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383B1 -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 Google Patents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383B1
KR101057383B1 KR1020080116896A KR20080116896A KR101057383B1 KR 101057383 B1 KR101057383 B1 KR 101057383B1 KR 1020080116896 A KR1020080116896 A KR 1020080116896A KR 20080116896 A KR20080116896 A KR 20080116896A KR 101057383 B1 KR101057383 B1 KR 10105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shaft
shaft module
oil
case
experi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175A (ko
Inventor
이봉현
김찬중
권성진
이동원
배철용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3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12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3/00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내구성, 진동 저감 성능을 테스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다이나모에 설치되지 아니하고 별도의 전용장치에 의하여 저렴하고 안전하게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에는 가상의 엔진 진동을 발생시키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가상의 엔진 진동을 저감시키는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윤활을 위하여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부가 구비된다.
이로써, 엔진다이나모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실험 중 밸런스 샤프트의 파손에 의하여 엔진다이나모가 파손되는 2차 피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안전한 실험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밸런스 샤프트, 테스트, 엔진

Description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The test apparatus of the balance shaft module}
본 발명은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내구성 및 성능 등을 테스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다이나모에 설치되지 아니하고 별도의 전용장치에 의하여 저렴하고 안전하게 성능 및 내구 테스트를 수행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밸런스 샤프트 모듈은 주로 내연기관 엔진에서 피스톤의 상하 반복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엔진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의 하단에 장착되는 진동 저감 장치이다.
이 밸런스 샤프트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진동 패턴과 반대 위상을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2개의 불평형 샤프트(1)(2)와 엔진 블록과 샤프트를 구속하는 하우징(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불평형 샤프트는 엔진의 크랭크축과 증속비 2의 기어비를 가지는 스프라킷(3)으로 연결되어 엔진의 RPM에 2배의 회전 속도를 가지게 된다.
한편, 크링크축과의 연결은 전술된 바와 같이 스프라킷과 체인에 의하여 결합되는 방식 외에도 크랭크축과 헬리컬 기어 등으로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윤활은 엔진 오일을 공유하여 밸런스 샤프트 모듈 자체에 구비된 오일펌프로 내부에 오일을 공급하거나, 엔진에 구비된 엔진오일 펌프를 이용하여 밸런스 샤프트 모듈 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고속의 회전 환경에서 작동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아니하는 경우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파손으로 엔진에 심각한 손상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엔진의 내구성 시험과 함께 병행되었다.
즉, 엔진다이나모를 이용하여 실제 엔진에 장착한 상태에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내구시험을 진행할 경우, 시험 과정 중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파손시에는 엔진에 충격이 전해져 엔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엔진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인 경우, 엔진의 파손에 의한 2차 피해까지 감수하여야 하므로, 안전성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매번 시험마다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엔진에 직접 연결하여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성능을 측정하는 경우,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작동에 소요되는 파라미터, 즉 오일의 온도, 유압, 유량 및 진동저감 성능 등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 제품 개발 과정이 더욱 어려워지며, 하자에 대한 신속한 원인 판단이 난해하여 개발 기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을 엔진과 결합하지 아니하고 내구성 등의 성능 테스트를 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을 작동함에 있어 오일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밸런스 샤프트 모듈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밸런스 샤프트를 작동시킴에 있어 실제 엔진의 회전 토크를 알 수 있게 하여, 설계의 파라미터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자체에 오일펌프를 구비한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그렇지 아니한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대하여 윤활을 위한 오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가상 엔진 진동을 발생시키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상기 가상 엔진 진동을 저감하는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오일이 담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된 지그슬리브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이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는 각 상기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오일홀에 연통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는 지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진동 패턴을 측정하는 진동센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에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을 회전시키되,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센서가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오일공급부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된 제1오일펌프와, 상기 제1오일펌프에 가압된 오일을 제1유압측정게이지를 통과하여 상기 지그에 형성된 지그오일홀에 유입시키는 오일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오일공급부에는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오일홀과 연통되는 상기 지그의 제1내부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어 토출유압측정게이지를 통과하는 토출파이프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오일홀과 연통되는 상기 지그의 제2내부유로에 연통되는 유입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구동부와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의하여 엔진다이나모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테스트 중 밸런스 샤프트의 파손에 의하여 엔진다이나모가 파손되는 2차 피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안전한 실험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케이스와 내부유로가 형성된 지그를 이용하므로,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자동을 위한 오일의 공급라인 확보가 용이하여 매번 번거로운 위치 설정 및 오일공급관의 설치가 필요 없어, 성능 테스트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토크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엔진다이나모에 결합된 경우보다 정확한 토크를 인가할 수 있어 실험 데이터의 신뢰도가 상승하며, 다양한 토크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어 다양한 조건에서 내구성 등 성능 테이트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오일펌프가 구비되는 경우와 구비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따라 유로를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오일의 유입, 유출량을 측정하여 정확한 설계조건에 따른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에 채용된 케이스와 지그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단,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부호는 중복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1)에는 가상 엔진 진동을 발생시키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가상 엔진 진동을 저감시키는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00)와,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에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부(200)가 구비된다.
