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282B1 - Mobile stage equipment - Google Patents
Mobile stag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6282B1 KR101056282B1 KR1020090099673A KR20090099673A KR101056282B1 KR 101056282 B1 KR101056282 B1 KR 101056282B1 KR 1020090099673 A KR1020090099673 A KR 1020090099673A KR 20090099673 A KR20090099673 A KR 20090099673A KR 101056282 B1 KR101056282 B1 KR 101056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tage
- bottom plate
- bar
- ceil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8—Shiftable or portable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화물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게 구비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외주부 하측에 구비되어 설치면에 대해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고 승강시키는 복수의 지지구동부; 수평의 지지바와 수직의 기둥바가 결합되어 각각 T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지지체의 상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기둥; 상기 지지바의 양끝단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무대의 천장 골조를 이루는 복수의 천장프레임; 양단이 상기 지지기둥 및 상기 천장프레임에 각각 힌지로 고정되고, 상기 천장프레임을 상기 지지기둥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무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를 지지하고 승강시키는 복수의 지지구동부가 구비되어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으므로, 차량이 이동식 무대장치를 운반한 후에는 이동식 무대장치와 분리되어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있어 차량의 이용 효율을 제고할 수 있고, 이러한 지지구동부를 이용하여 무대 설치시에 무대 바닥면의 수평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및 발전부가 구비된 승강패널이 승강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차량의 이동시에는 지지체의 상측에 위치되고 무대 설치시에는 무대의 바닥면 하측에 위치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이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무대의 천정, 바닥면 및 기둥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다단으로 구비되고,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들이 구비되어, 신속하고 간편한 무대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다.
이동식, 무대장치, 스테이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tage device, which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rgo loading portion of the vehicle, the support provided to be selectively mounted and mounted or removed on the cargo loading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driving parts provided below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to support and elevate the support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surface; Horizontal support bars and vertical column bars are combined to form a T-shap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A plurality of ceiling fram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by hinges to form a ceiling frame of the stage; A first driving part fixed at both ends to the support pillar and the ceiling frame, respectively, and rotating the ceiling fram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And a bottom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support driving units for supporting and elevating a support may be provided and selectively mounted or removed from the cargo loading por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may be separated from the movable stage apparatus after carrying the mobile stage apparatus.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can improve the use efficiency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stage floor surface at the time of stage installation by using such a support driver.
In addition, by elevating the lifting panel provided with the controller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it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when moving the vehicle and the lower side of the stage when the stage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use the efficient space.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ceiling, the floor and the pillars of the stage ar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driving units for driving the stage are provided, so that a quick and simple stag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is possible.
Movable, Stage Equipment, St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의해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고, 무대로 세팅된 후에 차량은 다른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으며, 무대 바닥면의 수평상태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 및 발전부 등의 배치에 있어 효율적인 공간 이용이 가능하고, 신속하고 간편한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t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can be easily moved by the vehicle, the vehicle can be freely used for other purposes after being set to the stage, it can not only improv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stage floor surface Ra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tage device capable of efficient space use and quick and easy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in the arrangement of a controller and a power generation unit.
일반적으로 각종의 야외 행사에서 행사를 주관하는 주최 측의 진행원들이나 연예인들이 활동하는 곳을 관람객들로부터 구분하고, 지면 또는 관람석에 산재하는 여러 관람객들에게 진행원들이나 연예인들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통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단을 세운 형태의 무대들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무대에는 대개 효과적인 행사 진행을 위한 조명장치들도 설치된다.In general,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embers of the organizers and entertainers who organize the events at various outdoor events from the visitors, and to make the members or entertainers visible to the various visitors scattered on the ground or the grandstand, Stages are usually widely used, with stages set at a height above the ground. These stages are usually equipped with lighting devices for effective events.
종래의 무대는 통상 목재와 합판 등을 조립하여 가설하여 사용하였으며, 무대의 가설 및 철거에는 많은 인력과 노동력 및 시간이 소요되며, 그에 따라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stages have been typically used by installing wood and plywood, etc., and the construction and demolition of stages takes a lot of manpower, labor, and time, and thus, costs a lot.
