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703B1 -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 Google Patents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703B1
KR101056703B1 KR1020090016373A KR20090016373A KR101056703B1 KR 101056703 B1 KR101056703 B1 KR 101056703B1 KR 1020090016373 A KR1020090016373 A KR 1020090016373A KR 20090016373 A KR20090016373 A KR 20090016373A KR 101056703 B1 KR101056703 B1 KR 10105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ckwashing
hole
fixing member
dril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436A (ko
Inventor
윤병철
Original Assignee
다주건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주건설 (주) filed Critical 다주건설 (주)
Priority to KR102009001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7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 본체(10)의 천공 홀(11)에 설치되는 제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 홀(11)에 삽입된 집수관(20); 천공 홀(11)과 연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천공 홀(11)의 주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200); 고정부재(200)에 형성된 역세정관 연결부(300); 상단이 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하단이 역세정관 연결부(300)에 연결되는 역세정관(50);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고정부재(200)에 설치되는 밸브(100);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역세정 작업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집수정, 역세정

Description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VALVE STRUCTURE FOR WASHING PIPE IN WE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W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상 여과수를 취수하는 우물의 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천 주변에서 하상 여과수를 취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집수정(침하공법에 의한 우물통)을 지중에 설치하고, 그 하부에서 수평 착정기를 이용하여 취수공을 천공한 후, 그 취수공의 내부에 집수관(유공관)과 같은 우물자재를 삽입하여 집수정에 물이 모이도록 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집수정 공법을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수정 본체(10)의 제작시 장차 천공 홀과 연통할 부분에 미리 플랜지관(1)을 설치해 둔다(도 1).
집수정 본체(10)를 지중에 침하시키고(도 2), 플랜지관(1)을 해체한다(도 3).
착정기를 이용한 착정작업 후, 형성된 천공 홀(11)에 집수관(20)을 삽입하는 데(도 4), 이때부터 제수가 불가능한 상태로 물이 나오기 시작한다.
집수관(20)과 천공 홀(11) 트임부의 사이영역에 몰탈(5)에 의한 지수작업을 실시하고, 집수관(20)의 트임부에 연결용 플랜지관(2)을 설치한다(도 5).
연결용 플랜지관(2)에 밸브(3)를 설치하는데(도 6), 이미 본체(10) 내부는 물로 가득 차 있으므로, 잠수부가 수중작업에 의해 이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밸브(3)는 물에 잠겨 있으므로, 본체(10)의 상부에서 밸브(3)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밸브(3)의 개폐부(수도꼭지)에 제어축(30)을 설치하고, 그 제어축(30)의 상단에 제어부(권양기)(40)를 설치한다(도 7).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집수정의 구조 및 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집수관(20)의 외벽에 붙어 있는 이물질은 원활한 취수를 방해하므로, 집수관(20)의 유출구로부터 역으로 에어를 고압에 의해 주입하여, 위 이물질을 떼어 내는 역세정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수부가 수중작업에 의해 역세정관(50)을 밸브(3)에 연결하여 역세정을 실시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바, 대단히 작업이 번거롭고 어렵다는 문제가 그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역세정 작업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집수정 본체(10)의 천공 홀(11)에 설치되는 제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공 홀(11)에 삽입된 집수관(20); 상기 천공 홀(11)과 연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 홀(11)의 주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200); 상기 고정부재(200)에 형성된 역세정관 연결부(300); 상단이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하단이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에 연결되는 역세정관(50); 상기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부재(200)에 설치되는 밸브(100);를 포함하는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천공 홀(11)의 주위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스리브판(210); 심부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리브판(210)에 결합한 연장관(220);을 포함하고,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는 상기 연장관(220)의 상측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공(3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는 상기 연결공(310)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연결관(3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는 상기 연결관(320)의 하단에 결합하고, 배출구가 상기 집수관(200)의 내측 중앙부를 향하도록 연장설치된 배출관(3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리브판(210)의 가장자리부에는 앵커 결합공(21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을 이용한 집수정 공법으로서, 지반을 굴착하고 상기 본체(10)를 매설하는 단계; 상기 본체(10) 중 수평착정할 위치 주위에 앵커(12)를 설치하는 단계; 착정에 의해 상기 집수관(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스리브판(210)의 앵커 결합공(211)에 상기 앵커(12)를 결합하고, 결합부재(13)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고정부재(200) 및 밸브(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에 상기 역세정관(50)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본체(10) 상부에서 상기 역세정관(50)에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집수관(20)에 대하여 역세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수정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역세정 