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847B1 -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847B1
KR101053847B1 KR1020060021952A KR20060021952A KR101053847B1 KR 101053847 B1 KR101053847 B1 KR 101053847B1 KR 1020060021952 A KR1020060021952 A KR 1020060021952A KR 20060021952 A KR20060021952 A KR 20060021952A KR 101053847 B1 KR101053847 B1 KR 10105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elements
diamond
ligh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041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8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빛을 송출하는 광원부과;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빛을 제공받아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에 의해 각각 구현된 영상이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되도록 함께 확대 투사하는 투사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다이아몬트 형상의 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소자에 의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PROJ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를 2개 포함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에서 프로젝션 장치에 수신된 영상,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에 입력되는 영상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광원부 300 : 디스플레이 소자
31 : 제1 디스플레이 소자 32 : 제2 디스플레이 소자
500 : 투사계 700 : 스크린
800 : 신호수신부 900 : 신호 프로세서부
본 발명은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갖는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대화면, 고화질 디스플레이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프로젝션 TV와 프로젝터 등이 널리 상용화 되고 있다.
프로젝션 TV와 프로젝터는 공통적으로 광학 엔진이라는 장치를 포함하며, 광학 엔진 내에는 신호처리된 영상정보를 표시해주는 CRT(Crystal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션 TV와 프로젝터와 같은 프로젝션 장치는 일반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광원부로부터 입력된 빛을 기초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소자와, 디스플레이 소자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계와, 투사계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는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영상이 구현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의 해상도에 따라 영상의 해상도가 조절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소자의 해상도가 낮은 경우, 프로젝션 장치는 낮은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근래 들어, 그 제조 가격을 현저히 줄인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로 구성된 DMD 소자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DMD 소자는 눈의 잔상 효과를 이용하여 가 상의 해상도를 만들어 내는 기술인 스무드 픽쳐(Smooth Picture, 이하 "SP"라 함) 기술을 사용하여 DMD 소자가 갖는 해상도 보다 두배 큰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SP 기술은 하나의 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두개의 하위 프레임을 생성하고, 각각의 하위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반 픽셀만큼씩 교대로 투사함으로써 가상으로 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 보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젝션 장치는 반사식 Smoothpicture Actuator 또는 투과식 Smoothpicture Actuator를 사용하여 각각의 하위 프레임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각도를 조절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SP기술에 의하는 경우, 화면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시선이 특정한 방향과 속도로 이동할 때, 다이아몬드 픽셀 모양이 시청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즉, 시청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경우 반 픽셀만큼씩 교대로 투사된 영상이 반픽셀씩 서로 오버랩 되어 보이지 않고 정수배의 픽셀 간격으로 겹처서 보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의 거친 경계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며, 낮은 해상도록 인지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하위 프레임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Smoothpicture Actuator의 각도가 변환되는 시간동안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이 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아몬트 형상의 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소자에 의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빛을 송출하는 광원부과;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빛을 제공받아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에 의해 각각 구현된 영상이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되도록 함께 확대 투사하는 투사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 별로 다른 광로를 통해 상기 빛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출력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영상은 상호 교차 합성되어 하나의 상기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복수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신호프로세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프로세서부는 각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상기 하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상기 하위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2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은 상호 수직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은 서로 반 픽셀 만큼 교차되어 상기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사계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광원부를 갖는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마련되는 단계와; 상기 광원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빛을 송출하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상기 빛을 제공받아 각각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구현된 각 영상이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되도록 함께 확대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며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생성된 각 영상이 상호 교차되어 상기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의 각 프레임 을 복수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상기 하위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갖는 복수의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이 상호 교차되어 상기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은 상호 수직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동시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실시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일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장치의 개략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장치는 광원부(100),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300), 투사계(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스크린(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스크린(700)에 빛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광원부(100)는 광원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램프 등 빛을 발광하는 구성을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100)는 칼라필터(도 2의 17 및 19 참조)을 포함하여, 램프 등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칼라필터(15)를 투과하며 색이 조절된다. 그리고, 광원부(100)는 도시되지 않은 조명계를 포함하여 R,G,B 등의 색으로 분리 된 빛을 집속할 수 있다. 빛은 조명계에 의해 균일한 평행광으로 바꾸며 집속되어 디스플레이 소자(300)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하나의 광로를 통해 빛을 방출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300) 별로 다른 광로를 통해 빛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소자(300)로는 미세한 다수개의 미러들을 포함하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과 같은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DMD는 이차원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미세한 미러들을 가지는 픽셀로 이루어지며, 각 픽셀에 대응하여 배치된 메모리소자의 정전계 작용에 따라 미러들의 경사를 제1 및 제2각도로 구동시켜 반사광의 각도를 변화시킴에 따라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구동원리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DMD를 이용할 경우,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소자인 LCD(LIQUID CRYSTAL DISPLAY)소자 및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소자 등의 경우에 비해 소자의 응답속도가 빨라 동화상을 더 부드럽고 유연하게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복수개 마련되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소자(300)에서 형성된 각각의 영상은 동시에 투사계(500)에 출력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소자(300)의 개수는 복수개라면 충분하며, 그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을 포함하며 광원부(100)로부터 빛을 제공받아 영상을 구현한다.