또한, 목재와 합판 등은 무겁고, 반복 사용시 훼손되며, 유기물이어서 부패하는 등 내구성이 약하고, 또한 운송 등 취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튼튼한 무대 의 가설을 위해서는 다량이 요구되므로 불편함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ood and plywood are heavy, damaged in repeated use, organic materials are poor durability, such as decay, and also difficult to handle, such as transport, as well as a large amoun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a strong stage has a disadvantage of great inconvenience. .
한편, 최근에는 각종의 앵글들과 이 앵글들의 조립체에 고정되는 판상체들로 이루어지는 철제 조립식 무대가 개발되어 역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철제 조립식 무대 역시 운송 등 취급이 어렵고, 매 사용시마다 가설 및 철거하여야 하며, 무대의 가설 및 철거에는 많은 인력과 노동력 및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ron-fabricated stages composed of various angles and plate-like bodies fixed to the assemblies of the angl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also widely used. However, such a steel prefabricated stage is also difficult to handle, such as transportation, and should be installed and removed every time, the construction and removal of the stage takes a lot of manpower, labor and time,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costs a lot.
또 한편, 콘크리트나 기타 재료들로 지면상에 영구시설로 설치한 무대들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이동성이 전혀 없어 필요한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stages installed as a permanent facility on the ground of concrete or other materials are used,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can not be utilized in various places where there is no mobility at all.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고, 컨트롤러 및 발전부 등의 구성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무대의 바닥면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무대 바닥면의 수평상태를 개선할 수 있고, 신속하면서도 간편한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이동식 무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mounted or removed on the cargo load of the vehicle, and the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ler and the power generating unit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floor of the sta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vel of the stage floor surface, and to provide a mobile stage devic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and remove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는,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화물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게 구비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외주부 하측에 구비되어 설치면에 대해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고 승강시키는 복수의 지지구동부; 수평의 지지바와 수직의 기둥바가 결합되어 각각 T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지지체의 상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기둥; 상기 지지바의 양끝단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무대의 천장 골조를 이루는 복수의 천장프레임; 양단이 상기 지지기둥 및 상기 천장프레임에 각각 힌지로 고정되고, 상기 천장프레임을 상기 지지기둥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무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플레이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obile st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rovided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ad portion of the vehicle selectively mounted on the load portion mounted or detachable; A plurality of support driving parts provided below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to support and elevate the support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surface; Horizontal support bars and vertical column bars are combined to form a T-shap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A plurality of ceiling fram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by hinges to form a ceiling frame of the stage; A first driving part fixed at both ends to the support pillar and the ceiling frame, respectively, and rotating the ceiling fram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And a bottom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stage.
상기 이동식 무대장치는, 상기 지지구동부과 상기 제1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무대에 구비되는 음향, 조명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는 승강패널; 및 상기 승강패널을 승 강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시키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stage apparatus includes: a lifting panel provided with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support driving unit and the first driving unit, and a power generation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sound and lighting device provided on the stage, and to lift on the support; And an elevating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elevating panel to selectively posi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상기 이동식 무대장치는,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의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측정부; 및 상기 수평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수평상태가 불량한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구동부에 각각 별도의 승강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지지체의 수평상태를 개선하는 수평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stage device, the horizontal measuring un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to measur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support; And a horizontal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measurement value of the horizontal measuring unit to improve a horizontal state of the support by applying a separate lifting signa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driving units.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바닥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체의 상면 중심부에 고정되는 제1바닥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제1바닥플레이트의 외측 끝단에 힌지로 연결되는 제2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제2바닥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는 제3바닥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first bottom plate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 second bottom plate having one end hinged to an outer end of the first bottom plate; And a third bottom plat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ttom plate.
상기 이동식 무대장치는, 양단이 상기 제1ㆍ제2바닥플레이트의 상면에 각각 힌지로 고정되고, 상기 제2바닥플레이트를 상기 제1바닥플레이트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stag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ttom plates, respectively, and rotating the second bottom pl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bottom plate. .
