포함할 때와 같이, 프로세싱 엔진(38) 또는 ASIC과 같은 다른 프로세서는 메모리(60) 내의, 음성, 데이터, 및 매체-관련 애플리케이션들 및 접속 품질 모듈(30)과 같은, 임의의 상주 프로그램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64)과 인터페이싱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계층(62)을 실행할 수 있다. API(62)는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런타임 환경일 수 있다. 한가지 그러한 런타임 환경은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의 Qualcomm, Inc.에 의해 개발된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Brew®) 소프트웨어이다. 다른 런타임 환경들이, 예를 들어,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싱 엔진(38)은 통신 디바이스(22)의 기능과 통신 네트워크(26)(도 1) 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에 내장되는 다양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들(6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서브시스템들(66)은 통신 디바이스(22)의 컴포넌트들 내부 및/또는 컴포넌트들 중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개시 및 유지하고, 데이터를 교환하게 하여준다. 일 특징으로, 셀룰러 전화에서와 같이, 통신 프로세싱 엔진(38)은: 사운드, 비-휘발성 메모리, 파일 시스템, 전송, 수신, 탐색기, 계층 1, 계층 2, 계층 3, 주 제어, 원격 프로시저, 핸드셋, 전력 관리, 진단,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보코더, 메시징, 호 관리자, Bluetooth®, LPOS, 위치 결정, 위치 엔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슬립, 데이터 서비스들, 보안, 인증, USIM/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subscriber identity module), 음성 서비스들, 그래픽들, USB(universal serial bus),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프로토콜 멀티미디어와 같은 멀티미디어,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등과 같은, 프로세싱 서브시스템들(66)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양상들에 대해, 프로세싱 엔진(38)의 프로세싱 서브시스템들(66)은 컴퓨터 플랫폼(28)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는 임의의 서브시스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플랫폼(28)은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26) 간에서와 더불어 상기 디바이스(1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68)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통신 모듈(68)은 여기 기재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따라 구성 메시지(30)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고, 접속 품질 로그(40) 및/또는 선택된 이벤트 정보(34)와 같은, 정보를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추가적으로, 몇몇의 양상들에서, 메모리(60)는 디바이스-관련 정보(70) 및 통신 네트워크-관련 정보(7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선택된 이벤트 정보(34)와 함께 이벤트-관련 정보(74)로서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관련 정보(70)는: 주어진 통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통신 디바이스 식별자(76);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또는 GPS-지원(A-GPS) 시스템으로부터의 지리적 위치 데이터 및/또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인접 네트워크 디바이스 정보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정보(78); 디바이스-기반 및/또는 네트워크-기반 시간을 식별하는 시간 정보(80); 및 실행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시하는 것과 같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의 임의의 컴포넌트의 존재 및/또는 상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등의 임의의 부분의 상태를 식별하는 컴포넌트 상태 정보(82)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관련 정보(72)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프로토콜들, 및/또는 통신(24)에 관련되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기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디바이스-관련 정보(70) 및 통신 네트워크-관련 정보(72)는 선택된 이벤트 정보(34) 중 하나 이상의 발생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22)의 환경의 상태를 문서화(document)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일부 특징들로, 디바이스-관련 정보(70)의 일부분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관련 정보(72)의 일부분은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수집하는 동안 통신 디바이스(22)의 상태의 레코드를 유지하기 위해 선택된 이벤트-관련 정보(74)로서 접속 품질 로그(40)에 레코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집 구성(32)은 선택된 이벤트 정보(34) 및/또는 선택된 이벤트-관련 정보(74)의 수집을 개시하는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의 레코드를 유지하기 위해 접속 품질 로그(40)에 레코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상기 복수의 이벤트 정보(36)가 프로세싱 서브시스템들(66) 내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될지라도, 상기 복수의 이벤트 정보(36)는 프로세싱 엔진(38) 내부의 임의의 곳에서 생성 및/또는 위치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특징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42)는 임의의 타입의 서버, 개인용 컴퓨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또는 임의의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단일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일부 조합이 여기 기재된 모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작 또는 실행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42)는 상기 디바이스로의 입력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 매커니즘(84),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이용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출력 매커니즘(8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매커니즘(84)은 키패드 또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음성 인식 모듈에 관련되는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매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입력 매커니즘(84)은 분석기(48)의 동작 및/또는 접속 품질 보고(54)의 검토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출력 매커니즘(86)은 디스플레이, 오디오 스피커, 촉각 피드백 매커니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매커니즘(86)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운드, 진동과 같은 느낌 등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출력들은 접속 품질 보고(54) 및/또는 접속 품질 메트릭(52)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을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2)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으며, 루틴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플랫폼(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입력 매커티즘(84) 및 출력 매커니즘(86)과 상호작용한다. 컴퓨터 플랫폼(44)은 메모리(8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판독-전용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플래시 메모리 셀들, 및/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메모리(88)는 자기 매체, 광 매체, 테이프, 또는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전자 파일 시스템 및 임의의 2차 및/또는 3차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활성 메모리 또는 저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컴퓨터 플랫폼(44)은 프로세싱 엔진(90)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주문형 반도체(ASIC), 또는 다른 칩셋, 프로세서, 논리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 플랫폼(44)은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26) 간에서의 통신과 더불어 상기 디바이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된 특징들로, 통신 모듈(92)은 접숙 구성(32)을 전송하고 그리고 접속 품질 로그(40) 및/또는 접속 품질 메트릭(52)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통신 모듈(92)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플랫폼(44)은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수집 및 분석하고 접속 품질 메트릭(52)을 결정하는 접속 품질 관리자 모듈(46)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접속 품질 관리자 모듈(46)은 접속 품질 구성 생성기(9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통신 디바이스(22)에 의한 이용을 위한 접속 품질 구성(32)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한다. 특히, 접속 품질 구성 생성기(94)는, 하나 이상의 식별된 그리고/또는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들(22)로부터 수집할, 요구되는 접속 품질 메트릭들, 및/또는 접속 품질 특성들, 및/또는 이벤트 코드들 및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를 입력 및/또는 선택할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동작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접속 품질 구성 생성기(94)는 사용자로 하여금 접속 구성(32)을 발생시키게 하여주며, 이는 통신 디바이스(22)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이벤트 정보(36)로부터 선택되는 이벤트 정보(34)를 선택하도록 동작하며, 여기서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는 상기 사용자에게 관심이 있는 요구되는 접속 품질 특성들 또는 메트릭(52)에 관련된다. 일부 양상들로, 수집 구성(32)은 미리 결정된 디바이스-관련 정보(70) 및 통신 네트워크-관련 정보(72)를 식별하여 하나 이상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수집 및 관련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양상들에서, 수집 구성(32)은 분석을 위해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언제 그리고 어디로 포워딩할 것인지, 및/또는 선택된 이벤트 정보(34)에 대한 액세스를 누구에게 또는 어느 디바이스에 제공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파라미터들 및/또는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기(48)는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과 관련된 로직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벤트 정보(34)에 대해, 그리고 일부 양상들에서는 상기 선택된 이벤트-관련 정보(74)에 대해 동작한다. 분석기(48)는 하드웨어, 펌웨어, 데이터, 실행가능 명령들,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분석기(48)는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그리고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선택된 이벤트-관련 정보(74)에 대해, 분석하고, 그리고 접속 품질 특성들 및/또는 접속 품질 메트릭(52)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알고리듬, 신경망, 학습(heuristic) 루틴 등의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15를 참조하면, San Diego, CA의 Qualcomm, Incorporated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세싱 엔진(38)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22)에 이용하기 위한 일 양상으로,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이, 예를 들어, 이벤트 정보에 관련된 상태들에 기초하여 액세스 실패들, 액세스 성공들, 호 단절들, 정상적 호 종료들, 신규 호들 및 핸드오버들에 관련되는 접속 품질 특성들을 결정한다.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50) 음성 호, 데이터 호 및 동시적 음성 및 데이터 호들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22)에서 이용가능한 모든 가능한 호 타입들에 대해 이러한 결정들을 내린다. 추가적인 상태 머신(50)이 모바일 발신(MO) 호들 및 모바일 착신(MT) 호들을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여기서 MO 호들은 통신 디바이스(22)에 의해 개시되고 MT 호들은 통신 디바이스(22)에 의해 종결된다. 추가적으로, 상태 머신(50)은 동시 음성 및 데이터 호들과 같은, 동시적으로-발생하는 호들에 대한 접속 품질 정보를 결정 및 추적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태 머신(50)은 사용자 관점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시스템 관점으로부터 접속 품질 정보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사용자 관점 및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관점에 관련하여,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들 및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 정보(36)가 상태 머신(50)으로 하여금 OTA 메시지들에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출력을 표시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상태들과 관련된 정보를 구분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CM_SYS_MODE" 타입 이벤트 코드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상기 복수의 이벤트 정보(36) 중 미리 결정된 것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를 시도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접속 실패들이 이미 발생하였으며 상기 디바이스가 아직 접속 시도 중일지라도, 상기 호가 접속 프로세스 중이라는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관점에서는, 액세스 실패가 일어나지 않았지만,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 관점에서는, 다수의 액세스 실패들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태 머신(50)은 주어진 통신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정보(36)들 중 미리 결정된 것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상이한 관점들을 구분할 수 있다.