투사계(500)는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스크린(700)으로 확대 투사 또는 반사하도록 복수의 렌즈 등으로 마련된다. 즉, 투사계(5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의해 각각 구현된 영상이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되도록 함께 확대 투사한다.
스크린(700)은 장방형의 사각형 형상이 널리 사용되며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가 2개의 디스플레이 소자(31, 32)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외부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800)와, 신호수신부(800)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프로세서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신호수신부(800)는 외부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신호 수신부는 외부 영상소스가 방송국인 경우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영상소스가 DVD 플레이어, VTR 및 컴퓨터 등인 경우 각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프로세서부(900)는 신호수신부(800)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신호프로세서부(900)는 영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A/D 컨버터, 멀티플렉서, 디코더, 튜너 및 스케일러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신호프로세서부(900)는 신호수신부(80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 마다 디스플레이소자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이 때,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신호프로세서부(900)가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하, 신호프로세서부(900)가 하나의 프레임을 2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3a는 신호수신부(800)를 통해 수신된 영상 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0, 1, 2, 3은 각 픽셀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영상 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p0 내지 p7의 행과 line1 내지 line3의 열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3b는 및 도 3c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31)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32) 각각의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형성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프로세서부(900)에서 도 3a의 영상 프레임이 2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된 후, 분할된 하위 프레임에 대응하여 광원부(100)가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빛을 발광하면,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영상이 형성된다. 즉, 신호프로세서부(900)는 도 3b 및 도 3c와 같은 2개의 하위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하위 프레임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3b 및 3c와 같은 하위 프레임이 형성된다.
여기서, 신호프로세서부(900)는 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소자(30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신호프로세서부(9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소자(300)에서 하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광원부(100) 및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하위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광원부(100)에서 R, G, B 등의 색의 빛을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송출하고,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송출된 빛에 의하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신호프로세서부(900)에서 전달된 하위 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픽셀마다, R, G, B 각각 색의 채도, 명도 등을 조절하여,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신호프로세서부(900)에서 전달된 하위 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하위 프레임들이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스크린(700)에 표시되도록 동기시켜서 하위 프레임들을 투사계(500)에 송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3b가 제1 디스플레이 소자(31)에 의해 형성된 영상이고, 도 3c가 제2 디스플레이 소자(32)에 의해 형성된 영상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신호수신부(800)를 통해 수신된 원래 프레임에서 짝수행 또는 홀수행에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픽셀들이 각 하나의 하위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즉, 원래 프레임의 픽셀 위치 (p1, line0), (p3, line0), (p5, line0), (p7, line0), (p0, line1), (p2, line1), (p4, line1), (p6, line1), (p1, line2), (p3, line2), (p5, line2), (p7, line2), (p0, line3), (p2, line3), (p4, line3) 및 (p6, line3)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이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소자(31)에 형성된다. 이하, 제1 디스플레이 소자(31)에 형성되는 하위 프레임을 제1 하위 프레임이라 한다.