상기 이동식 무대장치는,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상측으로 접히거나 상기 지지체의 측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설치면에 대해 상기 제2ㆍ제3바닥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stage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via a hinge and is provided to be folded upward or to be exten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and supports a plurality of second and third floor plates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uxiliary suppor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이동식 무대장치는, 상기 지지바와 상기 천장프레임의 상측을 덮기 위한 커버부재가 권취되고,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지지바에 고정되는 커버 권취부;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 끝단에 연결된 연결끈을 감아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천장프레임의 끝단에 구비되는 회전부; 및 상기 연결끈이 당겨져 상기 커버 권취부에 권취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지지바와 상기 천장프레임의 상측을 덮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stage apparatus may include a cover winding part fixed to the support bar so that a cover member for covering the support bar and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frame is wound and rotated; A rotating part provided at the end of the ceiling frame so as to wind or pull off the connection string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cover member; And a rotation driving part which rotates the rotating part so that the cover member wound on the cover winding part by pulling the connecting string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ar and the ceiling frame.
상기 기둥바는, 상기 지지바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막대 형상의 제1기둥바; 상기 제1기둥바에 삽입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막대 형상의 제2기둥바; 및 상기 제2기둥바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는 제3기둥바;를 포함하여 3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The pillar bar may include: a first pillar bar having a rod shape fixed to the support bar and having an empty inside; A second column bar having a rod shape inserted into the first column bar and having an empty inside; And a third column bar inserted into the second column bar and fixed to the support, and the height may be varied by being formed in three stages.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에 의하면, 무대의 바닥면을 이루는 지지체를 지지하고 승강시키는 복수의 지지구동부가 구비되어 이 복수의 지지구동부에 의해 설치면에 지지된 상태로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으므로, 차량이 이동식 무대장치를 운반한 후에는 이동식 무대장치와 분리되어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있어 차량의 이용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st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driving units are provided for supporting and lifting a support that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ge, and are selectively supported on the cargo loading portion of the vehicle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by the plurality of support driving units. Since the vehicle may be mounted or removed, the vehicle may be separated from the mobile stage device and used for other purposes after carrying the mobile stage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use efficiency of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지지체에 지지체의 수평상태를 측정하는 수평측정부가 구비되고, 이 측정값에 따라 지지체의 수평상태가 개선되도록 복수의 지지구동부에 각각 별도의 승강 신호를 인가하는 수평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전술된 복수의 지지구동부를 이용하여 무대 설치시에 무대 바닥면의 수평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support, the horizontal control unit for applying a separate lifting signa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driving units so tha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support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By using a plurality of support driving uni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stage floor surface during the stage installation.
또한, 컨트롤러 및 발전부가 구비된 승강패널이 지지체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차량의 이동시에는 지지체의 상측에 위치되어 지지체의 하면이 차량의 적재부에 장착될 수 있게 하고, 차량이 분리된 후의 무대 설치시에는 무대의 바닥면 하측에 위치될 수 있어 이러한 컨트롤러 및 발전부 등의 구성요소의 배치에 있어 효율적인 공간 이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levating panel provided with a controller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provided to be able to be elevated relative to the support, it is sel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when moving the vehicl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can be mounted on the loading portion of the vehicle, When the stage is installed after being separated, it may be located under the floor of the stage, thereby enabling efficient space use in the arrangement of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ler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게다가, 