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409B1 - In-line spheroidized steel wi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line spheroidized steel wi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409B1
KR101053409B1 KR1020080107332A KR20080107332A KR101053409B1 KR 101053409 B1 KR101053409 B1 KR 101053409B1 KR 1020080107332 A KR1020080107332 A KR 1020080107332A KR 20080107332 A KR20080107332 A KR 20080107332A KR 101053409 B1 KR101053409 B1 KR 10105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ementite
temperature
comparative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8254A (en
Inventor
이유환
배철민
김동현
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0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409B1/en
Publication of KR2010004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3Cement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상화 열처리가 생략가능한 과공석강 강재, 상기 과공석강 강재로부터 인라인 구상화된 강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냉간가공을 위하여 압연된 선재를 재가열하여 선재 내부조직 중 존재하는 세멘타이트가 구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던 구상화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압연된 상태 그대로 냉간가공이 가능한 과공석강 선재로 제조될 수 있는 강재, 상기 강재로부터 제조된 강선재 및 그 상기 강선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ed steel steel which can be omitted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 steel wire wired in-line spherical from the perforated steel ste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teels that can be manufactured from super-vacuum steel wires that can be cold-processed as they are rolled, even without the spheroidizing process, which has a cementite having a spherical shape, and manufactures the steel wires manufactured from the steels and the steel wires It is about a method.

본 발명의 강재는 중량%로, 탄소 : 0.9-1.4%, 실리콘 : 0.3-0.7%, 망간 : 0.3-0.7%, 알루미늄 : 0.75-1.45%, 크롬 : 1.3-1.7%, 니켈 : 0.3-0.7%, 티타늄 : 0.1-0.3%, 니오븀 : 0.05-0.2%, 바나듐 : 0.05-1.5% 및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e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carbon: 0.9-1.4%, silicon: 0.3-0.7%, manganese: 0.3-0.7%, aluminum: 0.75-1.45%, chromium: 1.3-1.7%, nickel: 0.3-0.7% , Titanium: 0.1-0.3%, niobium: 0.05-0.2%, vanadium: 0.05-1.5%, and the remaining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구상화 열처리, 생략, 과공석강, 냉간가공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omission, roughened steel, cold working

Description

과공석강 강재, 상기 과공석강 강재로부터 인라인 구상화된 강선재 및 그 제조방법{HYPER-EUTECTOID STEEL, IN-LINE SPHEROIDIZED WIRE R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HYPER-EUTECTOID STEEL, IN-LINE SPHEROIDIZED WIRE R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구상화 열처리가 생략가능한 과공석강 강재, 상기 과공석강 강재로부터 인라인 구상화된 강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냉간가공을 위하여 압연된 선재를 재가열하여 선재 내부조직 중 존재하는 세멘타이트가 구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던 구상화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압연된 상태 그대로 냉간가공이 가능한 과공석강 선재로 제조될 수 있는 강재, 상기 강재로부터 제조된 강선재 및 그 상기 강선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ed steel steel which can be omitted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 steel wire wired in-line spherical from the perforated steel ste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teels that can be manufactured from super-vacuum steel wires that can be cold-processed as they are rolled, even without the spheroidizing process, which has a cementite having a spherical shape, and manufactures the steel wires manufactured from the steels and the steel wires It is about a method.

선재의 구상화 열처리라 함은 선재의 조직이 펄라이트 상태로 존재할 경우 가공성이 열악하기 때문에 펄라이트를 구성하는 판상 시멘타이트 등을 가공시 저항을 유발하지 않는 구형의 시멘타이트로 바꿈으로써 페라이트 조직의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적절한 조건으로 강재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일련의 열처리 과정을 의미한 다.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of wire rod is suitable for increasing the share of ferrite structure by changing the plate-like cementite constituting pearlite into spherical cementite which does not cause resistance when processing because wire structure is poor in processability. Condition refers to a series of heat treatment processes that heat and cool steel.

구상화 열처리의 결과, 펄라이트를 구성하는 시멘타이트가 구형이며 균일하게 분포된 시멘타이트 입자로 바뀌기 때문에 소재의 경도가 감소하여 가공 다이스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으며, 냉간가공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그 뿐만 아니라 절삭가공이 필요한 경우에도 통상의 페라이트+시멘타이트 강보다 우수한 절삭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of th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the cementite constituting pearlite is changed into spherical and uniformly distributed cementite particles, so that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life of the working die and improving the cold workability. In addition, even when cutting is required, the cutting performance can be bet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ferritic + cementite steel.

이러한 구상화 열처리는 열처리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크게 2가지로 나뉠 수 있다. 상기 기준이 되는 열처리 온도는 공석온도 즉, 펄라이트가 생성될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따라서 구상화 열처리 중 하나는 공석온도 이하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소위 서브 크리티컬 어닐링(sub-critical annealing) 방법이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가 공존하는 온도범위인 공석온도 이상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는 인터 크리티컬 어닐링(inte-critical annealing) 방법이다.Such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s a reference means a vacancy temperature, that is, a temperature at which pearlite can be produced. Therefore, one of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s has a so-called sub-critical annealing method for performing heat treatment below the vacancy temperature. The other one is an inte-critical annealing method in which the heat treatment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range of not less than the vacancy temperature, which is the temperature range in which austenite and ferrite coexist.