추가로, 도 4를 참조하면,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은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호 상태들, 및 호 상태들 간의 전이(transition)들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특히,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은, 각각, 유휴(idle) 상태(106), 액세스 상태(108) 및 접속 상태(110) 간의, 제 1, 제 2 및 제 3 전이(110, 102 및 104)에, 각각, 관련된 접속 품질 정보를 식별한다. 특히, 제 1 전이(100) 동안, 상태 머신(50)은 액세스 시도-관련 특성들을 식별한다. 제 2 전이(102) 동안, 상태 머신(50)은 액세스 성공-관련 특성들 및/또는 액세스 실패-관련 특성들을 식별한다. 추가로, 제 3 전이(104) 동안, 상태 머신(50)은 정상적인 호 종료-관련 특성들 및 호 단절-관련 특성들을 식별한다. 추가적으로, 제 2 및 제 3 전이들(102 및 104) 동안, 상태 머신은 기존의 호와 동시에 발생하는 신규 호에 관련된 접속 품질 정보를 식별한다. 도 5-11은 특정한 이벤트 코드들 및 이벤트 데이터를 열거하지만, 그러나, 추가적 그리고/또는 균등한 이벤트 코드들 및/또는 이벤트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제 1 전이(100)는 액세스 발신(origination)(112)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유휴 상태(106)와 액세스된 상태(108) 간의 접속 관련 변경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발신(112)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6) 간에 교환되며 호의 수립을 개시하도록 동작하는 미리 결정된 페이징 메시지들, 미리 결정된 발신 메시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상태 머신(50)은 액세스 상태(108)가 달성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시도된 액세스에 관련된 호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이벤트 코드들(113-115) 및 이벤트 데이터(120-126)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이벤트 데이터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호 타입들은 모바일 발신(MO) 음성(127), MO 데이터(128), 단문 서비스(SMS) 또는 간략 음성 서비스(short voice service, SVS)와 같은 MO 기타(129), 모바일 착신(MT) 음성(130), MT 데이터(131), SMS 또는 SVS와 같은 MT 기타(132), 및 MT 음성, 데이터 또는 기타(133)와 같은 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태 머신(50)은 3개의 상이한 경우들에 따른 액세스 상태(108)로부터의 제 2 전이(102)를 정의한다.
도 4 및 6을 참조하면, 첫번째 경우에, 상태 머신(50)은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134)에 관련되는 추가적인 이벤트 정보가 중복 정보(136)인지 또는 동시적인 신규 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134)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6) 간에 교환되는 미리 결정된 페이징 메시지들, 미리 결정된 발신 메시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134)이 중복 정보(136)라면, 본래의 액세스 발신(112)이 액세스 실패(138)로 귀결되었으며 상태 머신(50)은 신규 호(140)를 식별하고, 상기 신규호는 액세스 상태(108)로의 프로세싱에 있어서 본래의 호를 대체한다.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134)이 중복이 아니라면, 상태 머신(50)은 신규 호(140)를 동시적인 음성, 데이터, 및/또는 기타 호로서 식별하며 이에 따라 이후의 접속 품질 특성들을 평가한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상태 머신(50)은 이벤트 코드들(142-144) 및 이벤트 데이터(146-151)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이벤트 데이터를 정의하여, 관련된 무선 자원 제어(RRC) 링크(152)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과 함께 액세스 발신-관련 이벤트들을 결정한다. 상기 링크가 활성이면, 오류(false) 중복(153)이 판정되며 액세스 실패(138)가 레코딩된다. 반대로, 상기 링크가 활성이 아니라면, 참(true) 중복이라고 결정되며 동시적인 신규 호의 형태의 신규 호(140)가 레코딩되고 향후의 접속 품질 특성들에 대해 평가된다.