즉, 회전구동부(100)는 엔진다이나모(더미 엔진, 도시 생략)를 대신하여 구비되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실제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다. 즉,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의 샤프트가 회전시 엔진과 동일한 진동 특성을 가지도록,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의 샤프트는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의 샤프트와 반대 형상을 갖는다.
또한, 회전구동부(100)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되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이 추후 설명되는 지그에 각각 결합되어 한 덩어리로 구비됨에 따라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은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에 의하여 실제 엔진에 장착된 것과 같은 진동 환경에 놓이는 것이다.
한편,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이 결합되는 엔진의 실제 작동 환경에 따른 RPM으로 고속 회전될 때, 샤프트 등 구성 요소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은 필수적인 것으로, 오일공급부(200)는 각 밸런스 샤프트 모듈(10)(20)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테스트의 평가를 위하여 이러한 오일의 유입량 또는 유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체적인 오일의 유로는 외부에 구비된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오일을 가압 공급하는 구성을 가지거나,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자체 장착된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오일을 흡입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회전구동부(100)와 오일공급부(200)가 구비되어,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에 엔진다이나모를 대체하여 회전조건과 오일유입에 따른 윤활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을 엔진다이나모에 결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성능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내구성 테스트 중 파손되는 경우에도 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매번 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어지게 되는 효과 를 갖는 것이다.
한편, 오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일이 담기는 케이스(300)와, 이 케이스(300) 내에 형성된 지그슬리브(310)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부와 하단에는 각각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이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각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오일홀(11)(21)에 연통되는 내부유로(410)가 형성되는 지그(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케이스(300)는 상자 형상의 욕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담기는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케이스(300)의 상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320)이 구비되어 실험 중 케이스를 기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케이스(300)의 내측 벽면 양쪽에는 나란하게 마주보는 지그슬리브(310)가 형성되며, 이 지그슬리브(310) 위에 지그(400)가 안치된다. 이때, 지그(400)는 지그슬리브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고, 지그슬리브와 지그를 관통하는 구멍에 볼트가 결합하여, 지그와 케이스가 일체로 결속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지그(400)에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성능 측정의 대상인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이 상, 하에 각각 결합된다.
일례로 지그(400)는 지그슬리브(310)에 걸져치는 판 형상에서 앞, 뒤 양측이 상,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지지턱(420)을 형성하고, 이 지지턱(420)의 표면에 각 밸런스 샤프트 모듈(10)(20)이 볼트로 결합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지그(4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 밸런스 샤프트 모듈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지그가 지그슬리브에 결합됨으로써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케이스(300)의 바닥면과 지그(400)의 하부에 결합된 어느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는 이격된 공간을 가지게 되어 밸런스 샤프트 모듈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그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유로(410)는 일단이 지그(400)의 표면에 표출되어 지그오일홀(411)을 형성하며, 타단은 밸런스 샤프트 모듈(10)(20)에 형성된 오일홀(11)(2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내부유로(410)의 타단은 지그(400)와 밸런스 샤프트 모듈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고, 그 형성 위치는 각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지그의 외측으로 표출된 지그오일홀(411)에 고압의 오일을 유입되는 오일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고압의 오일이 내부 유로를 통과하여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그오일홀(411)을 통하여 밸런스 샤프트 모듈을 통과한 오일을 회수하여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에는 진동 패턴을 측정하는 진동센서(330)가 결합된다. 이러한 진동센서는 3차원의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여 케이스의 각 축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단일축의 진동을 측정하는 3개의 센서를 3 방향으로 부착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축에 대한 진동만을 측정하도록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진동센서(330)에서 검출되는 케이스(300)의 진동은 실제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에서 발생하는 가상 진동 패턴을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이 얼마만큼 저감시키는지에 대한 상대적 평가를 위한 파라미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 테스트에서 진동센서로 감지되는 진동 패턴의 급작스런 변화로부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던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부(100)에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300)를 관통하여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을 회전시키되,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센서(121)가 결합되는 회전축(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구동부(100)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써, 구동모터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등 다양한 회전 모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110)와 연결된 회전축(120)은 케이스(300)를 관통하며, 이 회전축(120)에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의 각 스프라킷(12)(22)과 연결되는 구동기어(130)가 결합되어 있다.
