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440B1 -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440B1
KR101058440B1 KR1020080131256A KR20080131256A KR101058440B1 KR 101058440 B1 KR101058440 B1 KR 101058440B1 KR 1020080131256 A KR1020080131256 A KR 1020080131256A KR 20080131256 A KR20080131256 A KR 20080131256A KR 101058440 B1 KR101058440 B1 KR 101058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slab
vibration
mass
p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020A (ko
Inventor
조상규
Original Assignee
조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규 filed Critical 조상규
Priority to KR102008013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4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래브를 통해 상하층 사이에 소음과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함께 슬래브의 두께에 따른 콘크리트의 사용량과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속이 빈 플라스틱 몸체를 구비하여 건물의 슬래브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에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그 진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로 운동하여 진동을 감쇄토록 상기 스페이서의 플라스틱 몸체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질량체와;
자유단인 일단이 상기 질량체에 고정되고, 고정단인 타단이 중심 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하는 탄성막대형 스프링부재와;
하단에 상기 탄성막대형 스프링 부재가 고정되며, 상단은 수직 상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플라스틱 몸체를 통과하여 돌출한 후 돌출된 상단이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지지막대와;
상기 지지막대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써 상기 영구자석을 통해 슬래브 저면의 철재류에 붇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래브, 스페이서, 진동, 진동감쇄기구, 질량체, 스프링부재, 지지막대, 자석

Description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Spacer having vibration reducing tool}
본 발명은 건물의 층과 층 사이에 시공되는 슬래브의 콘크리트 사용량 감소 및 층간 소음 진동의 전달을 차단시킬 수 있는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다층 건물의 층과 층 사이의 슬래브 시공에는 콘크리트가 사용되는데, 콘크리트는 압축 강도는 대단히 크나 인장 강도와 굽힘 강도가 작으므로 콘크리트에 의한 슬래브 형성만으로는 강도가 약할 수 밖에 없어, 슬래브(29) 내부에는 통상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인장 철근(101)이 내장되도록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콘크리트를 부어 슬래브(29)를 형성하게 되면, 그 인장철근(101)이 슬래브(29) 내부에 매설되어 굽힘 및 인장 강도를 증진시키고 콘크리트의 크랙 발생을 차단토록 하고 있다.
한편, 층 사이에 타설되는 슬래브(29)는 상부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나 동시에 하부층에 있어서는 천정을 형성하게 되는 공유시설로서, 상부층에서 발생하는 진동 과 소음이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달되므로, 소음(경량 및 중량 충격음) 차단 문제가 공동 주택의 중요한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공장등의 경우 초정밀 가공 공정이 적용되므로 미세한 진동 발생도 반도체 불량률을 크게 높이게 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각종 반도체 제작 및 측정 설비들을 지지하는 건물 바닥면의 진동 발생을 억제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같은 층간 소음 발생 문제는 종래의 경우 슬래브의 두께를 증대시켜 해결하였으나 슬래브의 두께를 키우는 것은 콘크리트 사용량이 증대되고 건물의 층고를 높여 건물 시공 비용이 크게 증대되고 건물의 하중 증가 및 지진등의 진동에 취약함을 노출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그리 바람직한 해결 방안이라 할 수 없었다.
