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686B1 -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686B1
KR101057686B1 KR1020080116748A KR20080116748A KR101057686B1 KR 101057686 B1 KR101057686 B1 KR 101057686B1 KR 1020080116748 A KR1020080116748 A KR 1020080116748A KR 20080116748 A KR20080116748 A KR 20080116748A KR 101057686 B1 KR101057686 B1 KR 10105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groove
launch pad
launch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071A (ko
Inventor
송검영
Original Assignee
송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검영 filed Critical 송검영
Priority to KR102008011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6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16Clay-pigeon targets; Clay-disc targets
    • F41J9/18Traps or throwing-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16Clay-pigeon targets; Clay-disc targets
    • F41J9/18Traps or throwing-apparatus therefor
    • F41J9/20Traps or throwing-apparatus therefor with spring-operated throw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16Clay-pigeon targets; Clay-disc targets
    • F41J9/18Traps or throwing-apparatus therefor
    • F41J9/20Traps or throwing-apparatus therefor with spring-operated throwing arm
    • F41J9/24Traps or throwing-apparatus therefor with spring-operated throwing arm cock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작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클레이 사격을 즐길 수 있으며, 표적을 연속적으로 자동발사 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발사대의 각도를 조절이 가능해 원하는 높이로 표적을 발사할 수 있으며, 엽총류가 아닌 에어건으로 파괴 가능한 표적이 사용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표적이동홈이 형성되는 발사대와, 상기 발사대의 측방에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표적이 충전되며 상기 이동홈 측에 상기 표적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표적공급수단과, 상기 발사대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진과 전진을 반복하며 왕복운동되되, 상기 표적이동홈 측에 공급된 상기 표적을 탄성적으로 전진하며 가격하여 전방을 향해 격발시키는 격발수단과, 상기 격발수단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격발수단과 연동되되, 상기 격발수단을 후진시켜 장전한 후 장전 해제시켜 전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전진케 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표적, 클레이사격, 베이스 플레이트, 발사대, 표적공급수단, 격발수단, 구동수단, 제어수단

Description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MOVEMENT BOMB TARGET AUTOMATIC SHOO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클레이 사격을 즐길 수 있으며, 표적을 연속적으로 자동발사 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발사대의 각도를 조절이 가능해 원하는 높이로 표적을 발사할 수 있으며, 엽총류가 아닌 에어건으로 파괴 가능한 표적이 사용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레이 사격이란 클레이 피전이라고 불리는 지름 11cm, 두께 약 25mm, 무게 100g의 점토 또는 석회와 피치로 된 원반을 공중에 발사하여 시속 60 내지 90km로 공중을 비행하는 클레이 피전을 산탄을 쏘아 맞추는 경기이다.
목표물인 클레이 피전을 쏘아 맞힐 때 나는 총소리의 청각적 쾌감이 생활 속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레포츠로 목표물인 클레이 피전이 총에 맞아 산산 조각이 나면서 떨어질 때의 시각적 만족감은 인간이 지닌 파괴본능을 건전하게 충족시켜 준다. 체력과 기술, 정신력을 총동원해서 표적을 맞추는 스포츠이므로 집중력, 결단력, 자제력, 민첩성을 기르는데 큰 효과가 있다.