무대의 천정, 바닥면 및 기둥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힌지로 연결되거나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다단으로 구비되고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들이 구비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무대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여 기상 조건이 불량한 경우에도 무대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기상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iling, floor and pillar components of the stage ar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that can be hinged or slid relative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driving parts for driving them, allowing for quick and easy stag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Even in this poor case, the stage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and the weather change can be quickly responded to.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는, 작은 부피로 접혀진 상태로 차량을 통해 목적한 위치로 이동된 후 해당 차량은 이탈되고, 해당 위치에서 유압실린더 및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되어 무대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는 무대장치이다.The mobile st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rough the vehicle in a state of being folded in a small volume, the vehicle is separated, and is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by an actuator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and a motor at the position to the stage. It is a stage device configured to be used.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를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접힌 상태로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고, 도 2는 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and 2,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st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reference, Figure 1 is a schematic view as seen from the front in a folded state to be transported to the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stalled state to be used as a sta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는, 지지체(100), 지지구동부(110), 보조지지부(120), 지지기둥(200), 천장프레임(300), 제1구동부(310), 바닥플레이트(400), 제2구동부(415), 승강패널(500), 승강구동부(미도시), 수평측정부(미도시), 수평제어부(미도시), 커버 권취부(600), 회전부(620) 및 회전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movable st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지지체(300)는 이동식 무대장치의 이동을 위한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화물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게 구비되고, 무대로 설치시에 무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플레이트(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대개 차량의 화물적재부는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지지체(300)도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지지구동부(110)는 지지체(300)의 외주부 하측에 구비되어 무대 설치시의 설치 대상면인 설치면에 대해 지지체(300)를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구동부(110)는 지지체(300)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네 모서리 및 긴 한 쌍의 변 중심부에 하나씩, 모두 여섯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구비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The
상기 지지구동부(110)는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300)가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안착되어 장착된 상태로 설치 위치로 이송된 후, 지지구동부(110)가 지지체(300)를 승강 지지함으로써, 차량이 지지체(300)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보조지지부(120)는 무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체(100)의 외측으로 펼쳐져 마찬가지로 지지체(100)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바닥플레 이트(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상기 보조지지부(120)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 보조지지부(120)는 수평로드(121) 및 한 쌍의 수직로드(12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로드(121)는 바닥플레이트(400)와 접촉되는 부재로서 지지체(100)의 측면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접히거나 지지체(100)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한 쌍의 수직로드(12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단이 수평로드(121)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수평로드(121)를 지지한다.To this end, the