이때문에 도 21과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철선으로 엮어 만든 트러스 구조물(102)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형의 스페이서(103)를 콘크리트 슬래브(29)속에 매설되도록 설치하여 스페이서(103)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콘크리트 사용량을 줄여 시공비를 낮추며, 또 건물의 무게를 경량화시켜 지진등의 진동에 강하게 하고 크랙 발생 및 크랙의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를 주는 시공방법이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한 스페이서(103)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제작하는데, 두개의 반구형 몸체를 각기 제작한 후 서로 용착시켜 속이 빈 구형을 형성하므로, 이를 슬래브(29) 속에 매설되도록 설치시 그 부피 만큼 콘트리트 타설량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페이서(103)의 직경을 크게 하여야 하는데, 구의 직경이 커지면 슬래브(29)의 두 께(t)가 따라서 커지며, 이에따라 건물의 층고가 높아져 콘크리트의 사용량 감소 효과를 상쇄시키고 마는 부작용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스페이서(103) 자체는 약간의 소음 차단 효과가 있으나, 그의 상하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진동에 취약하다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슬래브를 통해 상하층 사이에 소음과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함께 슬래브의 두께에 따른 콘크리트의 사용량과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속이 빈 플라스틱 몸체를 구비하여 건물의 슬래브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에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그 진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로 운동하여 진동을 감쇄토록 상기 스페이서의 플라스틱 몸체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질량체와;
자유단인 일단이 상기 질량체에 고정되고, 고정단인 타단이 중심 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하는 탄성막대형 스프링부재와;
하단에 상기 탄성막대형 스프링 부재가 고정되며, 상단은 수직 상방으로 연 장하여 상기 플라스틱 몸체를 통과하여 돌출한 후 돌출된 상단이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지지막대와;
상기 지지막대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써 상기 영구자석을 통해 슬래브 저면의 철재류에 붇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속이 빈 플라스틱 몸체를 가진 스페이서가 건물 슬래브에 가해지는 경량 및 중량 충격력에 의한 진동 소음을 감쇄시킴에 있어, 그 내부에 설치된 진동 감쇄 기구의 질량체가 진동이 일어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여 발생한 진동을 상쇄시키게 되므로써 상부측의 진동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도중에 효율성 좋게 차단할 수 있으며, 슬래브 타설에 있어 콘크리트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건물 하중을 지탱하는 기둥의 설치 간격도 넓게 유지할 수 있으며, 지진등에 더욱 안전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초정밀을 다루는 반도체 공장 등에 적용시 제품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부호 1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스페이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속이 빈 플라스틱 몸체(2)와, 그 플라스틱 몸체(2)내의 빈 공간(3)에 설치되는 진동감쇄기구(4)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1)의 플라스틱 몸체(2)는 구형상, 또는 상하로는 납작하고 가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항아리 형상이나 납작한 바둑돌 형상 또는 럭비공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를 위해 상하로 반분할하여 몸체를 제작한 후 상하 부분 몸체를 서로 접합 또는 나사 체결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플라스틱 몸체(2)의 빈 공간(3)내에 설치되는 진동감쇄기구(4)는 금속재나 플라스틱재의 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슬래브(29)가 받게 되는 진동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 질량체(5)와, 그 질량체(5)를 지지하는 탄성막대형 스프링부재(6)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막대형 스프링부재(6)는 그의 일단부가 플라스틱 몸체(2)에 의해 고정되고, 자유단을 형성하는 타단부에 상기 질량체(5)를 고정시키되, 수평 상태로 돌출하여 연장된 형상이어서 마치 외팔보와 같은 형태로 설치되어, 그의 자유단이 질량체(5)의 상하 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의 휘어짐이 가능하게 설계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는 탄성이 있는 봉부재로서 플라스틱 몸체(2)의 상하 접합면(7)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그 질량체(5)와 스프링부재(6)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상하 접합면(2)에 형성한 요홈(9)내에 수용되는 환상의 고리부재(8)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프링부재(6)는 절개홈(10)을 통해 공간(3)의 중앙 부위로 돌출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진동감쇄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1)는 플라스틱 몸체(12)와 그 플라스틱 몸체(12)내의 공간(13)에 설치되는 진동감쇄기구(14)로 구성된다.