초창기에는 바구니에 비둘기를 넣고 사격시 바구니를 개방하여 날아가는 비둘기를 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비둘기의 개체수가 한정되어 있고 동물 보호 사상에 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중화를 위하여 유리구슬이 대용되었으나, 최근에 클레이 피전이라 불리우는 표적이 발명되어 올림픽 공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등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인하여 다수의 클레이 사격 동호회와 클레이 사격장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클레이 사격은 인명 살상이 가능한 엽총류가 사용되고 있어 위험하고, 클레이 사격장은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그 소음이 커서 도심에서 간이하게 즐기기에는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은 2008년 7월 23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이동표적 발사장치(특허출원 제10-2008-71494호)를 출원한 바 있으나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연속발사가 불가한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으로 제작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클레이 사격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표적을 연속적으로 자동발사 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발사대의 각도를 조절이 가능해 원하는 높이로 표적을 발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엽총류가 아닌 에어건으로 파괴 가능한 표적이 사용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표적이동홈이 형성되는 발사대와, 상기 발사대의 측방에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표적이 충전되며 상기 이동홈 측에 상기 표적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표적공급수단과, 상기 발사대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진과 전진을 반복하며 왕복운동되되, 상기 표적이동홈 측에 공급된 상기 표적을 탄성적으로 전진하며 가격하여 전방을 향해 격발시키는 격발수단과, 상기 격발수단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격발수단과 연동되되, 상기 격발수단을 후진시켜 장전한 후 장전 해제시켜 전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전진케 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발사대의 선단측 하단에는 격발되는 표적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고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발사대의 후단측 하단에는 상기 표적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표적이 준비되는 격발준비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사대에는 상기 발사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 1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표적공급수단은, 상기 격발준비홈과 측방에서 연통되도록 상기 발사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에 충전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표적이 삽입되는 표적투입구와 제 1 슬릿이 형성되는 표적충전함과, 상기 충전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된 다수의 표적을 상기 격발준비홈 측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탄성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탄성공급부는, 상기 충전된 표적과 면접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배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충전공간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충전된 표적을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제 1 슬릿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압플레이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충전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격발수단은, 상기 격발준비홈과 후방에서 연통되고 내측에 제 1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 제 2 슬릿이 형성되는 격발함과, 상기 설치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공간의 후단 측으로 후진되어 탄성에너지를 축적한 다음, 상기 설치공간의 선단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격발준비홈 내에 준비된 상기 표적을 가격하는 탄성가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탄성가격부는, 중앙측이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격발준비홈 내에 준비된 상기 표적을 가격하는 가격부재와, 일측은 상기 가격부재의 배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설치공간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격부재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제 2 스프링과, 상기 제 2 슬릿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격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격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격발함의 양단에는 상기 격발함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고정하는 제 2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격발준비홈의 후단측에는 상기 격발준비홈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출납되는 탄성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표적이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격발준비홈 내로 공급될 시에는 상기 격발준비홈 상에 돌출 위치되어 상기 표적의 후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표적이 후방 밀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가격부재가 상기 표적을 가격할 시에는 상기 가격부재가 상기 표적을 가격할 수 있도록 상기 격발준비홈의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구동수단은, 상기 제 2 슬릿과 인접되는 상기 발사대의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2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 제 3 슬릿이 형성되는 구동함과, 상기 구동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구동축에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함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에 회전기어가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구동기어 및 회전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슬릿 구간에서 상기 격발돌기와 면접된 상태로 상기 격발돌기를 후진시켜 장전하며 상기 제 2 슬릿 구간 통과시 상기 격발돌기와 분리되어 후진 된 상기 격발돌기를 탄성적으로 전진시켜 격발하는 구동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어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 및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표적은 원판 형상로 형성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격발시 상기 표적이동홈을 따라 이동되다가 선단측에서 상기 고무부재와 맞닿아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다수의 저항감소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 장치는 첫째, 소형으로 제작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클레이 사격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표적을 연속적으로 자동발사 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발사대의 각도를 조절이 가능해 원하는 높이로 표적을 발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엽총류가 아닌 에어건으로 파괴 가능한 표적이 사용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및 2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표적공급수단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3a 내지 3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격발수단 및 구동수단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발사대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표적이 발사되는 모습을 보인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표적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표적이동홈(210)이 형성되는 발사대(200)와, 발사대(200)의 측방에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표적(700)이 충전되며 이동홈 측에 표적(700)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표적공급수단(300)과, 발사대(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진과 전진을 반복하며 왕복운동되되, 표적이동홈(210) 측에 공급된 표적(700)을 탄성적으로 전진하며 가격하여 전방을 향해 격발시키는 격발수단(400)과, 격발수단(400)의 측방에 설치되어 격발수단(400)과 연동되되, 격발수단(400)을 후진시켜 장전한 후 장전 해제시켜 전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전진케 하는 구동수단(500)과,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수단(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수단(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면이 평평한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지면에 흔들림 없이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 또는 고무패킹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목재, 플라스틱 및 금속재질 등 다양하게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는 발사대(200)가 설치되는데, 이 발사대(200)는 길이방향으로 표적(700)이 발사되는 표적이동홈(210)이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격발수단(400)에 의해 결발된 표적(700)이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적이동홈(210)은 발사대(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선단측과 후단측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상부면이 개방되어 표적(7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사대(200)의 선단측 하단에는 격발되는 표적(700)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고무부재(220)가 구비되고, 발사대(200)의 후단측 하단에는 표적공급수단(300)에 의해 공급된 표적(700)이 준비되는 격발준비홈(230)이 형성되며, 발사대(200)에는 발사대(200)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 1 지지대(240)가 설치된다.