상기 서브 크리티컬 어닐링 방법에서 구상화는 고온 확산에 의하여 주로 이루어지며 펄라이트를 구성하는 라멜라 시멘타이트의 결함 또는 끝 부분에서 주로 시작되며, 끝 부위와 옆의 평평한 계면과의 곡률 차이에 의한 탄소 농도 구배에 의해 라멜라 시멘타이트가 분절된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후 표면에너지를 줄이기 위 해 구상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구상화의 결과 펄라이트를 구성하는 시멘타이트의 비율이 감소하게 되므로 펄라이트의 일부는 자연히 페라이트로 변태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후, 상기 구상화된 시멘타이트는 소위 오스왈트 라이프닝(Oswald ripening) 효과에 의하여 그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소재의 경도를 감소시키게 된다.In the sub-critical annealing method, spheroidization is mainly performed by high temperature diffusion and mainly starts at defects or ends of lamellar cementite constituting pearlite, and lamellae by a gradient of carbon concentration due to a difference in curvature between an end portion and a flat interface next to it. Cementite has a segmented form and is known to be spheronized to reduce surface energy. As a result of the spheroidization, the proportion of cementite constituting the pearlite is reduced, so that a part of the pearlite is naturally transformed into ferrite. The spheroidized cementite is then increased in size by the so-called Oswald ripening effect and reduces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인터 크리티컬 어닐링은 상기 서브 크리티컬 어닐링과는 그 구상화 기구가 약간 상이하다. 즉,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가 공존하는 이상영역까지 소재가 가열되기 때문에 펄라이트는 대부분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게 된다. 이때, 펄라이트를 구성하던 시멘타이트가 완전히 오스테나이트에 용해되지 못하고 일부 미용해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상기 미용해된 시멘타이트가 구형화된 구상화 핵으로 작용하여 냉각시 보다 조대한 입자의 시멘타이트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냉각시 냉각조건을 어떻게 제어하는가에 따라 펄라이트가 다시 생성될 수도 있으며 아니면 구상화된 시멘타이트의 비율이 증가할 수도 있는데, 비교적 서냉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 페라이트 변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므로 구형화된 시멘타이트의 비율도 증가할 수 있으며, 반대로 강냉의 경우에는 펄라이트 조직의 비율이 증가하므로 구상화 비율도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Intercritical annealing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subcritical annealing in its spheroidizing mechanism. That is, since the material is heated to the abnormal region where austenite and ferrite coexist, pearlite is mostly transformed into austenite. At this time, the cementite constituting the pearlite may not be completely dissolved in the austenite but exist in a partially undissolved state. The undissolved cementite acts as a spherical spherical nucleus to form coarse particles of cement when cooled. Will be. In this case, the pearlite may be regenerated or the ratio of spheroidized cementite may increase depending on how the cooling conditions are controlled during cooling. However, in the case of relatively slow cooling, the austenite to ferrite transformation may occur more stably. The ratio of cementite is also increas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hard cooling, the proportion of pearlite is increased, so that the ratio of nodularity is reduced.

