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986B1 -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986B1
KR101054986B1 KR1020057007340A KR20057007340A KR101054986B1 KR 101054986 B1 KR101054986 B1 KR 101054986B1 KR 1020057007340 A KR1020057007340 A KR 1020057007340A KR 20057007340 A KR20057007340 A KR 20057007340A KR 101054986 B1 KR101054986 B1 KR 101054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rotation wheel
opening
rotation
low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351A (ko
Inventor
다까쯔구 후나와따리
스스무 시바가끼
나오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05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40895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05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78674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1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3)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이며, 제1 개구부(24)가 형성된 하부 쉘(7)과, 이 하부 쉘에 맞대어 상부 쉘(6)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본체(2)와, 카트리지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광 디스크를 수납하고, 이렇게 수납된 광 디스크를 외부에 면하게 하는 제2 개구부(44)가 형성된 로테이션 휠(4)과, 하부 쉘과 로테이션 휠 사이에 위치하고, 로테이션 휠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일치하였을 때, 이러한 개구부를 개방하는 한 쌍의 셔터판(5a, 5b)을 구비하고, 로테이션 휠에는 한 쪽의 셔터판(5a)의 주연부에 결합하는 결합 홈(50)이 형성되어 있다.
광 디스크, 하부 쉘, 상부 쉘, 카트리지 본체, 셔터판, 결합 홈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DISK CARTRIDGE}
본 발명은 기록 매체로서 이용되는 디스크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를 수납한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된 셔터 부재의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 있어서 2003년 8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3-305310호 및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3-305312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러한 출원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채용된다.
디스크 카트리지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2003-109343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기록 재생용의 개구부를 한 쌍의 셔터판이 결합되어 폐색하고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있는 한 쌍의 셔터판이 무리하게 압박되었을 때 등은, 셔터판과 카트리지 본체의 제1 개구부 주연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 버린다. 간극이 발생하면, 그 간격으로부터 카트리지 본체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게 되고, 먼지 등은 내부에 수납된 디스크에 부착하면 정확하게 정보 신호를 기록하고, 또는 기록된 정보 신호를 판독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이용하는 디스크와 기록 포맷을 공통으로 한 소직경의 광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경우, 단지 치수를 작게 할 수는 없다. 이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장전할 때, 광 픽업의 진입하는 기록 재생용의 개구부 등은 호환성을 도모하기 위해 작게 할 수는 없고, 표준적 크기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기록 재생용의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로 해야만 한다. 따라서, 소형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는 개구부의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이 커져 강도적으로 약해져 버린다.
예를 들어, 강도의 저하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가 쉽게 휘어지면, 셔터 부재와 카트리지 본체 사이 등에 간극이 더 쉽게 생기게 되어 내부에 먼지 등이 쉽게 침입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나 셔터 부재가 휨 변형하여 수납된 디스크에 접촉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디스크에 먼지 등이 부착되거나, 카트리지 본체나 셔터 부재가 디스크에 접촉하여 손상시키면, 디스크에 대해 정확하게 정보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정보 신호를 판독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 부재의 휨 변형을 방지하여 카트리지 본체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기록 및/또는 재생용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 쉘과, 하부 쉘에 맞대어지는 상부 쉘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됨과 함께 디스크를 수납하고, 수납된 디스크를 외부에 면하게 하는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된 로테이션 휠과, 하부 쉘과 로테이션 휠 사이에 위치하고, 로테이션 휠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셔터판을 갖고,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일치하였을 때,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개방하는 셔터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로테이션 휠에는, 한 쌍의 셔터판 중 적어도 한쪽에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로테이션 휠의 결합 홈이 한 쪽의 셔터판에 결합하기 때문에, 셔터판의 휨 변형을 방지하여 카트리지 본체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부 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하부 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상부 쉘의 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5는 상부 쉘의 전방면측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6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하부 쉘의 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7은 삽입 안내 홈과 삽입 안내 핀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 다.
도8은 로테이션 휠을 광 디스크가 수납되는 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9는 로테이션 휠을 하부 쉘측의 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0은 로테이션 휠에 형성된 피조작부를 설명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11은 셔터판의 부상 방지 기구를 설명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12는 로테이션 휠을 한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의 걸림 돌기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3은 셔터판과 로테이션 휠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4는 제1 셔터판의 회전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5는 제1 셔터판의 안내 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6은 제2 셔터판의 회전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7은 셔터판이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를 하부 쉘 및 광 디스크를 제외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8은 셔터판이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하부 쉘 및 광 디스크를 제외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9는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0은 로테이션 휠의 테이퍼부와 로크 홈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로테이션 휠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1은 로크 해제 부재에 면하게 된 삽입 안내 홈에 로크 해제 핀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2는 삽입 안내 홈에 로크 해제 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3은 삽입 안내 홈의 폭과 로크 해제 핀의 굵기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24는 삽입 안내 홈과 로케이션 홀과 얼라인먼트 홀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5는 제1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평2003-109343호 공보에 기재한 표준 크기의 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호환성을 유지하여 장착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이다.
상기 특허 공보에 기재된 표준 크기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직경을 대략 12 ㎝로 하는 광 디스크를 수납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표준 크기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광 디스크보다 소직경의 광 디스크를 수납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표준 크기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비해 소직경의 광 디스크를 수납하고 있으므로, 기록 용량은 표준 크기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비해 작지만, 외형 형상을 작게 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1)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트리지 본체(2)의 내부에 광 디스크(3)가 수납되는 로테이션 휠(4)과, 셔터 기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을 수납하여 이루어진다. 카트리지 본체(2)는 1 세트의 상부 쉘(6)과 하부 쉘(7)을 맞대어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1)에 이용되는 광 디스크(3)는, 중심부에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가 결합되는 센터 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 디스크(3)는 정보 신호에 대응한 피트 패턴이 디스크 기판에 미리 형성된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라도 좋고, 또한 기록층에 상변화 재료를 이용한 재기입형의 광 디스크라도 좋고, 또한 기록층에 유기 색소 재료 등을 이용하는 추기형의 광 디스크라도 좋다. 게다가, 사용되는 기록 매체로서는 광 디스크 외, 광 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이라도 좋다.