상기한 진동감쇄기구(14)는 공간(13)내를 수평으로 가로 질러 그의 단부가 플라스틱 몸체(12)에 의해 고정되는 인장코일 스프링부재(16)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인장코일 스프링부재(16)의 타단에 금속볼 또는 플라스틱볼로 되는 질량체(15)가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그 질량체(15)가 상기 스프링부재(16)에 의해 공간(13)내에 떠 있는 형태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16)는 2개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자형 뿐 아니라 4개가 서로 교차하는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자형의 경우 +자형의 교차점에 상기 질량체(15)가 위치하여 그 질량체(15)를 스프링(16)들이 사방에서 당기고 있는 형상을 가지게 되며,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120° 등각을 이루도록 3개의 스프링(16)이 질량체(15)를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재(16)의 단부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요홈(19)내에 수용되는 환상의 고리부재(18)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동상 실시예의 스페이서를 콘크리트 슬래브 속에 매설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스페이서(21)는 플라스틱 몸체(22)내 공간(23)에 탄성막대 스프링부재(26)와 질량체(25) 및 이들을 지지토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막대(27)로 된 진동감쇄기구(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막대(27)는 상부측의 플라스틱 몸체(22)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슬 래브(29) 속에 일단이 묻히고, 그의 하단은 공간(23)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고정몸체(30)로부터 탄성막대스프링(26)이 사방 또는 120°등각을 이루도록 수평으로 돌출되며, 그의 끝단인 자유단에 상기 질량체(25)가 용접 또는 나사 접속 방식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막대(27)의 상단에는 1개 이상, 바람직하기는 복수개의 회전 방지편(31)이 구비된 너트(32)가 장착되어 있어, 화재가 발생하여 고열에 의해 플라스틱 몸체(22)가 녹더라도, 진동감쇄기구(28)의 지지막대(27)의 상단 부분이 슬래브(29)속에 고정되어 있어 장치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있다.
도 9의 실시예는 스페이서(41)를 콘크리트 슬래브(29) 속에 매설하지 아니하고, 그 슬래브(29)의 하면(29A), 즉 아래층의 천정에 노출되게 장착하여 사용되는 케이스로서, 스페이서(41)의 플라스틱 몸체(42)내의 공간(43)에 도 7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질량체(45)와 탄성막대형 스프링부재(46) 및 지지막대(47)로 된 진동감쇄기구(48)를 설치하되, 그 진동감쇄기구(48)의 지지막대(47) 상단에 2개의 너트(49)에 의해 고정되도록 영구자석(50)을 설치하고, 이 영구자석(50)을 통해 볼트(51)에 의해 슬래브(29) 저면(29A)에 장착된 철판(52)에 스페이서(41)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스페이서(61)로서 도 7의 실시예와 기본적 구성이 동일하고, 단지 진동감쇄기구(68)의 탄성막대형 스프링부재(66)가 두갈래로 갈라진 형태로서 그 사이의 공간(69)으로 지지막대(67)를 통과시킨 후 상하 양측에서 너트(70)(7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점 및 아래측의 플라스틱 몸체(62)에 의해 지지되는 1개이상, 바람직하기로는 복수개의 지지다리(71)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만 상이하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81)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감쇄기구(88)가 환상의 고리부재(82)와, 그 고리부재(82)를 +자로 연결하는 보강리브(83)와 그 보강리브(83)의 교차지점에 고정점을 두고 사방으로 돌출하는 탄성막대형 스프링부재(86) 및 그 탄성막대형 스프링부재(86) 끝에 고정된 질량체(85)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91)의 외부 모습에 따른 실시예로서, 스페이서(91)의 플라스틱 몸체(92) 외표면에 복수개의 돌기(93)들이 돌출되어 있어, 콘크리트 슬래브(29)속에 매설시 콘크리트와 유리됨이 없이 확실하게 위치가 고정되며, 그 돌기(93)들이 슬래브(29)가 받게 되는 소음 진동을 스페이서(91)로 끌어들이는 촉수 역활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페이서(1,11,21,41,61,81,91)들에는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부공간(13)을 외부와 연통하도록 플라스틱몸체(12)에 공기 유통공(95)을 형성하므로써 진동감쇄기구(14)의 질량체(15)가 상하로 운동시 공기유통공(95)을 통해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게 되어 있으며, 또 플라스틱 몸체(13)의 상하 부분을 본드 또는 열접합하거나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나사(96)에 의해 상하 몸체를 분해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나사(96)에 의한 조립 방식은 스페이서(11) 전체를 콘크리트 속에 매설시키지 아니하고 반쪽 부분을 천정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진동감쇄기구(14)의 고장시, 또는 진동 감쇄 주파수를 조정코자 교체시 플라스틱 몸체의 분해가 용이하다.