즉,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기어의 상, 하부에 연결된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과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스프라킷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동기어(130)와 각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스프로킷(12)(22)의 기어비는 2:1로 설계되어 실제 엔진에서의 회전 환경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20)에는 토크를 측정할수 있는 토크센서(121)가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달되는 토크를 실험의 파라미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첨부하여 본 발명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때,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에는 자체 오일펌프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타입이고, 따라서 외부에서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 내부로 오일을 순환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오일공급부(200)는 상기 케이스(300) 외부에 구비된 제1오일펌프(210)와, 상기 제1오일펌프(210)에서 연통되며, 제1유압측정게이지(220)를 통과하여 상기 지그(400)에 형성된 지그오일홀(411)에 연결되는 오일파이프(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오일펌프(210)는 오일탱크(240)에 저장된 오일을 가압하여 지그오일홀(411)로 유입시키며, 제1유압측정게이지(220)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실험 조건에 맞추어 오일에 유입되는지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일파이프(230)에는 오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여 정확한 오일의 유입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토크센서(121)로부터 각 밸런스 샤프트 모듈(10)(20)에 인가되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구동모터(110)를 작동시켜, 미리 설정된 일정 토크의 회전력을 부여하고,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입력되는 오일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파손 없이 작동될 수 있는지의 내구성을 측정하거나, 토크의 변화 및 오일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진동의 저감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장시간 작동되어 케이스(300) 내부에 오일이 점차 채워지는 경우, 케이스 내부의 오일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부와 연결되는 별도의 입,출입구(301)(302)를 이용하여 케이스 내부의 오일을 배출하거나, 케이스 내부로 오일을 더 유입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때,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에는 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외부의 오일을 흡입하는 자체 오일펌프(23)가 구비된 타입에 적당한 구성이다.
이러한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의 테스트에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에 별도의 오일 유입 수단이 필요치 아니하므로, 지그(400′)의 하부에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을 장착하고, 이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이 잠길 정도의 오일을 케이스(300)에 채운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오일공급부(500)에는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의 오일홀과 연통되는 지그(400′)의 제1내부유로(410′)와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300) 외부로 인출되어 토출유압측정게이지(510)를 통과하는 토출파이프(520)와,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의 오일홀과 연통되는 상기 지그(400′)의 제2내부유로(420′)에 연통되는 유입파이프(530)가 구비된다.
즉, 자체적으로 오일을 흡입하므로,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의 오일 유입량을 측정하는 대신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을 통과하여 토출되는 오일을 지그에 형성된 제1내부유로(410′)를 통하여 회수하고, 이 제1내부유로(410′)에서 토출된 오일을 케이스(300) 외부로 인출하는 토출파이프(520)에 구비된 토출유압측정게이지(510)로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을 작동하는데 소요된 오일의 압력 등을 측정하게 된다.
물론, 토출파이프(520)에는 오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센서(도시 생략)를 더 구비하여 토출된 오일의 정확한 량을 산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을 장기간 작동시키는 경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이 흡입하는 오일의 양만큼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에서 토출되는 오일이 채워지므로 케이스(300) 내부의 오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2실시예에서 진동센서의 결합과 진동의 측정의 활용은 전술된 바와 동일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에 채용된 케이스와 지그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그에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장착 후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일반적인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스트장치
100 : 회전구동부 110 : 구동모터 120 : 회전축
121 : 토크센서 130 : 구동기어
200, 500 : 오일공급부
210 : 제1오일펌프 220 : 제1유압측정게이지 230 : 오일파이프
240 : 오일탱크 510 : 토출유입측정게이지 520 : 토출파이프
530 : 유입파이프
300 : 케이스 310 : 지그슬리브 320 : 뚜껑
330 : 진동센서 301 : 유입구 302 : 출입구
400,400′ : 지그
410 : 내부유로 410′ : 제1내부유로 420′ : 제2내부유로
411 : 지그오일홀 420 : 지지턱
10 :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
11 : 오일홀 12 : 스프라켓
20,20′ :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