상기 지지기둥(200)은 지지체(100)에 고정 결합되어 무대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프레임(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기둥(200)은 수평의 지지바(210)와 수직의 기둥바(220)가 결합되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수평의 지지바(210)의 중심부에 수직의 기둥바(220)의 상단이 결합되는 것이다.The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바(220)는 제1ㆍ제2ㆍ제3기둥바(221, 222, 223)로서 3단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기둥바(221)는 상단이 지지바(210)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기둥바(222)는 제1기둥바(221)에 삽입되고, 역시 내부가 비어 있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3기둥바(223)는 제2기둥바(222)에 삽입되고 하단이 지지체(100)에 고정된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따라서 상기 기둥바(220)는 이러한 다단구조가 펼쳐지면서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둥바(220)는 3단 구조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단 구조 또는 4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refore, th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둥바(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별도의 유압실린더가 기둥바(2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parate hydraulic cylind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상기 천장프레임(300)은 지지바(210)의 양끝단에 힌지(H)로 연결되어 무대의 천장 골조를 이룬다. 상기 천장프레임(300)은 철거된 상태에서는 지지바(210)의 하측으로 접힌 상태가 되고, 무대로 설치된 상태에서는 지지바(210)와 같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어 천장 골조를 이루게 된다.The
상기 제1구동부(310)는 그 일단은 지지기둥(200)에 힌지로 연결되고 그 타단은 천장프레임(300)에 힌지로 연결되며, 유압실린더로 구비되어 상기 천장프레임(300)을 지지기둥(200)에 대해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구동부(310)는 무대로 설치시에 천장프레임(300)이 지지바(210)와 같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천장프레임(300)을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One end of the
상기 바닥플레이트(400)는 지지체(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지지체(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무대의 바닥면을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바닥플레이트(400)는 제1ㆍ제2ㆍ제3바닥플레이트(410, 420, 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바닥플레이트(410)는 지지체(100)의 상면 중심부에 고정되고, 제2바닥플레이트(420)는 그 일단이 제1바닥플레이트(410)의 외측 끝단에 힌지로 연결되며, 제3바닥플레이트(430)는 제2바닥플레이트(420)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된다.The
따라서 상기 제2ㆍ제3바닥플레이트(420, 430)는 이동식 무대장치가 철거된 상태에서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접히게 되고,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1바닥플레이트(4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완전히 펼쳐진다. 이렇게 제2ㆍ제3바닥플레이트(420, 43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전술된 보조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된다.Accordingly, the second and
상기 제2구동부(415)는 제2ㆍ제3바닥플레이트(420, 430)를 제1바닥플레이트(410)에 대해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구동부(415)는 그 일단이 제1바닥플레이트(410)의 상면에 힌지로 연결되고 그 타단은 제2바닥플레이트(420)의 상면에 힌지로 연결된 유압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따라서 도 1과 같이 철거된 상태에서 제2구동부(415)가 제2바닥플레이트(420)를 가압하게 되면 제2바닥플레이트(420)가 제1바닥플레이트(410)에 대해 직접적으로 회동되고, 제3바닥플레이트(430)는 그 끝단이 지지체(100)와 보조지지부(120)와 접촉 슬라이딩되면서 간접적으로 회동되면서 펼쳐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승강패널(500)은 지지체(100)의 소정의 위치에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되고, 지지구동부(110), 제1ㆍ제2구동부(310, 415) 및 회전부(62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및 무대에 구비되는 음향, 조명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부(510) 등이 구비된다.The lifting
상기 승강패널(500)은, 하강한 상태에서는 바닥플레이트(400)의 상면과 평평하게 구비되어 무대의 바닥면 일부를 이루게 된다.The elevating
상기 승강패널(500)은 이동식 무대장치가 차량의 적재부에 안착 장착된 상태로 이송될 때에는 상승하여 컨트롤러 및 발전부(510) 등의 구성요소들을 지지체(100)의 상측에 구비한다. 그리고 이동식 무대장치가 무대로 설치될 때에는 하강하여 컨트롤러 및 발전부(510) 등의 구성요소들을 지지체(100)의 하측에 구비한다. 이는 이동식 무대장치가 무대로 설치될 때에는 차량이 이동식 무대장치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한 후이므로 지지체(100)의 하측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함이다.The elevating
이러한 승강패널(500)은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비되는데, 이 같은 패널을 승강시키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elevating
상기 수평측정부는 지지체(100) 또는 제1바닥플레이트(410)에 설치되어 지지체(100) 또는 제1바닥플레이트(410)의 수평상태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제어부는 수평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수평상태가 불량한 경우, 그 기울어진 방향을 확인하고, 해당 방향에 위치한 지지구동부(110)가 더 상승하거나 해당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지지구동부(110)가 더 하강하도록 복수의 지지구동부(110)에 각각 별도의 승강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지지체(100) 또는 제1바닥플레이트(410)의 수평상태를 개선한다.The horizontal measuring unit is installed on the
한편, 상기 커버 권취부(600)는 무대의 천장을 이루는 지지바(210)와 천장프레임(300)의 상측을 덮기 위한 커버부재(610)가 권취되고, 회전될 수 있게 지지바(210)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회전부(620)는 커버부재(610)의 외측 끝단에 연결된 연결끈(621)을 감아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천장프레임(300)의 끝단에 구비되고, 이 회전부(620)가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면 연결끈(621)이 당겨짐으로써 커버 권취부(600)에 권취되었던 커버부재(610)가 펼쳐지면서 지지바(210)와 천장프레임(300)의 상측을 덮게 된다.The
이러한 커버부재(610)는 무대로 조사되는 강한 태양빛을 차단하거나, 우천시 비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커버 권취부(600)는 양측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데, 한 쌍의 커버 권취부(600)의 사이로 조사되는 태양빛이나 유입되는 비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63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The
