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899B1 -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899B1
KR101058899B1 KR1020090036203A KR20090036203A KR101058899B1 KR 101058899 B1 KR101058899 B1 KR 101058899B1 KR 1020090036203 A KR1020090036203 A KR 1020090036203A KR 20090036203 A KR20090036203 A KR 20090036203A KR 101058899 B1 KR101058899 B1 KR 101058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ocal
auxiliary
substrat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440A (ko
Inventor
김해룡
Original Assignee
김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룡 filed Critical 김해룡
Priority to KR102009003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8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매트릭스 형태로 연속적인 조립이 가능하면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각형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로컬전극과 반대 방향의 타면에 인입되게 형성된 제2로컬전극이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로컬전극과 반대 극성의 제3로컬전극이 제1 및 제2로컬전극과 이격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로컬전극을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단위 기판과, 자동차의 램프 하우징 내에 마련된 소켓에 접속할 수 있게 양단에 제1 및 제2 메인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과 교차되는 일측에는 제1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제1중계전극과, 타측에는 제2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중계전극과, 제1 및 제2중계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제3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3중계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메인 기판을 구비한다. 이러한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에 의하면, 단위기판을 상호 어레이시켜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램프에 대해 호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자동차 램프, 회로기판 구조체, 매트릭스 결합

Description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circuit board of lamp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단위기판이 상호 조립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이즈의 가변이 용이한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실내등 등 다수의 램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대부분 필라멘트 구조의 전구가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필라멘트 전구 보다 소비전력이 적으면서도 수명이 긴 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는 대부분 차량 고유의 디자인에 맞게 하우징의 형상을 달리하여 제작되고 있는데, 이 경우 발광다이오드를 실장한 회로기판도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적용되는 램프 모델마다 회로기판을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단위 기판을 상호 어레이하여 형태 및 사이즈의 가변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는 상호 매트릭스 형태로 연속적인 조립이 가능하면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각형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로컬전극과 상기 일면과 반대 방향의 타면에 인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로컬전극이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로컬전극과 반대 극성의 제3로컬전극이 상기 제1 및 제2로컬전극과 이격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로컬전극을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단위 기판과; 자동차의 램프 하우징 내에 마련된 소켓에 접속할 수 있게 양단에 제1 및 제2 메인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과 교차되는 일측에는 상기 제1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제1중계전극과, 상기 양단과 교차되는 타측에는 상기 제2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중계전극 및 상기 제1및 제2중계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3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3중계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메인 기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위기판은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할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상기 제1관통공에 접하는 면에는 전기적 접속용 제1전극패드와, 상기 제1전극패드와 이격되게 제2전극패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기판은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관통공에 접하는 면에는 상기 메인단자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중계할 수 있게 형성된 전기적 접속용 제3전극패드와, 상기 제3전극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된 제4전극패드가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단위기판과 상기 메인기판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중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위기판을 상기 메인기판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시키는 보조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기판은 상기 제2관통공에 끼움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중앙에는 상기 제3전극패드와 상기 제1전극패드에 접속될 수 있는 제1보조전극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전극패드와 상기 제4전극패드에 접속될 수 있는 제2보조전극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기판은 상면에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되어 상기 제1보조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1보조돌출전극과, 하면에는 상기 제1보조돌출전극이 삽입될 수 있게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돌출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1보조인입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보조전극패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1결합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보조전극패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2결합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기판의 상기 제3전극패드와 상기 제4전극패드에는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2결합공을 통해 리드선에 의 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제3 및 제4결합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에 의하면, 단위기판을 상호 어레이시켜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램프에 대해 호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램프(100)는 하우징(110), 메인 기판(210), 복수개의 단위기판(230)을 구비한다.
자동차의 램프 하우징(110)은 내부에 발광모듈인 회로기판 구조체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회로기판 구조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112)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형상 및 소켓(112)의 구조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 예로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단위기판(230)은 상호 매트릭스 형태로 연속적인 조립이 가능하면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단위 기판(230)은 모서리부분이 면처리된 판형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사각형태 이외에도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위기판(230)은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로컬전극(231)과 일면과 반대 방향의 타면에 인입되게 형성된 제2로컬전극(232)이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기판(230)은 제1 및 제2로컬전극(231)(232)과 반대 극성의 제3로컬전극(233)이 제1 및 제2로컬전극(231)(232)과 이격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로컬전극(231)(232)은 단위 기판(230) 내에서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어 있다.