어떠한 방법에 의하든 상기의 열처리 과정에 의하여 냉간가공성이 향상된 조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상화 열처리는 이미 압연되어 최종형상으로 제조된 선재를 단지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시 가열하는 과정을 겪어야 하므로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선재 제조사에서는 상기 구상화 열처리를 간략히 하거나 또는 아예 생략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By any method, the col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by the above heat treatment. However, since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has to undergo a process of heating the wire rod already rolled to the final shape only to improve the workability, th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not only lowers the productivity but also increases the energy cost. Accordingly, wire rod manufacturers have proposed various methods to simplify or omit th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구상화 열처리 또는 연화 열처리가 생략가능한 강선재의 제조방법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5-0000101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은 0.2중량% 이상의 탄소 및 0.5∼1.5중량%의 Si를 함유하고, 그 조직이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페라이트는 소성유기 동적 변태에 의하여 생성된 페라이트 및 정적 변태에 의하여 생성된 페라이트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시멘타이트는 상기 동적 페라이트들 사이에 분포되고, 그 형상이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유기 동적 변태에 의하여 생성된 페라이트를 갖는 연화열처리 생략 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화열처리 생략 강재를 얻기 위하여 소성유기 동적 변태 과정을 도입하고 있으며, 동적 변태 페라이트 사이에 시멘타이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소성유기 동적변태 과정은 압연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시멘타이트 형성조건도 까다롭기 때문에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0000101 is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wire material can be omitted spheroidized heat treatment or softening heat treatment. The method contains at least 0.2% by weight of carbon and 0.5-1.5% by weight of Si, the structure consisting of ferrite and cementite, and the ferrite is ferrite produced by plastic organic dynamic transformation and ferrite produced by static transformation. And the cementite is distributed among the dynamic ferrites, and the softening heat treatment omitted steels having ferrites produced by the plastic organic dynamic transformation, wherein the cementite is spherical in shape. In order to obtain the plastic organic dynamic transformation process is introduced, it is required to condition that cementite is formed between the dynamic transformation ferrite. However, the plastic organic dynamic transformation process may not only control the rolling temperature precisely, but also may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because the cementite formation conditions are difficul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별도의 구상화 열처리 없이도 비교적 간단한 압연과정을 통하여 충분한 양의 구상화된 시멘타이트를 보유하는 강선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조건을 가진 강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having advantageous conditions to be able to produce a steel wire having a sufficient amount of spheroidized cementite through a relatively simple rolling process without a separat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본 발명의 또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강재로부터 제조된 강선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wire produced from the steel.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강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압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re preferred rolling method for producing the steel wir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재는 중량%로, 탄소 : 0.9-1.4%, 실리콘 : 0.3-0.7%, 망간 : 0.3-0.7%, 알루미늄 : 0.75-1.45%, 크롬 : 1.3-1.7%, 니켈 : 0.3-0.7%, 티타늄 : 0.1-0.3%, 니오븀 : 0.05-0.2%, 바나듐 : 0.05-1.5% 및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el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weight, carbon: 0.9-1.4%, silicon: 0.3-0.7%, manganese: 0.3-0.7%, aluminum: 0.75-1.45%, chromium: 1.3-1.7%, Nickel: 0.3-0.7%, titanium: 0.1-0.3%, niobium: 0.05-0.2%, vanadium: 0.05-1.5% and the remaining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으로서 그 자체로 구상화 처리 없이 냉간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강선재는 중량%로, 탄소 : 0.9-1.4%, 실리콘 : 0.3-0.7%, 망간 : 0.3-0.7%, 알루미늄 : 0.75-1.45%, 크롬 : 1.3-1.7%, 니켈 : 0.3-0.7%, 티타늄 : 0.1-0.3%, 니오븀 : 0.05-0.2%, 바나듐 : 0.05-1.5% 및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고, 내부조직이 구상화 시멘타이트,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3상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면적분율은 구상화 시멘타이트 35~45%, 페라이트 40~60%, 펄라이트 5~15%의 값을 가지며, 시멘타이트의 종횡비가 1.5 이하이며 평균 입도가 3~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wire which can be used for cold working without spheroidization by itself is weight%, carbon: 0.9-1.4%, silicon: 0.3-0.7%, manganese: 0.3-0.7%, aluminum: 0.75 -1.45%, Chromium: 1.3-1.7%, Nickel: 0.3-0.7%, Titanium: 0.1-0.3%, Niobium: 0.05-0.2%, Vanadium: 0.05-1.5% and the remaining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osed of three phases of spheroidized cementite, ferrite and pearlite, and each area fraction has the values of spheroidized cementite 35-45%, ferrite 40-60%, and pearlite 5-15%, and the aspect ratio of cementite is 1.5 or les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 ~ 10 ㎛.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인 상기 유리한 강선재의 제조방법은 1000~1100℃의 온도로 30분~1시간 30분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재를 5~15℃/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강재를 A1 온도 이상에서 압연하여 강선재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강선재를 30℃/s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advantageou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n advantageous steel wire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1000 ~ 1100 30 minutes ~ 1 hour 30 minutes; Cooling the heated steel at a cooling rate of 5 to 15 ° C./S; Rolling the steel at an A1 temperature or more to produce a steel wire shap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oling the steel wire to 30 ℃ / s or less.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압연과정에 의하여 구상화된 강선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공성이 우수한 강선재를 얻기 위한 제조공정이 복잡하지 않으며 에너지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teel wire spheroidized by a simple rolling process can be obtained, a manufacturing process for obtaining a steel wire with excellent workability is not complicated and energy costs can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인라인 구상화라 함은 선재를 제조한 후 구상화 열처리를 위하여 별도로 재가열하는 과정 없이도 압연된 상태 그대로에서 구상화된 조직을 가질 수 있도록 압연하는 것을 의미한다.In-line spheroidization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wire is manufactured so as to have a spheroidized structure in a rolled state without a separate reheating process for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fter the wire is manufactured.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구상화 열처리가 생략가능한 강선재(또는 인라인 구상화처리가 가능한 강선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래의 압연 방법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여 종래의 압연법에서 압연된 상태로 바로 구상화 열처리된 선재를 얻을 수 없었던 이유를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tudied in depth the conventional rolling method in order to provide a steel wire (or a wire wire capable of in-line spheroidization) that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can be omitted, and the wire rod that was spheroidized and heat-treated in a rolled state in the conventional rolling method The reason why it could not be obtained was foun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reached.

즉, 통상 선재는 빌레트(또는 강편)로부터 압연이 되는데, 압연 저항을 줄이고 조직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빌레트를 필수적으로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야 한다. 따라서, 통상 빌레트를 가열하는 온도는 1000℃ 이상(1100℃ 이하)가 된다.That is, the wire rod is usually rolled from the billet (or steel strip), the billet must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in order to reduce the rolling resistance and control the structure. Therefore, the temperature for heating the billet is usually 1000 ° C or more (1100 ° C or less).

