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681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681B1
KR101054681B1 KR1020080115829A KR20080115829A KR101054681B1 KR 101054681 B1 KR101054681 B1 KR 101054681B1 KR 1020080115829 A KR1020080115829 A KR 1020080115829A KR 20080115829 A KR20080115829 A KR 20080115829A KR 101054681 B1 KR101054681 B1 KR 101054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hannel
flow
horizontal
flow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840A (ko
Inventor
민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08011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6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28F3/027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with openings, e.g. louvered corrugated fins; Assemblies of corrugated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의 중간 부분에도 용접이 될 수 있도록 유로채널을 형성함으로써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난방수가 흐르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양 끝단이 삽입 지지되도록 양측에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형성된 유로공간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유로캡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 사이에는 서로 독립된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채널이 병렬로 형성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은 복수의 유로채널 사이 위치에서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환기, 고압, 용접, 엔드플레이트, 유로캡, 유로채널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의 난방수에 견딜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장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한 배기가스와 난방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된 난방수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교환기는 내부에 난방수가 흐르는 다수의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양 끝단이 삽입 지지되도록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엔드플레이트(20a,20b)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20a,20b)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형성된 유로 공간(31a,31b,32a)이 상기 튜브(10)와 연결되는 유로캡(31,32)으로 이루어진다. 일측의 유로캡(31)에는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3)와 난방수가 유출되는 유출구(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캡(31)은 2개의 유로 공간(31a,31b)으로 나뉘어져 각각 독립된 난방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오목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유로캡(31)은 엔드플레이트(20b)와 상기 오목부(35)에서 용접결합되는데, 열교환기의 소형화를 위해 튜 브(10)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한 경우 상기 오목부(35)도 좁게 형성되므로 브레이징 용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난방수 유로가 형성된 튜브(10) 내부는 고압이 형성되는데, 상기 2개의 유로캡(31,32)을 엔드플레이트(20a,20b)와 각각 용접할 때 외측 둘레에만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고압에 견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오목부(35)가 형성된 유로캡(31)의 경우에도 오목부(35)가 좁게 형성된 경우에는 고압에 견디기 어려운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의 넓은 범위에서 용접이 될 수 있도록 유로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용접이 용이하고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난방수가 흐르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양 끝단이 삽입 지지되도록 양측에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형성된 유로공간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유로캡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 사이에는 서로 독립된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채널이 병렬로 형성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은 복수의 유로채널 사이 위치에서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의 용접 부위를 넓혀 용접이 용이하고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100)는, 내부에 난방수가 흐르는 다수의 튜브(110)와, 상기 튜브(110)의 양 끝단이 삽입 지지되도록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121,122)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121,122)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형성된 유로공간이 상기 튜브(11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유로캡(131,132)으로 구성된다.
일측의 제1엔드플레이트(121)와 제1유로캡(131) 사이에는 서로 독립된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채널(131a)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채널(131a)은 유로캡(131)을 외측으로 돌출되게 성형하여 돌출된 부분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킨 것이다.
타측의 제2엔드플레이트(122)와 제2유로캡(132) 사이에도 상기 유로채널(131a)과 동일한 형상의 유로채널(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타측의 유로채널은 도 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로 경로를 지그재그형태로 만들기 위해 2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1엔드플레이트(121)와 제1유로캡(131)은 외측 가장자리부에서 서로 용접 결합될 뿐만 아니라 고압에 견디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유로채널(131a) 사이 부분에서 서로 용접결합된다. 제2엔드플레이트(122)와 제2유로캡(132)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유로채널 사이 부분에서 서로 용접결합된다.
난방수가 유입되는 튜브(110)의 외주면에는 난방수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튜브(110)는 폭에 비해 높이가 높은 단면형상으로서 납작한 형태의 장방형(長方形)으로 이루어진다.
제1엔드플레이트(121)는 평판형상으로서, 튜브(110)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튜브(11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튜브삽입구멍(121a,121b,12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유로캡(131)에는 상기 튜브(110)를 경유하여 유입된 난방수가 흐르도록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채널들(131a)이 상하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21)와 제1유로캡(131)이 용접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유로채널들(131a)은 서로 독립된 유로공간을 형성하여 난방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게 된다.