도 13은 진동감쇄기구(28, 또는 4,14,68,88)을 가진 다양한 외형의 스페이서(22,122,222,322)들을 콘크리트 슬래브(29) 속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상하가 납작한 스페이서(122,222)는 슬래브(29)의 층 두께를 구형 스페이서(22)에 비해 낮게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사용량의 감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14는 스페이서(122,222,22) 내부에 설치된 진동감쇄기구(28 또는 4,14,68,88)의 수리가 가능하게 플라스틱 몸체의 절반을 슬래브(29)밖으로 노출시켜 설치한 모습을 스페이서의 형상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스페이서(122,222,22)를 슬래브(29)속에 매설하지 아니하고 영구자석(50)을 통해 슬래브(29) 저면(29A)에 장착시킨 상태를 스페이서(122,222,22)의 형상별로 도시한 도면으로, 이와같은 경우, 이미 완성된 상태의 건물의 천정에 스페이서(122,222,22)를 자석(50)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장착시켜 소음 진동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진동수(f)와 질량체의 질량값(m) 및 스프링 강성(k)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질량체(m)와 스프링강성(k) 및 진동수(f)는 물리학에서 잘 알려져 있듯이
Figure 112008087927308-pat00001
,
Figure 112008087927308-pat00002
의 식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먼저 진동수(f)는 실제 건물의 바닥면에 사람이 생활하면서 발생되는 현장 계측값으로 설정하게 되는데, 설계 단계에서는 비슷한 조건의 기존 건물에서 진동계측 장비를 이용하여 진동수(f)를 계측한 결과를 계산치에 사용하게 되며, 또는 판상형 아파트의 경우 거실에 2~3인이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로서, 통상 f=1.8~2.0Hz 정도의 진동이 검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그 수치 범위내에서 목표 진동수(가장 많이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로서 감쇄의 타킷)를 설정해도 무리가 없다.
그리고 질량체(m)의 질량 값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는 스페이서의 크기 등 및 슬래브의 총 중량을 고려하여 임의로 정하게 되며, 본 발명자는 슬래브 총 중량에 대하여 질량체(m)의 값을 0.1~0.3%로 설정하였다.
1) 설계조건
설치장소 : 거실 슬래브
거실의 크기 : 4,000mm×5,000mm
슬래브 두께 : 270mm
스페이서를 제외시킨 상태의 슬래브의 상당 두께 : 210mm
콘크리트 비중 : 2,400kg/㎥
2) 질량체의 설정
질량체는 설계자가 임의의 값을 지정할 수 있으나 슬래브의 총중량에 연동시켜 0.1% 값을 질량체의 값으로 계산하였다.