그런데, 과공석강의 경우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온에서 가열할 때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펄라이트+시멘타이트 → 오스테나이트+시멘타이트 →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변태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때, 통상의 과공석강은 상기 오스테나이트+시멘타이트 →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변태되는 온도인 소위 Acm 온도가 상기 1000℃ 보다 낮기 때문에 압연을 위해 빌레트를 가열할 때 모든 시멘타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해 버리게 되어 강중에는 잔존하는 시멘타이트가 없게 된다. 그러할 경우에는 비록 압연후 재냉각한다 하더라도 극서냉하지 않는한 다시 펄라이트 조직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상화된 선재를 얻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By the way, as shown in Figure 1, the super-vacuum steel undergoes a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pearlite + cementite → austenite + cementite → austenite single phase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when heated at room temperature. At this time, in the normal rough-steel, all cementite is transformed into austenite when heating the billet for rolling because the so-called Acm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transformed into austenite + cementite → austenite single phase, is lower than 1000 ° C. There will be no cementite remaining. In this case, even if re-cooled after rolling, it is impossible to obtain a spheroidized wire rod because pearlite is formed again unless it is extremely cold.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의 성분계를 제어하여 상기 Acm 온도가 빌레트의 가열온도보다 높아 빌레트를 가열하더라도 강중에 일정 수준 이상의 시멘타이트가 잔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적절한 압연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추가적인 구상화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내부에 충분한 크기와 숫자의 구상화 시멘타이트가 존재하는 냉간 가공성(특히, 냉간 압조성)이 뛰어난 선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the component system of the steel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even if the Acm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billet, even if the billet is heated,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cementite remains in the steel, By introducing the rolling method, it was possible to obtain a wire rod having excellent cold workability (particularly, cold rolling) in which spheroidized cementite of sufficient size and number is present even without additional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또한, 본 발명에서 고려하여야 할 또 하나의 포인트는 상기 시멘타이트가 존재하되 M7C3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탄화물 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역시 탄화물의 한 종류이기는 하나, 시멘타이트(Fe3C)와는 그 특성이 매우 상이하게 때문인데, Fe 외의 다른 탄화물 형성원소 Nb, V 및 Ti 등과 결합하여 NbC, VC 및 TiC 와 같은 형태가 아닌 Nb7C3, V7C3 및 Ti7C3 와 같은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도가 매우 높은 탄화물이 되어 구상화를 생략할 만한 낮은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인장강도를 필요 이상으로 높이거나 연성의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번 생성되면 다른 열처리를 통해 용해시키는데 상당한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피하고자 하였다.In addition, another point to be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ementite is present but such that an undesirable carbide phase such as M 7 C 3 is not formed. This is also a type of carbide, but because it is very different from cementite (Fe 3 C), it is combined with other carbide-forming elements Nb, V, and Ti other than Fe, such as NbC, VC, and TiC, not NbC, VC and TiC. It is possible to form such forms as 7 C 3 , V 7 C3 and Ti 7 C 3 . In this case, since the carbide becomes very high hardness, low strength to omit spheroidization cannot be secured, and tensile strength is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or ductility decreases. In addition, once produced, since a considerable time is required to dissolve through another heat treatment, it is to be avo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과공석강의 경우에는 탄소가 다량 첨가되기 때문에 Acm을 제어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합금원소와 반응하여 상기 M7C3 형태의 탄화물이 형성되기 쉬운조건이 형성되므로 이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이들 탄화물에 의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super-vacuum steel, since a large amount of carbon is added, conditions for forming carbides of the M 7 C 3 form are formed by reacting with the alloying element introduced to control Acm. Problems should be avoided.

또한, 냉간 가공성 특히, 냉간 압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선재 내에 존재하는 각 조직의 분율을 적절히 제어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cold workability, in particular cold rolling,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fraction of each structure present in the steel wire.

그 뿐만 아니라, 빌레트를 가열하는 온도가 Acm 이하이기 때문에 비록 미용해 시멘타이트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이후 압연과정에서 이들 시멘타이트를 핵으로 하여 구상화된 시멘타이트가 적절히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압연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통상의 방법을 적절히 이용함에 의해서도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강선재를 제조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신규한 압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유리한 강선재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for heating the billet is less than Acm, even if undissolved cementite is present,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rolling conditions so that the cemented spheroidite is properly formed in the subsequent rolling process. . Of cours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nufacture the steel wire intend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appropriately using a conventional metho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new rolling method more efficient and desirable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produce the advantageous steel wire.

따라서, 이하 상기 강재 및 강선재의 특징 및 상기 유리한 특징을 가진 강선재를 제공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ivided into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providing a steel wire hav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dvantageous features of the steel and steel wire.

(강재의 조성)(Composition of steel)

탄소 : 0.9-1.4% (이하 중량%)Carbon: 0.9-1.4% (less than weight%)

탄소는 강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강재를 과공석 조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원소이다. 또한, 탄소 역시 Acm 온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0.9% 미만의 함량에서는 Acm 상승효과가 크지 않고, 1.4%를 초과하게 되면 M7C3 등과 같은 새로운 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Carbon is an element which improves the strength of steel and is an element which is added indispensably to maintain steel in super-vacuum composition. In addition, carbon also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cm temperatu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adjust the content. At a content of less than 0.9%, the Acm synergy is not great, and if it exceeds 1.4%, a new phase such as M 7 C 3 is not preferable.

실리콘 : 0.3-0.7%Silicon: 0.3-0.7%

실리콘의 함량을 0.3-0.7%로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실리콘 함량이 0.7%를 초과하는 경우 냉간 인발 및 압조 공정 중 가공경화 현상이 급격하게 일어나 가공성에 많은 문제가 되며 0.3%미만에서는 볼트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limiting the content of silicon to 0.3-0.7% is as follows. If the silicon content exceeds 0.7%, the work hardening phenomenon occurs during the cold drawing and pressing process, which is a problem in the workability, and less than 0.3% can not secure sufficient strength of the bolt.

망간 : 0.3-0.7%Manganese: 0.3-0.7%

망간은 기지조직 내에 치환형 고용체를 형성하여 고용 강화하는 원소로 연성의 저하 없이도 요구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원소이며, 그 함량은 0.3-0.7%로 한정한다. 상기 망간을 0.7%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고용강화 효과보다는 망간 편석에 의하여 제품특성에 더 유해한 영향을 나타내는데, 강의 응고시 편석 기구에 따라 거시 편석과 미시 편석이 일어나기 용이한데, 망간 편석은 타 원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확산계수로 인해 편석 대를 조장하고 이로 인한 경화능 향상은 중심부 저온조직(core martensite)를 생성하는 주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망간이 0.3%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망간 편석에 의한 편석 대의 영향은 거의 없으나 고용강화에 의한 강도 보장 및 인성의 개선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Manganese is an element that forms a solid solution to form a solid solution to strengthen the solid solution to obtain a required strength without a decrease in ductility, the content is limited to 0.3-0.7%. When the manganese is added in excess of 0.7%, it is more harmful to the product characteristics due to the manganese segregation than the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ffect. Macro segregation and micro segregation are more likely to occur depending on the segregation mechanism during steel solidification. Due to the relatively low diffusion coefficient, the segregation zone is promoted and the hardenability improvement is the main cause of the core martensite. In addition, when the manganese is added less than 0.3%, the effect of segregation zone due to manganese segregation is hardly expected, but the effect of guaranteeing strength and improving toughness by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is hardly expected.