단위기판(230)의 중앙에는 후술되는 보조기판(270)이 삽입될 수 있게 제1관통공(241)이 형성되어 있고, 제1관통공(241)에 접하는 배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접속용 제1전극패드(251)와, 제1전극패드(251)와 이격되게 제2전극패드(252)가 마련되어 있다.
제1전극패드(251)는 단위기판(230)의 상면에도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전극패드(251)는 제1 및 제2로컬전극(231)(2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2전극패드(252)는 제3로컬전극(23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단위기판(230)의 상면에는 제1 내지 제3 로컬전극(231)(232)(233) 또는 제1 및 제2 전극패드(251)(252)를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260)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단위기판(230)의 배면에는 발광다이오드(26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칩 또는 저항소자가 실장되어 있다.
메인 기판(210)은 자동차의 램프 소켓(112)과 단위기판(230)과의 전기적 접속을 중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메인기판(210)은 자동차의 램프 소켓(112)에 접속할 수 있게 양단에 제1 및 제2 메인 단자(211)(2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메인 단자(211)와 제2메인단자(212)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소켓(112)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소재로 형성되어 외형은 소켓(112)에 접속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열린 내부공간에는 제1 및 제2 메인단자(211)(212)에 끼움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보조 결합구(203)(204)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1 및 제2 메인단자(211)(212)의 형상을 소켓(112)에 직접 끼움결합 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메인기판(210)은 양단과 교차되는 일측에는 제1로컬전극(231)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제1중계전극(221)과, 양단과 교차되는 타측에는 제2로컬전극(232)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중계전극(222) 및 제1 및 제2중계전극(221)(222)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3중계전극(223)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메인전극(211)은 내부 회로패턴에 의해 제1 및 제2중계전극(221)(2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메인전극(212)은 내부 회로패턴에 의해 제3중계전극(2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기판(210)의 배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인전극(211)과 제2메인전극(212)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전파 정류하여 제1 및 제2중계전극(221)(222) 및 제3중계전극(223)을 통해 공급할 수 있게 브리지 다이오드(228)가 실장될 수 있다.
메인 기판(210)에는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할 수 있게 발광다이오드(260)가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는 단위 기판(230)을 원하는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인접된 단위기판(230)과 제1로컬전극(231)과 제2로컬전극(232)이 상호 접합되게 납땜과 같은 접합방식에 의해 상호 조립하여 메인 기판(210)에 접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자동차의 램프 하우징(110)은 내부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영역(미도시)이 있어 메인기판(210)과 단위기판(230)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평적으로 접합하는 경우 소켓(112)에 장착하기 어렵거나, 접합된 단위기판(230)이 돌출된 영역에 걸리는 경우에 단위기판(230)을 메인기판(210)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기판(310)과 단위기판(230)을 상호 접합시키는 보조기판(270)을 구비한다.
먼저, 메인기판(31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메인 단자(211)(212)와, 제1 및 제2중계전극(221)(222) 및 제3중계전극(223a)이 형성되 어 있다. 제3중계전극(223a)은 후술되는 제4전극패드(254)로도 함께 이용될 수 있게 제1 중계전극(221)과 제2중계전극(222)을 잇는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노출될 수 있게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기판(310)의 중앙에는 보조기판(270)을 통해 단위기판(230)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제2관통공(216)이 형성되어 있고, 제2관통공(216)에 접하는 면에는 전기적 접속용 제3전극패드(253)와, 제3전극패드(253)와 이격되게 제4전극패드(254)가 마련되어 있다.
제3전극패드(253)은 제1 및 제2중계전극(221)(2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제2 관통공(216) 내측면까지 형성되어 있고, 제4전극패드(254)는 제3중계전극(223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제2 관통공(216) 내측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보조기판(270)은 메인기판(310)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이격되게 단위기판(230)을 접속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기판(270)은 메인기판(310)의 제2관통공(216)에 끼움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기판(270)은 중앙에 제3전극패드(253)와 제1전극패드(251)에 접속될 수 있는 제1보조전극패턴(271)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제2전극패드(252)와 제4전극패드(254)에 접속될 수 있는 제2보조전극패턴(2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기판(270)은 상면에 제1관통홀(241)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되어 제1보조전극패턴(271)을 형성하는 제1보조돌출전극(271a)과, 하면에는 제1보조돌출 전극(271a)이 삽입될 수 있게 인입되게 형성되어 제1보조전극패턴(271)을 형성하는 제1보조인입전극(27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보조전극패턴(27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제1결합공(271c)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제2보조전극패턴(27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2결합공(272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메인기판(310)의 제3전극패드(253)와 제4전극패드(254) 또는 제3중계전극(223a)에는 제1결합공(271c)과 제2결합공(272a)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리드선(28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제3 결합공(218) 및 제4결합공(219)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선(280) 및 제1 내지 제4결합공(271c)(272a)(218)(219)은 전기적 접속기능 외에도 결합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는 단위 기판(230)을 원하는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인접된 단위기판(230)과 제1로컬전극(231)과 제2로컬전극(232)이 상호 접합되게 납땜과 같은 접합방식에 의해 상호 조립한 후, 보조기판(270)을 이용하여 메인기판(310)과 단위 기판(230)을 상호 접합한 후 원하는 높이만큼에 대응되게 리드선(280)을 이용하여 제1결합공(271c)과 제3결합공(218), 제2결합공(272a)과 제4결합공(219)을 통해 상호 납땜에 의해 상호 접합되게 하면된다. 또한, 보조기판(270)이 메인기판(310)의 하부로 돌출되는 경우 노출된 부분을 절단처리 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로기판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메인 기판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위 기판의 배면도이다.