도 4 및 7을 참조하면, 제 2 전이(102)의 두 번째 경우에, 상태 머신(50)은 직접(direct) 실패(156)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실패(138)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실패(156)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6) 간에 교환되는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triggering) 메시지들, 미리 결정된 해제(release) 메시지들, 미리 결정된 호 상태 메시지들, 취소(abort) 메시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태 머신(50)은 대응하는 호와 관련되는 액세스 실패(138)를 레코딩하며, 이후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22)가 유휴 상태(106)로 복귀하는지 여부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상태 머신(50)은 이벤트 코드들(157-163) 및 이벤트 데이터(164-17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이벤트 데이터를 정의하여, 액세스 실패(138)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상태 머신(50)은 복수의 상이한 이벤트 정보를 액세스 실패에 관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머신(50)은 액세스 실패(138)를 결정하기 위해, 제시된 바와 같이, 이전에 식별된(도 5 참조) 모바일 발신(MO) 음성(127), MO 데이터(128), MO 기타(129), MT 음성(130), MT 데이터(131), MT 기타(132), 및 MT 음성, 데이터 또는 기타(133)와 같은, 미리 결정된 호 타입을,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데이터에 관련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호 타입과 독립적으로, 상태 머신(50)은 이벤트 코드들(157 및 158)의 조합 및 이들의 각각의 이벤트 데이터(164 또는 165)와 같이,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를 액세스 실패(138)와 함께 정의할 수 있다. 추가로, 상태 머신(50)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이벤트들(172)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 예들이 도 16에 열거된다. 상태 머신(50)이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이벤트들(172)을 검출한다면(이들은 직접적으로 액세스 실패를 표시함), 상태 머신(50)은 액세스 실패(138)를 결정하기 전에 이벤트 코드(157)와 이벤트 데이터(164)를 또는 이벤트 코드(158)와 이벤트 데이터(165)를 찾아봄으로써 상기 검출된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이벤트(172)의 진위를 추가로 검증할 수 있다. 일 양상으로, "cm_call_state" 이벤트들은 프로세싱 서브 시스템(66)(도 2)의 호 관리자 부분의 상태에 관련되며, 호 동안 발생한다. 대조적으로, "mm_state" 이벤트들은 통신 디바이스(22)의 전체 상태를 지시하며, "cm_call_state" 이벤트들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통신 디바이스(22)가 호진행 중이 아닐 때 "mm_state" 이벤트들이 유휴 상태들 동안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4 및 8을 참조하면, 제 2 전이(102)의 세 번째 경우에서, 상태 머신(50)은 접속 상태(110)가 접속 확정(174)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달성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확정(174)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6) 간에 교환되는 미리 결정된 확인응답(acknowledgment) 및/또는 확정(confirmation)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양상들로, MO 음성(127), MO 데이터(128), MO 기타(129), MT 음성(130), MT 데이터(131) 및 MT 기타(132)와 같은, 각각의 이전에 결정된 호 타입에 대해, 상태 머신(50)은 접속 상태(110)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이벤트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코드(161) 및 이벤트 데이터(175)는, 이벤트 코드(162) 및 이벤트 데이터(176-178) 중 각 하나와 함께, 각각, MO 음성(127), MO 데이터(128) 및 MO 기타(129) 호 타입들에 대한 접속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이벤트 코드(160) 및 이벤트 데이터(175)는, 이벤트 코드(163) 및 이벤트 데이터(176-178) 중 각 하나와 함께, 각각, MT 음성(130), MT 데이터(131) 및 MO 기타(132) 호 타입들에 대한 접속 상태(110)를 정의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양상들로, SMS 및/또는 SVS 호와 같은, MO 기타(129) 또는 MT 기타(132) 호 타입들에 대해, 상태 머신(50)은 텍스트 또는 음성 패킷의 전달이 즉시 호를 종결시킴에 따라, 접속 상태(110)가 이뤄지면 호 상태를 즉시 유휴 상태(106)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태 머신(50)은 접속 상태(110)로부터 이어지며, 각각, 호 종료 또는 호 단절이 발생하였는지, 또는 동시적인 신규 호가 발생하는지를 결정하는 3가지 경우들을 따를 수 있는 제 3 전이(104)를 정의한다.
도 4 및 9를 참조하면, 동시적인 신규 호가 발생하는지를 결정하는 첫번 째 경우에, 상태 머신(50)은 통신 디바이스(22)가 접속 상태(110)에 있는 동안 발생하는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180)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이벤트 정보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180)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6) 간에 교환되는 미리 결정된 페이징 메시지들, 미리 결정된 발신 메시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113)를 갖는 호들에 대해, 상태 머신(50)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120)에 기초하여 MO 음성(127)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121)에 기초하여 MO 데이터(128)와 같은 모바일 발신 호 타입들을 결정한다. 유사하게,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115)를 갖는 호들에 대해, 상태 머신(50)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123)에 기초하여 MT 음성(130),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124)에 기초하여 MT 데이터(131)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125)에 기초하여 MT 기타(132)와 같은 모바일 착신 호 타입들을 결정한다. 추가로, 상태 머신(50)이 호가 모바일 발신되었지만,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113)가 불명(missing)하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상태 머신(50)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163)를 참조하여 MO 음성(127)을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162)를 참조하여 MO 데이터(128)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코드들(162 및 163) 모두가 호 셋 업(set up)을 지시하는 이벤트 데이터(184)를 포함한다. 상기 예시들 각각에서, 검출된 호 타입은 기존 호와 동시에 발생하는 신규 호(140)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태 머신(50)은 이에 따라 신규 호(140)와 관련된 이후의 접속 품질 특성들을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태 머신(50)은 SMS 통지 메시지에 관련된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182)에 기초하여 MT 기타(132) 호들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유휴 상태(106)로 즉시 전이할 수 있다.
도 4 및 10을 참조하면, 호 단절(186)이 발생하는지를 결정하는 두 번째 경우에, 상태 머신(50)은 통신 디바이스(22)가 접속 상태(110)인 동안 발생하는 직접 실패(188)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직접 실패(188)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는 해제 메시지들, 취소 메시지들, 및 호 단절을 직접 지시하는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상태 머신(50)은 이벤트 데이터(165)와 이벤트 코드(158)와 함께 이벤트 데이터(164)와 이벤트 코드(157)와 같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들의 조합이 뒤따르는 접속된 호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호 단절(186)이 됨에 따라, 현재의 상태가 이제 유휴 상태(106)임을 지시할 수 있다. 추가로, 상태 머신(50)은 어떠한 이벤트들을 직접 호 단절 트리거링 이벤트들(192)로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의 일부 예들이 도 16에 열거된다. 검출된 호 단절 트리거링 이벤트(192)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상태 머신(50)은 이벤트 데이터(164)와 함께 이벤트 코드(157)를 또는 이벤트 데이터(165)와 함께 이벤트 코드(158)를 추가로 체크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호가 더 이상 접속되지 않았음을 검증한다. 추가로, 상태 머신(50)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들(160 또는 161)을 관련시킬 수 있으며, 각각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168)를 가지며, 이는 해제가 완료됨을 지시하는 해제 메시지에 관련될 수 있고, 여기서 호 단절(186)은 각각의 MO 음성(127) 및 MT 음성(130) 호 타입들에 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태 머신(50)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189)를 갖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159)를 관련시킬 수 있으며, 이는 취소 메시지들에 관련될 수 있고, 여기서 호 단절(186)은 각각의 MO 음성(127) 및 MT 음성(128) 호 타입들에 대한 것이다. 유사하게, 상태 머신(50)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190)를 갖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159)를 관련시킬 수 있으며, 이는 호 종료 메시지들에 관련될 수 있고, 여기서 호 단절(186)은 각각의 MT 음성(130) 및 MT 데이터(131)에 대한 것이다.
도 4 및 11을 참조하면, 호 단절(186)이 발생하거나 정상적인 호 종료(194)가 발생한다고 결정하는 세번째 경우에, 상태 머신(50)은 통신 디바이스(22)가 접속 상탬(110)인 동안 발생하는 접속 해제(188)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접속 해제(188)에 관련되는 이벤트 정보는 해제 메시지들, 단절(disconnect) 메시지들, 취소 메시지들, 호 클리어링(clearing) 메시지들, 호 종료 메시지들, 불활성화 메시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1을 참조하면, 상태 머신(50)은, 이벤트 데이터(199)와 이벤트 코드(159)와 함께 이벤트 데이터(197 또는 198)와 이벤트 코드(163 또는 164)와 같은, 이벤트 코드들과 이벤트 데이터의 조합에 기초하여 MO 음성(127) 또는 MT 음성(130) 호 타입들과 같은, 호 타입을 이미 지득할 수 있다. 이후에, 상태 머신(50)은 상기 호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호 단절(186) 또는 정상적인 호 종료(194)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다시 유휴 상태(106)로의 이후의 전이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 추가로, 상태 머신(50)은 이벤트 데이터(201)와 이벤트 코드(164) 또는 이벤트 데이터(200)와 이벤트 코드(163)와 같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들 및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MT 데이터(128) 또는 MT 데이터(131) 호 타입들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상기 데이터 메시지가 전송 또는 수신되었음을 지시한다.