알루미늄 : 0.75-1.45%Aluminum: 0.75-1.45%

알루미늄 함량에 따른 Fe-C 상태도를 계산하여 보면, 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영역이 작아져 1.45% 이상에서는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제한한 것이며 0.75% 미만으로 첨가하면, 본 발명에서 고안한 Acm 온도 증가를 1000℃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한하는 것이다.When calculating the Fe-C state diagram according to the aluminum content, as the aluminum content increases, the austenite region becomes smaller, so that it cannot exist as an austenite single phase at 1.45% or more. Therefore, this is limited and the addition is less than 0.75%, it is limited because the increase in the Acm temperature desig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increased to more than 1000 ℃.

크롬 : 1.3-1.7%Chromium: 1.3-1.7%

크롬 함량이 1.7% 이상인 경우 과공석강의 탄소 함량범위 1.1~1.4%C 영역에서 M7C3가 형성된다. 이러한 M7C3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Cr 첨가량을 1.7%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며, 1.3% 미만으로 첨가하면, Acm 온도 증가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제한하는 것이다.If the chromium content is 1.7% or more, M 7 C 3 is formed in the carbon content range 1.1 to 1.4% C of the roughened steel. In order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such M 7 C 3, the amount of Cr added is added at 1.7% or less, and if it is added at less than 1.3%, it is limited because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increase in Acm temperature.

니켈 : 0.3-0.7%Nickel: 0.3-0.7%

니켈은 알루미늄과 유사한 형태로 함량 증가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영역이 확장되며, 0.7%을 초과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영역이 소멸되고, 0.3% 이하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Acm 온도 증가 효과가 없어서 약 1,000도 에서 미용해 시멘타이트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는 적합하지 않다.Nickel is similar in shape to aluminum and the austenite region expands with increasing content. When it exceeds 0.7%, the austenite region disappears, and when it is added below 0.3%, nickel has no effect of increasing Acm temperature. It is not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no hash cementite can be present.

티타늄 : 0.1-0.3%Titanium: 0.1-0.3%

티타늄은 강력한 탄화물 형성 원소로서 미용해 시멘타이트 형성 이전에 형성된 탄화물을 형성시켜 압연 및 냉각시 시멘타이트 형성을 위한 seed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합금설계 시 고려한 원소들이다. 이와 같은 탄화물 들은 1000℃ 이상의 고온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시멘타이트 핵생성 자리로 작용한다. 0.3%을 초과하게 되면, 탄화물 형성의 목적 외에 과다한 고용경화 및 M7C3의 형성 효과로 소재의 연성을 감소시키므로 제한하며, 0.1%이하 첨가 시 탄화물 형성이 곤란하다.Titanium is a strong carbide forming element, which is considered to be a seed for forming cementite during rolling and cooling by forming carbide formed prior to cementite formation. These carbides act as cementite nucleation sites because they are formed at high temperatures above 1000 ° C. If the content exceeds 0.3%, the softness of the material is reduced due to excessive solidification and the formation effect of M 7 C 3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carbide 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form carbide when added below 0.1%.

니오븀 : 0.05-0.2%Niobium: 0.05-0.2%

니오븀 역시 강력한 탄화물 형성 원소로서 역할은 티타늄 첨가와 동일하다. 0.2%을 초과하게 되면, 탄화물 형성의 목적 외에 과다한 고용경화 및 M7C3의 형성 효과로 소재의 연성을 감소시키므로 제한하며, 0.05%이하 첨가 시 탄화물 형성이 곤란하다.Niobium is also a strong carbide forming element, the same as titanium addition. When the content exceeds 0.2%, the softness of the material is reduced due to excessive solid solution and the formation effect of M 7 C 3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carbide 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form carbide when added below 0.05%.