전술한 고무부재(220)는 추후에 설명될 격발수단(400)에 의해 격발된 표적(700)이 표적이동홈(210)을 따라 하다가 그 선단측에서 맞부딪혀 표적(70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표적(70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이유는 표적(700)에 작용되는 공기압을 낮춰 줌으로써 표적(700)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제 1 지지대(240)는 표적(700)이 발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발사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발사대(200)는 제 1 지지대(240) 상에 형성된 이동슬릿(241)을 관통해 고정부재(242)와 고정된다.
또한 전술한 격발준비홈(230)은 추후에 설명될 표적공급수단(300)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표적(700)이 격발되기 전 준비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격발준비홈(230)의 후단측에는 격발준비홈(230)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출납되는 탄성지지돌기(250)가 구비되는데, 이 탄성지지돌기(250)는 표적(700)이 추후에 설명될 가압플레이트(321)에 의해 격발준비홈(230) 내로 공급될 시에는 격 발준비홈(230) 상에 돌출 위치되어 표적(700)의 후면을 지지함으로써 표적(700)이 후방 밀리지 않도록 하고, 추후에 설명될 가격부재(421)가 표적(700)을 가격할 시에는 가격부재(421)가 표적(700)을 가격할 수 있도록 격발준비홈(230)의 하측으로 하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적(700) 공급시에는 격발준비홈(230) 위쪽에 돌출 위치되어 표적(70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추후에 설명될 가격부재(421)가 표적(700)을 가격하기 위해 전진할 시에는 격발준비홈(230)의 아래쪽으로 하강 위치되어 표적(700)이 정확하게 가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탄성지지돌기(250)의 하부에는 탄성지지돌기(250)를 탄성적으로 출납시키는 탄성스프링(25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발사대(200)의 측방에는 표적공급수단(300)이 설치되는데, 이 표적공급수단(300)은 그 내부에 충전된 다수의 표적(700)을 전술한 격발준비홈(230) 내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적공급수단(300)은, 격발준비홈(230)과 측방에서 연통되도록 발사대(200)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에 충전공간(311)이 형성되며 외측에 표적(700)이 삽입되는 표적투입구(312)와 제 1 슬릿(313)이 형성되는 표적충전함(310)과, 충전공간(311) 내에 구비되며 충전된 다수의 표적(700)을 격발준비홈(230) 측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탄성공급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표적충전함(310)은 다수의 표적(700)이 연속 충전될 수 있으며 원판의 형태로 형성될 표적(700)이 연속 충전가능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 로 충전공간(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표적투입구(312)를 통해 사용자는 표적(700)을 연속 투입하게 되고 탄성공급부(320)를 통해 순차적으로 표적(700)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공급부(320)는, 충전된 표적(700)과 면접되는 가압플레이트(321)와, 일측은 가압플레이트(321)의 배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충전공간(311)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가압플레이트(321)를 통해 충전된 표적(700)을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제 1 스프링(322)과, 제 1 슬릿(3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압플레이트(321)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충전손잡이(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가압플레이트(321)는 충전공간(311) 내에 충전된 표적(700)을 후방에서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제 1 스프링(322)은 이러한 가압플레이트(321)와 충전공간(311)의 후단측에 양단이 연결되어 가압플레이트(321)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스프링(322)은 전술한 가압플레이트(321)가 표적(700)을 격발준비홈(230) 측으로 마지막 하나까지 탄성적으로 밀어내어 공급할 수 있도록 전술한 충전공간(311)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충전손잡이(323)는 가압플레이트(321)에 일체로 형성되어 표적투입구(312) 측으로 표적(700)을 충전할 시에 충전이 용이하도록 가압플레이트(321)를 후방측으로 밀어놓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표적(700) 충전시 충전손잡이(323)를 통해 가압플레이트(321)를 제 1 슬릿(313)의 최후방측으로 밀어놓은 상태에서 표적투입구(312)로 표 적(700)을 충전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손잡이(323)를 놓아 가압플레이트(321)가 제 1 슬릿(313)의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충전된 표적(700)을 탄성적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전술한 표적(700)은 표적(700)은 원판 형상로 형성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격발시 표적이동홈(210)을 따라 이동되다가 선단측에서 고무부재(220)와 맞닿아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홈(710)이 형성된다.