카트리지 본체(2)를 구성하는 상부 쉘(6)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부 쉘(6)은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의 삽입 단부측이 되는 전방면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상부 쉘(6)에는 카트리지 본체(2)의 측면을 구성하는 외주벽(8)이 주요면의 외주연부에 따라서 수직 상승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8)에는 전방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광 픽업을 진입시키기 위한 제1 픽업 진입용 오목부(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벽(8)에는 하부 쉘(7)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형성한 복수의 보스(10)가 예를 들어 각 코너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8)의 내주측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휠(4)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대략 원환형의 내주벽(11)이 외주벽(8)에 내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벽(11)에는 전방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광 픽업을 진입시키기 위한 제2 픽업 진입용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벽(11)은 내측에 로테이션 휠(4)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고, 로테이션 휠(4)이 회전할 때 안내벽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부 쉘(6)의 주요면부는 로테이션 휠(4)이 수납되었을 때, 로테이션 휠(4)로 디스크 수납부를 구성한다. 또한, 내주벽(11)의 내측 기단부이며 제2 픽업 진입용 오목부(12)의 근방에는, 로테이션 휠(4)을 들어 올리는 리프터(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프터(14)는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이 제1 개구부(24)를 폐색할 때, 로테이션 휠(4)을 하부 쉘(7) 측에 들어 올린다.
상부 쉘(6)의 내면 대략 중앙부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디스크 회전 구동부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과 함께 광 디스크(3)를 협지하는 클램핑 플레이트(13)가 부착되어 있다. 이 클램핑 플레이트(13)는 부착 링(13a)에 의해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클램핑 플레이트(13)는 부착 링(13a)과 상부 쉘(6)의 내면 대략 중앙부로 끼워 넣도록 하고, 부착 링(13a)을 상부 쉘(6)의 내면 대략 중앙부에 용착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부착된다. 광 디스크(3)는 센터 구멍(3a)에 디스크 테이블의 중심부에 마련한 센터 링부가 결합되고, 또한 디스크 테이블과 클램핑 플레이트(13)로 협지됨으로써,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상부 쉘(6)의 내면에는, 더 후술하는 하부 쉘(7)의 로케이션 홀(26a)을 구성하는 수직 상승 벽(16a)이나 얼라인먼트 홀(26b)을 구성하는 수직 상승 벽(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부 쉘(6)에 결합되는 하부 쉘(7)은, 도2, 도3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상부 쉘(6)과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쉘(7)은, 전체 대략 직사각 형상의 주요면 중,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삽입되는 전방면측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하부 쉘(7)에는 카트리지 본체(2)의 측면을 이루는 외주벽(21)이 주요면의 외주연에 따라서 수직 상승 형성되고, 또한 외주벽(21)에 내접하도록 내주벽(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쉘(7)에는 외주벽(21)의 전방면측 중앙부가 광 픽업이나 디스크 테이블을 진입할 수 있게 개방된 제1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개구부(24)는 전방면측의 개방 단부로부터 광 디스크(3)의 신호 기록면의 일부를 내외주에 걸쳐 외방에 면하게 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광 픽업용 개구부(24a)와, 광 픽업용 개구부(24a)와 연속한 광 디스크(3)의 센터 구멍(3a)을 외방에 면하게 하는 회전 구동용 개구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즉, 기록 재생용 개구부(24a)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광 픽업을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에 진입시키는 데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 구동용 개구부(24b)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을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데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 픽업용 개구부(24b)의 한 쪽의 개구 단부측은 개구 단부가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24c)는, 후술하는 로테이션 휠(4)의 피조작부(45)가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이 제1 개구부(24)를 개방한 상태에 위치하였을 때, 피조작부(45)가 수용되는 부분이 된다.
제1 개구부(24)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용 개구부(24a)의 한 쪽의 측면 모서리부 및 구동용 개구부(24b)의 한 쪽의 측면 모서리에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이 제1 개구부(24)를 폐색하고 있을 때,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볼록부(27)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벽(21)의 배면측에는, 상술한 상부 쉘(6)측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 보스(10)에 맞대어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보스(22)가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쉘(6)과 하부 쉘(7)과는 하부 쉘(7)의 보스(22)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나사(23)를 삽입 관통하고, 상부 쉘(6)의 보스(10)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결합된다.
또한, 하부 쉘(7)의 전방면에는 양쪽에 디스크 카트리지(1)를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삽입될 때에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삽입 안내 부재가 결합되는 삽입 안내 홈(25a, 25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안내 홈(25a, 25b)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단부측이 가장 폭 넓게 형성되고, 삽입 안내 핀(100)이 진입하기 쉽게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 안내 홈(25a, 25b)의 가장 안쪽은 삽입 안내 핀(10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1)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에도, 면 방향의 위치 결 정을 도모할 수 있어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쪽의 삽입 안내 홈(25b)에는, 후술하지만 로크 기구(71)가 설치되고, 로크 기구(71)를 구성하는 로크 부재(72)의 로크 해제 부재(77)가 면하게 되고, 삽입 안내 홈(25b)에 결합하는 삽입 안내 핀(100)은 로크 해제 부재(77)를 압박하는 로크 해제 핀으로서 기능한다.