추가적으로, 도 12-15를 참조하면, 몇몇의 양상들에서 상태 머신(50)은 기존 무선 접속 기술의 현재 상태를 신규 무선 접속 기술로 전달함에 의한 핸드오버들에 걸쳐 호 상태 정보를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이 경우, 상태 머신(50)은 각각 복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상태 머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핸드오버가 발생시, 상기 복수의 상태 머신들 중 대응하는 하나가 대응하는 무선 접속 기술에 특정한 접속 품질 특성들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그리하여, 상태 머신(50)은 무선 접속 기술들에 걸쳐 현재의 호 상태를 저장하도록 동작하여 핸드오버시 통신을 수신하는 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접속 품질 특성들의 정확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WCDMA 시스템으로부터 GSM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시, 상태 머신(50)은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208)의 식별과 호 타입이 음성 호(212)라고 결정하는 것과 함께 핸드오버 성공 이벤트(210)의 식별에 기초하여 WCDMA에서의 액세스 상태(206)를 GSM에서의 액세스 상태(214)로 전달한다. 유사하게, 도 13을 참조하면, WCDMA 시스템으로부터 GSM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시, 상태 머신(50)은 호 타입이 음성 호(212)라고 결정하는 것과 함께 핸드오버 성공 이벤트(210) 및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208)를 식별하는 것에 기초하여 WCDMA에서의 접속 상태(216)를 GSM에서의 접속 상태(218)로 전달한다. 도 12 및 13 모두에서, 일부 선택적 특징들로, 상태 머신(50)은 상기 호 타입이 음성 호가 아니라고 결정한다면, 상태 머신(50)은 음성 호들만이 핸드오버에서 수반될 수 있는 일부 기술들에서와 같이 상기 호 상태를 유휴 상태(106)로 변경한다. 그러나, 이러한 체크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호 타입들 중 다른 타입들에 대한 체크들이 주어진 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 동안 지원되는 호 타입들에 따라 활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2와 반대로, 도 14를 참조하면, GSM 시스템으로부터 WCDMA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시, 상태 머신(50)은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220) 및 핸드오버 성공 이벤트(222)의 식별에 기초하여 GSM에서의 액세스 상태(2146)를 WCDMA에서의 액세스 상태(206)로 전달한다. 유사하게, 도 15를 참조하면, 이는 도 13의 시나리오의 반대로서, GSM 시스템으로부터 WCDMA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시, 상태 머신(50)은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2220) 및 핸드오버 성공 이벤트(222)를 식별하는 것을 토대로 GSM에서의 접속 상태(218)를 WCDMA에서의 접속 상태(216)로 전달한다. 도 14 및 15에서, 호 타입이 체크되지 않지만, 그러나, 호 타입 체크가 주어진 통신 시스템에 의한 핸드오버 동안 지원되는 호 타입들에 따라 추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6-22를 참조하면, San Diego, CA의 Qualcomm Incorporated에 의해 생산되는 전 모드 시스템 소프트웨어(all mode system software, AMSS)를 활용하는 프로세싱 엔진(38)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22)를 포함하는 시스템(20)의 일 양상으로, 복수의 이벤트 정보(36)의 예들이 열거된다. 도 16-22가 Qualcomm Incorporated의 AMSS에 관련된 이벤트 코드 식별자들 및 명들을 열거하더라도, 프로세싱 엔진들의 다른 타입들에 의해 생성되는 다른 추가적인 및/또는 균등한 이벤트 식별자들 및 명들도 포함됨을 주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면 미리 결정된 이벤트 정보(230)가 각 이벤트의 매 발생시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도 1)로서 접속 품질 로그(40)(도 1)에 수집될 수 있다. 유사하게, 미리 결정된 이벤트 정보(232)는, 도 7의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이벤트들(138)에 관련하여 그리고 도 10의 호 단절 트리거링 이벤트들(186)에 관련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데이터 수집을 트리거링(trigger)하는 직접 실패 이벤트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에 열거된 직접 실패 이벤트들이 단지 직접 실패 트리거링 이벤트들의 예들이며, 접속 품질 실패의 직접적 지시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그리고/또는 균등한 이벤트들이 활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호 관리자 호 상태 이벤트 정보(234) 및 호 관리자 호 이벤트 발신 이벤트 정보(236)도 활용될 수 있다. 용어 "호 관리자"는, 통신 디바이스(22)(도 2)에 대한, 미리 결정된 세팅들에 기초하여, 호들의 개시 및 유지를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66)(도 2)의 양상을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WCDMA 핸드오버-관련 이벤트 정보(242)와 더불어 GSM 핸드오버-관련 이벤트 정보(238 및 240), 및 멀티미디어 상태 이벤트 정보(244)도 접속 품질 특성들 또는 메트릭들 결정시 상태 머신(50)(도 1)에 의해 활용될 수도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다양한 무선 자원 제어(RRC) 이벤트 정보(250 및 252)와 더불어, 다양한 네트워크 액세스 시그널링(NAS) 이벤트 정보(256 및 248)도 접속 품질 특성들 및 메트릭들을 결정시 상태 머신(50)(도 1)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WCDMA 프로토콜-기반 페이징 이벤트들과 같은, 다양한 페이징 이벤트 정보(258)와 더불어, 다양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관련 이벤트 정보(254 및 256)도, 접속 품질 특성들 및 메트릭들을 결정시 상태 머신(50)(도 1)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도 21을 참조하면, 다양한 UMTS 호 통계-관련 이벤트 정보(260)도 접속 품질 특성들 및 메트릭들을 결정시 상태 머신(50)(도 1)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도 22를 참조하면, 다양한 호 관리자(CM) 데이터 서스펜드(data suspend, DS) 무선 접속 기술(RAT)-간 핸드오버 이벤트 정보(262)도 접속 품질 특성들 및 메트릭들을 결정시 상태 머신(50)(도 1)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상태 머신(50)을 포함하는, 본 시스템(20)은: MO 음성 호; 웹 서핑과 같은, MO 데이터 호; MO SMS/이메일 호들;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인 신규 호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인 신규 MT SMS 호와 MO 음성 호;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인 신규 MT 음성 호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인 신규 MT SMS 호; 통시 디바이스가 파워 온(power on) 모드인 동안 발생하는 액세스 실패를 가져오는 MO 호; MT SMS 호; MT 음성 호; 웹을 서핑하는 것과 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인 MO 데이터호와 MT 음성 호; GSM으로의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인 신규 MT 음성 호와 MO 데이터 호; 액세스 실패 또는 호 단절 중 하나로 귀결되는 MO 음성 호; 액세스 실패 또는 호 단절을 가져오는 MT 음성 호; 액세스 실패 또는 호 단절을 가져오는 다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인 MO 및/또는 MT 음성 호들; 액세스 실패를 가져오는 MO 데이터 호; 연속적인 MO 및/또는 MT 음성 및/또는 데이터 호들; MT 데이터 호; GSM으로의 핸드오버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인 음성 호들; 핸드오버 동안 액세스 상태로부터 액세스 상태로의 전이들을 포함하는 호들; 원인 타입들:
RRC_PAGE_CAUSE_TERM_INTERACT_CALL, RRC_PAGE_CAUSE_HIGH/PRI/SIGNALLING 및 RRC_PAGE_CAUSE_LOW_PRI_SIGNALLING을 갖는 MT 호들; 원인 타입들:
CM_CALL_TYPE_PD, CM_CALL_TYPE_TEST, CM_CALL_TYPE_OTAPA, CM_CALL_TYPE_STD_OTASP, CM_CALL_TYPE_NON_STD_OTASP를 갖는 MT 호들과 같은 경우들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통신 디바이스(22)가 직면하는 임의의 이용 경우들에서의 접속 품질 특성들 또는 메트릭들을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추가로, San Diego, CA의 Qualcomm, Incorporated에 의해 제조되는 전 모드 시스템 소프트웨어(AMSS)를 활용하는 프로세싱 엔진(38)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2)를 포함하는 시스템(20)의 일 양상으로, 복수의 이벤트 정보(36), 및 선택되는 이벤트 정보(34)는, 이벤트 코드 및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코드는 로그 코드 또는 의사(pseudo) 로그 코드와 같은, 각각의 프로세서-생성된 이벤트에 관련되는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이벤트의 명칭과, 원인 명칭들 및/또는 원인 코드들과 호 타입 명칭들 및/또는 호 타입 코드들과 같은, 상기 이벤트의 특성들을 정의하는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을 참조하면, UMTS 호 단절 이벤트(266)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는 로그 코드(268), 상기 호 단절에 대한 상이한 원인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원인 코드(270), 및 복수의 호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호 타입 인덱스 코드(27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도 24를 참조하면, UMTS 액세스 실패 이벤트(274)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는 로그 코드(276), 상기 액세스 실패에 대한 상이한 원인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원인 코드(278), 및 복수의 호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호 타입 인덱스 코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UMTS 호 접속 이벤트(282)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는 로그 코드(284), 호 접속에 대한 상이한 원인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원인 코드(286), 및 복수의 호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호 타입 인덱스 코드(288)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UMTS 액세스 시도 이벤트(290)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는 로그 코드(292), 액세스 시도에 대한 상이한 원인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원인 코드(294), 및 복수의 호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호 타입 인덱스 코드(29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도 26을 참조하면, 서비스 중(in service)(INS) 이벤 트(298)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는 로그 코드(300), 주어진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와 같은, 상기 서비스 중 이벤트에 대한 상이한 원인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원인 코드(302), 및, 선택적으로, 복수의 호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호 타입 인덱스 코드(30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서비스 이탈(OOS) 이벤트(306)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는 로그 코드(308), 상기 서비스 이탈 이벤트에 대한 상이한 원인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원인 코드(310), 및, 선택적으로, 복수의 호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호 타입 인덱스 코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머신(50)(도 1)은 각 통신 디바이스(22)(도 1)에 의해 직면하는 INS 이벤트들 및 OOS 이벤트들의 수를 계수(count)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태 머신(50)(도 1)은 상기 호가 접속되는 레코딩되는 시간과 상기 호 액세스가 검출되는 레코딩된 시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각 호에 대한 셋업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26)는 임의의 데이터 및/또는 음성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26)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 지상 전화 네트워크; 위성 전화 네트워크; Infrared Data Association(IrDA)-기반 네트워크와 같은 적외선 네트워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Bluetooth® 기술 네트워크; ZigBee® 프로토콜 네트워크; 초 광 대역(UWB) 프로토콜 네트워크; 가정 무선 주파수(HoreRF) 네트워크; 공유 무선 액세스 프로토콜(SWAP) 네트워크; wireless Ethernet compatibility allicance(WECA) 네트워크, wireless fidelity allicance(Wi-Fi 연합) 네트워크, 및 802.11 네트워크와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 공중 전화 교환 망; 인터넷과 같은, 공중 이종 통신 네트워크; 사설 통신망; San Diego, California의 Qualcomm, Inc.로부터 이용가능한 MediaFLOTM를 포함하는, 순방향 링크 전용(FLO) 네트워크와 같은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위성용 DVB-S, 케이블용 DVB-C, 지상 텔레비전용 DVB-T, 휴대용 지상 텔레비전용 DVB-H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네트워크; 및 지상 이동 무선 네트워크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통신 네트워크(26)의 일부 양상들에서 포함될 수 있는 전화망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유니버셜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향상된 모바일 폰 서비스(advanced mobile phone service:AMPS), 시 분할 다중 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단일 반송파(1x) 무선 전송 기술(RTT), 에볼루션(evolution) 데이터 전용(EV-DO) 기술,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개선된 데이터 GSM 환경(enhanced data GSM environment:EDGE), 고속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접속(HSDPA), 아날로그 및 디지털 위성 시스템들, 및 무선 통신망과 데이터 통신 망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술들/프로토콜들과 같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네트워크들/기술들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셀룰러 전화 양상들의 예시에서, 시스템(20)(도 1)은 캐리어 네트워크(324)를 통해 유선 네트워크(322)에 접속되는 무선 네트워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셀룰러 무선망의 컴포넌트들과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를 더 상세히 나타내는 대표도이다. 셀룰러 무선망(32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들(22)과 같은, 원격 모듈들이 서로 간에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캐리어들 및/또는 서버들을 포함하는(이에 한정하지 않음), 무선 네트워크(320)의 컴포넌트들 간에 무선으로 통신한다.
시스템(32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관리자 서버(42)는 각각의 접속 품질 로그들(40)과 같은, 원격 무선 디바이스들(22)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저장소(328)를 구비하는 LAN 네트워크(326)와 통신할 수 있다. 추가로, 데이터 관리 서버(330)는 사용자 관리자(42)와 통신하여 후-프로세싱 능력들, 데이터 흐름 제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자(42), 및/또는 데이터 관리 서버(330)는, 인터넷, 보안 LAN, WAN, 또는 다른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링크(332)를 통해 캐리어 네트워크(324)와 통신할 수 있다. 캐리어 네트워크(324)는 이동전화 교환국("MSC")(334)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들(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들임)을 제어한다. 추가로, 캐리어 네트워크(324)는 인터넷, 및/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과 같은, 네트워크(336)에 의해 MSC(334)와 통신한다. 전형적으로, 네트워크(336)에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부분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POTS 부분은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MSC(334)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 부분 그리고 음성 정보를 위한 POTS 부분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340)에 의해 다수의 기지국("BTS")들(338)에 접속될 수 있다. BTS(338)는 궁극적으로 메시지들을 무선으로, 단문 서비스("SMS"), 또는 다른 무선 방법들로써, 셀룰러 전화들(22)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로 동보한다.