이하,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의 동작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에서는 상기 이동식 무대장치가 차량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접힌 상태에서 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철거되는 순서는 그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to 3D, the operation and use state of the mobile st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obile stag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movable stage apparatus is installed to be used as a stage in a folded state, and the order in which the mobile stage apparatus can be transported to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to be used as a stage is Since the reverse i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과 같이 차량의 적재부에 안착 장착되어 설치 위치로 이송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동부(110)가 작동되고 보조지지부(120)가 펼쳐지면서 이동식 무대장치를 지지하게 되고, 이때 해당 차량은 지지체(100)로부터 분리 이동된다. 이렇게 분리된 차량은 이동식 무대장치가 무대로서 설치되어 공연 등이 준비, 진행되는 동안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when the seat is mounted on the loading unit of the vehicle and transport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3A, the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310)가 작동하여 천장프레임(300)을 상측으로 펼침으로써, 무대의 천장 골조를 완성한다.Next, as shown in Figure 3b, the
이후, 제2구동부(415)가 작동하여 제2ㆍ제3바닥플레이트(420, 430)를 지지체(100) 및 보조지지부(120) 상에 펼침으로써, 무대의 바닥면을 완성한다.Thereafter, the
이때, 승강패널(500)은 하강함으로써, 컨트롤러 및 발전부(510) 등의 구성요소들은 차량이 이동함으로써 생성된 지지체(1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렇게 무대 사용시에 관객들에게 드러낼 필요가 없고 소음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들을 지지체(100)의 하측, 곧 무대 바닥면의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무대의 외관을 더 깔끔하게 할 수 있고, 소음 발생도 절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그 후, 기둥바(220)에 설치된 별도의 유압실린더가 3단으로 구성된 기둥 바(220)의 높이를 목적한 높이만큼 높게 조절한다. 이때, 회전구동부가 작동하여 회전부(620)를 회전시켜 연결끈(621)을 당김으로써 커버 권취부(600)에 권취되어 있던 커버부재(610)가 지지바(210)와 천장프레임(300)의 상측을 덮으면서, 무대의 설치가 완료된다.Thereafter, a separate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on the
이와 같이 이동식 무대장치가 설치되어 만들어진 무대는 각종 공연, 콘서트, 집회, 선거유세와 같은 행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기둥(200)이나 천장프레임(300) 등에 LED 전광판과 같은 광고부재를 설치하거나 천장프레임(300)이 접힌 상태에서 커버부재(610)에 광고 내용을 구비함으로써 옥외 광고물 또는 홍보탑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As such, the stage made by installing the mobile stage device may not only be used for various performances, concerts, rally, election campaigns, but also use advertising members such as LED signs 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구동부(110)가 구비되어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이용 효율을 제고할 수 있고, 무대 설치시에 무대 바닥면의 수평상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 및 발전부(510) 등의 구성요소들이 구비된 승강패널(500)이 지지체(100)에 대해 승강될 수 있게 구비되어 이 구성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차량 이동시에는 지지체(10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무대 설치시에는 무대의 바닥면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어 구성요소들의 배치에 있어 효율적인 공간 이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st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를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접힌 상태로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as seen from the front in a folded state to carry a mobile st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를 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로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view from the front in a state installed to be used as a stage for a mobile st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를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접힌 상태에서 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순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들이다.3A to 3D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step-by-step installation procedure for use as a stage in a folded state for transporting a mobile st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0 : 지지체 110 : 지지구동부100: support 110: support drive part
120 : 보조지지부 121 : 수평로드120: auxiliary support 121: horizontal rod
122 : 수직로드 200 : 지지기둥122: vertical rod 200: support pillar
210 : 지지바 220 : 기둥바210: support bar 220: pillar bar
221 : 제1기둥바 222 : 제2기둥바221: first pillar bar 222: second pillar bar
223 : 제3기둥바 300 : 천장프레임223: third pillar bar 300: ceiling frame
310 : 제1구동부 400 : 바닥플레이트310: first driving unit 400: floor plate
410 : 제1바닥플레이트 415 : 제2구동부410: first bottom plate 415: second drive unit
420 : 제2바닥플레이트 430 : 제3바닥플레이트420: second floor plate 430: third floor plate
500 : 승강패널 510 : 컨트롤러 및 발전부500: elevating panel 510: controller and power generation unit
600 : 커버 권취부 610 : 커버부재600: cover winding 610: cover member
620 : 회전부 621 : 연결끈620: rotating part 621: connecting string
630 : 차단부재 B : 브래킷630: blocking member B: bracket
