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702B1 -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 Google Patents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702B1
KR101056702B1 KR1020090016370A KR20090016370A KR101056702B1 KR 101056702 B1 KR101056702 B1 KR 101056702B1 KR 1020090016370 A KR1020090016370 A KR 1020090016370A KR 20090016370 A KR20090016370 A KR 20090016370A KR 101056702 B1 KR101056702 B1 KR 10105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drilling hole
opening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433A (ko
Inventor
윤병철
Original Assignee
다주건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주건설 (주) filed Critical 다주건설 (주)
Priority to KR102009001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7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 본체(10)의 천공 홀(11)의 트임부에 설치되는 제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개폐구동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개폐부(101)가 형성되고,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100); 개폐부(10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제어축(30); 제어축(30)을 지지하고,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된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밸브의 개폐 제어 구조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집수정, 밸브, 개폐, 제어

Description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VALVE STRUCTURE FOR WE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W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상 여과수를 취수하는 우물의 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천 주변에서 하상 여과수를 취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집수정(침하공법에 의한 우물통)을 지중에 설치하고, 그 하부에서 수평 착정기를 이용하여 취수공을 천공한 후, 그 취수공의 내부에 집수관(유공관)과 같은 우물자재를 삽입하여 집수정에 물이 모이도록 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집수정 공법을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수정 본체(10)의 제작시 장차 천공 홀과 연통할 부분에 미리 플랜지관(1)을 설치해 둔다(도 1).
집수정 본체(10)를 지중에 침하시키고(도 2), 플랜지관(1)을 해체한다(도 3).
착정기를 이용한 착정작업 후, 형성된 천공 홀(11)에 집수관(20)을 삽입하는데(도 4), 이때부터 제수가 불가능한 상태로 물이 나오기 시작한다.
집수관(20)과 천공 홀(11) 트임부의 사이영역에 몰탈(5)에 의한 지수작업을 실시하고, 집수관(20)의 트임부에 연결용 플랜지관(2)을 설치한다(도 5).
연결용 플랜지관(2)에 밸브(3)를 설치하는데(도 6), 이미 본체(10) 내부는 물로 가득 차 있으므로, 잠수부가 수중작업에 의해 이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밸브(3)는 물에 잠겨 있으므로, 본체(10)의 상부에서 밸브(3)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밸브(3)의 개폐부(수도꼭지)에 제어축(30)을 설치하고, 그 제어축(30)의 상단에 제어부(권양기)(40)를 설치한다(도 7).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집수정의 구조 및 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체(10)의 상부에서 제어부(40) 및 제어축(30)에 의해 안정적으로 밸브(3)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제어축(30)이 연직방향으로 선 상태에서 제어부(40)에 설치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밸브(3) 상측의 개폐부에 설치된 제어축(30)이 연직방향을 향하도록 밸브(3)의 설치위치를 정확히 조정하여야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 및 공법에서는, 집수정 본체(10) 내부에 이미 물이 찬 상태에서 수중작업에 의해 밸브(3)의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대단히 어렵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제어축의 설치가 여려우므로 개폐부(101)의 개폐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그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밸브의 개폐 제어 구조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집수정 본체(10)의 천공 홀(11)의 트임부에 설치되는 제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개폐구동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개폐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100); 상기 개폐부(10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제어축(30); 상기 제어축(30)을 지지하고,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된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천공 홀(11)과 연통하도록 관통공(20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 홀(11)의 주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100)는 상기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20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천공 홀(11)의 주위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스리브판(210); 심부에 상기 관통공(201)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리브판(210)에 결합한 연장관(220); 상기 연장관(220)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턱 부(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100)는 상기 고정부재(200) 측에 형성된 플랜지(110); 심부에 상기 연장관(220)이 관통하도록 관통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0)의 돌출턱부(230)를 게재하여 상기 플랜지(110)에 결합하는 결합링(1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110) 및 결합링(120)에는 각각 결합공(111,121)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0) 및 결합링(120)은 상기 결합공(111,121)을 통해 체결구(130)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리브판(210)의 가장자리부에는 앵커 결합공(21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을 이용한 집수정 공법으로서, 