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333B1 -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333B1
KR101056333B1 KR1020090063611A KR20090063611A KR101056333B1 KR 101056333 B1 KR101056333 B1 KR 101056333B1 KR 1020090063611 A KR1020090063611 A KR 1020090063611A KR 20090063611 A KR20090063611 A KR 20090063611A KR 101056333 B1 KR101056333 B1 KR 101056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mbination
base station
minimum distanc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121A (ko
Inventor
박대영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3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4Maximum-likelihood or sequential decoding, e.g. Viterbi, Fano, ZJ algorith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은 기지국이 모바일 스테이션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다중의 데이터 스트림을 각각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지국과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ML(maximum likelihood)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ML 검출기의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multiuser spatial multiplexing system), ML 검출기(maximum likelihood detector), 단일 프리코딩(unitary precoding)

Description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TRANSMIT ANTENNA AND USER SELECTION SYSTEM FOR MULTIUSER SPATIAL MULTIPLEXING SYSTEM WITH MAXIMUM LIKELIHOOD RECEIV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간 통신을 위한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ML(maximum likelihood) 검출을 수행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이하, '사용자'라 칭함)들에게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형태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채널 환경은 유선 채널 환경과는 달리 다중 경로 간섭(multipath interference), 쉐도잉(shadowing), 전파 감쇠, 시변 잡음, 간섭 및 페이딩(fading)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불가피한 에러가 발 생하여 정보의 손실이 발생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base station)(110)과 사용자(mobile station)(130)가 각각 다중의 수신 안테나를 가지고 있는 경우 기지국(110)이 다수의 사용자(130)에게 각각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multiuser spatial multiplexing system)으로 정의하고 있다.
도 1은 4개의 송신 안테나(111)를 갖는 기지국(110)이 2개의 수신 안테나(131)를 갖는 사용자(130) 2명에게 각각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기지국(110)이 다중 사용자(130)에게 다중 스트림을 전송하면서 발생하는 다중 사용자 간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송신 프리코딩 기법으로는 블록 대각화(block diagonalization) 방식이 알려져 있다.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의 문제를 고려할 수 있다.
첫째,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사용자 중에서 기지국은 어떤 사용자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가.
둘째, 기지국이 가진 송신 안테나 수(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1
)에 비해 RF 망(chain)의 수(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2
)가 큰 상황에서 기지국은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3
개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4
개의 안테나를 선택해서 RF 망에 연결해야 하는데, 이때 어떤 기준으로 송신 안테나를 선택할 것인가.
특히, 두 번째 경우 기지국의 RF 망은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송신 안테 나 수만큼 구비하는 것이 기지국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송신 안테나 자체의 수는 늘리면서 RF 망의 수는 고정시키고 전체 송신 안테나 중에서 RF 망의 수만큼 선택하여 송신하는 안테나 선택(antenna selection) 기술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두 가지 문제에 대한 사용자와 안테나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최소 스트림 SNR(signal to noise ratio)의 최대화"라는 기준을 이용하고 있다. 즉, 기지국은 각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에 대해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SNR을 계산하고 그 중 최소값(최소 스트림 SNR)을 해당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에 할당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최소 스트림 SNR이 가장 큰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는 ZF(zero-forcing) 검출기 또는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검출기와 같은 선형 검출기에 최적화 된 것이다. MIMO 신호 검출을 위한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상기한 선형 검출기이며 다른 하나는 ML(maximum likelihood) 검출기이다.