H : 힌지H: hing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9673A KR101056282B1 (en) | 2009-10-20 | 2009-10-20 | Mobile stage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9673A KR101056282B1 (en) | 2009-10-20 | 2009-10-20 | Mobile stage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2826A KR20110042826A (en) | 2011-04-27 |
KR101056282B1 true KR101056282B1 (en) | 2011-08-11 |
Family
ID=4404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9673A KR101056282B1 (en) | 2009-10-20 | 2009-10-20 | Mobile stag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628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0535B1 (en) | 2013-10-18 | 2014-02-21 | 주식회사 더막스컴퍼니 | Show stage capable of control media picture |
KR101404026B1 (en) * | 2013-11-05 | 2014-06-10 | 김영석 | Multistage lifting apparatus and movable stage using the same |
WO2015034152A1 (en) * | 2013-09-04 | 2015-03-12 | Jung Kil | Performance vehicle |
US9394708B2 (en) | 2013-03-01 | 2016-07-19 | Stageline Scene Mobile Inc. | Articulated floor structure for a mobile stage framewor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0473B1 (en) * | 2014-01-20 | 2015-06-22 | 박숙녀 | Vehicle for electioneering tour |
KR20160025412A (en) | 2014-08-27 | 2016-03-08 | 주식회사 로보빌더 | Mobile Stage |
DE102020126556B3 (en) * | 2020-10-09 | 2021-12-30 | ACG Sound & Light Veranstaltungstechnik UG (haftungsbeschränkt) & Co. KG | MOBILE EVENT STAGE AND PROCEDURE FOR CONSTRUCTION OF THE MOBILE EVENT STA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2109A (en) * | 1990-10-11 | 1992-10-06 | Wenger Corporation | Portable performance platform |
US5979125A (en) * | 1996-02-09 | 1999-11-09 | Guillet S.A. | Foldable and mobile steps or bleachers structure |
-
2009
- 2009-10-20 KR KR1020090099673A patent/KR10105628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2109A (en) * | 1990-10-11 | 1992-10-06 | Wenger Corporation | Portable performance platform |
US5979125A (en) * | 1996-02-09 | 1999-11-09 | Guillet S.A. | Foldable and mobile steps or bleachers structur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94708B2 (en) | 2013-03-01 | 2016-07-19 | Stageline Scene Mobile Inc. | Articulated floor structure for a mobile stage framework |
US9512629B2 (en) | 2013-03-01 | 2016-12-06 | Stageline Scene Mobile Inc. | Mobile stage framework and method of handling |
WO2015034152A1 (en) * | 2013-09-04 | 2015-03-12 | Jung Kil | Performance vehicle |
KR101350535B1 (en) | 2013-10-18 | 2014-02-21 | 주식회사 더막스컴퍼니 | Show stage capable of control media picture |
KR101404026B1 (en) * | 2013-11-05 | 2014-06-10 | 김영석 | Multistage lifting apparatus and movable stage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2826A (en) | 2011-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6282B1 (en) | Mobile stage equipment | |
CN101863436B (en) | Multifunctional truck special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expressway signboards | |
CN210239197U (en) | Can roll up rail guard | |
WO2019015243A1 (en) | Shaft module splicing system and splicing method therefor | |
CN208265392U (en) | A kind of construction site laying belt frame easy to remove | |
RU2657890C2 (en) | Mobile attraction assembly and disassembly | |
CN105645321A (en) | Agricultural lifting device | |
US5622013A (en) | Structure of multipurpose suspended roof arena capable of changing space volu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H10245189A (en) | Omnidirectional moving crane used for high rise building construction | |
CN101264848A (en) | Cargo hoister for building | |
GB2085941A (en) | Collapsible portable shelter | |
CN206397171U (en) | A kind of assembled architecture prefabricated components with locomotive function | |
JP2004278117A (en) | Electromotive balance arm device for work on external wall of building | |
RU2656257C1 (en) | Workshop mobile construction | |
KR20120051230A (en) | Portable light device | |
CN209538759U (en) | Applied to the jack up high-building construction workshop on climbing frame | |
US6357550B1 (en) | Elevated accommodation assembly | |
CN217100256U (en) | Multifunctional automatic electromechanical equipment carrying device | |
CN206520530U (en) | A kind of paulin caravan and the Multifunctional movable paulin room containing the paulin caravan | |
CN106012788A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prying up bricks | |
CN220366246U (en) | Novel LED magic square screen | |
CN219993631U (en) | Road reconnaissance drilling equipment | |
CN111071136A (en) | Vehicle-mounted detachable automatic building exhibition stand | |
CN210976748U (en) | Movable stage capable of being rapidly extended | |
CN217001902U (en) | Waterproof material tunnel construction lay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