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568B1 -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처리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처리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568B1
KR101054568B1 KR1020080044479A KR20080044479A KR101054568B1 KR 101054568 B1 KR101054568 B1 KR 101054568B1 KR 1020080044479 A KR1020080044479 A KR 1020080044479A KR 20080044479 A KR20080044479 A KR 20080044479A KR 101054568 B1 KR101054568 B1 KR 10105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text message
mail
internet
addr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595A (ko
Inventor
이진철
김민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4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56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가 보낸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수신 단말기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 또는 메일 작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본 발명의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 처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주소태그 및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주소태그 및 상기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에 대하여 해당하는 서비스를 바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기억하거나 따로 적어두는 불편한 과정을 생략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손쉽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자메시지, 인터넷, 웹, URL, 메일, 주소태그

Description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RL or mail address in short messag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내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따로 기억하거나 적어 놓지 않아도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한 상태에서 원하는 인터넷 서비스 또는 메일 서비스를 바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문자메시지 서비스 이용 인구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의 하나로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문자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짧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사용자간에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문자메시지 서비스는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도 발송 시점과 거의 동시에 내용 전달이 가 능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대화식으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문자메시지 서비스는 초기에는 주로 음성 통화의 보조 수단으로서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이용되었지만 저렴한 발송 요금을 기반으로 점차 마케팅과 고객 관리 수단으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일기 예보, 뉴스, 주식 정보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최근에는 신용카드 회사들이 거래 승인 내용을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전자 결제, 전자 상거래에까지 점차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문자메시지 서비스 외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메일 작성 및 송수신 기능도 제공한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 업체에서 풀 브라우징(Full Browsing)이 가능한 단말기를 내놓으면서 주목받고 있다. 풀 브라우징이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때, 익스플로러(explorer)와 같은 컴퓨터용 웹 브라우저와 동일한 형태로 각종 문서와 동영상 등을 볼 수 있는 접속 형태를 말한다. 이는 웹 표준 언어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이동통신 단말기용 언어인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번역해서 인터넷을 제공했던 기존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비스에서 한 단계 나아간 것이다. 즉, 풀 브라우징 기능을 갖춘 단말기에서는 웹 페이지의 HTML을 WML로 변환하지 않고, 컴퓨터용 웹 브라우저와 마찬가지로 웹 페이지를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기존 단말기에서 제공되던 WAP 서비스보다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동통신 사용자간에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문자메시지 내에 인터넷 주소나 메일 주소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문자메시지 내에 인터넷 주소나 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신자는 그 인터넷 주소에 해당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해당 메일 주소를 수신인으로 하여 전자 메일 등을 보내기 위해 그 주소를 기억하거나 따로 적어 놓았다가 단말기나 컴퓨터 등에 일일이 손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만약 그 주소를 잊어버렸을 경우에는 다시 문자메시지를 확인해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따로 적어두거나 기억하는 불편한 과정 없이 그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바로 인터넷 또는 메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넷 주소를 통해 원하는 정보에 좀 더 손쉽게 접근하고 보다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중요한 메일을 보내야 하는 경우에 있어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메일작성을 보다 빠르게 수행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신속하게 메일 관련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주소태그 및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주소태그 및 상기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과,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주소태그 및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주소태그 및 상기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소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따로 적어두거나 기억하는 불편한 과정 없이 그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바로 인터넷 또는 메일 서비스 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넷 주소를 통해 원하는 정보에 좀 더 손쉽게 접근하고 보다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중요한 메일을 보내야 하는 경우에 있어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메일작성을 보다 빠르게 수행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신속하게 메일 관련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문자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을 포함하는 의미의 용어이다. 이하에서는 문자메시지 중 SMS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00), 메모리(102), 듀플렉서(104), 수신부(106), 송신부(108), 오디오부(110), 키입력부(112), 표시부(1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02)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편집하여 입력한 문자메시지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저장한다. 듀플렉서(104)는 안테나(AT)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신되는 신호와 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수신부(106)는 제어부(100)로부터 소정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AT)를 통해 수신된 후 듀플렉서(104)에 의해 분리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필터링한다. 송신부(108)는 제어부(100)로부터 소정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부(1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104)와 안테나(AT)를 거쳐 송신한다.