게다가, 하부 쉘(7)의 배면측의 한 쪽의 코너부 근방에는,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1)를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위치 결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기준 구멍이 되는 로케이션 홀(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코너부 근방에는 조정용의 얼라인먼트 홀(26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쉘(6)과 하부 쉘(7)이 맞대어져 구성된 카트리지 본체(2)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양 측면부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측으로부터 배면측에 걸쳐,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 삽입할 때의 안내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쉘(6)과 하부 쉘(7)이 맞대어지면, 내주벽(11)의 내측에 로테이션 휠(4)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구성된다. 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로테이션 휠(4)은,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재료를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로테이션 휠(4)의 주요면부는 대략 접시형을 이루고, 오목부측이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부 쉘(6)과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의 한 쪽의 주요면으로 디스크 수납부를 구성한다. 이 로테이션 휠(4)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연부에는 링부(43)가 수직 상승 형성되어 있다. 로테이션 휠(4)의 주요면부에는, 하부 쉘(7)에 설치된 제1 개구부(24)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제2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44)는 하부 쉘(7)의 제1 개구부(24)와 일치하였을 때, 이렇게 수납된 광 디스크(3)를 외부에 면하게 한다. 즉, 이 제2 개구부(44)는 제1 개구부(24)의 광 픽업용 개구부(24a)에 대응한 개구부와 회전 구동용 개구부(24b)에 대응한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개구부(44)는 제1 개구부(24)와의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중심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서서히 폭을 넓히도록 형성되고, 로테이션 휠(4)의 제조 오차나 부착 오차에 따라, 제1 개구부(24)가 작아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44)는 직경 방향의 양 측면 모서리가 1°정도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부(43)의 기단부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면부 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42)는 광 디스크(3)의 외주연을 선 접촉으로 지지하고, 광 디스크(3)의 신호 기록면이 로테이션 휠(4)의 주요면부와 면 접촉하여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2 개구부(44)의 외측 면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이 위치한다. 그래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44)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에는,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이 제2 개구부(44)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테이퍼부(44a, 44b)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로테이션 휠(4)에는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제1 셔터판(5a)에 결합하고, 이 셔터판(5a)의 부상을 방지하는 결합 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홈(50)은 제1 개구부(24)의 측면 모서 리부측을 개구 단부로서 단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로테이션 휠(4)의 제2 개구부(44) 근방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셔터 개방 기구를 구성하는 셔터 개방 핀(41)이 결합되는 피조작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피조작부(45)는 제1 피조작 부재(45a)와 제2 피조작 부재(45b)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을 개방한 오목부를 구성하고 있고, 여기에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셔터 개방 핀(41)이 결합된다. 제1 피조작 부재(45a)는 로테이션 휠(4)이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을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셔터 개방 핀(41)이 충돌하는 부재이며, 제2 피조작 부재(45b)는 로테이션 휠(4)이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을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셔터 개방 핀(41)이 충돌하는 부재가 된다. 후술하지만, 로테이션 휠(4)은 압박 부재(48)에 의해,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개방하는 도10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고, 따라서 제1 피조작 부재(45a)에는 제2 피조작 부재(45b)보다 큰 힘이 가해진다. 그래서, 제1 피조작 부재(45a)는 기계적 강도가 증가되도록 제2 피조작 부재(45b)보다 크게 형성되고, 여기서는 제1 피조작 부재(45a)의 높이(h1)가 제2 피조작 부재(45b)의 높이(h2)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피조작 부재(45a)는 제2 피조작 부재(45b)보다 높게 형성하고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또한 셔터 개방 핀(41)이 보다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피조작부(45)는 로테이션 휠(4)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개구부(24)가 형성된 하부 쉘(7)의 전방면보다 외부로 노출되고, 제1 개구부(24)의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조작부(35)는 셔터판(5a, 5b)이 제1 개구부(24)를 개방하고 있을 때, 테이퍼부(24c)에 의해 폭이 넓어진 부분에 위치한다.
이 피조작부(45)에는 제1 피조작 부재(45a)와 제2 조작 부재(45b)의 기단부에,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셔터판(5a)에 결합하는 결합 홈(45c)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홈(45c)은 셔터판(5a, 5c)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제1 셔터판(5a)에 결합함으로써, 제1 셔터판(5a)의 부상이나 부침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개구부(24)의 주연부와 제1 셔터판(5a)과의 간극이 없어져,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피조작부(45)의 결합 홈(45c)은 로테이션 휠(4)의 제2 개구부(44) 근방에 형성된 결합 홈(50)과 함께, 제1 셔터판(5a)의 부상이나 부침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 개구부(44)와 셔터판(5a)과의 간극이 없어져,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피조작 부재(45b)는 하부 쉘(7)의 제1 개구부(24)의 주연부의 일부와 대향하는 상부 쉘(6)의 외주벽(8)과 내주벽(11)을 연결하는 규제부(29)에 충돌함으로써 로테이션 휠(4)의 회전 영역이 규제된다.
또한, 로테이션 휠(4)과 하부 쉘(7) 사이에는 한 쌍의 셔터판(5a, 5b)이 배치된다. 그래서, 로테이션 휠(4)의 셔터판(5a, 5b)이 배치되는 면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판(5a, 5b)과의 접촉 면적을 삭감하고, 미끄럼 이동 저항을 줄 이기 위한 돌기부(46)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46)는 호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예를 들어 20 ㎛ 정도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로테이션 휠(4)은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압박 부재(48)에 의해,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 이 압박 부재(48)는 일단부가 로테이션 휠(4)의 링부(43)에 형성된 걸림 부재(48a)에 걸리고, 타단부가 도4에 도시한 상부 쉘(6)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48b)에 걸려 있다. 그리고, 압박 부재(48)는 로테이션 휠(4)의 회전에 수반하여 신축하지만, 상부 쉘(6)의 내면이며 내주벽(11)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 상승 벽과 외주벽(8)으로 형성된 안내 홈(49)으로 안내되고, 신축시에 카트리지 본체(2) 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로테이션 휠(4)의 외주연에도,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안내 홈(49)을 거의 폐색하는 플랜지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쉘(6)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48b)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쉘(6)과 하부 쉘(7)이 결합되었을 때, 선단부가 하부 쉘(7)의 내면에 형성된 대략 통형의 보강 리브(48c)에 결합되고, 압박 부재(48)의 압박력이 가해지는 걸림 돌기(48b)를 보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로테이션 휠(4)은 압박 부재(48)에 의해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고, 피조작부(45)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셔터 개방 핀(41)에 의해,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내주벽(11)은 로테 이션 휠(4)이 회전할 때의 안내벽으로서 기능한다.