튜브(110)의 타측에는 제2엔드플레이트(122)와 제2유로캡(132)이 설치된다.
제2엔드플레이트(122)에는, 제2유로캡(132)의 제1유로채널부(13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튜브삽입구멍(122a)이 일측에 병렬로 형성되고, 중앙부(122d)를 사이에 두고 타측에는 상기 제2유로캡(132)의 제2유로채널부(132b)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튜브삽입구멍(122b)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제2유로캡(132)에는 중앙부(132d)를 사이에 두고 제1유로채널부(132a)와 제2유로채널부(132b)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유로채널부(132a)는 제2엔드플레이트(122)의 튜브삽입구멍(122a)이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유로채널이 상하 병렬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유로채널부(132b)는 다른 튜브삽입구멍(122b)이 대응되는 위치에 제1유로채널부(132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2엔드플레이트(122)와 제2유로캡(132)이 용접되는 부분은 제2유로캡(132)의 내측면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즉, 바깥 둘레부(132c) 뿐만 아니라 중앙부(132d)도 제2엔드플레이트(122)의 중앙부(122d)와 용접이 된다. 또한 제1유로채널부(132a)의 각 유로채널 사이 부분과 복수의 튜브삽입구멍(122a) 사이 부분이 서로 용접되고, 제2유로채널부(132b)의 각 유로채널 사이 부분과 복수의 튜브삽입구멍(122b) 사이 부분이 서로 용접된다. 따라서 용접결합부위를 넓게 할 수 있어 고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다.
도 4는 제1유로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제2유로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도 5의 Y-Y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는 제1유로캡(131)의 외측면(유로공간이 보이지 않는 면)이 나타나 있다. 제1유로캡(131)에는 복수개의 유로채널들(131a)이 상하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유로채널들(131a)은 튜브(11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에는 제2유로캡(132)의 내측면(유로공간이 보이는 면)이 나타나 있다. 제2유로캡(132)에는 중앙부(132d)를 사이에 두고 제1유로채널부(132a)와 제2유로채 널부(132b)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유로채널부(132a)와 제2유로채널부(132b)의 내부 공간은 난방수가 흐르는 유로가 된다.
도 6(a)에는 제2유로캡(132)의 제1유로채널부(132a) 단면이 나타나 있다. 제1유로채널부(132a)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로채널은 단면이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 삼각형의 내부가 유로공간을 형성한다.
도 6(b)에는 제2유로캡(132)의 제1유로채널부(132a)와 제2유로채널부(132b) 단면이 나타나 있다. 제1유로채널부(132a)와 제2유로채널부(132b)의 길이방향 단면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가 유로공간을 형성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난방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난방수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난방수는 첫 번째 튜브(110a) 내부로 유입된다. 첫 번째 튜브(110a)의 일측 끝단(제1엔드플레이트(121)의 튜브삽입구멍(121a)측)은 제1유로캡(131)의 가장자리부 몸체에 의해 막혀 있다. 따라서 난방수는 첫 번째 튜브(110a)의 타측 끝단 방향(제2유로캡(132) 방향)으로 흐른다.
제2유로캡(132)의 제1유로채널부(132a) 내부로 유입된 난방수는 두 번째와 세 번째 튜브(110b) 내부로 흐른다. 이 경우 제2엔드플레이트(122)의 중앙부(122d)와 제2유로캡(132)의 중앙부(132d)가 서로 용접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유로채널부(132a) 내부의 난방수는 제2유로채널부(132b)로 흐름이 차단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튜브(110b)를 경유한 난방수는 제1유로캡(131)의 유로채널(131a) 내부로 유입되고, 제1유로캡(131)의 유로채널(131a)을 경유한 난방수는 네 번째와 다섯 번째 튜브(110c) 내부로 흐른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 튜브(110c)를 경유한 난방수는 제2유로캡(132)의 제2유로채널(132b) 내부를 흐른 후, 여섯 번째 튜브(110d) 내부를 거친 후 난방수배출구(112)로 흐른다.