동작시, 도 28을 참조하면, 일 양상으로,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결정하는 방법은 선택적으로 요구되는 추적할 접속 품질 특성들 또는 메트릭에 관련되는 수집 구성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블록(350)). 예를 들어, 일 특징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42)는 접속 품질 구성 생성기(94)를 실행하여 수집 구성(32)을 발생시킬 수 있다. 수집 구성(32)은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통신 디바이스(22)의 프로세싱 엔진(38)(도 2)에 의해 발생되는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도 2),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22)가 겪는 액세스 실패, 호 단절 및/또는 서비스 이탈 이벤트의 발생, 횟수 및/또는 비율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요구되는 접속 품질 특성들 또는 메트릭들(52)에 대응하는, 선택된 이벤트-관련 정보(74)(도 2)를 수집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방법은 상기 수집 구성을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들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블록(352)). 예를 들어,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양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42)는 수집 구성(32)을 통신 디바이스(32)로 포워딩할 수 있다. 수집 구성(32)이 주어진 캐리어 네트워크에 관련되는 모든 디바이스들과 같은, 임의의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들, 주어진 구성 및/또는 모델의 모든 디바이스들, 주어진 네트워크 또는 지리적 영역 내부의 모든 디바이스들, 및 하나 이상의 접속 품질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다른 그룹으로 전송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방법은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수집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블록(354)). 예를 들어, 일 양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42)(도 3)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접속 품질 로그(40)에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42)는 수집 구성(32)의 실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선택된 이벤트-관련 정보(74)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이벤트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6)에 의해 활용되는 주어진 통신 프로토콜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지들 및/또는 데이터 패킷들 중 전부 및/또는 일부에 기초하여 또는 그 표현으로 생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방법은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을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에 적용(블록(356))하는 단계 및 접속 품질 특성들 및/또는 메트릭을 획득하는 단계(블록(35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42)는 분석기(48)를 실행하여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을 선택된 이벤트 정보(34)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은 액세스 실패들, 호 단절들, 서비스 이탈 이벤트들과 같은, 접속 품질 특성들을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분석기(48) 및/또는 상태 머신(50)은 이에 기초하여 접속 품질 메트릭들(52)을 계산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메트릭들(52)이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의 접속 품질을 식별 및/또는 정정 및/또는 최적화하기 위해, 네트워크 캐리어,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 컴포넌트 제조자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다른 양상으로,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가능한 방법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관련된 복수의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들 및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22)는 통신(24)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정보(36)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방법은 요구되는 접속 품질 특성들 및/또는 메트릭에 관련된 수집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블록(362)). 예를 들어, 일 양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22)는 수집 구성(32)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방버은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선택된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들 및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선택 및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블록(364)). 예를 들어, 일 양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22)는 수집 구성(32)에 기초하여 접속 품질 모듈(30)을 실행하고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수집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방법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들 또는 메트릭의 결정을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대한 적용을 위한 상기 선택된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22)는 통신 디바이스(22)와 통신 네트워크(27) 간의 통신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 품질 메트릭들(52), 및/또는 액세스 실패, 호 단절 또는 서비스 이탈 이벤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접속 품질 특성들을 생성하도록 접속 품질 상태 머신(50)을 실행시키는 분석기(48)에 의한 분석을 위해 선택된 이벤트 정보(34)를 네트워크 디바이스(42)로 포워딩할 수 있다.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재된 상기 다양한 도식적인 논리 블록, 모듈, 그리고 회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GP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상기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함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 개시된 상기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상기 양자의 조합에 직접 수록될 수 있다. 추가로, 여기 기재된 방법들 및/또는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들 각각은 상기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각 하나에 대응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소거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가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상기 저장 매체에 정보를 수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추가로, 일부 특징들로, 상기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ASIC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이산 컴포넌트로서 탑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듬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의 세트들 또는 코드들이 상기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의 각각에 대응할 수 있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명령들의 세트 또는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전술한 개시사항이 설명적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한편,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기재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기서 이뤄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나아가,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이 단수로 기재 또는 청구될 수 있을지라도, 명시적으로 진술되지 않는한 복수가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임의의 특징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달리 기재되지 않는한, 임의의 다른 특징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Claims (66)

  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configuration)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특성 정보에 대응함―;
    접속 품질 상태 머신(state machine)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와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따라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상기 생성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액세스 실패(access failure), 호 단절(call drop) 및 서비스 이탈(out of service)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 품질 특성에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유휴(idle) 상태와 액세스 상태 간의 전이(transition), 상기 액세스 상태로부터 접속(connected) 상태로의 전이, 및 상기 접속 상태로부터 상기 유휴 상태로의 전이를 결정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품질 특성에 관련된 호 타입(call type)을 결정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는,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perceived)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성은 네트워크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성과 상이한,
    접속 품질 결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이 모바일 발신(mobile originated, MO) 통신 또는 모바일 착신(mobile terminated, MT) 통신을 포함한다는 표시자를 상기 접속 품질 특성과 관련하여 결정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복수의 무선(over-the-air, OTA) 통신 메시지들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는, 모바일 발신 음성 호, 모바일 발신 데이터 호, 모바일 발신 단문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호, 모바일 발신 간략 음성 서비스(short voice service) 호, 모바일 착신 음성 호, 모바일 착신 데이터 호, 모바일 착신 단문 서비스 호, 및 모바일 착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시에-발생하는 호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access origination) 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방법은 액세스 호 상태가 달성된 후에 수신되는 상기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 정보가 중복(duplicate) 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가 결정된다면 신규 호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상태에 추가로 대응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액세스 발신과 관련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는(mapping) 단계;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맵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 정보 또는 상기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 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방법은 접속 호 상태(connected call state)가 달성된 후 수신되는 상기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 정보가 중복 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액세스 발신과 관련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는 단계;
    상기 모바일 발신 음성 호, 상기 모바일 발신 데이터 호, 상기 모바일 발신 단문 서비스 호, 상기 모바일 발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상기 모바일 착신 음성 호, 상기 모바일 착신 데이터 호, 상기 모바일 착신 단문 서비스 호, 및 상기 모바일 착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맵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 정보 또는 상기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휴 상태와 액세스 상태 간의 변경을 포함하는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와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상기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와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발신 음성 호, 상기 모바일 발신 데이터 호, 상기 모바일 발신 단문 서비스 호, 상기 모바일 발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상기 모바일 착신 음성 호, 상기 모바일 착신 데이터 호, 상기 모바일 착신 단문 서비스 호, 및 상기 모바일 착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대한 액세스 상태를 식별한 후,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액세스 실패 조건(condition)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맵핑시키는 단계에 기초하여 액세스 실패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triggering)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이벤트의 진위(veracity)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실패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증하는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 실패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이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대한 호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호 타입에 따라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정보, 해제(release) 정보, 호 상태 정보 및 취소(abort) 정보 중 적어도 미리 결정된 하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대한 액세스 상태를 식별한 후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접속 확정(confirmation)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맵핑시키는 단계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복수의 호 타입들 중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접속 확정을 통해 상기 복수의 호 타입들 각각에 대해 복수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 복수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 데이터들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맵핑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정된 호 타입에 대한 각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 데이터들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호 타입에 대해 상기 접속 상태를 대체하기 위해 유휴 상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대한 접속 상태를 식별한 후,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호 단절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맵핑시키는 단계에 기초하여 호 단절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호 단절 트리거링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호 단절 트리거링 이벤트의 진위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 단절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증하는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호 단절에 대응하는 유휴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대한 호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호 타입에 따라 호 단절 트리거링 정보, 해제 정보, 호 상태 정보 및 취소 정보 중 적어도 미리 결정된 하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대한 접속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호 단절 또는 정상적인 호 종료의 발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호 단절 또는 상기 정상적인 호 종료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대한 호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 단절 또는 상기 정상적인 호 종료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호 타입에 기초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은 기존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호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요청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상기 핸드오버 요청 정보는 상기 기존 무선 접속 기술과 신규 무선 접속 기술 간의 통신의 핸드오버에 대한 요청에 대응함―;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성공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핸드오버 성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무선 접속 기술에 관련되는 상기 호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존 무선 접속 기술은 GSM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신규 무선 접속 기술은 WCDMA 시스템을 포함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음성 호를 포함하는 호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호 타입에 의존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대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무선 접속 기술 및 상기 신규 무선 접속 기술 각각에 대해 발생하는,
    접속 품질 결정 방법.