하부 쉘(7)에 형성된 제1 개구부(24)나 로테이션 휠(4)에 형성된 제2 개구부(44)를 개폐하는 셔터 기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셔터판(5a)이 제2 셔터판(5b)에 대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셔터판(5a)은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는 제1 셔터부(51)와, 상부 쉘(6)의 내면이며 외주벽(8)과 내주벽(11) 사이에 형성된 제1 지지축(52)에 회전 지지되는 제1 회전 지지부(53)와, 작은 쪽의 제2 셔터판(5b)이 부착되는 제2 축 구멍(54)을 구비한다.
제1 셔터부(51)는 제2 개구부(44)의 폐색시에 로테이션 휠(4)의 제2 개구부(44)의 일측면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측면 모서리부(51a)와, 제1 측면 모서리부(51a)에 연속한 제2 측면 모서리부(51b)와, 제2 측면 모서리부(51b)에 연속한 제3 측면 모서리부(51c)를 갖는다. 제2 측면 모서리부(51b)는 제1 측면 모서리부(51a)보다 내측으로 절곡하고, 제3 측면 모서리부(51c)는 제2 측면 모서리부(51b)에 대해 외측으로 절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측면 모서리부(51a 내지 51c)와 대향하는 제4 측면 모서리부(51d)에는, 상부 쉘(6)이나 하부 쉘(7)의 한 쪽의 코너부에 형성된 보스(10, 22), 로테이션 홀(26a), 오기록 방지 부재 등을 피하기 위한 파선형의 퇴피부(51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면 모서리부(51b)와 제3 측면 모서리부(51c)와는, 서로 역방향으로 테이퍼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면 모서리부(51a)는 로테이션 휠(4)에 형성된 결합 홈(50)에 결합하여 부상 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셔터부(51)에는 하부 쉘(7) 측의 면에, 하부 쉘(7)의 제1 개구부(24)의 주연부에 형성된 볼록부(27)와 결합하는 홈부(51f)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51f)는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로테이션 휠(4)이 상부 쉘(6)의 리프터(14)에 의해 하부 쉘(7) 측에 들어 올려지고, 제1 개구부(24)의 주연부에 형성된 볼록부(27)와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제1 셔터부(51)의 광 디스크(3)측의 면에는 로테이션 휠(4)의 주요면부에 형성된 안내 홈(55)에 결합하는 안내 돌기(51g)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기(51g)는 로테이션 휠(4)의 안내 홈(55)에 결합함으로써, 제1 셔터판(5a)의 회전을 규제한다. 또한, 제1 셔터부(51)에는 광 디스크(3)측의 면에, 셔터판(5a)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돌기(51h)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기(51h)는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광 디스크(3)의 센터 구멍(3a)의 주위의 내주측 비신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가령 제1 셔터판(5a)이 압박되어 내측으로 변위되었을 때라도, 광 디스크(3)의 신호 기록 영역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규제 돌기(51h)는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개방하고 있을 때, 로테이션 휠(4)의 중앙으로 형성된 릴리프 홈(56)에 진입하고, 셔터판(5a)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셔터판(5a)의 제1 회전 지지부(53)에는 셔터부(51)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강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여기에 상부 쉘(6)에 형성된 제1 지지축(52)이 삽입 관 통되는 제1 축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축(52)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축 구멍(53a)에 삽입 관통되었을 때, 제1 회전 지지부(53)보다 돌출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지지축(52)의 선단부는 하부 쉘(7)에 형성된 베어링부(57)에 결합하고,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 회전 지지부(53)가 제1 지지축(52)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제1 지지축(52)의 강도 보강을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제1 셔터판(5a)에 결합하는 제2 셔터판(5b)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셔터부(51)와 함께,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는 제2 셔터부(61)와, 제1 셔터판(5a)에 형성된 제2 축 구멍(54)에 부착되는 제2 회전 지지부(62)를 갖는다.
제2 셔터부(61)는 제1 셔터부(51)의 제2 측면 모서리부(51b)와 결합하는 제1 측면 모서리부(61a)와, 제1 측면 모서리부(61a)와 연속하여 제1 셔터부(51)의 제3 측면 모서리부(51c)와 결합하는 제2 측면 모서리부(61b)와, 제2 측면 모서리부(61b)의 반대측에 제1 측면 모서리부(61a)와 연속한 제3 측면 모서리부(61)를 갖는다. 제1 측면 모서리부(61a)는 제1 셔터부(51)의 제2 측면 모서리부(51b)의 테이퍼부와는 역방향의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제2 측면 모서리부(61b)는 제1 셔터부(51)의 제3 측면 모서리부(51c)의 테이퍼부와 역방향의 테이퍼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면 모서리부(61a)의 테이퍼부와 제2 측면 모서리부(61b)의 테이퍼부도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였을 때, 제1 셔터부(51)의 제2 측면 모서리부(51b)와 제2 셔터부(61)의 제1 측 면 모서리부(61a)의 테이퍼부가 맞물리고, 게다가 제1 셔터부(51)의 제3 측면 모서리부(51c)의 테이퍼부와 제2 셔터부(61)의 제2 측면 모서리부(61b)의 테이퍼부가 맞물리고, 각각은 역방향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한 쌍의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셔터판(5a, 5b)은 서로 맞물림으로써 결합부보다 내부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셔터판(5a, 5b)이 압박되었을 때 휘어지기 어렵다.