이 경우 여섯 번째 튜브(110d)의 끝단(제1엔드플레이트(121)의 튜브삽입구멍(121c)측)은 제1유로캡(131)의 가장자리부 몸체에 의해 막혀 있다. 따라서 여섯 번째 튜브(110d) 내부의 난방수는 제1유로캡(131)의 유로채널(131a) 내부 공간으로 흐르지 않고 난방수배출구(112) 측으로만 흐르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튜브(210)와 난방수유입구(211) 및 엔드플레이트(221,222)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캡(251,252)은 평면 형상으로서 양측 2개가 동일한 형상이다.
제1엔드플레이트(221)와 제1유로캡(251) 사이에는, 유로채널을 형성하는 제1수평유로판(231)과 제1수직유로판(241)이 설치된다. 또한 제2엔드플레이트(222)와 제2유로캡(252) 사이에는, 다른 유로채널을 형성하는 제2수평유로판(232)과 제2수직유로판(242)이 설치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엔드플레이트(221)와 제2엔드플레이트(222)는 평판형상으로서, 튜브(2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튜브삽입구멍(221a,221b,221c,221d,222a,222b,222c)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1수평유로판(231)은 얇은 평판형상으로서, 중앙부(231d)를 사이에 두고 좌측에는 제1수평유로채널(231a)이, 우측에는 제2수평유로채널(23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평유로채널(231a)과 제2수평유로채널(231b)은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의 관통홈이 복수개 상하 병렬로 형성된 것이다.
제1수직유로판(241)은 얇은 평판형상으로서, 상기 제1,2수평유로채널(231a,231b)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소정길이의 관통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제1수직유로채널(241a)과 제2수직유로채널(24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직유로채널(241a)은 제1수평유로채널(231a)과 연통되고, 상기 제2수직유로채널(241b)은 제2수평유로채널(231b)과 연통되어 서로 연결된 난방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제2수평유로판(232)은 얇은 평판형상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의 관통홈이 복수개 상하 병렬로 형성된 수평유로채널(232a)이 형성되어 있다. 제2수평유로판(232)의 수평유로채널(232a) 길이는 제2엔드플레이트(222)의 4개의 튜브삽입구멍(222b)에 대응되는 만큼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튜브삽입구멍(222a,222c)에 대응되는 지점(232b,232c)에는 수평유로채널(232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수직유로판(242)은 얇은 평판형상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의 관통홈이 복수개 좌우 병렬로 형성된 수직유로채널(2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유로채널(242a)은 상기 수평유로채널(232a)과 서로 연통되어 난방수 유로를 연결시킨다. 또한 제2수평유로판(232)의 수평유로채널(23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측 가장자리부(232b,232c)에 대응하는 지점(242b,242c)에도 수직유로채널(242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난방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Z-Z 단면도이다.
난방수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난방수는 첫 번째 튜브(210a) 내부로 유입된다. 첫 번째 튜브(210a)의 일측 끝단(제2엔드플레이트(222)의 튜브삽입구멍(222a)측)은 제2수평유로판(232)의 가장자리부(232b) 몸체에 의해 막혀 있다. 따라서 난방수는 첫 번째 튜브(210a)의 타측 끝단 방향(제1엔드플레이트(221) 방향)으로 흘러 제1수평유로판(231)의 제1수평유로채널(231a) 및 제1수직유로판(241)의 제1수직유로채널(241a)로 유입된다.