지반을 굴착하고 상기 본체(10)를 매설하는 단계; 상기 본체(10) 중 착정할 위치 주위에 앵커(12)를 설치하는 단계; 착정에 의해 상기 천공 홀(11)을 형성하고, 집수관(20)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스리브판(210)의 앵커 결합공(211)에 상기 앵커(12)를 결합하고, 결합부재(13)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고정부재(200) 및 밸브(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밸브(100)를 상기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부(101)가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조정하는 단계; 상기 밸브(100)의 개폐부(101)에 상기 제어축(30)의 하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축(30)의 상부에 상기 제어부(4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수정 공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 제어 구조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집수정 본체(10)의 천공 홀(11)의 트임부에 설치되는 제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개폐구동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개폐부(101)가 형성되고,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100); 개폐부(10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제어축(30); 제어축(30)을 지지하고,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천공 홀(11)의 트임부에 물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100)가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종래에는 이러한 구조가 없었으므로, 밸브(3)의 설치작업시 제어축(30)의 연직방향 설치구조까지 고려하여야 하였고, 게다가 이러한 작업을 수중에서 실시하여야 했으므로, 대단히 어렵고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 천공 홀(11)의 트임부에 일단 밸브(100)를 설치한 후, 상술한 회전구조에 의해 제어축(30)의 연직방향 위치 확보 및 제어부(40)에 대한 연결작업을 실시하면 되므로, 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고 간편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9,10)
밸브(100)는 그 자체가 상술한 회전구조를 구비한 채, 천공 홀(11)의 트임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체(10)의 트임부에 별도의 고정부재(200)를 결합하고, 밸브(100)가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위 고정부재(200)에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작업의 용이성 및 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부재(200)는 밸브(100)를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천공 홀(11)과 연통하도록 심부에 관통공(201)이 형성되어, 천공 홀(11)의 주위에 고정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00)는, 천공 홀(11)의 주위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스리브판(210); 심부에 관통공(201)이 형성되도록, 스리브판(210)에 결합한 연장관(220); 연장관(220)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턱부(23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12).
스리브판(210)은 별도의 팩킹재(121) 등을 게재하여 본체(10)의 벽면에 밀착함으로써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턱부(230)는 그 주위에 밸브(1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부재(200)가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밸브(100)는 고정부재(200) 측에 형성된 플랜지(110); 심부에 연장관(220)이 관통하도록 관통공(201)이 형성되고, 고정부재(200)의 돌출턱부(230)를 게재하여 플랜지(110)에 결합하는 결합링(120);을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13).
플랜지(110) 및 결합링(120)에는 각각 결합공(111,121)이 형성되고, 플랜지(110) 및 결합링(120)은 위 결합공(111,121)을 통해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130)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구(130)를 반쯤 조인 상태에서 밸브(100)를 회전하여 제어축(30)의 연직방향 위치를 확인하고, 제어축(30)과 제어부(40)의 결합 후, 위 체결구(130)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수 구조물은 종래의 공법과 같이, 수중작업으로 그 위치확보 및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 본체(10) 내에 물이 차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종래와 같이 집수정 본체(10)의 착정위치에 미리 플랜지관(1)을 설치해 두지 않은 상태에서, 지반을 굴착하고 집수정 본체(10)를 매설한다(도 14).
본체(10) 중 착정할 위치 주위에 앵커(12)를 설치하고, 착정에 의해 천공 홀(11)을 형성한 후, 집수관(20)을 삽입한다(도 15).
집수관(20)을 통해 나오는 물을 신속하게 막기 위하여, 미리 밸브(100)와 고정부재(200)를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부재(200)를 위 앵커(12)에 고정한다(도 16).
이를 위하여, 스리브판(210)의 가장자리부에는 앵커(12)에 결합하기 위한 앵커 결합공(211)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도 12), 앵커 삽입공(211)에 앵커(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12)의 단부를 너트 등의 결합부재(13)에 의해 고정한다.
밸브(100)의 개폐부(101)에 제어축(30)의 하부를 설치하고, 밸브(100)를 천 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제어축(30)이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조정하고, 제어축(30)의 상부에 제어부(40)를 설치한다(도 9).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집수정을 시공하는 경우, 수중작업에 의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다는 점, 밸브(100)의 회전에 의해 제어축(30)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7은 종래의 집수정 공법의 공정도.
도 8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제수 구조물의 주요부 측면도.
도 9는 제수 구조물의 측면도.
도 10은 제수 구조물의 구동원리의 개념도.
도 11은 제수 구조물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14 내지 16은 집수정 공법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정 본체 11 : 천공 홀
12 : 앵커 20 : 집수관
30 : 제어축 40 : 제어부
100 : 밸브 101 : 개폐부
110 : 플랜지 111 : 결합공
120 : 결합링 121 : 결합공
130 : 체결구 200 : 고정부재
201 : 관통공 210 : 스리브판
211 : 앵커 결합공 220 : 연장관
230 : 돌출턱부

Claims (7)