작업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집수정 본체(10)의 천공 홀(11)에 설치되는 제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 홀(11)에 삽입된 집수 관(20); 천공 홀(11)과 연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천공 홀(11)의 주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200); 고정부재(200)에 형성된 역세정관 연결부(300); 상단이 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하단이 역세정관 연결부(300)에 연결되는 역세정관(50);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고정부재(200)에 설치되는 밸브(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와 달리 미리 고정부재(200)에 역세정관 연결부(300)를 형성해 두고, 이에 역세정관(50)을 설치하는 구조를 취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200)는 집수관(20)을 통해 물이 나오는 초기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고정부재(200)의 설치작업시 역세정관(50)의 설치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바, 종래와 같이 수중작업에 의하지 않으면서도 역세정관(50)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역세정관(50)의 상단은 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되므로, 착정 및 집수관 설치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 역세정관(50)의 상단에서 에어를 고압에 의해 주입하는 방식에 의해 역세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밸브(100)를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천공 홀(11)과 연통하도록 심부에 관통공(201)이 형성되어, 천공 홀(11)의 주위에 고정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00)는, 천공 홀(11)의 주위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스리브판(210); 심부에 관통공(201)이 형성되도록, 스리브판(210)에 결합한 연장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역세정관 연결부(300)는 위 연장관(220)의 상측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공(310)을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장관(220)의 상측 벽체를 관통하여 연결공(310)이 형성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정관(50)이 상측 연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역세정관(5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단면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 주입작업 시 공기압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리브판(210)은 별도의 팩킹재(121) 등을 게재하여 본체(10)의 벽면에 밀착함으로써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세정관(50)과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역세정관 연결부(300)는 연결공(310)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연결관(320)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고, 위 연결관(320)에 역세정관(50)을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10).
연결관(320)을 통해 집수관(20)에 유입된 고압의 공기가 집수관(20) 내측 중앙부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관(320)의 하단에 결합하고, 배출구가 집수관(200)의 내측 중앙부를 향하도록 연장설치된 배출관(33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고정부재(200)가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밸브(100)는 고정부재(200) 측에 형성된 플랜지(110); 심부에 연장관(220)이 관통하도록 관통공(201)이 형성되고, 고정부재(200)의 돌출턱부(230)를 게재하여 플랜지(110)에 결합하는 결합링(120);을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11).
플랜지(110) 및 결합링(120)에는 각각 결합공(111,121)이 형성되고, 플랜지(110) 및 결합링(120)은 위 결합공(111,121)을 통해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130)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구(130)를 반쯤 조인 상태에서 밸브(100)를 회전하여 제어축(30)의 연직방향 위치를 확인하고, 제어축(30)과 제어부(40)의 결합 후, 위 체결구(130)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수 구조물은 종래의 공법과 같이, 수중작업으로 그 위치확보 및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 본체(10) 내에 물이 차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종래와 같이 집수정 본체(10)의 착정위치에 미리 플랜지관(1)을 설치해 두지 않은 상태에서, 지반을 굴착하고 집수정 본체(10)를 매설한다(도 12).
본체(10) 중 착정할 위치 주위에 앵커(12)를 설치하고, 착정에 의해 천공 홀(11)을 형성한 후, 집수관(20)을 삽입한다(도 13).
집수관(20)을 통해 나오는 물을 신속하게 막기 위하여, 미리 밸브(100)와 고정부재(200)를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부재(200)를 위 앵커(12)에 고정한다(도 14).
이를 위하여, 스리브판(210)의 가장자리부에는 앵커(12)에 결합하기 위한 앵커 결합공(211)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도 10), 앵커 삽입공(211)에 앵커(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12)의 단부를 너트 등의 결합부재(13)에 의해 고정한다.
역세정관 연결부(300)에 역세정관(50)을 연결하고, 본체(10) 상부에서 역세 정관(50)에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집수관(20)에 대하여 역세정을 실시한다(도 8).
밸브(100)를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폐부(101)가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조정하고, 밸브(100)의 개폐부(101)에 제어축(30)의 하부를 설치하면서, 제어축(30)의 상부에 제어부(40)를 설치한다(도 8).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집수정을 시공하는 경우, 수중작업에 의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다는 점, 역세정관(50)의 설치작업 및 역세정 작업이 대단히 용이해진다는 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7은 종래의 집수정 공법의 공정도.
도 8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제수 구조물의 측면도.
도 9는 제수 구조물의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12 내지 14는 집수정 공법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정 본체 11 : 천공 홀
12 : 앵커 20 : 집수관
30 : 제어축 40 : 제어부
50 : 역세정관 100 : 밸브
110 : 플랜지 111 : 결합공
120 : 결합링 121 : 결합공
130 : 체결구 200 : 고정부재
201 : 관통공 210 : 스리브판
211 : 앵커 결합공 220 : 연장관
230 : 돌출턱부 300 : 역세정관 연결부
310 : 연결공 320 : 연결관
330 : 배출관

