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469B1 - 원터치형 휴즈콕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휴즈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469B1
KR101058469B1 KR1020090022231A KR20090022231A KR101058469B1 KR 101058469 B1 KR101058469 B1 KR 101058469B1 KR 1020090022231 A KR1020090022231 A KR 1020090022231A KR 20090022231 A KR20090022231 A KR 20090022231A KR 101058469 B1 KR101058469 B1 KR 101058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iston
fuse
gas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075A (ko
Inventor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Priority to KR102009002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46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member actuated by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34Excess-flow valves in which the flow-energy of the flowing medium actuates the clos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G, LNG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휴즈콕에 관련되며, 동체(10), 피스톤(22), 와셔(33)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동체(10)는 스냅링(11)과 버튼(12)으로 폐쇄된 공간상에 영구자석(13)을 지닌다. 피스톤(22)은 동체(10)의 유로 단속을 위해 차단판(21)을 구비하고, 상기 동체(10)와 버튼(12) 상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와셔(33)는 일측면에서 스프링(32)에 의해 일방향 탄성력을 받고, 상기 피스톤(22)의 영구자석(13)과 상대운동 가능하게 체결볼트(31)에 의해 버튼(1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관의 이탈이나 호스의 절단 등으로 인한 대량으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함과 함께 버튼으로 가스의 유로를 원터치로 완전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임의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고의적인 가스의 누출을 억제하여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휴즈콕, 가스, 차단기, 안전, 자석, 밸브