제1수평유로채널(231a)과 제1수직유로채널(241a) 내부로 유입된 난방수는 두 번째와 세 번째 튜브(210b) 내부로 흐른다. 이 경우 제1엔드플레이트(221)와 제1수평유로판(231)과 제1수직유로판(241) 및 제1유로캡(251)은 중앙부(231d,241d) 위치에서 서로 용접결합되므로 제1수평유로채널(231a)과 제1수직유로채널(241a) 내부의 난방수는 제2수평유로채널(231b)과 제2수직유로채널(241b)로의 흐름이 차단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튜브(210b)를 경유한 난방수는 제2수평유로판(232)의 수 평유로채널(232a), 제2수직유로판(242)의 수직유로채널(242a) 내부로 유입된 후 네 번째와 다섯 번째 튜브(210c)로 흐른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 튜브(210c)를 경유한 난방수는 제1수평유로판(231)의 제2수평유로채널(231b) 및 제1수직유로판(241)의 제2수직유로채널(241b) 내부를 흐른 후, 여섯 번째 튜브(210d) 내부를 거쳐 난방수배출구(212)로 흐른다.
이 경우 여섯 번째 튜브(210d)의 끝단(제2엔드플레이트(222)의 튜브삽입구멍(222c)측)은 제2수평유로판(232)의 가장자리부(232c) 몸체에 의해 막혀 있다. 따라서 여섯 번째 튜브(210d) 내부의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212) 측으로만 흐르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기(200)는, 엔드플레이트(221,222)와 수평유로판(231,232)과 수직유로판(241,242) 및 유로캡(251,252)을 서로 용접함에 있어서 유로채널들(231a,231b,241a,241b,232a,242a)을 통해 난방수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유로채널들(231a,231b,241a,241b,232a,242a) 사이에 형성된 몸체 부분을 서로 용접할 수 있어 고압의 난방수 압력에 견딜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평면 형상의 유로캡(251,252)이 적용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나,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유로캡(131,132)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로채널은 유로캡(131,132)의 튜브측 반대면으로 돌출되어 튜브측 면에 오목한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유로공간을 더 넓힐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유로캡(251,252)과 엔드플레이트(221,222) 사이에 하나씩의 수평유로판(231,232)과 수직유로판(241,242)이 각각 결합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나, 복수 개의 수평유로판과 복수 개의 수직유로판이 유로캡(251,252)과 엔드플레이트(221,222) 사이에 결합된 구조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단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유로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제2유로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도 5의 Y-Y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난방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난방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Z-Z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열교환기 110,210 : 튜브
111,211 : 난방수유입구 112,212 : 난방수배출구
121,122,221,222 : 엔드플레이트 131,132,251,252 : 유로캡
131a,132a,132b : 유로채널 231,232 : 수평유로판
231a,231b,232a : 수평유로채널 241,242 : 수직유로판
241a,241b,242a : 수직유로채널

Claims (11)

  1. 내부에 난방수가 흐르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양 끝단이 삽입 지지되도록 양측에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형성된 유로공간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유로캡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 사이에는 서로 독립된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채널이 병렬로 형성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은 복수의 유로채널 사이 위치에서 용접결합되며,
    상기 일측 엔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유로캡의 유로채널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단일유로채널이 복수개 상하 병렬로 형성되고,
    타측 엔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유로캡의 유로채널은 중앙 부분이 분리되어 상하 병렬로 형성된 제1유로채널부와 제2유로채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유로캡에 결합되는 제1엔드플레이트의 가장 바깥측 튜브삽입구멍이 막히도록 제1유로캡의 유로채널이 형성되고,
    일측의 튜브 내부로 유입된 난방수는 제2유로캡의 제1유로채널부와 제1유로캡의 단일유로채널을 순차 경유한 후 제2유로캡의 제2유로채널부로 흐르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는 일측의 가장 바깥측에 설치된 튜브 측부에 형성되고, 난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는 타측의 가장 바깥측에 설치된 튜브의 측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채널은 상기 유로캡의 튜브측 반대면으로 돌출되어 튜브측 면에 오목한 홈 모양으로 유로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단면이 장방형(長方形)이고; 상기 유로채널은 길이방향이 상기 튜브의 단면 길이방향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삭제
  5. 내부에 난방수가 흐르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양 끝단이 삽입 지지되도록 양측에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형성된 유로공간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유로캡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 사이에는 서로 독립된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채널이 병렬로 형성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은 복수의 유로채널 사이 위치에서 용접결합되며,