Claims (4)

  1. 상호 매트릭스 형태로 연속적인 조립이 가능하면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각형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로컬전극과 상기 일면과 반대 방향의 타면에 인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로컬전극이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로컬전극과 반대 극성의 제3로컬전극이 상기 제1 및 제2로컬전극과 이격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로컬전극을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단위 기판과;
    자동차의 램프 하우징 내에 마련된 소켓에 접속할 수 있게 양단에 제1 및 제2 메인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단과 교차되는 일측에는 상기 제1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제1중계전극과, 상기 양단과 교차되는 타측에는 상기 제2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중계전극 및 상기 제1및 제2중계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3로컬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3중계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메인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기판은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할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상기 제1관통공에 접하는 면에는 전기적 접속용 제1전극패드와, 상기 제1전극패드와 이격되게 제2전극패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기판은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관통공에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제1메인단자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중계할 수 있게 형성된 전기적 접속용 제3전극패드와, 상기 제2메인단자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중계할 수 있게 상기 제3전극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된 제4전극패드가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단위기판과 상기 메인기판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중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위기판을 상기 메인기판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시키는 보조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기판은
    상기 제2관통공에 끼움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중앙에는 상기 제3전극패드와 상기 제1전극패드에 접속될 수 있는 제1보조전극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전극패드와 상기 제4전극패드에 접속될 수 있는 제2보조전극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판은 상면에 상기 제2로컬전극 또는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되어 상기 제1보조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1보조돌출전극과, 하면에는 상기 제1보조돌출전극이 삽입될 수 있게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1보조 인입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전극패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1결합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보조전극패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2결합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기판의 상기 제3전극패드와 상기 제4전극패드에는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2결합공을 통해 리드선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제3 및 제4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KR1020090036203A 2009-04-24 2009-04-24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KR101058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03A KR101058899B1 (ko) 2009-04-24 2009-04-24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03A KR101058899B1 (ko) 2009-04-24 2009-04-24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40A KR20100117440A (ko) 2010-11-03
KR101058899B1 true KR101058899B1 (ko) 2011-08-23

Family

ID=4340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203A KR101058899B1 (ko) 2009-04-24 2009-04-24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728B1 (ko) 2010-04-10 2011-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EP2375133B1 (en) 2010-04-10 2014-07-23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EP2738445B1 (en) 2010-11-08 2018-01-10 LG Innotek Co., Ltd. Light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948Y1 (ko) 2006-01-17 2006-10-16 치흐-흐시엔 우 차량의 실내 led 램프 전환 전원연결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948Y1 (ko) 2006-01-17 2006-10-16 치흐-흐시엔 우 차량의 실내 led 램프 전환 전원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40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392B2 (en) LED filament light
US9696023B2 (en) Electric connecting member and LED lamp using the same
CN101539278B (zh) 发光二极管组合
JP3179655U (ja) Ledランプに用いるランプコネクタ構造
CN1324763C (zh) 包括一个端子元件的电路连接结构
JPH07106634A (ja) 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および発光ダイオード光源
JP2011124577A (ja) Led照明組立体
KR101193113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KR101058899B1 (ko) 자동차 램프용 회로기판 구조체
US8519428B2 (en) Vertical stacked light emitting structure
JP2001332769A (ja) 発光ダイオード照明具
JP4054053B2 (ja) Ledユニットの製造方法、ledユニット、ledユニットを有する配線ブロックの構造
KR101238416B1 (ko) Led모듈
JP2004355968A (ja) 車両用灯具
KR100904211B1 (ko) 전원단자 일체형 엘이디램프모듈
US9194556B1 (en) Method of producing LED lighting apparatus and apparatus produced thereby
JP6024957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2705792A (zh) 基板电连接结构及使用该结构的led灯
JP5962392B2 (ja) Ledモジュールの電源接続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CN204387719U (zh) 灯泡形灯以及照明装置
KR20120056914A (ko) 엘이디 램프용 전원 커넥터
US8888324B2 (en) Light-emitting device, method for assembling same and luminaire
CN220086047U (zh) 一种具有保护单元的led灯
CN216313501U (zh) 电路板组件及照明设备
CN204372573U (zh) 灯泡形灯以及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