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010B1 -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 Google Patents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010B1
KR101057010B1 KR1020090089448A KR20090089448A KR101057010B1 KR 101057010 B1 KR101057010 B1 KR 101057010B1 KR 1020090089448 A KR1020090089448 A KR 1020090089448A KR 20090089448 A KR20090089448 A KR 20090089448A KR 101057010 B1 KR101057010 B1 KR 10105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opening
fire
closing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116A (ko
Inventor
전홍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Priority to KR102009008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01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에 관한 것이다.
< 목 적 >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욕실, 주방 등의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를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분배시키도록 형성되되 화재로 인한 화염이 실내 주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방화댐퍼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역류하는 것(역풍)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판이 일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에 유도프레임이 구비되어 환기효율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한편, 몸체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원가가 절감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구 성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구비되는 하우징관(110)과, 상기 하우징관(110)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역류된 화염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도록 형성되는 휴즈(120)와, 상기 휴즈(120)의 단락 유무에 연동하는 텐션스프링(130) 및 힌지(140)와, 상기 힌지(140)의 회동에 의해 하우징관(110) 내부를 밀폐하도록 단속판(150)이 구비되는 분배관 본체(100)와; 상기 분배관 본체(100)의 배출구(112) 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직입상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오염공기 및 소음을 차단하도록 내측에 유도프레임(21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212)이 구비되는 걸림 부(213)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체결홈(212)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홈(221)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210)의 걸림부(213)와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복원유도면(222)이 구비되는 원판형의 개폐판(220)과, 상기 개폐판(220)의 관통홈(2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고정나사(231)에 의해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홈(232)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220)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직사각형상의 고정바(230)가 구비되는 백 드래프트 댐퍼(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 효 과 >
따라서, 본 발명은 방화댐퍼로 하여금 욕실, 주방 등의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를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분배시키도록 형성되되 화재로 인한 화염이 실내 주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는 방화댐퍼의 배출공 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연질의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개폐판으로 하여금 일측 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빗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퍼의 개폐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환기 시스템의 덕트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덕트 내부에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댐퍼의 몸체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원가가 절감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방화댐퍼, 백 드래프트, 댐퍼, 덕트, 개폐판, 유도프레임, 환기 시스템