오디오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106)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부(110)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링 신호가 발생할 때 수신부(106)를 통해 링 신호를 감지한 후 링거(Ringer)를 통해 송출한다. 키입력부(112)는 다수의 숫자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 부(100)로 출력한다. 표시부(114)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포함하고,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112)에서 발생하는 키 데이터와 제어부(10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자는 먼저 발신 단말기(202)에서 메시지 작성 메뉴를 통해 수신자에게 보낼 메시지를 작성한다. 이 때, 발신자는 수신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하지만 메시지 작성시, 발신자는 이러한 인터넷 주소나 메일 주소에 어떠한 특별한 기호도 부가하지 않고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발신자는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가 포함된 메시지와 함께 수신자의 번호를 키입력부(112)를 통해 입력하게 된다. 발신자가 메시지 작성을 마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메시지와 발신자 번호 및 수신자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동통신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발신 단말기(202)로부터 전송된 위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204)의 제어부(100)는 메모리(102)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저장하게 되고, 키입력부(112)를 통해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표시부(114)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와 함께 발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렇게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만약 수신자가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로 접속하거나 메일 주소를 수신자로 하여 메일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단 그 주소를 기억하거나 다른 곳에다 옮겨 적어야만 한다. 그 후 수신자는 기억되거나 옮겨 적은 주소를 바탕으로 하여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메뉴 또는 메일 작성 메뉴로 다시 들어가거나 또는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 내지 메일 작성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위 주소를 수동으로 직접 입력하여 인터넷 접속 또는 메일 작성을 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의 새로운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이 때 기존의 인터넷 주소와 함께 주소태그를 입력한다(300). 주소태그란, 인터넷 주소 또는 후술할 메일 주소를 문자메시지 내의 일반적인 문자들과 구별하기 위한 일종의 식별 부호 내지 기호로서,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에 약속된 기호를 뜻한다. 이러한 주소태그는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의 앞, 또는 앞과 뒤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www.ktf.com'과 같은 인터넷 주소를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시켜 전송하고자 하고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 주소태그가 '###'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에 주소태그는 인터넷 주소의 앞에만 붙이기로 약속되어 있는 경우, 발신자는 '###http://www.ktf.com' 과 같은 형태의 인터넷 주소를 문자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주소태그의 위치 또한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 약속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위 인터넷 주소는 문자메시지 내 에 '###http://www.ktf.com###' 또는 'http://www.ktf.com###' 의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렇게 주소태그 및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작성한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300). 그러면 수신자는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302).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단말기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 발신 단말기와의 사이에 미리 약속된 주소태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304).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소태그의 형식 및 위치가 양 단말기 간에 약속되어 있는 경우, 이 주소태그의 뒤, 또는 앞, 또는 주소태그 사이에 존재하는 문자열을 찾으면 그것은 일반 문자열과 다른 인터넷 주소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문자메시지 내에서 주소태그를 찾고 그에 따른 인터넷 주소를 인식하는 기술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로써 구현 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304에서 주소태그 및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만약 주소태그 및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는 인터넷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통상의 문자메시지가 수신된 것을 의미하므로 종래 방법대로 이 문자메시지를 처리한다(306).
단계 304의 확인 결과 주소태그 및 인터넷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단말기는 주소태그의 뒤, 또는 앞, 또는 주소태그 사이에 존재하는 문자열을 인터넷 주소로서 인식하고 이를 추출한다(308). 추출된 인터넷 주소는 메모리(102)에 저장될 수 있으며, 후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인터넷 접속에 이용된다.