또한 표적(700)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저항감소홈(720)이 형성되는데, 이 저항감소홈(720)은 공기중으로 날아가는 표적(700)의 주위에 난류유동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형상저항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하여, 전술한 표적(700)은 일반적인 클레이 사격에 사용되는 엽총은 물론 에어건에 의해 발사된 BB탄에 의하여도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도록 그 강성이 낮은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재료로는 클레이피전의 제조에 사용되는 점토 또는 경량이면서도 가공성이 좋고 용이하게 파괴되는 아크릴 계열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표적공급수단(300)이 측방에 설치된 발사대(200)의 후방에는 격발수단(400)이 설치되는데, 이 격발수단(400)은 후진과 전진을 반복하며 왕복운동되되, 표적이동홈(210) 측에 공급된 표적(700)을 탄성적으로 전진하며 가격하여 전방을 향해 격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격발수단(400)은, 격발준비홈(230)과 후방에서 연통되고 내측에 제 1 설치공간(411)이 형성되며 외측에 제 2 슬릿(412)이 형성되는 격발함(410)과, 제 1 설치공간(411) 내에 구비되며 제 1 설치공간(411)의 후단 측으로 후진되어 탄성에너지를 축적한 다음, 제 1 설치공간(411)의 선단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어 격발준비홈(230) 내에 준비된 표적(700)을 가격하는 탄성가격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격발함(410)은 격발수단(400)의 구성부재가 설치될 제 1 설치공간(411)이 마련되며 그 외측에는 추후에 설명될 격발돌기(423)가 돌출되어 이동될 제 2 슬릿(412)이 형성되는데, 이때 격발준비홈(230) 측과 연통될 수 있도록 발사대(200)의 후방과 연결되는 격발함(410)의 전방이 개방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탄성가격부(420)는, 중앙측이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격발준비홈(230) 내에 준비된 표적(700)을 가격하는 가격부재(421)와, 일측은 가격부재(421)의 배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설치공간(411)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가격부재(421)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제 2 스프링(422)과, 제 2 슬릿(4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격부재(42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격발돌기(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가격부재(421)는 격발준비 홈 내에 준비중인 표적(700)을 직접 가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적(700)의 일면을 정확하게 가격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라운드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 2 스프링(422)은 가격부재(421) 및 설치공간의 후단에 개재되어 가격부재(421)가 후방으로 후진할 경우 탄성에너지를 최대한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전진할 시에는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켜 가격부재(421)를 표적(700)을 향해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 2 스프링(422)과 연결되는 제 1 설치공간(411)의 후단측, 즉 다시말해 격발함(410)의 후단측은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스프링(422)을 다양한 두께 및 길이를 갖는 다른 스프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체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따라 표적(700)이 발사되는 거리 또는 높이를 다양하게 변경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 2 슬릿(412)은 격발돌기(423)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후진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추후에 설명될 구동돌기(550)와 맞닿아 가격부재(421)를 후진 및 전진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격발함(410)의 양단에는 제 2 지지대(430)가 설치되는데, 이 제 2 지지대(430)는 전술한 격발함(410)을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힌지부재(4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격발수단(400)이 측방에는 구동수단(500)이 설치되는데, 이 구동수단(500)은 전술한 격발수단(400)의 측방에 설치되어 격발수단(400)과 연동되되, 격발수단(400)을 후진시켜 장전한 후 장전 해제시켜 전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전진케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수단(500)은, 