    상기 유로채널은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유로캡 사이에 설치된 수평유로판의 수평유로채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유로채널은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의 관통홈 형상이 복수개 병렬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유로판과 유로캡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의 관통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유로채널과 연통되는 수직유로채널이 복수개 병렬로 형성된 수직유로판이 더 설치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튜브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1,제2엔드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수평유로판에는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제1수평유로채널과 제2수평유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유로판에 결합되는 제1수직유로판에는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수평유로채널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수직유로채널이, 상기 제2수평유로채널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수직유로채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수평유로판에는 제2엔드플레이트의 가장 바깥측 튜브삽입구멍이 막히도록 수평유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유로판에 결합되는 제2수직유로판에는 상기 제2수평유로판의 수평유로채널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의 수직유로채널이 형성되며,
    일측의 튜브 내부로 유입된 난방수는 제1수평유로판의 제1수평유로채널과 제1수직유로판의 제1수직유로채널, 제2수평유로판의 수평유로채널과 제2수직유로판의 수직유로채널, 제1수평유로판의 제2수평유로채널과 제1수직유로판의 제2수직유로채널을 순차 경유하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는 일측의 가장 바깥측에 설치된 튜브 측부에 형성되고, 난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는 타측의 가장 바깥측에 설치된 튜브의 측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캡은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캡에는 튜브측 반대면으로 돌출되어 튜브측 면에 오목한 홈 모양으로 유로공간을 형성하는 유로채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유로캡 사이에는 복수개의 수평유로판과 복수개의 수직유로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1. 삭제
KR1020080115829A 2008-11-20 2008-11-20 열교환기 KR101054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29A KR101054681B1 (ko) 2008-11-20 2008-11-20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29A KR101054681B1 (ko) 2008-11-20 2008-11-20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40A KR20100056840A (ko) 2010-05-28
KR101054681B1 true KR101054681B1 (ko) 2011-08-08

Family

ID=4228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829A KR101054681B1 (ko) 2008-11-20 2008-11-20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9966A1 (ja) * 2018-10-29 2020-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9585U1 (ru) * 2020-09-07 2022-03-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рат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Гагарина Ю.А." (СГТУ имени Гагарина Ю.А.) Многопоточный трубчатый змееви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715A (ja) * 2005-12-20 2007-07-05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812497B1 (ko) * 2006-05-18 2008-03-11 주식회사 두원공조 고압 열교환기의 헤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715A (ja) * 2005-12-20 2007-07-05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812497B1 (ko) * 2006-05-18 2008-03-11 주식회사 두원공조 고압 열교환기의 헤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9966A1 (ja) * 2018-10-29 2020-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40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5534B2 (en) Plate heat exchanger
US5692559A (en) Plate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undulating passageway
US10066874B2 (en) Plat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ple passes in the plate heat exchanger
KR20100115601A (ko) 열교환기
KR20160011127A (ko) 유체 연통 채널을 구비하는 열 교환기 튜브
KR980010317A (ko) 열교환기용 편평 튜우브(flat tubes for heat exchanger)
KR101054681B1 (ko) 열교환기
KR101151758B1 (ko) 판형 열교환기
KR20200063054A (ko)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및 열원기
CN103930742A (zh) 热交换器和相应的扁平管和板
EP3467422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KR20170122663A (ko) 열 교환기용 플랫 튜브
JP2005351520A (ja) 熱交換器
EP3737903B1 (en) Internal heat exchanger
CN111256391B (zh) 换热装置
JPH0674608A (ja) 積層型熱交換器
JPH0432697A (ja) 積層型熱交換器
CN216347033U (zh) 管翅单体、换热器和空调器
KR102651402B1 (ko) 열교환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온수기
JPH06123582A (ja) 積層型熱交換器
CN111256390B (zh) 换热装置
EP3819582A1 (en) Plate-and-shell heat exchanger and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and-shell heat exchanger
KR101151754B1 (ko) 판형 열교환기
KR950003530Y1 (ko) 관형헤더내에 분할장치가 갖추어진 열교환기
CN116034246A (zh) 热交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