선형 검출기의 경우 MIMO 채널을 직교화하기 위한 수신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이득이 줄어 검출 오류가 상대적으로 크지만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ML 검출기의 경우 선형 검출기에 비해 계산량이 매우 크지만 검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ML 검출기의 장점 때문에 최근 MIMO 신호의 ML 검출을 위한 저복잡도 ML 검출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는 선형 검출기에 최적화 된 사용자 조합 및 안테나 조합의 선택 기준이라는 점에서 ML 검출기에 대한 최적의 선택은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로는 이룰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보다 많은 사용자를 동시에 서비스하여 시스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ML 검출기에 대한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의 최적의 선택 기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은 기지국이 모바일 스테이션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다중의 데이터 스트림을 각각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지국과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ML(maximum likelihood)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ML 검출기의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블록 대각화(block diagonalization) 방식에 의해 결정된 프리코딩 행렬을 적용하여 상기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과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블록 대각화 방식에 의해 결정된 프 리코딩 행렬과 단일 프리코딩(unitary precoding) 방식을 함께 적용하여 상기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함에 있어 ML 검출기가 최적의 검출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선택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극화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고자 하는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ML 검출기가 최적의 검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최적의 사용자와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지국(base station)(210)과 사용자(mobile station)(230)가 각각 다중의 안테나(211)(231)를 가지고 기지국(210)이 다중 사용자(230)에게 각각 다중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 템에 적용 가능하다(이하, 기지국(210)의 안테나(211)는 '송신 안테나'라 칭하고, 사용자(230)의 안테나(231)는 '수신 안테나'라 칭하기로 한다.).
기지국(210)은 사용자(230) 조합 및 송신 안테나(211) 조합을 선택하여 다중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230)는 기지국(210) 간에 MIMO 신호 검출을 위하여 ML(maximum likelihood) 검출기(233)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구성의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사용자(230)가 ML 검출기(233)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기지국(210)이 최적의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기지국(210)이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지국이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5
개의 송신 안테나를 가지고 있으며, k번째 사용자는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6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기지국과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7
번째 사용자에 대한 채널은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8
행렬(
Figure 112009042484645-pat00009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k명의 사용자에 대해 각각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0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k번째 사용자에 대한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1
프리코딩 행렬(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2
)은 블록 대각화(block diagonalization) 방식을 통해 다중 사용자 간 간섭이 없도록 결정할 수 있다.
즉, k번째 사용자에 대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의 채널(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3
)을 모 아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4
이때,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5
이 되는 프리코딩 행렬(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6
)은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를 통해 영점 특이 값(zero singular value)에 대한 우 특이 벡터(right singular vectors)(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7
)로 결정된다.
만약, k번째 사용자의 수신 안테나의 개수(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8
)가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
Figure 112009042484645-pat00019
)보다 크다면, k번째 사용자의 채널(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0
)에 대한 SVD를 통해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1
개의 가장 큰 특이 값(largest singular values)에 해당하는 우 특이 벡터(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2
)를 얻은 후 최종적으로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3
를 프리코딩 행렬(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4
)로 결정한다. 이와 같은 프리코딩 행렬(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5
)의 결정 과정은 고유모드 선택(eigenmode selection)이라고 한다.
먼저, k번째 사용자의 수신 안테나의 개수(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6
)와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7
)가 같은 경우를 고려한다. 현재 시스템에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8
명의 사용자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기지국은 이 중에서 K명을 선택해야 한다. 이때, 고려될 수 있는 사용자의 조합은 모두
Figure 112009042484645-pat00029
개이며, 이 중에서 q번째 사용자 조합에 대해 최소 스트림 SNR(signal to noise ratio)(qMMSS)을 계산하면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0
여기서,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1
는 q번째 사용자 그룹에 대한 k번째 사용자의 채널을 의미하며,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2
는 MIMO 채널(H)에 대한 최소 스트림 SNR을 의미한다. 상기한 최소 스트림 SNR을 최대화하는 방식은 ZF(zero forcing) 검출기나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검출기에 최적화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ML 검출기에 대하여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가 아닌 "최소 거리의 최대화"의 기준을 바탕으로 최적의 사용자 조합 및 안테나 조합의 선택할 수 있다.