질량(M)= 2400×5m×4m×0.21m×0.1/100
= 10.08㎏≒10㎏
거실의 중앙 부위의 슬래브 속에 매설된 10개의 스페이서에 진동 감쇄 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면,
1개당 질량(m)= 10/10= 1㎏
3) 인장 스프링의 강성(k) 계산
목표진동수(f)=1.8Hz이고,
질량(m)= 1㎏이므로,
k=m(2πf)2 식으로 부터
k=1×(2π×1.8)2
≒128이 되며,
질량체(m)를 4개의 인장스프링이 지지하는 경우(도 4 참조) 1개의 인장스프링의 강성(Ks)
Ks=128/4=32 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링의 강성(Ks)이 32인 4개의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여 1㎏의 질량(m)을 지지하는 경우 1.8Hz의 진동주파수(현장 실측값, 또는 가장 일반적으로 관측되는 진동 예상치)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들은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슬래브(29)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속에 묻히거나 또는 몸체의 반은 묻히고 반은 노출되거나 또는 이미 완성된 슬래브(29)의 저면(천정측)에 부착하도록 설치 되는데, 건물이 완성되어 사용중 슬래브(29)에 진동이 가해질 때 그 진동을 스페이서의 진동 감쇄 기구가 감쇄시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도중에 차단하게 되는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충격력(F)이 슬래브(29)에 가해지게 되면 슬래브(29)는 미세하나마 점선 도시처럼 아래쪽으로 휘어졌다 반작용력에 의해 다시 상부측으로 튀어 오르는 진동을 반복하게 되며, 스페이서(1,11,21…) 역시 같은 진동을 하게 된다.
이때 아래측으로 휘어져 나타나게 되는 최초의 진동에 대하여, 도 17에 도시하는 것처럼 스프링부재(26,6,16,46…)에 마련된 질량체(25,5,15,45…)는 반대방향, 즉 상부측으로 튀어 오르게 되므로서 진동의 방향의 상이함으로 인해 진동이 서로 상쇄되어 감쇄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반작용력(f)에 의해 도 18에서와 같이 슬래브(29)가 상측으로 휘어지는 진동으로 전환 되면, 질량체(25,5,15,45…)는 도 19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그와 반대 방향인 하부측으로 하강하는 진동을 하게 되므로써, 진동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질량체(25,5,15,45…)의 무게와 스프링부재(26,6,16,46…)의 탄성계수는 슬래브(29)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한 진동을 감안해서 설정되어진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1,11,21…)는 콘크리트속에 완전히 매설되는 것 뿐 아니라, 분해가 가능하도록 반은 매설되고 반은 노출된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또 콘크리트 속에 매설시키지 아니하고 자석(50)을 통하여 천정내 공간의 철재류(52)에 붙여 설치하여 진동 감쇄 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페이서(1,11,21…)의 외형은 완전한 구형상으로 제작하는 경우, 제작 비용이 가장 저람하면서도 콘크리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반면 구 의 직경이 커지면 슬래브의 높이 자체가 동반하여 커지게 되므로, 구의 부피가 어느 정도 이상일 때에는 전체 체적은 구와 동일하나 상하로 납작하고 평면적이 구보다 더 큰 바둑돌 형상이나 또는 항아리 형상과 장독대 형상, 또는 럭비공 형상의 몸체를 가지도록 플라스틱 몸체를 형성하는 경우 건물의 높이를 줄이고, 콘크리트 사용량도 크게 줄일 수 있어 하중 감소와 기둥 간격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가능하며, 지진 하중 감소로 내진 설계 효과가 있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동상 스페이서의 요부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동상 스페이서의 진동 감쇄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은 동상 실시예의 스페이서에 있어 진동감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동상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동상 실시예의 스페이서가 슬래브 속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슬래브의 저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의 외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를 플라스틱 몸체의 외형별로 슬래브 속에 매설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를 분해 가능하게 몸체의 반은 슬래브 속에 매설하고 반은 노출시킨 설치 상태를 플라스틱 몸체의 외형별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를 슬래브 저면에 자석을 이용하여 설치한 모습을 플라스틱 몸체의 외형별로 나타낸 도면
도 16 내지 도 19는 건물 슬래브가 충격력을 받아 상하로 진동시 본 발명의 진동 감쇄 기구가 진동을 감쇄하게 되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2는 종래기술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1,21,41,61,81,91,122,222 : 스페이서
2,12,22,42,62,92 : 플라스틱몸체
3,13,23,43 : 공간
4,14,28,48,68,88 : 진동감쇄기구
5,15,25,45,85 : 질량체
6,16,26,46,66,86 : 스프링부재
7 : 접합면 8,82 : 환상의 고리부재
9 : 요홈 10 : 절개홈
27,47,67 : 지지막대 29 : 슬래브
30 : 고정몸체 31 : 회전방지편
32,70 : 너트 50 : 영구자석
51 : 볼트 52 : 철판
69 : 공간 71 : 지지다리
83 : 보강리브 93 : 돌기
95 : 공기유통공 96 : 나사

Claims (5)

  1. 속이 빈 플라스틱 몸체를 구비하여 건물의 슬래브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에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그 진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로 운동하여 진동을 감쇄토록 상기 스페이서의 플라스틱 몸체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질량체와;