제 2 슬릿(412)과 인접되는 발사대(200)의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2 설치공간(511)이 형성되며 외측에 제 3 슬릿(512)이 형성되는 구동함(510)과, 구동함(5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구동축(521)에 구동기어(522)가 구비되는 구동모터(520)와, 구동함(51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에 회전기어(531)가 구비되는 회전축(530)과, 구동기어(522) 및 회전기어(531)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벨트(540)와, 벨트(540)에 일체로 구비되고, 제 2 슬릿(412) 구간에서 격발돌기(423)와 면접된 상태로 격발돌기(423)를 후진시켜 장전하며 제 2 슬릿(412) 구간 통과시 격발돌기(423)와 분리되어 후진 된 격발돌기(423)를 탄성적으로 전진시켜 격발하는 구동돌기(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동함(510)은 구동수단(500)의 구성부재들이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격발수단(400)과 인접되는 측은 개방되어 형성되도록 하되 소정간격 이격됨으로써 구동돌기(550)가 돌출 회전되는 제 3 슬릿(512)을 형성한다.
또한 양측에 구동모터(520)의 구동축(5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522) 및 회전축(5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기어(531)가 구비되고, 이 구동기어(522) 및 회전기에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540)가 구비되어 구동모터(52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벨트(540) 상에는 벨트(540)를 따라 회전하되 구동수단(500)과 인접되는 격발수단(400)의 제 2 슬릿(412)이 형성되는 구간에서 격발돌기(423)와 맞닿게 되는 구동돌기(550)가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전술한 구동돌기(550)는 벨트(540)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54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제 2 슬릿(412) 외측으로 돌출 위치된 격발돌기(423)와 맞닿게 되는데, 이때 격발돌기(423)는 가격부재(421)가 전방으로 전진해 있는 상태이다.
이때, 구동돌기(550)가 격발돌기(423)와 맞닿은 상태로 회전을 계속하게 되면 격발돌기(423)는 제 1 설치공간(411) 내에서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제 2 스프링(422)은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회전하던 구동돌기(550)가 제 2 슬릿(412) 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맞닿아 있던 격발돌기(423)와 상호 분리되게 되고 가격부재(421)는 제 2 스프링(422)으로부터 탄성에너지를 운동에너지의 형태로 전달받아 전방을 향해서 강하게 전진하여 탄성지지돌기(250)를 하측으로 하강시킨 다음 격발준비홈(230) 내의 표적(700)을 가격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제어수단(600)이 설치되는데, 이 제어수단(600)은 구동수단(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수단(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수단(6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모터(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모터(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10)와, 컨트롤러(610) 및 구동모터(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52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어수단(600), 구동모터(520) 및 전원공급부(620)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하며, 전원공급부(620)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1)가 야외에서 사용되는 것인 만큼 충전가능한 충전배터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어수단(600)을 통해 사용자는 전원의 온/오프는 물론 표적(700)이 발사되는 시간간격 및 연속발사 여부 등의 발사모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수단(600) 이외에, 휴대가능한 무선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이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를 휴대한 상 태에서 표적의 발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제 1 지지대(240)를 통해 발사대(200)의 각도를 조절한 후 표적공급수단(300)의 충전손잡이(323)를 이용해 가압플레이트(321)를 제 1 스프링(322)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밀어놓은 상태에서 표적투입구(312)를 통해 표적(700)을 차례로 충전해 넣는다.