Claims (6)

  1. 집수정 본체(10)의 천공 홀(11)에 설치되는 제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공 홀(11)에 삽입된 집수관(20);
    상기 천공 홀(11)과 연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 홀(11)의 주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200);
    상기 고정부재(200)에 형성된 역세정관 연결부(300);
    상단이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하단이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에 연결되는 역세정관(50);
    상기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상기 고정부재(200)에 설치되는 밸브(100);를
    포함하는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천공 홀(11)의 주위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스리브판(210);
    심부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리브판(210)에 결합한 연장관(220);을 포함하고,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는 상기 연장관(220)의 상측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공(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는 상기 연결공(310)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연결관(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는 상기 연결관(320)의 하단에 결합하고, 배출구가 상기 집수관(200)의 내측 중앙부를 향하도록 연장설치된 배출관(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리브판(210)의 가장자리부에는 앵커 결합공(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6. 제5항의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을 이용한 집수정 공법으로서,
    지반을 굴착하고 상기 본체(10)를 매설하는 단계;
    상기 본체(10) 중 수평착정할 위치 주위에 앵커(12)를 설치하는 단계;
    착정에 의해 상기 집수관(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스리브판(210)의 앵커 결합공(211)에 상기 앵커(12)를 결합하고, 결합부재(13)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고정부재(200) 및 밸브(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역세정관 연결부(300)에 상기 역세정관(50)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본체(10) 상부에서 상기 역세정관(50)에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집수관(20)에 대하여 역세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수정 공법.
KR1020090016373A 2009-02-26 2009-02-26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KR10105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73A KR101056703B1 (ko) 2009-02-26 2009-02-26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73A KR101056703B1 (ko) 2009-02-26 2009-02-26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36A KR20100097436A (ko) 2010-09-03
KR101056703B1 true KR101056703B1 (ko) 2011-08-16

Family

ID=4300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373A KR101056703B1 (ko) 2009-02-26 2009-02-26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27B1 (ko) * 2015-11-19 2016-10-13 심규택 취수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281B1 (ko) * 2006-03-08 2006-12-28 강종현 수평집수정의 우물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방법
KR100745551B1 (ko) * 2006-12-28 2007-08-02 손덕규 엔트란스슬리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지하여과수 수평취수관 설치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281B1 (ko) * 2006-03-08 2006-12-28 강종현 수평집수정의 우물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방법
KR100745551B1 (ko) * 2006-12-28 2007-08-02 손덕규 엔트란스슬리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지하여과수 수평취수관 설치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36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26918B (zh) 一种隐藏型穿越筏板可封堵抗渗集水井及其施工工艺
KR101056703B1 (ko)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KR100895651B1 (ko) 지하수 심정 밀폐장치
JP4074313B2 (ja) 通水用鋼矢板、および通水土留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0629775B (zh) 基坑降水井快速封井的施工方法
KR100458631B1 (ko) 석션 파일의 시공장치
CN105625481B (zh) 一种地下工程用泄水孔施工方法
KR101056700B1 (ko) 집수정 공법
JP6377895B2 (ja) 配管ユニット及び配管施工方法
JP2015055149A (ja) 排水機器の接続構造
KR101056702B1 (ko)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CN214994300U (zh) 大流量承压水管井封井装置
KR20160128032A (ko) 반영구적 수명을 가지는 수중펌프의 자동탈착장치
JP7435977B2 (ja) インナートラップ、及び既設排水トラップの補修方法
CN209195012U (zh) 排水预埋直通
CN216041263U (zh) 降水井钢盖板封堵装置
CN103244754A (zh) 一种穿过楼板的防渗漏连接管及其连接结构
JP2007231676A (ja) 止水装置と貫通孔の形成方法
CN112982462B (zh) 一种混凝土构件大孔径带压水封堵施工方法
KR101255177B1 (ko) 지하수 취수장치
CN207392335U (zh) 一种室内多用途结构板预埋插板式防臭积水处理系统
CN207331872U (zh) 一种室内多用途结构板预埋挡板式防臭积水处理系统
CN107119787A (zh) 室内多用途结构板预埋水封圈式防臭积水处理系统
CN207331875U (zh) 一种室内多用途结构板预埋水封槽式防臭积水处理系统
JP2003278165A (ja) かま場用排水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