  1. 집수정 본체(10)의 천공 홀(11)의 트임부에 설치되는 제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개폐구동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개폐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100);
    상기 개폐부(10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제어축(30);
    상기 제어축(30)을 지지하고,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된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홀(11)과 연통하도록 관통공(20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 홀(11)의 주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100)는 상기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20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천공 홀(11)의 주위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스리브판(210);
    심부에 상기 관통공(201)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리브판(210)에 결합한 연장관(220);
    상기 연장관(220)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턱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00)는
    상기 고정부재(200) 측에 형성된 플랜지(110);
    심부에 상기 연장관(220)이 관통하도록 관통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0)의 돌출턱부(230)를 게재하여 상기 플랜지(110)에 결합하는 결합링(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0) 및 결합링(120)에는 각각 결합공(111,121)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0) 및 결합링(120)은 상기 결합공(111,121)을 통해 체결구(130)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리브판(210)의 가장자리부에는 앵커 결합공(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7. 제6항의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을 이용한 집수정 공법으로서,
    지반을 굴착하고 상기 본체(10)를 매설하는 단계;
    상기 본체(10) 중 착정할 위치 주위에 앵커(12)를 설치하는 단계;
    착정에 의해 상기 천공 홀(11)을 형성하고, 집수관(20)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스리브판(210)의 앵커 결합공(211)에 상기 앵커(12)를 결합하고, 결합부재(13)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고정부재(200) 및 밸브(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밸브(100)의 개폐부(101)에 상기 제어축(30)의 하부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100)를 상기 천공 홀(11)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어축(30)이 연직 상방을 향하도록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축(30)의 상부에 상기 제어부(4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수정 공법.
KR1020090016370A 2009-02-26 2009-02-26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KR10105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70A KR101056702B1 (ko) 2009-02-26 2009-02-26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70A KR101056702B1 (ko) 2009-02-26 2009-02-26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33A KR20100097433A (ko) 2010-09-03
KR101056702B1 true KR101056702B1 (ko) 2011-08-16

Family

ID=4300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370A KR101056702B1 (ko) 2009-02-26 2009-02-26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7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281B1 (ko) * 2006-03-08 2006-12-28 강종현 수평집수정의 우물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방법
KR100717368B1 (ko) * 2006-12-06 2007-05-10 화동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수 관정캡 고정장치 및 수중펌프 설치공법
KR100745551B1 (ko) * 2006-12-28 2007-08-02 손덕규 엔트란스슬리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지하여과수 수평취수관 설치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281B1 (ko) * 2006-03-08 2006-12-28 강종현 수평집수정의 우물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방법
KR100717368B1 (ko) * 2006-12-06 2007-05-10 화동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수 관정캡 고정장치 및 수중펌프 설치공법
KR100745551B1 (ko) * 2006-12-28 2007-08-02 손덕규 엔트란스슬리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지하여과수 수평취수관 설치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33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14833A (zh) 一种钢板桩沉井支护的施工方法
CN207527149U (zh) 一种地下结构预埋穿墙管防水装置
CN106194034A (zh) 一种用于桩基扩径成孔的液压可调式钻头装置及其施工方法
CN105649094B (zh) 一种深水基础承台施工用三壁钢围堰及其施工方法
KR101056702B1 (ko) 집수정의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JP4946695B2 (ja) 二重管式杭頭構造の構築方法
KR20080114528A (ko) 지하수 관정개발 시공 방법
JP5391390B1 (ja) 基礎鋼管、基礎鋼管に使用する回転工具及びこれらの施工方法
JP2013256839A (ja) 削孔内充填物サンプル採取装置
JP2013155577A (ja) アンカーを併用した杭の施工方法
KR101773823B1 (ko) 스핀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056703B1 (ko) 집수정의 역세정용 제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수정 공법
KR20200014531A (ko) 해상 구조물의 고정앵커 시공공법
KR101056700B1 (ko) 집수정 공법
CN109183815A (zh) 大直径旋挖灌注桩的护筒埋设方法
CN205530305U (zh) 一种大型桥梁深水基础承台施工用三壁钢围堰
JP4475116B2 (ja) 立坑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CN111719551A (zh) 一种适用于岩溶地貌的新型叠合式灌注桩及其施工方法
CN209538169U (zh) 大直径旋挖灌注桩的护筒埋设结构
JP5187968B2 (ja) 既製杭の埋設装置及び埋設方法
JP2006274652A (ja) 排水ますおよび排水ますの埋設位置の調整方法
JP2000144742A (ja) 地盤掘削工事における被圧対策工法
JP7162552B2 (ja) 拡径装置及び拡径方法
JP2018179408A (ja) 熱交換パイプの埋設装置、熱交換パイプの埋設方法および熱交換パイプの埋設用治具
JP2008184889A (ja) 地下構造物築造用ガイドホール工法併用潜函工事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