MIMO 채널(H)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q번째 사용자 조합(qMMD)은 수학식 3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4
는 MIMO 채널 H에 대한 최소 거리(minimum distance)를 의미하며, 기본적으로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5
여기서, s1과 s2는 송신 가능한 모든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6
데이터 심볼 벡터 중 하나이며, 위의 수식을 계산하기 위한 계산 복잡도는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저복잡도의 최소 거리 계산 방식을 사용한다. 즉, MIMO 채널을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7
로 정의하고 여기서 hi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8
벡터로 가정하면 수학식 5의 과정을 통해 최소 거리(
Figure 112009042484645-pat00039
)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0
상기한 고유모드 선택이 가능한 경우의 사용자 선택에 대해 고려한다. 고유모드 선택으로 프리코딩을 수행한 후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를 적용한다면, 유효 채널이 직교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경우 ZF 검출기의 결과와 ML 검출기의 결과가 동일하게 된다. 고유모드 선택 방식과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 는 ML 검출기가 갖는 다이버시티 이득을 전혀 얻지 못하며, 단지 ZF 검출기의 성능 밖에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고유모드 선택 대신 단일 프리코딩(unitary precoding) 방식과 "최소 거리의 최대화"를 적용한다. 즉, 고유모드 선택 방식의 경우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1
로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했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식은 단일 프리코더들의 집합(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2
)을 정의하고 최소 거리를 최대화하는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3
의 한 원소를 선택한다. 즉, 수학식 6을 통해 MIMO 채널 H에 대한 최소 거리(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4
)를 최대화하는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5
를 선택하고 프리코딩 행렬은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6
이 된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7
모든 사용자 조합에 대해 상기한 과정을 수행한 후, 각 사용자 조합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qUP , MMD)을 수학식 7과 같이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8
여기서,
Figure 112009042484645-pat00049
는 q번째 사용자 그룹에 대한 k번째 사용자에 대해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단일 프리코더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송신 안테나 선택에 대한 문제를 고려한다. 송신 안테나 수 (
Figure 112009042484645-pat00050
)에 비해 RF 망의 수 (
Figure 112009042484645-pat00051
)가 큰 상황에서 기지국은
Figure 112009042484645-pat00052
개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Figure 112009042484645-pat00053
개의 안테나를 선택해서 RF 망에 연결해야 한다. 이때, 고려될 수 있는 조합은 모두
Figure 112009042484645-pat00054
이다. 각 안테나 조합에 대해 블록 대각화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p번째 안테나 조합에 대한 k번째 사용자의 프리코딩 행렬을
Figure 112009042484645-pat00055
라고 한다면,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안테나의 조합(pMMD)은 수학식 8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56
상기에서 선택된 사용자 조합(qUP , MMD)과 안테나 조합(pMMD)을 ML 검출기를 위한 최적의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의 선택은 수학식 9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2484645-pat00057
도 3은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가 7개 이고 RF 망이 6개인 상황에서 2명의 사용자를 선택하여 데이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상황에 대한 심볼에러율(SER)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와 단일 프리코딩 방식에 따른 ML 검출기(MMSS + UP + ML detector)의 성능이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와 고유모드 선택 방식에 따른 ZF 검출기(MMSS + Eigenmode + ZF detector) 또는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와 단일 프리코딩 방식에 따른 ZF 검출기(MMSS + UP + ZF detector)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최소 거리의 최대화와 함께 단일 프리코딩 방식을 적용한 ML 검출기(MMD + UP + ML detector)의 성능은 동일 조건에서의 ZF 검출기(MMD + UP + ZF detector) 뿐 아니라 최소 스트림 SNR의 최대화 기준을 적용한 상기한 상황들에 비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최소 거리의 최대화"라는 기준을 바탕으로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ML 검출기가 최적의 검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ML 검출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한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는데 있어 본 발명의 시스템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심볼 에러율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기지국
230: 사용자
233: ML 검출기

Claims (5)

  1. 삭제
  2. 기지국이 모바일 스테이션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다중의 데이터 스트림을 각각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기지국과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ML(maximum likelihood)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ML 검출기의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되,
    블록 대각화(block diagonalization) 방식에 의해 결정된 프리코딩 행렬을 적용하여 상기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을
    수식:
    Figure 112011009200771-pat00058
    (여기서, qMMD는 q번째 사용자 조합을,
    Figure 112011009200771-pat00059
    는 MIMO 채널(H)에 대한 최소 거리를,
    Figure 112011009200771-pat00060
    는 q번째 사용자 조합에 대한 k번째 사용자의 프리코딩 행렬을 의미한다.)
    에 의해 선택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
  3. 기지국이 모바일 스테이션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다중의 데이터 스트림을 각각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기지국과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ML(maximum likelihood)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ML 검출기의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되,
    블록 대각화 방식에 의해 결정된 프리코딩 행렬과 단일 프리코딩(unitary precoding)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을
    수식:
    Figure 112011009200771-pat00061
    (여기서, qUP,MMD는 q번째 사용자 조합을,
    Figure 112011009200771-pat00062
    는 MIMO 채널(H)에 대한 최소 거리를,
    Figure 112011009200771-pat00063
    는 q번째 사용자 조합에 대한 k번째 사용자의 프리코딩 행렬을,
    Figure 112011009200771-pat00064
    는 q번째 사용자 조합 내 k번째 사용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단일 프리코더를 의미한다.)