  28.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제 1 모듈―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특성 정보에 대응함―;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따라 상기 통신과 관련되는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는 제 2 모듈; 및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상기 생성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29.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제 1 코드들의 세트―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특성 정보에 대응함―;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따라 상기 통신과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도록 하는 제 2 코드들의 세트; 및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상기 생성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특성 정보에 대응함―;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에 따라 상기 통신과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상기 생성된 접속 품질 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미리 결정된 접속 품질 구성의 실행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을 포함하는 메모리―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의 접속 특성 정보에 대응함―; 및
    상기 통신에 관련된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하여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을 실행시키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액세스 실패, 호 단절 및 서비스 이탈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며,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에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유휴 상태와 액세스 상태 간의 전이, 상기 액세스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의 전이, 및 상기 접속 상태로부터 상기 유휴 상태로의 전이를 결정 및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접속 품질 특성에 관련된 호 타입을 결정 및 저장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성은 네트워크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성과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이 모바일 발신(MO) 통신 또는 모바일 착신(MT) 통신을 포함한다는 표시자를 상기 접속 품질 특성과 관련하여 결정 및 저장하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는 복수의 무선(over-the-air, OTA) 통신 메시지들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모바일 발신 음성 호, 모바일 발신 데이터 호, 모바일 발신 단문 서비스 호, 모바일 발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모바일 착신 음성 호, 모바일 착신 데이터 호, 모바일 착신 단문 서비스 호, 및 모바일 착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시에-발생하는 호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 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액세스 호 상태가 달성된 후에 수신되는 상기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 정보가 중복 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가 결정된다면 신규 호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신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상태에 추가로 대응하며,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액세스 발신과 관련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상태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맵핑 및 상기 결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 정보 또는 상기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를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 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접속 호 상태가 달성된 후 수신되는 상기 추가적인 액세스 발신 정보가 중복 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액세스 발신에 관련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고;
    상기 모바일 발신 음성 호, 상기 모바일 발신 데이터 호, 상기 모바일 발신 단문 서비스 호, 상기 모바일 발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상기 모바일 착신 음성 호, 상기 모바일 착신 데이터 호, 상기 모바일 착신 단문 서비스 호, 및 상기 모바일 착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타입을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맵핑 및 상기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 정보 또는 상기 동시에-발생하는 신규 호를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휴 상태와 액세스 상태 간의 변경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와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상기 액세스 상태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와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도록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모바일 발신 음성 호, 모바일 발신 데이터 호, 모바일 발신 단문 서비스 호, 모바일 발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모바일 착신 음성 호, 모바일 착신 데이터 호, 모바일 착신 단문 서비스 호, 및 모바일 착신 간략 음성 서비스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타입을 식별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4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에 대한 액세스 상태를 식별한 후 모두 액세스 실패 조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액세스 실패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이벤트를 식별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이벤트의 진위을 검증하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액세스 실패를 발생시키는 것은 상기 검증의 결과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 실패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이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에 대한 호 타입을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정된 호 타입에 따라 액세스 실패 트리거링 정보, 해제 정보, 호 상태 정보 및 취소 정보 중 적어도 미리 결정된 하나에 맵핑시키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4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에 대한 액세스 상태를 식별한 후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접속 확정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접속 상태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복수의 호 타입들 중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접속 확정을 통해 상기 복수의 호 타입들 각각에 대해 복수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 복수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을 정의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정된 호 타입에 대한 각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 데이터들과 맵핑시키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미리 결정된 호 타입에 대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에 대해 상기 접속 상태를 유휴 상태로 대체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4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에 대한 접속 상태를 식별한 후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호 단절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 코드 및 미리 결정된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맵핑시키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호 단절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호 단절 트리거링 이벤트를 식별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호 단절 트리거링 이벤트의 진위를 검증하고, 그리고 상기 검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호 단절을 발생시키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호 단절에 대응하는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에 대한 호 타입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호 타입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호 단절 트리거링 정보, 해제 정보, 호 상태 정보 및 취소 정보 중 적어도 미리 결정된 하나에 맵핑시키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5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에 대한 접속 상태를 식별하고, 호 단절 또는 정상적인 호 종료의 발생을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상기 결정에 기초하는 상기 호 단절 또는 상기 정상적인 호 종료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에 대한 호 타입을 식별하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호 단절 또는 상기 정상적인 호 종료는 상기 식별된 호 타입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은 기존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호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요청 정보를 식별하고―상기 핸드오버 요청 정보는 상기 기존 무선 접속 기술과 신규 무선 접속 기술 간의 통신의 핸드오버에 대한 요청에 대응함―;
    상기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코드 및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생성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성공 정보를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식별된 핸드오버 성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무선 접속 기술과 관련되는 상기 호 상태를 저장하도록 실행가능하며, 상기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은 GSM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신규 무선 접속 기술은 WCDMA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통신을, 음성 호를 포함하는 호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식별된 호 타입에 의존하여 상기 호 상태를 저장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57.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상태 머신은 추가로 상기 기존 무선 접속 기술 및 상기 신규 무선 접속 기술 각각에 대해 상기 통신에 대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을 생성하고 저장하도록 실행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58.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집 구성(collection 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들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가지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들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에 대응함―;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들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해 분석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forward)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 방법.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액세스 실패, 호 단절 및 서비스 이탈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정보 수집 방법.
  60.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성과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성의 생성을 위해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집 방법.
  6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접속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집 구성을 수신하는 제 1 모듈;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들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가지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생성하는 제 2 모듈―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들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에 대응함―;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는 제 3 모듈; 및
    상기 통신들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해 분석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하는 제 4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62.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집 구성을 수신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1 코드들의 세트;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들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가지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생성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2 코드들의 세트―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들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에 대응함―;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3 코드들의 세트;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들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해 분석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제 4 코드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63. 통신 디바이스로서,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집 구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엔진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들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가지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들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에 대응함―;
    상기 수집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통신들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해 분석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워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64. 통신 디바이스로서,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들에 기초하여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을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세싱 엔진―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들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에 대응함―; 및
    상기 프로세싱 엔진과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접속 품질 모듈, 접속 구성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품질 모듈은 상기 접속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벤트 코드들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도록 상기 프로세싱 엔진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선택된 이벤트 정보는 상기 통신들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접속 품질 상태 머신에 의해 분석되는,
    통신 디바이스.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품질 특성은 접속 실패, 호 단절 및 서비스 이탈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통신 디바이스.