수신 단말기는 이제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14)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310).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추출된 인터넷 주소는 하이퍼링크(hyperlink)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하이퍼링크가 아닌 일반 문자메시지 내용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부(114)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태그는 인터넷 주소와 함께 수신된 상태 그대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주소태그를 제외한 인터넷 주소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 후, 수신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14)를 통해 확인하고 있는 중에 수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추출된 상기 인터넷 주소를 이용해 인터넷 접속을 수행한다(312).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이란, 이동 커서를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위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키를 누르는 방법,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키를 누르는 방법, 소정의 키를 누르면 나타나는 메뉴 목록에서 이동 커서를 통해 인터넷 접속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를 직접 터치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과 관련한 내용은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따로 주소를 기억하거나 옮겨적는 수고를 할 필요 없이 단말기를 통해 바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에 해당하는 사이트로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메일 주소의 새로운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이 때 기존의 메일 주소와 함께 주소태그를 입력한다(400). 주소태그는 앞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형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how@hanmail.net'과 같은 메일 주소를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시켜 전송하고자 하고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 주소태그가 '###'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에 주소태그는 메일 주소의 앞에만 붙이기로 약속되어 있는 경우, 발신자는 '###show@hanmail.net' 과 같은 형태의 메일 주소를 문자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주소태그의 위치 또한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 약속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위 메일 주소는 문자메시지 내에 '###show@hanmail.net###' 또는 'show@hanmail.net###' 의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렇게 주소태그 및 메일 주소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작성한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400). 그러면 수신자는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402).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단말기는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 발신 단말기와의 사이에 미리 약속된 주소태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404).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소태그의 형식 및 위치가 양 단말기 간에 약속되어 있는 경우, 이 주소태그의 뒤, 또는 앞, 또는 주소태그 사이에 존재하는 문자열을 찾으면 그것은 일반 문자열과 다른 메일 주소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문자메시지 내에서 주소태그를 찾고 그에 따른 메일 주소를 인식하는 기술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로써 구현 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404에서 주소태그 및 메일 주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만약 주소태그 및 메일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는 메일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통상의 문자메시지가 수신된 것을 의미하므로 종래 방법대로 이 문자메시지를 처리한다(406).
단계 404의 확인 결과 주소태그 및 메일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단말기는 주소태그의 뒤, 또는 앞, 또는 주소태그 사이에 존재하는 문자열을 메일 주소로서 인식하고 이를 추출한다(408). 추출된 메일 주소는 메모리(102)에 저장될 수 있으며, 후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메일 작성에 이용된다.
수신 단말기는 이제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14)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310).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추출된 메일 주소는 하이퍼링크(hyperlink)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하이퍼링크가 아닌 일반 문자메시지 내용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부(114)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태그는 메일 주소와 함께 수신된 상태 그대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주소태그를 제외한 메일 주소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 후, 수신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14)를 통해 확인하고 있는 중에 수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추출된 메일 주소를 이용해 메일 작성을 수행한다(312).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이란, 이동 커서를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위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키를 누르는 방법,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키를 누르는 방법, 소정의 키를 누르면 나타나는 메뉴 목록에서 이동 커서를 통해 인터넷 접속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를 직접 터치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과 관련한 내용은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상기 추출된 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메일을 작성하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을 받은 수신 단말기는 제어부(100)를 통해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메일 수신자 필드에 상기 추출된 메일 주소가 입력된 상태로 실행된 메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부(114)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따로 주소를 기억하거나 옮겨적는 수고를 할 필요 없이 단말기를 통해 바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수신자에게 보낼 메일을 작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의 새로운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202)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입력한다. 이 때, 발신자는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의 앞, 뒤, 또는 앞과 뒤에 주소 식별을 위한 주소태그를 추가하여 입력한다. 주소태그는 앞에 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 문자메시지 내용과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표준 규격, 예를 들면 인터넷 표준 규격인 HTML의 형식에 따라 주소태그를 정의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서는 <a> 와 </a> 라는 문자열의 사이에 존재하는 문자열을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로 인식하게 되며, 만약 <a> 와 </a>사이의 문자열에 'url='이라는 문자열이 존재한다면 그 뒤에 있는 문자열은 인터넷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mail='이라는 문자열이 존재하면 그 뒤에 있는 문자열은 메일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에서 주소태그를 입력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단말기의 소프트키(Soft key)를 통한 메뉴 선택을 이용할 수 있다. 소프트키란 삭제 또는 블록 이동 등과 같이 인쇄되거나 표시되지 않으면서 특정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해 놓은 키를 말한다. 기존 단말기의 경우 문자메시지 작성 화면에서 소프트키를 누르면 한글, 영어, 특수기호, 숫자 등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 단말기의 특수기호 메뉴를 선택하여 주소태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소프트키를 누를 때 '주소태그' 메뉴를 추가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여기에 주소태그에 쓰이는 '<a>', '</a>', 'url=', 'mail=' 등의 단어들을 지정해 놓고 주소태그를 입력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만약 소프트키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단말기의 키입력부(112) 중 소정의 키에 '주소태그 입력'기능을 부여하여 주소태그를 입력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문자메시지 내에 주소태그와 인터넷 주소, 메일 주소를 포함시켜 작성을 마치고 수신자 번호를 입력한 뒤, 발신자는 소프트키 등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문자메시지는 수신 단말기(204)를 통해 수신되어 메모리(102)에 저장된다.