또한,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로테이션 휠(4)에 형성된 피조작부(45)의 결합 홈(45c)에는 제1 셔터판(5a)이 결합되고, 게다가 결합 홈(50)에는 제1 셔터부(51)의 제1 측면 모서리부(51a)가 결합됨으로써, 제1 셔터판(5a)의 부상이나 부침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개구부(24)의 주연부와 제1 셔터판(5a)과의 간극이 없어져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3 측면 모서리부(61c)의 제1 측면 모서리부(61a)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돌기부(6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61d)는 제2 셔터판(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하부 쉘(7)의 전방면측의 제1 개구부(24) 근방에 형성된 결합부(61e)에 결합되고, 제1 개구부(24)와 제2 셔터판(5b)과의 간극으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2 셔터부(61)에는 로테이션 휠(4)에 형성된 제1 제어 돌기(63)가 결합되는 홈형의 제1 캠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캠부(64)는 제1 제어 돌기(63)가 결합됨으로써, 제2 셔터판(5b)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1 캠부(64)는 로테이 션 휠(4)의 외주측의 폭이 좁은 협폭부(64a)와, 로테이션 휠(4)의 중앙으로부터의 협폭부(64a)보다 폭이 넓은 확폭부(64b)로 이루어지고, 협폭부(64a)는 제2 셔터판(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개방할 때 전반 부분에서 제2 셔터판(5b)을 회전하고, 제1 제어 돌기(63)가 확폭부(64b)로 이동하면, 제2 셔터판(5b)에 대한 회전 조작력이 개방된다.
또, 로테이션 휠(4)에 형성된 제1 제어 돌기(63)의 선단부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7)의 내면에 형성된 릴리프 홈(63a)에 결합하고, 제1 캠부(64)로부터 충격 등에 의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셔터부(61)에는 로테이션 휠(4)의 주요면부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된 제2 캠부(65)에 결합하는 제2 제어 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캠부(65)는 로테이션 휠(4)의 중앙측에서 제1 방향으로 만곡한 제1 만곡부(65a)와, 로테이션 휠(4)의 외주측에서 제1 만곡부(65a)와는 반대측의 제2 방향으로 만곡한 제2 만곡부(65b)로 이루어지고, 제1 만곡부(65a)는 제2 셔터판(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개방할 때의 전반 부분에서 하등 작용하지 않고, 제2 제어 돌기(66)가 제2 만곡부(65b)로 이동하면, 즉 제2 셔터판(5b)의 회전 후 절반 부분에서 제2 만곡부(65b)는 상술의 제1 캠부(64) 대신에, 제2 셔터판(5b)을 회전한다.
제2 회전 지지부(62)에는 제2 지지축(62a)이 형성되고, 이 제2 지지축(62a)은 제1 셔터판(5a)의 제1 회전 지지부(53)에 형성된 제2 축 구멍(54)에 삽입 관통된다. 따라서, 제2 셔터판(5b)은 로테이션 휠(4)에 대해 회전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셔터판(5)에 대해 회전한다. 또, 제2 지지축(62a)의 선단부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 지지부(62)보다 돌출하고, 선단부가 하부 쉘(7)의 내면에 형성된 릴리프 홈(62b)에 결합하고, 제2 축 구멍(54)으로부터 충격 등에 의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로테이션 휠(4)의 회전과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의 동작에 대해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은,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및 제2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로테이션 휠(4)은 압박 부재(48)의 압박력에 의해 도17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압박된 상태에 있고, 피조작부(45)는 제1 개구부(24)의 일측면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셔터부(51)의 제2 측면 모서리부(51b)와 제2 셔터부(61)의 제1 측면 모서리부(61a)의 테이퍼부가 맞물리고, 또한 제1 셔터부(51)의 제3 측면 모서리부(51c)의 테이퍼부와 제2 셔터부(61)의 제2 측면 모서리부(61b)의 테이퍼부가 맞물리고, 각각은 역방향으로 맞물려 결합부보다 내부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셔터판(5a, 5b)이 압박되었을 때, 휘어지기 어렵다.
이 때, 제1 셔터판(5a)의 안내 돌기(51g)는 로테이션 휠(4)의 안내 홈(55)의 로테이션 휠(4)의 중앙으로부터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2 셔터판(5b)의 제1 캠부(64)에는 제1 제어 돌기(63)가 협폭부(64a)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제2 셔터판(5b)의 제2 제어 돌기(66)는 로테이션 휠(4)의 제2 캠부(65)의 제1 만곡부(65a)에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로테이션 휠(4)은 피조작부(45)로 압박 부재(48)의 압박력에 저항하 여 도17 중 반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되면, 안내 홈(55)에 안내 돌기(51g)가 결합된 제1 셔터판(5a)이 상부 쉘(6)의 제1 지지축(52)을 중심으로 하고, 도17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셔터판(5a)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셔터판(5b)은 제1 셔터판(5a)의 제2 지지축(62a)을 중심으로, 제1 셔터판(5a)에 대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셔터판(5b)의 회전 개시시는, 로테이션 휠(4)의 제1 제어 돌기(63)가 결합된 제1 캠부(64)의 협폭부(64a)에 의해 회전된다. 또, 제2 셔터판(5b)의 회전 개시시에 있어서, 제2 셔터판(5b)의 제2 제어 돌기(66)가 결합된 로테이션 휠(4)의 제2 캠부(65)의 제1 만곡부(65a)는 제2 제어 돌기(66)에 대해 회전 조작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로테이션 휠(4)이 반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휠(4)의 안내 홈(55)에 결합한 안내 돌기(51g)는 안내 홈(55)의 로테이션 휠(4)의 외주측의 타단부로 이동한다. 제1 셔터판(5a)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셔터판(5b)은 제1 셔터판(5a)의 제2 지지축(62a)을 중심으로, 제1 셔터판(5a)에 대해 도17 중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로테이션 휠(4)의 제1 제어 돌기(63)의 제1 캠부(64)의 확폭부(64b)로 이동하고, 제2 셔터판(5b)에 대해 하등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대신하여, 제2 셔터판(5b)의 제2 제어 돌기(66)는 제1 만곡부(65a)로부터 제2 만곡부(65b)로 이동하고, 제2 셔터판(5b)을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는 개방되고, 로테이션 휠(4) 내에 수납되어 있는 광 디스크(3)를 내외주에 걸쳐 외부에 면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카트리지 본체(2) 내에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휠(4)의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셔터판(5a, 5b)이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한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로크 기구(71)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17,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로크 기구(71)는, 로테이션 휠(4)을 로크하는 로크 부재(72)를 갖는다. 로크 부재(72)는 베이스부(73)를 갖고, 이 베이스부(73)에는 하부 쉘(7)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축(74)이 삽입 관통되는 축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73)는, 로테이션 휠(4)의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부(76)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로크 해제 핀으로서도 기능하는 삽입 안내 핀(100)에 의해 압박되는 로크 해제 부재(77)와, 베이스부(73)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부재(78)와, 압박 부재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 부재(7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 부재(72)는 하부 쉘(7)의 배면측에 형성된 얼라인먼트 홀(26b) 측의 삽입 안내 홈(25b) 근방에 배치된다. 로크 부재(72)는 하부 쉘(7)의 지지축(74)에 축 구멍(75)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하부 쉘(7)에 부착된다.