  66.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품질 특정의 정의는 네트워크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정과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접속 품질 특성의 정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097003876A 2006-07-26 2007-07-26 접속 품질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 KR101059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356306P 2006-07-26 2006-07-26
US60/833,563 2006-07-26
PCT/US2007/074524 WO2008014421A2 (en) 2006-07-26 2007-07-26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nection quality metr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473A KR20090048473A (ko) 2009-05-13
KR101059362B1 true KR101059362B1 (ko) 2011-08-24

Family

ID=3898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876A KR101059362B1 (ko) 2006-07-26 2007-07-26 접속 품질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18389B2 (ko)
EP (1) EP2077049A2 (ko)
JP (1) JP5074494B2 (ko)
KR (1) KR101059362B1 (ko)
CN (1) CN101496429B (ko)
TW (1) TW200814687A (ko)
WO (1) WO200801442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541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지니테크 기계 학습에 기반한 장애호 검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5244B2 (en) * 2005-06-29 2013-07-23 Jumpstart Wireles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utomatic communication path selection, distributed device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FI121619B (fi) * 2007-08-10 2011-01-31 7Signal Oy Monitorointiasema ja menetelmä tietoliikenneverkkojen monitorointiin
US20090198579A1 (en) * 2008-02-01 2009-08-06 Lewis Robert C Keyword tracking for microtargeting of mobile advertising
US20090197582A1 (en) * 2008-02-01 2009-08-06 Lewis Robert C Platform for mobile advertising and microtargeting of promotions
US9959547B2 (en) * 2008-02-01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Platform for mobile advertising and persistent microtargeting of promotions
US20090197616A1 (en) * 2008-02-01 2009-08-06 Lewis Robert C Critical mass billboard
US9111286B2 (en) * 2008-02-01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actions and icons for mobile advertising
US8780732B2 (en) * 2008-03-18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network management by assistance from terminal using control-plane signaling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US8200163B2 (en) * 2008-12-30 2012-06-12 Carrier Iq, Inc.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monitoring mobil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462482B2 (en) * 2009-01-13 2016-10-04 Viavi Solutions Uk Limited Geo-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034128A1 (en) * 2009-08-05 2011-02-10 Kirsch David 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inked to In-Vehicle System
GB201001068D0 (en) * 2010-01-22 2010-03-10 Wadaro Ltd Methods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network
KR101948348B1 (ko) 2011-04-01 2019-02-1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578060B1 (en) 2012-06-11 2017-02-21 Dell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loss prevention across heterogeneous communications platforms
US9779260B1 (en) 2012-06-11 2017-10-03 Dell Software Inc. Aggregation and classification of secure data
US9501744B1 (en) 2012-06-11 2016-11-22 Dell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ying data
US9390240B1 (en) 2012-06-11 2016-07-12 Dell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querying data
US9148749B2 (en) * 2012-09-28 2015-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valuating wireless network access connections via near field communications
US10142202B2 (en) * 2014-01-30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end-to-end transport quality
US9349016B1 (en) 2014-06-06 2016-05-24 Dell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context-based data loss prevention
US20160037366A1 (en) * 2014-08-01 2016-02-04 Cox Communications, Inc. Detection and reporting of network impairments
US9877214B1 (en) * 2014-12-03 2018-01-23 Sprint Spectrum L.P. Passive quality of experience measurements
US10326748B1 (en) 2015-02-25 2019-06-18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based authentication
US10417613B1 (en) 2015-03-17 2019-09-17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patternizing logged user-initiated events for scheduling functions
US9990506B1 (en) 2015-03-30 2018-06-05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securing network-accessible peripheral devices
US9641555B1 (en) 2015-04-10 2017-05-02 Dell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content-exposure events
US9842218B1 (en) 2015-04-10 2017-12-12 Dell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self-service access to content
US9563782B1 (en) 2015-04-10 2017-02-07 Dell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self-service access to content
US9569626B1 (en) 2015-04-10 2017-02-14 Dell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reporting content-exposure events
US9842220B1 (en) 2015-04-10 2017-12-12 Dell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self-service access to content
US10536352B1 (en) 2015-08-05 2020-01-14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uning cross-platform data collection
US10157358B1 (en) 2015-10-05 2018-12-18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tream performance patternization and interval-based prediction
US10218588B1 (en) 2015-10-05 2019-02-26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tream performance patternization and optimization of virtual meetings
CN106982452B (zh) * 2016-01-19 2020-09-04 中国移动通信集团安徽有限公司 一种确定通话质量的方法和装置
US10142391B1 (en) 2016-03-25 2018-11-27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agnosing down-layer performance problems via multi-stream performance patternization
US10554478B2 (en) * 2016-08-03 2020-02-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ouble isolation via a network
US11540179B2 (en) 2021-03-03 2022-12-27 Motorola Mobility Llc Multiple call types for a call event
US11523318B1 (en) * 2021-07-15 2022-12-06 Motorola Mobility Llc Call recovery for multiple call failures
CN115243314B (zh) * 2022-09-19 2022-12-09 天津艾洛克通讯设备科技有限公司 WiFi场景的应用质量诊断分析方法与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7507A1 (en) 1999-05-04 2000-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assisted management for radio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6198A (en) * 1992-01-13 1998-10-20 Microcom Systems, Inc. Transmission of data over a radio frequency channel
US5623535A (en) 1994-09-08 1997-04-22 Lucent Technologies Inc. Operations of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based on mobility and teletraffic statistics collected by mobile units
US6108316A (en) * 1997-07-25 2000-08-22 At & T Corp Adaptive scheduling priorities based on battery power level in wireless access protocols
FI113821B (fi) 1999-03-29 2004-06-15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tiedonsiirron yleisen laadun mittaamiseksi ja optimoimiseksi digitaalisessa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US6298233B1 (en) 1999-08-13 2001-10-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in a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detection and deferred reporting of a communication difficulty
US6438117B1 (en) * 2000-01-07 2002-08-20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handover in a hybrid GSM/CDMA network
US6915128B1 (en) 2001-02-13 2005-07-0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GB2382502B (en) * 2001-11-23 2005-10-19 Actix Ltd Network testing systems
US6894985B2 (en) 2002-08-05 2005-05-17 Harris Corporation Monitoring link quality in a mobile ad hoc network
TWI235566B (en) 2002-12-23 2005-07-01 Inst Information Industry Quality of Services control structure for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and method thereof
US20050163047A1 (en) * 2003-03-20 2005-07-28 Christopher M. Mcgregor, Gregory M. Mcgregor And Travis M. Mcgregor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quality of service (QOS) performance levels for wireless devices
US7680920B2 (en) 2003-03-24 2010-03-16 Netiq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valuating network performance using diagnostic rules identifying performance data to be collected
ITPI20030101A1 (it) 2003-12-05 2005-06-06 Cdc Srl Metodo ed apparato per la gestione della globalita'
JP2005322285A (ja) * 2004-05-07 2005-11-17 Hitachi Ltd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7507A1 (en) 1999-05-04 2000-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assisted management for radio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541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지니테크 기계 학습에 기반한 장애호 검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473A (ko) 2009-05-13
US8818389B2 (en) 2014-08-26
EP2077049A2 (en) 2009-07-08
WO2008014421A2 (en) 2008-01-31
CN101496429B (zh) 2013-07-31
JP5074494B2 (ja) 2012-11-14
TW200814687A (en) 2008-03-16
WO2008014421A3 (en) 2008-06-12
CN101496429A (zh) 2009-07-29
JP2009545259A (ja) 2009-12-17
US20080026768A1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362B1 (ko) 접속 품질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
JP5265344B2 (ja) 無線通信装置上の音声品質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728387B2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上のワイヤレスデバイスの接続品質を判定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13539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onfigurable performance levels in a wireless device
JP5524128B2 (ja) 無線デバイスのマルチメディア性能状況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96992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figurable task management of a wireless device
US943907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tecting data on a wireless device
EP1859643B1 (en) Monitoring usage patterns of a wireless device
KR100979004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장치의 서비스프로그래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82488A (ko)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호 연결 장애 검출 방법 및 그를수행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