수신 단말기(204)의 제어부(100)는 먼저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발신 단말기(202)와의 사이에 미리 약속된 주소태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주소태그의 형식 및 위치가 양 단말기 간에 약속되어 있는 경우, 이 주소태그의 뒤, 또는 앞, 또는 주소태그 사이에 존재하는 문자열을 찾으면 그것은 일반 문자열과 다른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에서, 문자메시지 내에 '<a>' 및 '</a>'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면, 제어부(100)는 '<a>' 와 '</a>'사이에 'url=', 'mail=' 또는 기타 정의된 다른 단어들을 확인하여 그 뒤에 있는 문자열, 여기서는 'http://www.show.co.kr'과 'show@hanmail.net'을 각각 인터넷 주소와 메일 주소로서 인식하고 이를 추출하게 된다. 만약 주소태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신 단말기(204)는 기존의 방법대로 문자메시지를 처리한다.
주소 추출이 끝나면, 수신 단말기(204)의 제어부(100)는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14)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태그 및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표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그대로 주소태그 및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표시할 수도 있고, 주소태그만을 삭제한 상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주소태그는 삭제하고 인터넷 주소 및 메일 주소는 하이퍼링크 형태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추출된 인터넷 주소 및 메일 주소를 하이퍼링크 형태로 표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제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14)에 디스플레이하고 수신자가 그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수신 단말기(20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추출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또는 메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사용자의 입력 형태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12) 중 특수한 키, 예를 들면 인터넷 접속이나 메일 작성 기능이 부여된 키(206)를 누르면 곧바로 추출된 인터넷 주소에 해당하는 사이트로 접속되거나(500a) 또는 추출된 메일 주소가 수신인으로 입력된 상태의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500b).
다른 방법으로서, 문자메시지 내에 이동 커서(미도시)를 나타나게 하고, 수신자가 이동 커서를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위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특수 키(206)를 누르면 제어부(100)에서 그 주소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만약 수신 단말기(204)의 표시부(114)가 터치 인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되어 있는 경우라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터치 또는 더블 클릭함으로써 제어부(100)에서 그 주소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의 새로운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발신자는 발신 단말기(202)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입력한다. 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발신자는 문자메시지 내에 주소태그와 인터넷 주소, 메일 주소를 포함시켜 작성을 마치고 수신자 번호를 입력한 뒤, 소프트키 등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문자메시지는 수신 단말기(204)를 통해 수신되어 메모리(102)에 저장된다.
이 후 수신 단말기(204)의 제어부(100)는 먼저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발신 단말기(202)와의 사이에 미리 약속된 주소태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추출한다. 여기서는 'http://www.show.co.kr'과 'show@hanmail.net'을 각각 인터넷 주소와 메일 주소로서 인식하고 이를 추출하게 된다. 만약 주소태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신 단말기(204)는 기존의 방법대로 문자메시지를 처리한다.