바나듐 : 0.05-1.5%Vanadium: 0.05-1.5%

바나듐 역시 강력한 탄화물 형성 원소로서 역할은 티타늄 첨가와 동일하다. 1.5%을 초과하게 되면, 탄화물 형성의 목적 외에 과다한 고용경화 및 M7C3의 형성 효과로 소재의 연성을 감소시키고 비용 측면에서 곤란한 면이 있으며, 0.05%이하 첨가 시 탄화물 형성이 곤란하다.Vanadium also acts as a strong carbide forming element, with the same addition of titanium. If it exceeds 1.5%,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carbide formation, excessive solid solution and the effect of the formation of M 7 C 3 to reduce the ductility of the material, there are difficulties in terms of cost, it is difficult to form carbide when added below 0.05%.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공석강 강재는 중량%로, 탄소 : 0.9-1.4%, 실리콘 : 0.3-0.7%, 망간 : 0.3-0.7%, 알루미늄 : 0.75-1.45%, 크롬 : 1.3-1.7%, 니켈 : 0.3-0.7%, 티타늄 : 0.1-0.3%, 니오븀 : 0.05-0.2%, 바나듐 : 0.05-1.5% 및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강재이다. Therefore, the super masonry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y weight%, carbon: 0.9-1.4%, silicon: 0.3-0.7%, manganese: 0.3-0.7%, aluminum: 0.75-1.45%, chromium: 1.3-1.7%, nickel: Steel with a composition comprising 0.3-0.7%, titanium: 0.1-0.3%, niobium: 0.05-0.2%, vanadium: 0.05-1.5% and the remaining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강재를 압연하기 위하여 1000℃ 이상의 온도로 재가열하더라도 시멘타이트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잔류하여 이후 압연 과정에서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핵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티타늄, 니오븀 또는 바나듐의 탄화물 등이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핵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비율이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Even if the steel is reheated to a temperature of 1000 ° C. or higher in order to roll the steel, cementite is not completely dissolved and remains as it can act as a nucleus of spheroidized cementite in the subsequent rolling process. Further, as described above, carbides of titanium, niobium, or vanadium may be used. Since it acts as a nucleus of the nodular cementite, the ratio of nodular cementite can increase.

(강선재의 조직)(Organization of Steel Wire)

이하, 상기 강재로부터 제조된 강선재의 바람직한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선재는 상기 강재와 동일한 조성을 가진다. 다만, 압연 과정에 의하여 인라인 구상화가 일어난 강선재이기 때문에 내부에는 구상화 시멘타이트가 바람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조건의 강재를 압연하여 얻어진 강선재로서 압연된 상태 그대로 더이상의 추가적인 인라인 구상화가 필요없는 강선재는 그 내부조직이 구상화 시멘타이트,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3상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면적분율은 구상화 시멘타이트 35~45%, 페라이트 40~60%, 펄라이트 5~15%의 값을 가지며 시멘타이트의 종횡비가 1.5 이하이며 평균 입도가 3~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inafter, the preferable conditions of the steel wire material manufactured from the said steel material are demonstrated. The steel wire rod has the same composition as the steel rod. However, since it is a steel wire material inline spheroidization by the rolling proc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pheroidized cementite is preferably formed therein. Therefore, steel wire rods obtained by rolling steel materials under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as rolled, do not require any further in-line spheroidization, and their inner structure is composed of three phases of spheroidized cementite, ferrite and pearlite, and each area fraction is spheroidized. Cementite has a value of 35 to 45%, ferrite 40 to 60%, pearlite 5 to 15%, the aspect ratio of cementite is 1.5 or l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3 ~ 10 ㎛.

상기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면적 분율이 너무 낮을 경우에는 냉간압조성이 향상되기 어려우며, 반대로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비율이 너무 높을 경우에는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크기가 조대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시멘타이트의 공급원이 되는 탄소의 함량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또한, 상기 펄라이트 면적 비율이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선재의 변형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냉간 압조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5% 정도의 펄라이트는 불가피하게 잔류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페라이트 비율은 탄소 함량과 구상화 시멘타이트 비율 및 잔류 펄라이트 비율에 따라 자연적으로 결정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If the area fraction of the spheroidized cementite is too low,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cold pressure composition. On the contrary, if the ratio of the spheroidized cementite is too high, the size of the spheroidized cementite may become coarse. There is also a limit to the amount of carbon that is limited to the above range. In addition, when the pearlite area ratio exceeds 15%, the deformation resistance of the steel wire increases, which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cold rolling is deteriorated, and the pearlite of about 5% inevitably remains. Ferrite ratio refers to a range that is naturally determined by the carbon content, the spheroidized cementite ratio, and the residual pearlite ratio.

또한, 상기 시멘타이트의 형상은 구형에 가까울 필요가 있는데, 판상 시멘타이트의 경우에는 강재의 냉간 가공성 향상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구상 시멘타이트의 종횡비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종횡비는 가로와 세로의 비율로서 둘중 큰 쪽이 분자가 되므로 1이 최소치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hape of the cementite needs to be close to a spherical shape, in the case of plate-shaped cementite, it is not preferable for improving the cold workability of steel material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spect ratio of the spherical cementite is 1.5 or l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aspect ratio is the ratio between the width and the length, so that the larger one becomes the numerator, 1 is the minimum value.)

더불어, 시멘타이트의 평균 크기는 3~10 ㎛로 한정한다. 이것은 3 ㎛ 이하의 경우에는 입자가 너무 미세해지기 때문에 구상화 열처리를 생략할만한 충분한 낮은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미세해짐과 동시에 그 개수가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이며, 10 ㎛ 이상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업적인 조건보다 고온에서 장시간 유지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압연 조건은 연속 조업이기 때문에 10 ㎛ 이상의 경우는 거의 불가능 하며, 이와 같은 장시간 유지로 말미암아 기지 조직인 페라이트의 결정립의 크기가 매우 증가하므로 연성의 저하 역시 유발되기 때문에 제한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verage size of cementite is limited to 3-10 micrometers. This is because when the particle size is 3 μm or less, the particles are too fine to obtain a sufficiently low strength to omit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nd the number thereof increases considerably as well as the fineness. It can be obtained by maintaining it for a long time at high temperature than conditions. Since the actual rolling condition is a continuous operation, it is almost impossible in the case of 10 μm or more, and since the grain size of the ferrite, which is a known structure, is greatly increased due to such long-term maintenance, the ductility decrease is also caused.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상술한 유리한 조건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강선재는 상기 조성의 강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강선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종래 제공된 제조방법에 비하여 보다 바람직하고 신규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도 2에 그 예가 도시되어 있듯이, 강재를 적절한 온도로 일정시간 가열하고, 냉각한 이후 압연하고 서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발명의 제조조건을 이루는 강재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가열후 냉각조건, 압연 온도, 압연후 냉각조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steel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advantageous conditions can be produced from the steel of the composition. Herein, a more preferable and novel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conventionally provided for manufacturing the steel wire. Briefly describ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consists of a process of heating the steel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cooling and then rolling and slow cooling. Hereinafter, the heating temperature, the heating time, the cooling conditions after heating, the rolling temperature, and the cooling conditions after rolling of the steel forming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강재의 가열 온도 : 1000~1100℃Heating temperature of steel: 1000 ~ 1100 ℃