또, 지지축(74)은 로크 부재(72)가 부착되었을 때에도 선단부가 베이스부(73)보다 돌출한다. 그리고, 돌출한 지지축(74)의 선단부는 상부 쉘(6)측에 설치된 베어링부(86)에 결합되고,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져도 로크 부재(72)가 지지축(74)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즉 지지축(74)의 강도 보강을 하고 있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72)는 로크부(76)가 내방을 향하고, 로크 해제 부재(77)가 삽입 안내 홈(25b) 내에, 삽입 안내 홈(25b)을 구성하는 수직 상승 벽에 형성된 릴리프 구멍(80)으로부터 향하게 된다. 또한, 회전 규제 부재 (78)는 이 수직 상승 벽에 연속한 보스(22)에 맞부딪침으로써 로크 부재(72)의 회전을 규제한다.
로크 부재(72)가 부착되는 지지축(74)의 근방에는, 또한 로크 부재(72)를 한 방향으로 압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82)가 부착되는 부착 핀(8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 핀(83)에는 압박 부재(82)의 코일부가 권취 삽입된다. 부착 핀(83)에 부착된 압박 부재(82)는, 한 쪽의 아암부가 보스(22)에 걸리고, 타단부가 로크 부재의 걸림 부재(79)에 걸리고, 로크 부재(72)를 로크 해제 부재(77)가 삽입 안내 홈(25b)의 개구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로크 상태가 되는 도17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압박한다.
베이스부(73)의 로크부(76)는 로테이션 휠(4)의 외주부보다 약간 내방에 위치한다. 로테이션 휠(4)에는 외주부보다 약간 내측으로 베이스부(73)보다 돌출한 로크부(76)가 결합되는 로크 홈(8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 홈(84)에는 내측으로 결합 오목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오목부(85)는, 도17 중 반화살표 A 방향으로 로테이션 휠(4)이 회전하고자 하였을 때, 상측이 대략 수직 벽에서 형성되고, 로크부(76)의 수직 벽과 대향하여 확실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부(76)는, 이 결합 오목부(85)에 결합함으로써, 로테이션 휠(4)의 회전을 로크한다. 이 로크 홈(84)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휠(4)의 광 디스크(3)가 수납되는 쪽의 면이며, 링부(43)의 기단부에 형성된 광 디스크(3)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테이퍼부(42)의 하측에 형성되고, 불필요하게 두께부를 마련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로크 부재(72)는 활성이 우수하고 미끄럼 이동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 예를 들어 폴리아세타르 수지로 형성되고, 하부 쉘(7)이나 지지축(74)에 대해 마찰 저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7을 이용하여,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면, 로크 부재(72)는 지지축(74)을 중심으로 하고, 압박 부재(82)의 압박력에 의해 도17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 때, 로크부(76)는 내측에 형성된 로크 홈(84)의 결합 오목부(85)에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로테이션 휠(4)은 결합 오목부(85)에 로크부(76)가 결합됨으로써 회전이 금지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반화살표 D 방향으로 로테이션 휠(4)을 회전하는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이 때 로크부(76)는 결합 오목부(85)에 파고 드는 도17 중 화살표 D 방향의 힘이 작동된다. 따라서, 이 로크 부재(72)는 확실하게 로테이션 휠(4)의 회전을 로크할 수 있다.
또한, 로크 해제 부재(77)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프 구멍(80)보다 삽입 안내 홈(25b) 내의 전방면 개구 단부측을 향하게 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로크 해제 핀이 되는 삽입 안내 핀(100)이 압박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안내 홈(25b)의 바닥면은 전방면측이 개구되어 있다. 로크 해제 부재(77)는 삽입 안내 홈(25b)의 바닥면의 단부면(87)보다 전방면 개구 단부측에 더 면하게 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로크 해제 핀이 되는 삽입 안내 핀(100)이 압박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로크 해제 부재(77)는 삽입 안내 홈(25b) 내로 향하게 됨으로써 오조작이 방지되어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1)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삽입되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해제 핀이 삽입 안내 홈(25b)에 진입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로크 해제 핀이 되는 삽입 안내 핀(100)은 삽입 안내 홈(25b)에 전방면측 개구 단부로부터 진입하면, 우선 로크 해제 부재(77)를 압박하고, 이어서 삽입 안내 핀(100)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가 되는 바닥면의 단부면(87)에 충돌한다. 이와 동시에, 삽입 안내 홈(25a) 측에도 삽입 안내 핀(100)이 진입한다. 로크 해제 부재(77)는 삽입 안내 핀(100)에 의해, 삽입 안내 핀(100)이 규제부가 되는 단부면(87)에 충돌하기까지 압박된다. 그렇게 하면, 로크 부재(72)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74)을 중심으로, 압박 부재(82)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도17 중 반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로크부(76)는 로크 홈(84) 내의 결합 오목부(85) 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로크부(76)는 로크 홈(84) 내를 로테이션 휠(4)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한다.