Description

원터치형 휴즈콕{The one touch type of fuse cock}
본 발명은 휴즈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의 이탈이나 호스의 절단 등으로 인한 대량으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함과 함께 버튼으로 가스의 유로를 원터치로 완전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임의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고의적인 가스의 누출을 억제하여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원터치형 휴즈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스이용시설에는 연소기 각각에 대하여 퓨즈콕, 상자콕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안전장치(이하 "휴즈콕 등"이라 한다)를 설치하여야 된다는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및 사업법 시행규칙이 있다.
즉, 휴즈콕은 가스렌지 및 가스보일러 등 가스 이용기구를 사용하는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위 중간밸브라고 칭하며 사용자가 임의대로 유로를 개폐하고, 과류차단휴즈를 내부에 장착하여 배관의 이탈이나 호스의 절단 등으로 인한 대량으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현재 국내의 휴즈콕은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상에 볼밸브(2)가 삽설되고, 볼밸브(2)와 핸들(3)이 연동하여 회동하면서 볼밸 브(2)의 상부 유로상에 과류차단휴즈(4)가 삽입된 구성이다. 이에 따른 휴즈콕은 사용자가 핸들을 90도 정도 정ㆍ역회전시켜 볼밸브(2)로 유로를 개폐하고,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스의 과류가 발생시 과류차단휴즈(4)가 작동하여 유로의 차단을 수행한다. 이때 과류차단휴즈(4)는 유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며 일반적으로 가스의 유량이 설정치(예컨대 1.2㎥/h)를 초과하면 우산모양의 유연판이 유로를 차단한다.
그런데, 종래의 휴즈콕은 볼밸브(2)로 유로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회전각도에 따라 유로의 개폐량이 변화할 수 있어 과류차단휴즈(4)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사용자가 조작미숙이나 자살이라는 목적으로 고의로 유로를 반쯤 개방한 상태로 가스를 방출하게 되면, 과류차단휴즈(4)는 작동하지 않게 되고 다량으로 방출된 가스로 인해 자신의 목숨은 물론 대형폭발로 전이되어 다른 사람의 목숨과 재산도 잃게 만드는 엄청난 재난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의 이탈이나 호스의 절단 등으로 인한 대량으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함과 함께 버튼으로 가스의 유로를 원터치로 완전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임의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고의적인 가스의 누출을 억제하여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원터치형 휴즈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LPG, LNG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휴즈콕에 있어서: 스냅링과 버튼으로 폐쇄된 공간상에 영구자석을 지니는 동체; 상기 동체와 버튼상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체의 유로 단속을 위해 차단판을 구비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영구자석과 상대운동 가능하게 체결볼트에 의해 버튼에 고정되고, 일측면에서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 탄성력을 받는 와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스톤은 과류차단휴즈의 하강후 원상 복귀를 위하여 일면에 환형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셔는 영구자석과 위치가 변경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와셔 대신 영구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휴지콕은 배관의 이탈이나 호스의 절단 등으로 인한 대량으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함과 함께 버튼으로 가스의 유로를 원터치로 완전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임의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고의적인 가스의 누출을 억제하여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을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의 조립된 상태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LPG, LNG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휴즈콕에 관련되며, 동체(10), 피스톤(22), 와셔(33)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체(10)는 스냅링(11)과 버튼(12)으로 폐쇄된 공간상에 영구자석(13)을 지닌다. 동체(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입출구가 형성되고 이에 수직하여 제어공간을 구비한다. 제어공간은 내부의 스냅링(11)과 영구자석(13)으로 결합되며 외부의 버튼(12)에 의해 기밀을 유지한다. 동체(10)의 입구에는 과류차단휴즈(23)가 설치된다. 과류차단휴즈(23)는 사고 또는 고의로 도관(호스)이 절단되는 경우 유로 상의 유량이 설정치(예컨대 1.2㎥/h)를 초과하면 우산모양의 유연판이 유로를 차단하는 구조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22)은 동체(10)의 유로 단속을 위해 차단판(21)을 구비하고, 상기 동체(10)와 버튼(12) 상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2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패킹(22b)이 형성되는데, 이는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피스톤(22)은 축방향으로 운동하며, 선단의 차단판(21)에 의한 유로 단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피스톤(22)은 몸체(10)의 중심부에 삽설되고 외측의 버튼(12)을 통하여 외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22)은 과류차단휴즈(23)의 하강후 원상 복귀를 위하여 일면에 환형턱(2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형턱(22a)은 피스톤(22)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과류차단휴즈(23)와 간섭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된다. 즉, 과류차단휴즈(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고 또는 고의로 도관(호스)이 절단되는 경우, 유로상의 유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과류차단휴즈(23)의 내부에 삽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직하방향으로 내려온다. 이러한 과류차단휴즈(23)는 피스톤(22)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 즉, 유로가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작동되는데, 과류차단휴즈(23)가 작동되어 유로를 차단하고 난 뒤 다시 복귀시키기 위하여 피스톤(22)이 폐쇄상태 즉,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피스톤(22)의 일면에 형성된 환형턱(22a)이 유연판의 중심에 형성된 환형봉을 상부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과류차단휴즈(23)의 내부에 삽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와셔(33)는 일측면에서 스프링(32)에 의해 일방향 탄성력을 받고, 상기 피스톤(22)의 영구자석(13)과 상대운동 가능하게 체결볼트(31)에 의해 버튼(12)에 고정된다. 와셔(3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링(11)으로 구분되는 내측 공간에서 영구자석(13)과 피스톤(22)상에 차단판(21)이 위치하고, 외측 공간에서 와셔(33), 스프링(32), 버튼(12)이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와셔(33)는 버튼(12)상에 압입,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체결볼트(31)로 인해 버튼(12)과 피스톤(22)이 결합된다. 이때, 동체(10)와 버튼(12)사이에 스프링(32)을 개재하여 버튼(12)은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바, 항상 유로를 개방하는 상태로 힘을 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의 평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의 비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a)는 평상시 유로가 차단된 상태로서, 사용자가 버튼(12)을 누르게 되면 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와셔(33)가 피스톤(22)을 좌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영구자석(13)의 자력으로 와셔(33)가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버튼(12)을 원터치로서 조금만 누르게 되면 영구자석(13)의 자력으로 인해 손쉽게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5(b)는 유로가 개방된 상태로서, 사용자가 버튼(12)을 잡고 당김에 따라 영구자석(13)의 자력이 순간상실하게 되고 이에 따른 스프링(32)이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함에 따라 버튼(12)과 피스톤(22)을 체결한 체결볼트(31)로 인해 피스톤(22)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개방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는 버튼(12)을 원터치로서 조금만 당기게 되면 스프링(32)의 탄성력으로 인해 손쉽게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유로를 완전한 개방 및 차단상태를 원터치로서 디지털신호와 같이 안전한 온ㆍ오프 작동하게 됨에 따라 임의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6(a)처럼 휴즈콕과 연결된 도관을 고의 또는 사고로 분리한 경우 과류로 인하여 과류차단휴즈(23)가 하강하고 유로가 차단된 상태로서, 차단판(21)이 유로를 개방한 상태지만 가스의 유동은 차단된다. 이에 따른 사고의 수습을 마친 후 과류차단휴즈(23)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12)을 누르게 되면 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와셔(33)가 피스톤(22)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6(b)처럼 피스톤(22)의 일면에 형성된 환형턱(22a)이 유연판의 중심에 형성된 환형봉을 상부로 밀게 되고, 과류차단휴즈(23)의 내부에 삽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복귀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차단판(21)이 유로를 차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휴즈콕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와셔(33)는 영구자석(13)과 위치가 변경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와셔(33) 대신 영구자석(13')을 더 구비한다. 이는 영구자석(13)은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튼(12)상에 압입,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되는 와셔(33)와의 위치가 변경되어 설치가 가능하다, 즉, 스냅링(11)으로 동체(10)와 고정되는 와셔(33) 및 버튼(12)과 일체로 고정되는 영구자석(13)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와셔(33)는 도 7처럼 대신 영구자석(13')을 더 구비하여 서로 다른 극성이 맞닿도록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이는 영구자석(13)(13')이 파손되거나 가우스가 변하여 교체시 탈부착이 용이하기 위함과 특히 영구자석(13)과 영구자석(13')으로 사용함에 따라 적은 가우스로도 충분한 밀착력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자가 용이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휴즈콕은 배관의 이탈이나 호스의 절단 등으로 인한 대량으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함과 함께 버튼으로 가스의 유로를 원터치로 완전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임의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고의적인 가스의 누출을 억제하여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즈콕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을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의 조립된 상태로 나타내는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의 평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즈콕의 비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휴즈콕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본체 2: 볼밸브
3: 핸들 4: 과류차단휴즈
10: 동체 11: 스냅링
12: 버튼 13: 영구자석
21: 차단판 22: 피스톤
22a: 환형턱 22b: 패킹
23: 과류차단휴즈 31: 체결볼트
32: 스프링 33: 와셔