상기 온도에서의 가열은 본 발명의 유리한 조성을 가진 강재 내부에 오스테나이트와 미용해 시멘타이트가 함께 존재하면서도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과다하게 조대화 되지 않도록 한다. 가열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매우 조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시멘타이트의 용해량이 증가하여 잔존 시멘타이트 양이 부족해질 수 있다.Heating at this temperature prevents austenite grains from coarsening excessively while austenite and undissolved cementite are present together in the steel having the advantageous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heating temperature is too high, not only the austenite grains become very coarse, but also the amount of cementite dissolved increases, so that the amount of remaining cementite may be insufficient.

또한, 가열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미용해 시멘타이트의 양이 너무 많아져서 압연이 곤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too low, the amount of undissolved cementite may be too large and rolling may be difficult.

강재의 가열 시간 : 30분 ~ 1시간 30분Heating time of steel: 30 minutes ~ 1 hour 30 minutes

강재의 가열은 후속되는 압연과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시멘타이트가 적절히 용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30분 이상 가열하여 강재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너무 장시간 가열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조대화의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가열 범위를 제한한다.Since the heating of the steel is to facilitate the subsequent rolling process and to allow the cementite to dissolve properly, it is necessary to heat the steel for 30 minutes or more to mak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el uniform. However, when heating for too long, not only the possibility of coarsening of austenite grains increases but also the productivity decreases considerably, which limits the heating range.

가열후 냉각속도 : 5~15℃/sCooling rate after heating: 5 ~ 15 ℃ / s

상기 냉각속도는 열간 압연 전 냉각 단계에서 미세조직의 변태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제한한 것이다. 열간 압연 전 냉각속도가 5℃/s 이하인 경우에는 생산성이 감소하고, 서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가열시간을 장시간 유지한 경우와 같이, 열간 압연 완료 후 선재의 강도와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냉각속도가 15℃/s를 초과하면 압연 전 빌레트가 가지는 변태의 구동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압연 중 새로운 미세조직이 출현할 가능성이 커지게 되며, 이와 같은 미세조직은 극히 저온(예를 들면 600℃)에서 압연하여야 제거가 가능한데, 통상의 압연설비로는 상기 저온압연이 불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The cooling rate is limited to the purpose of minimiz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microstructure in the cooling step before hot rolling. If the cooling rate before hot rolling is 5 ° C / s or less, productivity is reduced, and additional equipment is required to maintain slow cooling. In addition, as in the case where the heating tim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fear that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wire rod after the hot rolling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ling rate exceeds 15 ° C / s, the driving forc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billet before rolling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new microstructures during rolling, and such microstructures are extremely low temperature (for example, 600). It is not possible to remove it by rolling at C), bu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low temperature rolling is not possible with a conventional rolling equipment.

압연 온도 : A1 이상Rolling temperature: A 1 or more

압연온도가 페라이트+펄라이트로의 변태온도인 상기 A1 미만일 경우에는 압연 중 펄라이트와 같은 새로운 미세조직이 생성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압연은 A1 이상으로 한다. 압연 온도가 상기 냉각온도 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압연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가열온도를 고려할 경우 1000℃ 이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When the rolling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A 1 , which is the transformation temperature to ferrite + pearlite, the rolling is made to be A 1 or more because new microstructures such as pearlite may be generated during rolling. Naturally, the upper limit of the roll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the roll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cooling temperature.

압연 후 냉각속도 : 30℃/s 이하Cooling rate after rolling: 30 ℃ / s or less

냉각속도 30℃/s를 초과하여 급냉 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및 미용해 시멘타이트의 미세조직 중 오스테나이트가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어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30℃/s 이하의 냉각속도로 서냉하면 충분한 변태가 이루어질 수 있고, 30℃/s 이하의 어떠한 냉각속도라도 본 발명에서 고안한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고, 냉각속도가 느릴수록 매우 유용하다. 상기 냉각속도는 강재의 온도가 500℃ 이하로 될때까지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f the cooling rate is more than 30 ℃ / s rapidly quenched austenite in the microstructure of austenite and undissolved cementite is transformed to bainite or martensite to achieve the purpose. In addition, if the slow cooling at a cooling rate of 30 ℃ / s or less can be sufficient transformation can be achieved, any cooling rate of 30 ℃ / s or less can obtain a microstructure desig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wer the cooling rate is very useful. The cooling rate is more preferably controlled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steel is 500 ° C or less.

따라서, 본 발명의 강선재 제조방법은 상술한 유리한 조성의 강재를 1000~1100℃의 온도로 30분~1시간 30분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재를 5~15℃/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강재를 A1 온도 이상에서 압연하여 강선재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강선재를 30℃/s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steel wir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heating the steel of the above-described advantageous composition at a temperature of 1000 ~ 1100 30 minutes ~ 1 hour 30 minutes; Cooling the heated steel at a cooling rate of 5 to 15 ° C./S; Rolling the steel at an A1 temperature or more to produce a steel wire shap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oling the steel wire to 30 ℃ / s or les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matters reasonably inferred therefrom.