    자유단인 일단이 상기 질량체에 고정되고, 고정단인 타단이 중심 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하는 탄성막대형 스프링부재와;
    하단에 상기 탄성 막대형 스프링 부재가 고정되며, 상단은 수직 상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플라스틱 몸체를 통과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막대와;
    상기 지지막대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써 상기 영구자석을 통해 슬래브 저면의 철재류에 붇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쇄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와 상기 탄성막대형 스프링 부재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쇄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플라스틱 몸체는 구형상, 항아리형상, 바둑돌형상, 장독대 형상 및 럭비공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쇄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대의 하단에는 플라스틱 몸체에 접하여 지지되는 1개 이상의 지지다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쇄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대형 스프링 부재와 질량체는 2개 또는 4개가 -자형 또는 +자형의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막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막대형 스프링 부재는 두 갈래로 갈라진 부재로 형성되어 그 갈라진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지지막대의 하단이 끼워져 하부로 돌출한 후 상하에서 각기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협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쇄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KR1020080131256A 2008-12-22 2008-12-22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KR10105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256A KR101058440B1 (ko) 2008-12-22 2008-12-22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256A KR101058440B1 (ko) 2008-12-22 2008-12-22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381A Division KR100908228B1 (ko) 2006-12-27 2006-12-27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020A KR20090018020A (ko) 2009-02-19
KR101058440B1 true KR101058440B1 (ko) 2011-08-24

Family

ID=4068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256A KR101058440B1 (ko) 2008-12-22 2008-12-22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641B (zh) * 2017-12-21 2019-07-30 东南大学 一种电涡流三维减振装置
KR102199187B1 (ko) * 2019-04-19 2021-01-07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층간소음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020A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5440B2 (ja) 発電装置、発電システム、構造物、及び発電装置の設計方法
KR100908228B1 (ko)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KR101058440B1 (ko)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KR101404814B1 (ko) 면진 스윙 슬래브 시공방법
KR101058437B1 (ko)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KR101015829B1 (ko)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KR101015830B1 (ko) 진동감쇄 기구를 가진 스페이서
JP2011038323A (ja) アクティブマスダンパーの防音支持装置
KR200413600Y1 (ko) 층간 진동 소음 방지구
JP2006070494A (ja) 床構造
JP4964078B2 (ja) 床支持脚
JP6216391B2 (ja) 免震スイングスラブ支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免震スイングスラブ施工方法
RU148123U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малошум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здание
JP5869309B2 (ja) 天井吊下型減震装置
JP7269702B2 (ja) 床構造
JP4732909B2 (ja) 床構造
KR101024059B1 (ko) 인테리어 겸용 커버 부재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im et al. Vibration and Floor Impact Sound Isolation Performance in Bubble Deck Slab
KR200413601Y1 (ko) 층간 진동 소음 방지구
RU2020130171A (ru) Малошу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ейсмостойких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зданий
KR101980570B1 (ko) 층간소음 감소장치
KR200365678Y1 (ko) 아파트등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방지 장치
KR20090027703A (ko) 탄성 스프링
JP2000074132A (ja) 免震装置を備えた建築物の固定構造
JP2006028845A (ja) 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