또,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로크 해제 핀(88)의 폭을 W1로 하고, 삽입 안내 홈(25b)의 폭을 W2로 하였을 때, W1 ≥ W2/2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삽입 안내 핀(100)이 로크 해제 부재(77)를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1)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장착되기 전에는, 도1, 도2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 있다. 즉, 한 쌍의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로테이 션 휠(4)은 압박 부재(48)의 압박력에 의해 도17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 압박된 상태에 있고, 피조작부(45)는 제1 개구부(24)의 일측면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피조작부(45)의 결합 홈(45c)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휠(4)의 제2 개구부(44) 근방에 형성된 결합 홈(50)과 함께, 제1 셔터판(5a)의 부상이나 부침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1 셔터부(51)의 제2 측면 모서리부(51b)와 제2 셔터부(61)의 제1 측면 모서리부(61a)의 테이퍼부가 맞물리고, 게다가 제1 셔터부(51)의 제3 측면 모서리부(51c)의 테이퍼부와 제2 셔터부(61)의 제2 측면 모서리부(61b)의 테이퍼부가 맞물리고, 각각은 역방향으로 맞물리고 있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1)는 셔터판(5a, 5b)이 맞물려 휨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있는 동시에, 셔터판(5a)의 부상이 방지되어 있음으로써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제1 셔터판(5a)의 안내 돌기(51g)는 로테이션 휠(4)의 안내 홈(55)의 로테이션 휠(4)의 중앙으로부터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2 셔터판(5b)의 제1 캠부(64)에는 제1 제어 돌기(63)가 협폭부(64a)에 결합되어 있다. 또, 제2 셔터판(5b)의 제2 제어 돌기(66)는 로테이션 휠(4)의 제2 캠부(65)의 제1 만곡부(65a)에 결합하고 있다. 이리 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7)의 제1 개구부(24)를 폐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가령 제1 셔터판(5a)이 압박되었을 때라도, 제1 셔터판(5a)의 규제 돌기(51h)는 광 디스크(3)의 내주측 비신호 기록 영역에 충돌하고, 제1 셔터부(51)가 광 디스크(3)의 신호 기록 영역에 접촉하는 일도 없으므로, 신호 기록 영역에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판(5a, 5b)이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하고 있을 때, 로테이션 휠(4)이 상부 쉘(6)의 리프터(14)에 의해 하부 쉘(7) 측으로 들어 올리고, 제1 셔터부(51)의 홈부(51f)에는 제1 개구부(24)의 주연부에 형성된 볼록부(27)가 결합되어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로크 기구(71)에 대해 설명하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72)는 지지축(74)을 중심으로 하고, 압박 부재(82)의 압박력에 의해 도17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 때, 로크부(76)는 로크 홈(84)의 결합 오목부(85)에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로테이션 휠(4)은 결합 오목부(85)에 로크부(76)가 결합됨으로써 회전이 금지된다. 가령 무리하게 반화살표 D 방향으로 로테이션 휠(4)을 회전하는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이 때 로크부(76)는 결합 오목부(85)에 파고 드는 도17 중 화살표 D 방향의 힘이 작동된다. 따라서, 이 로크 부재(72)는 확실하게 로테이션 휠(4)의 회전을 로크할 수 있다.
또한, 로크 해제 부재(77)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프 구멍(80)보다 삽입 안내 홈(25b) 내의 전방면 개구 단부측을 향하게 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로크 해제 핀이 되는 삽입 안내 핀(100)이 압박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안내 홈(25b)의 바닥면은 전방면측이 개구되어 있다. 로크 해제 부재(77)는 삽입 안내 홈(25b)의 바닥면의 단부면(87)보다 전방면 개구 단부측에 더 면하게 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로크 해제 핀이 되는 삽입 안내 핀(100)이 압박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디스크 카트리지(1)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대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전방면을 삽입 단부로서 삽입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삽입되면, 우선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장착부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 안내 핀(100)이 삽입된다. 여기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안내 홈(25a, 25b)은, 전방면 개구 단부측이 가장 폭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디스크 카트리지(1)를 장착부의 소정 위치에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 삽입 안내 홈(25a, 25b)의 가장 안쪽의 폭을 삽입 안내 핀의 굵기와 대략 동일하게 하였을 때에는, 삽입 안내 핀(100)을 같게 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를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장착부의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삽입 안내 핀(100)이 로케이션 홀(26a)과 얼라인먼트 홀(26b)에 결합한다. 여기서, 로케이션 홀(26a)은 디스크 카트리지(1)를 장착할 때의 기준 구멍이며, 얼라인먼트 홀(26b)은 조정 구멍이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1)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삽입할 때, 로크 부재(72)의 로크 해제 부재(77)를 압박 부재(82)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압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로크 해제 부재(77)는 조정측의 얼라인먼트 홀(26b) 측의 삽입 안내 홈(25b)에 마련하도록 하고, 보다 정확한 장착부에서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1)가 장착부에 장착되면, 삽입 안내 핀(100)인 로크 해제 핀은 삽입 안내 홈(25b)에 전방면측 개구 단부로부터 진입하면, 우선 로크 해제 부재(77)를 압박하고, 이어서 바닥면의 단부면(87)에 충돌한다. 로크 해제 부재(77)는 로크 해제 핀(88)에 의해, 로크 해제 핀(88)이 단부면(87)에 충돌할 때까지 압박된다. 그렇게 하면, 로크 부재(72)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74)을 중심으로, 압박 부재(82)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도17 중 반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로크부(76)는 로크 홈(84) 내의 결합 오목부(85) 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로테이션 휠(4)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디스크 카트리지(1)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장착부에 장착되면, 로테이션 휠(4)은 피조작부(45)에서 압박 부재(48)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도17 중 반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되면, 로테이션 휠(4)의 안내 홈(55)에 안내 돌기(51g)가 결합된 제1 셔터판(5a)은, 상부 쉘(6)의 제1 지지축(52)을 중심으로 하여 도17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셔터판(5a)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셔터판(5b)은 제1 셔터판(5a)의 제2 지지축(62a)을 중심으로, 제1 셔터판(5a)에 대해 도17 중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셔터판(5b)의 회전 개시시는, 로테이션 휠(4)의 제1 제어 돌기(63)가 결합된 제1 캠부(64)의 협폭부(64a)에 의해 회전된다. 또, 제2 셔터판(5b)의 회전 개시시에 있어서, 제2 셔터판(5b)의 제2 제어 돌기(66)가 결합된 로테이션 휠(4)의 제2 캠부(65)의 제1 만곡부(65a)는 하등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로테이션 휠(4)이 도18 중 반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휠(4)의 안내 홈(55)에 결합한 안내 돌기(51g)는 안내 홈(55)의 로테이션 휠(4)의 외주측의 타단부로 이동한다. 제1 셔터판(5a)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셔터판(5b)은 제1 셔터판(5a)의 제2 지지축(62a)을 중심으로, 제1 셔터판(5a)에 대해 도18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로테이션 휠(4)의 제1 제어 돌기(63)의 제1 캠부(64)의 확폭부(64b)로 이동하고, 제2 셔터판(5b)에 대해서도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대신하여, 제2 셔터판(5b)의 제2 제어 돌기(66)는 제1 만곡부(65a)로부터 제2 만곡부(65b)로 이동하고, 제2 셔터판(5b)을 도18 중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피조작부(45)는 제1 개구부(34)의 테이퍼부(24c)에 의해 확폭된 부분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되고, 로테이션 휠(4) 내에 수납되어 있는 광 디스크(3)를 내외주에 걸쳐 외부에 면하게 한다.