    에 의해 선택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
  4. 기지국이 모바일 스테이션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다중의 데이터 스트림을 각각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기지국과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 검출을 수행하는 ML(maximum likelihood)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ML 검출기의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사용자 조합 및 송신 안테나 조합을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되,
    블록 대각화 방식에 의해 결정된 프리코딩 행렬을 적용하여 상기 MIMO 채널에 대한 최소 거리를 최대로 하는 송신 안테나 조합을
    수식:
    Figure 112011009200771-pat00065
    (여기서, pMMD는 p번째 송신 안테나 조합을,
    Figure 112011009200771-pat00066
    는 MIMO 채널(H)에 대한 최소 거리를,
    Figure 112011009200771-pat00067
    는 p번째 송신 안테나 조합에 대한 k번째 사용자의 프리코딩 행렬을 의미한다.)
    에 의해 선택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IMO 채널(H)에 대한 최소 거리는,
    수식:
    Figure 112009042484645-pat00068
    (여기서, MIMO 채널(H)을
    Figure 112009042484645-pat00069
    (단, Ns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로 정의하고 hi
    Figure 112009042484645-pat00070
    벡터(단, MR ,k는 k번째 사용자의 수신 안테나 개수)로 정의한다.)
    에 의해 계산되는,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
KR1020090063611A 2009-07-13 2009-07-13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KR101056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611A KR101056333B1 (ko) 2009-07-13 2009-07-13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611A KR101056333B1 (ko) 2009-07-13 2009-07-13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21A KR20110006121A (ko) 2011-01-20
KR101056333B1 true KR101056333B1 (ko) 2011-08-11

Family

ID=4361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611A KR101056333B1 (ko) 2009-07-13 2009-07-13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55B1 (ko) * 2013-11-28 2015-07-22 한국과학기술원 시분할 이중통신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환경에서 파일럿 오염 공격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4253626B (zh) * 2014-10-10 2017-04-0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快跳频系统中低复杂度次优非相干多用户检测
CN105871439B (zh) * 2016-05-31 2019-05-14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投影算子的迭代bd预编码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306A (ko) * 2003-11-13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송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송신 안테나들을 그룹핑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20090032872A (ko) * 2007-09-28 200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306A (ko) * 2003-11-13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송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송신 안테나들을 그룹핑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20090032872A (ko) * 2007-09-28 200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21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Performance of conjugate and zero-forcing beamforming in large-scale antenna systems
Heath et al. Antenna selection for spatial multiplexing systems with linear receivers
Murch et al. Antenna systems for broadband wireless access
US79079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multi-user interference
US84677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multi-user interference in multi-antenna system
KR101331651B1 (ko) 다중 사용자 조인트 송수신 빔포밍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JP5264990B2 (ja) データ伝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91183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multiuser MIMO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070070927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tenna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50699B1 (ko) 프리코딩 및 프리코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다중 사용자 mimo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US9521622B2 (en) Non-codebook based precoding for multi-user MIMO downlink
JP201051617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020242B1 (ko) 단말의 수신 장치, 기지국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신호 결합 방법
US20110013712A1 (en) System for mimo spatial adaptivity in dynamic environments
CN101615942B (zh) 一种数据通信方法、装置及系统
KR101056333B1 (ko)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Hu et al. Key technologies in massive MIMO
KR101055573B1 (ko)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무선 송출 시스템에서의 프리 코딩 장치
Muaayed Massive MIMO system: an overview
de Figueiredo et al. Uplink performance evaluation of massive MU-MIMO systems
KR20140088185A (ko)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방법, 그에 대응하는 스테이션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4823927B2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アンテナの決定方法
Komulainen et al. CSI acquisition concepts for advanced antenna schemes in the WINNER+ project
Chen et al. Low-complexity user and antenna selection for multiuser MIMO systems with block diagonalization
CN102201890B (zh) 数据发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