Claims (3)

  1. LPG, LNG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휴즈콕에 있어서:
    스냅링(11)과 버튼(12)으로 폐쇄된 공간상에 영구자석(13)을 지니는 동체(10);
    상기 동체(10)와 버튼(12) 상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체(10)의 유로 단속을 위해 차단판(21)을 구비하는 피스톤(22); 및
    상기 피스톤(22)의 영구자석(13)과 상대운동 가능하게 체결볼트(31)에 의해 버튼(12)에 고정되고, 일측면에서 스프링(32)에 의해 일방향 탄성력을 받는 와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즈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2)은 과류차단휴즈(23)의 하강후 원상 복귀를 위하여 일면에 환형턱(2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즈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33)는 영구자석(13)과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와셔(33) 대신 영구자석(1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즈콕.
KR1020090022231A 2009-03-16 2009-03-16 원터치형 휴즈콕 KR101058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231A KR101058469B1 (ko) 2009-03-16 2009-03-16 원터치형 휴즈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231A KR101058469B1 (ko) 2009-03-16 2009-03-16 원터치형 휴즈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75A KR20100104075A (ko) 2010-09-29
KR101058469B1 true KR101058469B1 (ko) 2011-08-24

Family

ID=4300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231A KR101058469B1 (ko) 2009-03-16 2009-03-16 원터치형 휴즈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4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498A (ko) 2018-01-25 2019-08-02 손달식 퓨즈콕 자동 조립 시스템
KR102048484B1 (ko) 2018-05-21 2019-11-25 손달식 퓨즈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914B1 (ko) * 2014-12-31 2015-05-04 손달식 가스밸브의 과류 가스 차단 및 복귀장치
KR102193353B1 (ko) * 2020-06-30 2020-12-21 이병수 멀티차단 커플러방식 가스밸브
KR102392031B1 (ko) * 2021-11-11 2022-04-28 손달식 가스기구용 중간밸브
KR102432298B1 (ko) * 2022-04-22 2022-08-12 손달식 가스기구용 중간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224Y1 (ko) 2001-06-05 2001-10-22 김철수 절전형 가스밸브
JP2002071050A (ja) 2000-08-25 2002-03-08 Techno Excel Co Ltd 手動式給水弁装置
KR100340470B1 (ko) 2000-05-18 2002-06-15 이기원 가스누출차단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470B1 (ko) 2000-05-18 2002-06-15 이기원 가스누출차단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JP2002071050A (ja) 2000-08-25 2002-03-08 Techno Excel Co Ltd 手動式給水弁装置
KR200244224Y1 (ko) 2001-06-05 2001-10-22 김철수 절전형 가스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498A (ko) 2018-01-25 2019-08-02 손달식 퓨즈콕 자동 조립 시스템
KR102048484B1 (ko) 2018-05-21 2019-11-25 손달식 퓨즈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75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469B1 (ko) 원터치형 휴즈콕
US6920896B2 (en) Visual position indicator for valves with linear moving valve stem
TWM600359U (zh) 流體安全遮斷器
KR101479295B1 (ko) 가스밸브 안전장치
EP1825919B1 (en) Sink spray head with supply jet variation and flow rate regulation
JP2009201888A (ja) 止水機能付減圧弁
US10443749B2 (en) Slam-shut safety device with an operational feedback system
CN103703316B (zh) 用于双回路燃烧器的燃气阀单元
WO2011054022A3 (de) Ventil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thermoelektrischen zündsicherung für gasbetriebene geräte
EP2812077B1 (en) Coupling device for a breathing apparatus
EP2999915B1 (en) A pressurizse fluid cylinder with a lever
KR102193353B1 (ko) 멀티차단 커플러방식 가스밸브
KR200290326Y1 (ko) 차단 장치 내장형 가스용 퓨즈콕
KR100945166B1 (ko) 전자식 가스 차단기
KR950006407B1 (ko) 가스기기의 과부하 차단기
EP2999912A1 (en) Pressurized fluid container with a valve operated with a lever
KR101650808B1 (ko) 가스차단기
CN216430679U (zh) 一种可视开关磁性锁闭阀
CN219606088U (zh) 一种连体式双控过滤检测锁闭阀
KR200296309Y1 (ko) 수동 밸브와 타이머 밸브를 결합한 2중 차단 밸브
EP2884144B1 (en) Valve
JPH0660701B2 (ja) ガスの非常遮断装置
JP2919466B1 (ja) 継 手
JP2008241024A (ja) 高温遮断弁
CN115405720A (zh) 用于防冻裂的龙头组件和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