그런 다음,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1)를 클레이 사격을 할 장소에 위치시키고, 컨트롤러(610)를 통해 전원을 켜고 발사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는 발사 모드 설정 후 표적(700)이 바로 발사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사격위치로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시간이 경과된 후 발사가 시작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두 명 이상이 클레이 사격을 할 경우 발사 모드 설정 후 바로 제어부를 조작해 표적(700) 발사가 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수단(700) 외에 휴대 가능한 무선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이 별도로 구비되어 원격으로 표적(700)의 발사를 제어할 수도 있다.
표적공급수단(300) 내에서 탄성공급부(320)에 의해 격발준비홈(230) 내에 준비된 표적(700)은 탄성지지돌기(250)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제 위치에서 정 확하게 격발 준비된다.
구동모터(520)의 회전이 시작되면 구동돌기(550)가 일체로 구비된 벨트(5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격발수단(400)의 제 2 슬릿(412) 구간에서 외측으로 돌출 위치된 격발돌기(423)와 맞닿게 되는데, 이때 격발돌기(423)는 가격부재(421)가 전방으로 전진해 있는 상태이다.
구동돌기(550)는 격발돌기(423)와 맞닿은 상태로 회전을 계속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격발돌기(423)는 제 1 설치공간(411) 내에서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제 2 스프링(422)은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회전하던 구동돌기(550)가 제 2 슬릿(412) 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맞닿아 있던 격발돌기(423)와 상호 분리되고 가격부재(421)는 제 2 스프링(422)으로부터 탄성에너지를 운동에너지의 형태로 전달받아 전방을 향해서 강하게 전진하여 탄성지지돌기(250)를 하측으로 하강시킨 다음 격발준비홈(230) 내의 표적(700)을 가격하게 된다.
가격된 표적(700)은 표적이동홈(210)을 따라 이동하다가 선단 하측에 구비된 고무부재(220)와 그 걸림홈(710)이 상호 맞닿아 회전하면서 비행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표적(700)을 에어건 또는 엽총류로 사격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표적공급수단에 대한 작동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격발수단 및 구동수단에 대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발사대에 대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표적이 발사되는 모습을 보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의 표적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100 : 베이스 플레이트
200 : 발사대
300 : 표적공급수단
400 : 격발수단
500 : 구동수단
600 : 제어수단
700 : 표적

Claims (11)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표적이동홈이 형성되는 발사대;
    상기 발사대의 측방에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표적이 충전되며 상기 이동홈 측에 상기 표적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표적공급수단;
    상기 발사대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진과 전진을 반복하며 왕복운동되되, 상기 표적이동홈 측에 공급된 상기 표적을 탄성적으로 전진하며 가격하여 전방을 향해 격발시키는 격발수단;
    상기 격발수단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격발수단과 연동되되, 상기 격발수단을 후진시켜 장전한 후 장전 해제시켜 전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전진케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의 선단측 하단에는 격발되는 표적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고 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발사대의 후단측 하단에는 상기 표적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표적이 준비되는 격발준비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사대에는 상기 발사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 1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적공급수단은, 상기 격발준비홈과 측방에서 연통되도록 상기 발사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에 충전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표적이 삽입되는 표적투입구와 제 1 슬릿이 형성되는 표적충전함과, 상기 충전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된 다수의 표적을 상기 격발준비홈 측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탄성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공급부는, 상기 충전된 표적과 면접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배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충전공간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충전된 표적을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제 1 슬릿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압플레이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충전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발수단은, 상기 격발준비홈과 후방에서 연통되고 내측에 제 1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 제 2 슬릿이 형성되는 격발함과, 상기 제 1 설치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설치공간의 후단 측으로 후진되어 탄성에너지를 축적한 다음, 상기 제 1 설치공간의 선단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격발준비홈 내에 준비된 상기 표적을 가격하는 탄성가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격부는, 중앙측이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격발준비홈 내에 준비된 상기 표적을 가격하는 가격부재와, 일측은 상기 가격부재의 