Description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Damper for the prevention of back draft}
본 발명은 욕실, 주방 등의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를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분배시키도록 형성되되 화재로 인한 화염이 실내 주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방화댐퍼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역류하는 것(역풍)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판이 일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에 유도프레임이 구비되어 환기효율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한편, 몸체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원가가 절감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개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 시스템은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환기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덕 트의 내측에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종래의 댐퍼는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에 의해 작동되는 한편,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덕트의 내측에 별도의 걸림턱을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댐퍼는 작동시에 덕트 내부의 걸림턱과 접촉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회전축에 이물질이 쌓여 원활하게 작동이 되지 않거나, 덕트의 내부에 걸림턱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댐퍼가 작동하면서 덕트 내부의 걸림턱과 접촉하면서 소음이 발생되고, 덕트의 크기가 따라 환기 효율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댐퍼의 재질이 대부분 금속재로 형성되어 덕트 내측면에 밀착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욕실, 주방 등의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를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분배시키도록 형성되되 화재로 인한 화염이 실내 주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방화댐퍼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역류하는 것(역풍)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판이 일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에 유도프레임이 구비되어 환기효율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한편, 몸체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원가가 절감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개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구비되는 하우징관(110)과, 상기 하우징관(110)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역류된 화염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도록 형성되는 휴즈(120)와, 상기 휴즈(120)의 단락 유무에 연동하는 텐션스프링(130) 및 힌지(140)와, 상기 힌지(140)의 회동에 의해 하우징관(110) 내부를 밀폐하도록 단속판(150)이 구비되는 분배관 본체(100)와; 상기 분배관 본체(100)의 배출구(112) 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직입상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오염공기 및 소음을 차단하도록 내측에 유도프레임(21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212)이 구비되는 걸림 부(213)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체결홈(212)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홈(221)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210)의 걸림부(213)와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복원유도면(222)이 구비되는 원판형의 개폐판(220)과, 상기 개폐판(220)의 관통홈(2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고정나사(231)에 의해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홈(232)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220)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직사각형상의 고정바(230)가 구비되는 백 드래프트 댐퍼(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복원유도면(222)은 개폐판(220)의 두께보다 1/3~1/2 내의 두께로 형성되어 배기 개폐력 및 밀폐 복원(탄성)력이 개선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걸림부(213)는 외주면이 고정바(230)를 향해 1 내지 30°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배기성 및 밀착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화댐퍼로 하여금 욕실, 주방 등의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 또는 악취를 건물 외부로 원활하게 분배시키도록 형성되되 화재로 인한 화염이 실내 주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는 방화댐퍼의 배출공 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연질의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개폐판으로 하여금 일측 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빗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퍼의 개폐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환기 시스템의 덕트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덕트 내부에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댐퍼의 몸체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원가가 절감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 드래프트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배관 본체(100)와, 백 드래프트 댐퍼(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배관 본체(100)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구비되는 하우징관(110)과, 상기 하우징관(110)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역류된 화염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도록 형성되는 휴즈(120)와, 상기 휴즈(120)의 단락 유무에 연동하는 텐션스프링(130) 및 힌지(140)와, 상기 힌지(140)의 회동에 의해 하우징관(110) 내부를 밀폐하도록 단속판(15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휴즈는 화재가 발생시 수직입상관으로부터 역류하는 화기에 의해 녹아 단락되면 힌지를 기준으로 텐션스프링에 의해 단속판이 회전하면서 상술한 하우징관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는 상기 분배관 본체(100)의 배출구(112) 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직입상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오염공기 및 소음을 차단하도록 내측에 유도프레임(21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212)이 구비되는 걸림부(213)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체결홈(212)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홈(221)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210)의 걸림부(213)와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복원유도면(222)이 구비되는 원판형의 개폐판(220)과, 상기 개폐판(220)의 관통홈(2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고정나사(231)에 의해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홈(232)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220)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직사각형상의 고정바(2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복원유도면(222)은 개폐판(220)의 두께보다 1/3~1/2 내의 두께로 형성되어 배기 개폐력 및 밀폐 복원(탄성)력이 개선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원유도면은 종전의 스프링을 대체하여 개폐판의 개폐가 보다 원활하게 열리도록 도모하는 한편, 밀폐시에도 두께가 얇은 복원유도면에 의해 복원력이 향상되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밀폐를 조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유도프레임(211)은 백 드래프트 댐 퍼(20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유도프레임(211)에 의해 나뉘어진 통공부가 4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도프레임은 일종의 가이드 리브로써, 플렉시블한 개폐판이 하우징의 내부로 역행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걸림부(213)는 외주면이 고정바를 향해 1 내지 30°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중 걸림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 중앙부를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배기에 따른 개폐시에는 보다 원활하게 열리도록 하되, 방화시 역류하는 기류는 상기 경사면에 의해 밀폐력이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는 내측에는 유도프레임(21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212)이 구비되는 걸림부(213)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도프레임(211)은 덕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십(十)"자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4 내지 6개의 통공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공부는 덕트 내부의 공기가 균일하게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내부 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여 환기효율을 높이는데에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213)는 일측 도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21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213)는 외주면이 고정바를 향해 1 내지 30°의 경사면이 형성되되, 15°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림부(213)는 후술되는 개폐판(220)이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빗물 또는 소음 등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판(220)은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체결홈(212)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홈(221)이 구비되되,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폐판(200)은 연질의 실리콘재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13)와 접촉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바(230)는 상기 개폐판(200)의 관통홈(221)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고정나사(231)에 의해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홈(232)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200)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 드래프트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분배관 본체 110 ... 하우징관
120 ... 휴즈 130 ... 텐션스프링
140 ... 힌지 150 ... 단속판
200 ... 백 드래프트 댐퍼 210 ... 프레임
220 ... 개폐판 230 ... 고정바

Claims (3)