주소 추출이 끝나면, 수신 단말기(204)의 제어부(100)는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14)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태그 및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표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그대로 주소태그 및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표시할 수도 있고, 주소태그만을 삭제한 상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주소태그는 삭제하고 인터넷 주소 및 메일 주소는 하이퍼링크 형태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추출된 인터넷 주소 및 메일 주소를 하이퍼링크 형태로 표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수신 단말기(204)의 주소 추출이 이루어지고 수신자가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수신자는 특수 키(206) 또는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메뉴 목록(602)을 표시부(114)에 나타나게 한다. 만약 표시부(114)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수신자는 소프트키 또는 문자메시지 내의 주소를 직접 터치해서 메뉴 목록(602)을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이 메뉴 목록(602)에는 기본적으로 메시지 저장, 메시지 삭제와 같은 메뉴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서 추출된 주소의 종류에 따라 메뉴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주소가 추출되었다면 '인터넷 접속' 메뉴가, 메일 주소가 추출되었다면 '메일 작성' 메뉴가 각각 메뉴 목록(602)에 추가될 것이다. 도 6에서는 인터넷 주소와 메일 주소가 모두 추출된 상태이므로 '인터넷 접속' 메뉴와 '메일 작성' 메뉴가 메뉴 목록(602)에 모두 나타나 있다. 메뉴 목록(602)가 표시부(114)에 나타난 상태에서 수신자는 이동 커서를 움직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터넷 접속' 또는 '메일 작성'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출된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거나(600a) 추출된 메일 주소가 수신인으로 입력된 상태의 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600b).
이처럼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에 대하여 해당하는 서비스를 바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인터넷 주소 또는 메 일 주소를 기억하거나 따로 적어두는 불편한 과정을 생략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손쉽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의 새로운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메일 주소의 새로운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의 새로운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의 새로운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11)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주소태그 및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주소태그 및 상기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정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인터넷 주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정보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이트로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정보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계는
    이동 커서를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위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키를 누르는 방법,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키를 누르는 방법, 소정의 키를 누르면 나타나는 메뉴 목록에서 이동 커서를 통해 인터넷 접속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를 직접 터치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정보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메일 주소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정보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주소 정보가 수신자로 입력된 상태로 메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정보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작성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이동 커서를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메일 주소 위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키를 누르는 방법, 문자메시지 내의 메일 주소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일 작성 키를 누르는 방법, 소정의 키를 누르면 나타나는 메뉴 목록에서 이동 커서를 통해 메일 작성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문자메시지 내의 메일 주소를 직접 터치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정보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주소 정보를 하이퍼링크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정보 처리 방법.
  9.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과,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주소태그 및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주소태그 및 상기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소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추출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메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80044479A 2008-05-14 2008-05-14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처리 방법 및장치 KR10105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79A KR101054568B1 (ko) 2008-05-14 2008-05-14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처리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79A KR101054568B1 (ko) 2008-05-14 2008-05-14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처리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595A KR20090118595A (ko) 2009-11-18
KR101054568B1 true KR101054568B1 (ko) 2011-08-04

Family

ID=4160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479A KR101054568B1 (ko) 2008-05-14 2008-05-14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처리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390A (ko) 2020-05-07 2021-11-17 주하연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및 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819B1 (ko) * 2009-11-30 2014-08-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문자열 기반 연동서비스 지원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725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80006955A (ko) * 2006-07-14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변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725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80006955A (ko) * 2006-07-14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변환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390A (ko) 2020-05-07 2021-11-17 주하연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및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595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2591B2 (ja) 通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841352B1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KR20080015887A (ko)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는 단말
US20070121909A1 (en) Conference call dialing
CN114827914B (zh) 短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2460359A (zh) 锁屏显示器
US200803015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service onto e-mail
CN102783121A (zh) 通信设备
CN104253896A (zh) 基于短信内容的事件提醒方法、装置与移动终端
CN101009861B (zh) 移动通信终端之间数据库记录的发送
CN101945178A (zh) 一种新闻信息的查看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20080047728A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단말기
CN101365194A (zh) 用于组织电子通信设备上的通信记录的方法
KR101054568B1 (ko)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 또는 메일 주소 처리 방법 및장치
CN103164107A (zh) 动态生成和使用图形化的联系人图谱的方法和装置
US7702340B2 (en) Short message system for mobile devices
US20080176587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sending digital content to a mobile device
CN107659730A (zh) 基于特征信息的短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100631680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필기체 입력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587578B1 (ko) 메신저를 통해 작성된 메시지 통신 방법
KR102206390B1 (ko) 모바일 쿠폰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101608668B1 (ko) 문자메시지의 수신자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062946B1 (ko) 메시지전송서비스방법
KR101397994B1 (ko) 메시지 일괄 답장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EP1594299B1 (en) Conference call di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