그렇게 하면, 로테이션 휠(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광 디스크(3)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의 디스크 테이블에 센터 구멍(3a)이 결합되는 동시에, 상부 쉘(6)에 설치된 클램핑 플레이트(13)와 디스크 테이블에 의해 협지되고, 디스크 테이블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광 디스크(3)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고, 또한 광 디스크(3)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재생할 때에는, 광 디스크(3)가 디스크 테이블에 의해 CLV(Constant Linear Velocity), CAV(Constant Angular Velocity) 또는 이러한 조합으로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 개구부(24, 44) 내에 진입한 광 픽업은 광 디스크(3)의 신호 기록 영역에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파장이 400 ㎚ 정도의 광 빔을 대물 렌즈로 집광하여 광 디스크(3)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하고, 이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된 복귀 광 빔을 검출함으로써, 광 디스크(3)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광 디스크(3)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판독을 행한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1)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부터 배출되면, 로테이션 휠(4)은 압박 부재(48)의 압박력에 의해 도18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18의 상태로부터 도17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로크 부재(72)의 로크부(76)는 로크 홈(84) 내를 이동하고, 결합 오목부(85)에 결합하여 제1 및 제2 개구부(24, 44)를 폐색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본 발명을 적용한 소형의 디스크 카트리지(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표준 크기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한 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Claims (3)

  1. 기록 및/또는 재생용의 제1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 쉘과, 상기 하부 쉘에 맞대어지는 상부 쉘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됨과 함께 디스크를 수납하고, 수납된 상기 디스크를 외부에 면하게 하는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된 로테이션 휠과,
    상기 하부 쉘과 상기 로테이션 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테이션 휠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셔터판을 갖고,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일치하였을 때,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를 개방하는 셔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테이션 휠에는, 상기 한 쌍의 셔터판 중 적어도 한쪽에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휠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측의 셔터 개방부가 결합되는 피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카트리지 본체에 걸리고, 타단부가 로테이션 휠에 걸리고, 상기 셔터 기구가 제2 개구부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테이션 휠을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KR1020057007340A 2003-08-28 2004-08-16 디스크 카트리지 KR101054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5312 2003-08-28
JP2003305312A JP4089560B2 (ja) 2003-08-28 2003-08-28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305310A JP2005078674A (ja) 2003-08-28 2003-08-28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JP-P-2003-00305310 2003-08-28
PCT/JP2004/011754 WO2005022533A1 (ja) 2003-08-28 2004-08-16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51A KR20060113351A (ko) 2006-11-02
KR101054986B1 true KR101054986B1 (ko) 2011-08-05

Family

ID=3427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340A KR101054986B1 (ko) 2003-08-28 2004-08-16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10156B2 (ko)
EP (1) EP1659585B1 (ko)
KR (1) KR101054986B1 (ko)
DE (1) DE602004025587D1 (ko)
TW (1) TWI261810B (ko)
WO (1) WO2005022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829A (ja) * 2003-04-03 2004-11-04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7448056B2 (en) * 2003-11-10 2008-1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EP1575050A3 (en) * 2004-03-11 2008-05-28 FUJIFILM Corporation Disk Cartridge
JP2005322386A (ja) * 2004-04-05 2005-11-17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165A (ko) * 1998-05-11 1999-12-27 이즈이 노부유키 디스크카트리지
JP2004296018A (ja) * 2003-03-27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3556A (ja) * 2000-03-31 2001-10-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089140B2 (ja) * 2000-07-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880167B2 (en) * 2001-03-15 2005-04-12 Fuji Photo Film Co., Ltd. Disk cartridge for engaging with a sensor member of a drive device
JP3601496B2 (ja) * 2001-09-28 2004-12-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60234656D1 (de) * 2001-06-29 2010-01-14 Sony Corp Plattenkassette
JP3991642B2 (ja) * 2001-09-27 2007-10-1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809786B2 (ja) * 2001-10-01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WO2003041075A1 (fr) * 2001-11-05 2003-05-15 Sony Corporation Cartouche destinee a recevoir un support d'enregistr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165A (ko) * 1998-05-11 1999-12-27 이즈이 노부유키 디스크카트리지
JP2004296018A (ja) * 2003-03-27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73801A1 (en) 2005-12-08
TW200514035A (en) 2005-04-16
KR20060113351A (ko) 2006-11-02
EP1659585A4 (en) 2008-08-27
TWI261810B (en) 2006-09-11
DE602004025587D1 (de) 2010-04-01
EP1659585A1 (en) 2006-05-24
EP1659585B1 (en) 2010-02-17
WO2005022533A1 (ja) 2005-03-10
US7210156B2 (en)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350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20060259919A1 (en) Disc cartridge
KR101053330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101054986B1 (ko) 디스크 카트리지
EP1152418A1 (en) Disk cartridge device and disk cartridge
JP446644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08956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17804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10040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53493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631469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624453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68278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62636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07867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645055B2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200624453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