그리고, 원래 프레임의 픽셀 위치 (p0, line0), (p2, line0), (p4, line0), (p6, line0), (p1, line1), (p3, line1), (p5, line1), (p7, line1), (p0, line2), (p2, line2), (p4, line2), (p6, line2), (p1, line3), (p3, line3), (p5, line3) 및 (p7, line3)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이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로 제2 디스플레이 소자(32)에 형성된다. 이하, 제2 디스플레이 소자(32)에 형성되는 하위 프레임을 제2 하위 프레임이라 한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소자(31)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32)는 제1 하위 프레임 및 제2 하위 프레임을 투사계(500)로 송출한다. 그러면, 투사계(500)는 동시에 입사된 제1 하위 프레임 및 제2 하위 프레임을 동시에 스크린(700)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스크린(700)에는 도 3d와 같은 프레임이 형성된다. 즉, 도 3d는 제1 하위 프레임 및 제2 하위 프레임이 동시에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면에서 제2 하위 프레임이 제1 하위 프레임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동일한 하나의 프레임에 표시되는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소자(300)로부터 스크린(700)에 송출된 제1 하위프레임 및 제2 하위프레임, 즉, 각 디스플레이 소자(300)에서 출력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영상은 상호 교차 합성되어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된다. 즉, 각각의 디스플레이 소자(300)에서 송출된 제1 하위 프레임과 제2 하위 프레임이 스크린(70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제1 하위 프레임과 제2 하위 프레임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소정 각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소자(300)에서 송출된 각 하위 프레임이 동안 렌즈, 미러 등을 통과하여 투 사계(500)로 송출되는 동안, 각 렌즈, 미러 등의 각도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소자(300)의 각도, 렌즈 및 미러 등의 각도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하위 프레임과 제2 하위프레임의 이격된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소자(300)의 각도, 렌즈 및 미러 등의 각도는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하위 프레임 및 제2 하위 프레임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소자(300)로부터 출력된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 즉 하위 프레임들은 상호 수직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위프레임 및 제2 하위프레임은 서로 반 픽셀 만큼 교차되어 스크린(700)에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1 하위 프레임의 (p1, line2)에 해당하는 다이아몬드 픽셀이 위치한 스크린(700) 상에는 다음과 같은 색이 혼합되어 표시된다. 즉, (p1, line2)에 해당하는 다이아몬드 픽셀의 상측에는 1에 해당하는 색과, (p1, line1)의 3에 해당하는 색이 합성된 색이 표시된다. 그리고, (p1, line2)에 해당하는 다이아몬드 픽셀의 하측에는 1에 해당하는 색과, (p1, line3)의 3에 해당하는 색이 합성된 색이 표시된다. (p1, line2)에 해당하는 다이아몬드 픽셀의 좌측에는 1에 해당하는 색과, (p0, line2)의 0에 해당하는 색이 합성된 색이 표시된다. (p1, line2)에 해당하는 다이아몬드 픽셀의 우측에는 1에 해당하는 색과, (p2, line2)의 0에 해당하는 색이 합성된 색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31)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32)에 의해 구현된 제1 하위 프레임 및 제2 하위 프레임이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스크린(700)에 표시된다.
이 때, 광원부(100)는 칼라필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소자(31, 32)에 대응하는 복수의 칼라필터(17, 19)를 포함한다. 즉, 광원부(100)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31)에 송출할 색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칼라필터(17)와, 제2 디스플레이 소자(32)에 송출할 색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칼라필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칼라필터(17, 19)는 광원부(100)로부터 입력된 빛을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빛이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인가된다. 이 때, 칼라필터(15)에서 송출된 빛은 도시되지 않은 렌즈, 거울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입사될 수도 있다.
이 때, 광원부(100)는 별도의 칼라필터(15)를 포함하지 않고 R, G, B 등의 색의 빛을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여, 각 디스플레이 소자(300)에 빛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장치의 영상수신부는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11). 그리고, 신호프로세서부(900)는 영상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스크린(700)에서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이 때, 신호프로세서부(900)는 영상신호의 하나의 영상프레임마다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한다(S13). 여기서, 신호프로세서부(900)가 영상프레임을 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신호프로세서부(900)가 영상프레임을 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광원부(100)의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소자에 빛을 송출한다(S15). 이 때, 광원부(100)는 LED, 또는 칼라필터(15) 등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소자에 R, G, B 등과 같은 색을 송출한다. 여기서, 광원부(100)가 디스플레이소자에 송출하는 색이 R, G, B 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색은 변경 및 추가될 수 있다. 그러면,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300)에는 광원부(100)로부터 빛이 인가된다(S17). 여기서, 광원부(100)로부터 디스플레이소자로 빛이 송출되는 단계인 S15, S17 단계는 S19 단계 이전이라면 어느 단계의 선후에 와도 무관하다.