  1.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구비되는 하우징관(110)과, 상기 하우징관(110)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역류된 화염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도록 형성되는 휴즈(120)와, 상기 휴즈(120)의 단락 유무에 연동하는 텐션스프링(130) 및 힌지(140)와, 상기 힌지(140)의 회동에 의해 하우징관(110) 내부를 밀폐하도록 단속판(150)이 구비되는 분배관 본체(100)와;
    상기 분배관 본체(100)의 배출구(112) 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직입상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오염공기 및 소음을 차단하도록 내측에 유도프레임(21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212)이 구비되는 걸림부(213)가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체결홈(212)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홈(221)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210)의 걸림부(213)와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복원유도면(222)이 구비되는 원판형의 개폐판(220)과, 상기 개폐판(220)의 관통홈(2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고정나사(231)에 의해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홈(232)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220)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직사각형상의 고정바(230)가 구비되는 백 드래프트 댐퍼(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복원유도면(222)은
    개폐판(220)의 두께보다 1/3~1/2 내의 두께로 형성되어 배기 개폐력 및 밀폐 복원(탄성)력이 개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백 드래프트 댐퍼(200)의 걸림부(213)는
    외주면이 고정바(230)를 향해 1 내지 30°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배기성 및 밀착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KR1020090089448A 2009-09-22 2009-09-22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KR10105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48A KR101057010B1 (ko) 2009-09-22 2009-09-22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48A KR101057010B1 (ko) 2009-09-22 2009-09-22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116A KR20110032116A (ko) 2011-03-30
KR101057010B1 true KR101057010B1 (ko) 2011-08-17

Family

ID=4393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448A KR101057010B1 (ko) 2009-09-22 2009-09-22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0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03A (ko) 2020-06-16 2021-12-23 신승용 단열차단판을 구비한 방화댐퍼
KR20220027311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블레이드
KR20220027310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362B1 (ko) * 2015-12-30 2016-08-23 고의환 층간 방화 차단 고정장치
KR102507802B1 (ko) * 2016-04-15 2023-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댐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 챔버
KR102231258B1 (ko) * 2019-06-27 2021-03-23 브로윈 주식회사 덕트용 댐퍼
KR102264849B1 (ko) * 2020-12-07 2021-06-15 곽도영 Diy 공기청정기
KR102426454B1 (ko) * 2021-12-31 2022-08-08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도로 터널 내 유류 유출에 따른 화재방지 측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503A (ja) 1999-10-08 2001-04-17 Dairitsu:Kk バタフライ型防火ダン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503A (ja) 1999-10-08 2001-04-17 Dairitsu:Kk バタフライ型防火ダン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03A (ko) 2020-06-16 2021-12-23 신승용 단열차단판을 구비한 방화댐퍼
KR20220027311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블레이드
KR20220027310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116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010B1 (ko)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KR102218578B1 (ko)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RU2659853C2 (ru) Выравнивающий давление клапан
TW200612812A (en) Heat dissipation module and flow direction control structure thereof
KR101307812B1 (ko) 밀폐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전동 댐퍼용 회전 날개판
KR20110023637A (ko) 환풍기용 역류 방지 댐퍼
KR101195061B1 (ko) 캠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
KR200441364Y1 (ko) 가이드조절판이 부설된 습식입상형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JP5605762B2 (ja) 逆流防止ダンパーおよびレンジフード
KR100648384B1 (ko) 역류 방지 댐퍼
JP2005127120A (ja) 自然換気装置
KR200459346Y1 (ko) 개선된 밀폐성과 체결성을 갖는 급,배기덕트부재용 백 드래프트 댐퍼
KR200428326Y1 (ko)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용 이중관덕트의 연결구조
KR20120076996A (ko) 수직입상 환기덕트에 연결되는 배기관상의 댐퍼구조
RU2715779C1 (ru) Самозакрывающийся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для полной остановки возвратного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через вентиляци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KR20080108708A (ko) 수직 덕트 연결용 분배 배기장치
KR101232112B1 (ko) 소방밸브의 빗물 유입 차단장치
RU147326U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CN211233008U (zh) 一种抽油烟机的烟管连接出风座
KR200477301Y1 (ko) 환기설비용 냄새역류방지장치
CN213419953U (zh) 一种自清洁防堵塞的手动刀型闸阀
US20060031980A1 (en) Toilet ventilation
CN210240672U (zh) 防倒灌止回阀
KR20190005664A (ko) 건축물용 후드 벤트
KR20120077003A (ko) 수직입상 환기덕트에 연결되는 배기관상의 댐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