21 : 오일홀 22 : 스프라켓 23′ : 오일펌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가상 엔진 진동을 발생시키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가상 엔진 진동을 저감하는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100)와;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20′)에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부(200)(500)와; 상기 오일이 담기는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300) 내에 형성된 지그슬리브(310)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20′)이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는 각 상기 밸런스 샤프트 모듈(10)(20)(20′)의 오일홀에 연통되는 내부유로(410)(410′)(420′)가 형성되는 지그(400)(40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부(100)에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에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300)를 관통하여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20′)을 회전시키며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센서(121)가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200)는 상기 케이스(300) 외부에 구비된 제1오일펌프(210)와, 상기 제1오일펌프(210)에 가압된 오일을 제1유압측정게이지(220)를 통과하여 상기 지그(400)에 형성된 지그오일홀(411)에 유입시키는 오일파이프(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5. 가상 엔진 진동을 발생시키는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가상 엔진 진동을 저감하는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100)와;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20′)에 윤활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부(200)(500)와; 상기 오일이 담기는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300) 내에 형성된 지그슬리브(310)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20′)이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는 각 상기 밸런스 샤프트 모듈(10)(20)(20′)의 오일홀에 연통되는 내부유로(410)(410′)(420′)가 형성되는 지그(400)(40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부(100)에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에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300)를 관통하여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과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20′)을 회전시키며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센서(121)가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된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500)에 상기 실험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20′)의 오일홀과 연통되는 상기 지그(400′)의 제1내부유로(410′)와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300) 외부로 인출되어 토출유압측정게이지(510)를 통과하는 토출파이프(520)와, 상기 케이스(300)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더미용 밸런스 샤프트 모듈(10)의 오일홀과 연통되는 상기 지그(400′)의 제2내부유로(420′)에 연통되는 유입파이프(5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KR1020080116896A 2008-11-24 2008-11-24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KR101057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896A KR101057383B1 (ko) 2008-11-24 2008-11-24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896A KR101057383B1 (ko) 2008-11-24 2008-11-24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175A KR20100058175A (ko) 2010-06-03
KR101057383B1 true KR101057383B1 (ko) 2011-08-17

Family

ID=4235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896A KR101057383B1 (ko) 2008-11-24 2008-11-24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15B1 (ko) 2012-02-14 2013-08-09 (주)동보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9203B (zh) * 2011-12-15 2013-08-14 朱留存 发动机平衡轴噪音测试装置
KR101697058B1 (ko) * 2015-06-11 2017-01-17 (주)동보 밸런스 샤프트 모듈 테스터 시스템
CN106404411A (zh) * 2016-08-26 2017-02-15 哈尔滨东安汽车发动机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台架曲轴扭振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512A (ja) * 1998-10-27 2000-05-12 Aisin Seiki Co Ltd 内燃機関用バランス装置
JP2007192263A (ja) * 2006-01-18 2007-08-02 Hitachi Ltd バランサ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512A (ja) * 1998-10-27 2000-05-12 Aisin Seiki Co Ltd 内燃機関用バランス装置
JP2007192263A (ja) * 2006-01-18 2007-08-02 Hitachi Ltd バランサ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15B1 (ko) 2012-02-14 2013-08-09 (주)동보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175A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383B1 (ko)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장치
KR101475395B1 (ko) 저널베어링 결함 신호 검출용 시험 장치
CN106908243B (zh) 轴承外圈旋转试验机
DE60330014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kurbelgehäusegas
KR100766521B1 (ko) 발전기용 수소가스 밀봉링 건전성 시험장치
KR101268820B1 (ko) 연료펌프의 진동 시험 시스템
CN104105906B (zh) 变速器壳、具有这种变速器壳的变速单元及具有这种变速单元的变速发动机
CN107860581A (zh) 一种模块化发动机转子不平衡振动综合试验台
KR101291515B1 (ko)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테스트 장치
JP2008280837A (ja) 建設機械及びその建設機械で矢板壁を構築するための方法
US6496789B2 (en) Spindle characterization system
KR100218169B1 (ko) 오일펌프 테스터
KR101844299B1 (ko) 가진 범위가 증대된 압력 섭동 발생기
KR20160146318A (ko)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성능 시험기
US6510732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balancer condition of a balanced engine
KR20040086958A (ko) 유압식 토션피로시험장치
JP2020041433A (ja) オイル残量検出装置
JP4097661B2 (ja) 動力循環式歯車試験装置
KR101697058B1 (ko) 밸런스 샤프트 모듈 테스터 시스템
KR101261613B1 (ko) 오일 씰용 흙탕물 시험 장비
CN218381599U (zh) 一种湿式摩擦片试验装置
KR101563843B1 (ko) 오일펌프용 성능 시험기
KR100715769B1 (ko) 엔진동력기계 테스트장치
CN216975394U (zh) 一种液压泵马达功能试验台
CN204758053U (zh) 一种柴油发动机实际油耗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