각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신호프로세서부(900)로부터 각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서, 광원부(100)로부터 인가된 R, G, B 색의 채도 및 명도 등을 조절하여, 각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을 형성한다(S19). 그 후, 각각의 디스플레이 소자(300)는 동시에 투사계(500)로 출력한다. 여기서, 동시란, 시간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시점으로부터 일정범위 내에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투사계(50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이 하나의 영상프레임으로 표시되도록 스크린(700)에 확대 투사한다(S21). 그러면,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영상은 상호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하나의 영상프레임으로 표시된다(S23).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영상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표시되 도록 디스플레이 소자(300)의 위치, 또는 전술한 미러 등의 각도 및 위치는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원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광원부(100)는 램프 등과 같은 광원소스(11)를 포함하는 경우, 광원소스(1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300) 별로 다른 광로를 통해 빛을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나의 광로를 통해 빛을 송출할 수도 있다. 즉, 광원소스(11)는 제1 칼라필터(17)를 향해 제1 경로의 빛을 송출하고, 제1 경로의 빛은 제1 칼라필터(17)에서 필터링 된 후 제1 디스플레이 소자(31)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소스(11)는 제2 칼라필터(19)를 향해 제2 경로의 빛을 송출하고, 제2 경로의 빛은 제2 칼라필터(19)에서 필터링된 후 제2 디스플레이 소자(32)에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 디스플레이소자마다 대응되는 별도의 칼라필터(15)가 마련되었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광원부(100)는 하나의 칼라필터(15)만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프로젝션 TV, 프로젝터 등과 같이 광원부(100)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300)와, 투사계(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각 서브프레임이 동시에 스크린(700)에 표시되므로, 스크린(700)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어떤 속도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이 시청자의 눈에 인지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종래에 Smoothpicture Actuator의 각도가 변환되는 시간동안 스크린(700)에 표시되는 영상이 흐려지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픽셀의 경계를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소자(300)과 복수개의 광 경로를 통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부(100)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마이크로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화면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광원소스(11)에서 송출된 빛의 양 분의 스크린(700)에 제공되는 빛의 양에 해당하는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높이고,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3)

  1.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빛을 송출하는 광원부과;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빛을 제공받아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출력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영상이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함께 확대 투사하는 투사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출력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영상은 한 쌍의 픽셀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 별로 다른 광로를 통해 상기 빛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복수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신호프로세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프로세서부는 각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상기 하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상기 하위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2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은 상호 수직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은 서로 반 픽셀 만큼 교차되어 상기 영상 프레임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계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0. 광원부를 갖는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마련되는 단계와;
    상기 광원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 빛을 송출하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상기 빛을 제공받아 각각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출력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영상이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함께 확대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구현되는 영상은 한 쌍의 픽셀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의 각 프레임을 복수개의 하위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상기 하위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갖는 복수의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출력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영상이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함께 확대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픽셀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상이 상호 수직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동시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21952A 2006-03-08 2006-03-08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5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952A KR101053847B1 (ko) 2006-03-08 2006-03-08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952A KR101053847B1 (ko) 2006-03-08 2006-03-08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041A KR20070092041A (ko) 2007-09-12
KR101053847B1 true KR101053847B1 (ko) 2011-08-03

Family

ID=3868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952A KR101053847B1 (ko) 2006-03-08 2006-03-08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8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767B1 (ko) * 2001-11-10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사형 영상기기
KR20050032852A (ko) * 2003-10-02 200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마이크로미러를 이용한 광학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767B1 (ko) * 2001-11-10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사형 영상기기
KR20050032852A (ko) * 2003-10-02 200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마이크로미러를 이용한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041A (ko)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59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rojected image, and projection display system
JP4462288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を適用した3次元映像表示装置
CA2376411C (en) Digital projection equipment and techniques
WO2021051814A1 (zh) 投影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投影显示设备
CN107888891B (zh) 图像投影显示方法和光学引擎
US20080151040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KR20120023627A (ko) 고 동적 범위 투사 시스템
CN108663883A (zh) 一种投影显示系统
US200902735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iform Brightness in Seam Portions of Tiled Images
JP200751724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方法
US11057596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JP5266740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タ
JP2010175907A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4966801B2 (ja) 映像表示装置
JP2005165224A (ja) 画像投影表示装置
WO2015075945A1 (ja) 表示装置
CN104717486A (zh) 一种基于DMD芯片的DLP Link 3D投影仪
KR101245493B1 (ko) 다면 동시 투사형 빔 프로젝터
CN208903641U (zh) 投影装置
JP2007101929A (ja) 投影型三次元表示装置
KR101053847B1 (ko)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38895A (ja) 画像表示装置、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KR101022474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RU51241U1 (ru) Система формирования стереоизображения
JP2006113229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