배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설치공간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격부재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제 2 스프링과, 상기 제 2 슬릿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격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격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발함의 양단에는 상기 격발함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고정하는 제 2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격발준비홈의 후단측에는 상기 격발준비홈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출납되는 탄성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표적이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격발준비홈 내로 공급될 시에는 상기 격발준비홈 상에 돌출 위치되어 상기 표적의 후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표적이 후방 밀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가격부재가 상기 표적을 가격할 시에는 상기 가격부재가 상기 표적을 가격할 수 있도록 상기 격발준비홈의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 2 슬릿과 인접되는 상기 발사대의 타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 2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 제 3 슬릿이 형성되는 구동함과, 상기 구동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구동축에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함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에 회전기어가 구비되 는 회전축과, 상기 구동기어 및 회전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슬릿 구간에서 상기 격발돌기와 면접된 상태로 상기 격발돌기를 후진시켜 장전하며 상기 제 2 슬릿 구간 통과시 상기 격발돌기와 분리되어 후진 된 상기 격발돌기를 탄성적으로 전진시켜 격발하는 구동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 및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표적은 원판 형상로 형성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격발시 상기 표적이동홈을 따라 이동되다가 선단측에서 상기 고무부재와 맞닿아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다수의 저항감소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KR1020080116748A 2008-11-24 2008-11-24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KR10105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48A KR101057686B1 (ko) 2008-11-24 2008-11-24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48A KR101057686B1 (ko) 2008-11-24 2008-11-24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71A KR20100058071A (ko) 2010-06-03
KR101057686B1 true KR101057686B1 (ko) 2011-08-18

Family

ID=4235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748A KR101057686B1 (ko) 2008-11-24 2008-11-24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6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7136A (en) 1970-11-05 1973-02-20 Mattel Inc Spring actuated projector having gravity fed magazine
US5050575A (en) 1990-02-06 1991-09-24 Killion Darryl B Disk launcher
US5782228A (en) 1997-08-26 1998-07-21 Wu; Wen-Long Toy flying disk and launche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7136A (en) 1970-11-05 1973-02-20 Mattel Inc Spring actuated projector having gravity fed magazine
US5050575A (en) 1990-02-06 1991-09-24 Killion Darryl B Disk launcher
US5782228A (en) 1997-08-26 1998-07-21 Wu; Wen-Long Toy flying disk and launch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71A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294B2 (en) Air cannon
US8695579B2 (en) Toy launcher for launching projectiles and methods thereof
US8057309B1 (en) Versatile toy capable of activating electronics and launching components thereof
US8534672B2 (en) Self resetting target apparatus
US8146579B2 (en) Toy employing central shaft cocking mechanism for rapid fire projectile launching and method thereof
US20020134366A1 (en) Toy projectile launcher
CN109211001B (zh) 玩具枪
CN102164643B (zh) 玩具
WO2007137587A1 (en) Hardball weapon
WO2019205123A1 (zh) 射击装置的拨弹机构、射击装置和无人机
US8707939B2 (en) Percussion and magazine revolving device of toy grenade launcher
CN213543352U (zh) 环臂式自动玩具子弹发射器
KR101057686B1 (ko) 이동표적 자동 발사장치
EP1500898A1 (en) Projectile launcher including audiovisual means
EP2573499B1 (en) Percussion and magazine revolving device of a toy projectile launcher
US20110003526A1 (en) Radio controlled flying toy object device with an infra-red gun
US6026796A (en) Target launcher apparatus for shooting exercise with fire arms
KR100983601B1 (ko) 이동표적 발사장치
US2709426A (en) Toy gun
JP3379038B2 (ja) 玩具銃の安定発射作動を具備した電動発射駆動装置
KR200381756Y1 (ko) 완구차의 원격조정식 발사장치
CN211205044U (zh) 一种模拟训练弹自动发射装置
GB2110351A (en) Rocket launcher simulator
JP3522183B2 (ja) Rc戦車等における弾丸発射装置
JP3246922U (ja) トイガン自動射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