(실시예)(Example)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가진 빌레트를 준비하고 표 2에 기재된 조건으로 압연을 실시하여 강선재를 제조하였다. 표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를 의미하며, 표 2에서 각종온도는 ℃을 냉각속도는 ℃/s를 의미한다.A billet hav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was prepared and roll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to prepare a steel wire. In Table 1,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means weight%, and in Table 2, various temperatures mean ℃, and cooling rate means ℃ / s.

하기 표 1에서 Acm은 열역학적 계산법을 이용하여 도출한 것으로서 그 정확도는 ±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Table 1, Acm was derived using a thermodynamic calculation method, and the accuracy was found to be ± 5 ° C.

구분division CC SiSi MnMn AlAl CrCr NiNi TiTi NbNb VV Acm(℃)Acm (℃) 비교재1Comparative Material 1 0.80.8 0.30.3 0.30.3 0.750.75 1.31.3 0.30.3 0.10.1 0.050.05 0.050.05 827827 비교재2Comparative Material 2 0.90.9 0.10.1 0.30.3 0.750.75 1.31.3 0.30.3 0.10.1 0.050.05 0.050.05 798798 비교재3Comparative Material 3 0.90.9 0.30.3 0.10.1 0.750.75 1.31.3 0.30.3 0.10.1 0.050.05 0.050.05 923923 비교재4Comparative Material 4 0.90.9 0.30.3 0.30.3 0.20.2 1.31.3 0.30.3 0.10.1 0.050.05 0.050.05 895895 비교재5Comparative Material 5 0.90.9 0.30.3 0.30.3 0.750.75 0.10.1 0.30.3 0.10.1 0.050.05 0.050.05 986986 비교재6Comparative Material 6 0.90.9 0.30.3 0.30.3 0.750.75 1.31.3 0.10.1 0.10.1 0.050.05 0.050.05 906906 비교재7Comparative Material7 0.90.9 0.30.3 0.30.3 0.750.75 1.31.3 0.30.3 -- 0.050.05 0.050.05 899899 비교재8Comparative Material 8 0.90.9 0.30.3 0.30.3 0.750.75 1.31.3 0.30.3 0.10.1 -- 0.050.05 962962 비교재9Comparative Material 9 0.90.9 0.30.3 0.30.3 0.750.75 1.31.3 0.30.3 0.10.1 0.050.05 -- 981981 발명재1Invention 1 0.90.9 0.30.3 0.30.3 0.750.75 1.31.3 0.30.3 0.10.1 0.050.05 0.050.05 10351035 발명재2Invention 2 1.01.0 0.30.3 0.30.3 0.750.75 1.31.3 0.30.3 0.10.1 0.050.05 0.050.05 10421042 발명재3Invention 3 1.21.2 0.70.7 0.70.7 1.451.45 1.71.7 0.70.7 0.30.3 0.20.2 1.51.5 10781078 발명재4Invention 4 1.41.4 0.70.7 0.70.7 1.451.45 1.71.7 0.70.7 0.30.3 0.20.2 1.51.5 10961096 비교재10Comparative Material 10 1.61.6 0.70.7 0.70.7 1.451.45 1.71.7 0.70.7 0.30.3 0.20.2 1.51.5 10991099 비교재11Comparative Material 11 1.41.4 1.01.0 0.70.7 1.451.45 1.71.7 0.70.7 0.30.3 0.20.2 1.51.5 11021102 비교재12Comparative Material 12 1.41.4 0.70.7 1.01.0 1.451.45 1.71.7 0.70.7 0.30.3 0.20.2 1.51.5 11111111 비교재13Comparative Material 13 1.41.4 0.70.7 0.70.7 2.02.0 1.71.7 0.70.7 0.30.3 0.20.2 1.51.5 10851085 비교재14Comparative Material14 1.41.4 0.70.7 0.70.7 1.451.45 2.02.0 0.70.7 0.30.3 0.20.2 1.51.5 10231023 비교재15Comparative Material 15 1.41.4 0.70.7 0.70.7 1.451.45 1.71.7 1.01.0 0.30.3 0.20.2 1.51.5 996996 비교재16Comparative Material 16 1.41.4 0.70.7 0.70.7 1.451.45 1.71.7 0.70.7 0.50.5 0.20.2 1.51.5 989989 비교재17Comparative Material17 1.41.4 0.70.7 0.70.7 1.451.45 1.71.7 0.70.7 0.30.3 0.50.5 1.51.5 10251025 비교재18Comparative Material 18 1.41.4 0.70.7 0.70.7 1.451.45 1.71.7 0.70.7 0.30.3 0.20.2 2.02.0 11081108

구분division 가열온도Heating temperature 가열시간Heating time 가열후 냉각속도Cooling rate after heating 압연온도Rolling temperature 압연후 냉각속도(500℃까지)Cooling rate after rolling (up to 500 ℃) 비교재1Comparative Material 1 10071007 85분85 minutes 88 889889 2727 비교재2Comparative Material 2 10101010 85분85 minutes 99 913913 1313 비교재3Comparative Material 3 10031003 82분82 minutes 1111 902902 1212 비교재4Comparative Material 4 10091009 87분87 minutes 99 945945 2121 비교재5Comparative Material 5 10101010 90분90 minutes 1010 941941 2222 비교재6Comparative Material 6 10131013 85분85 minutes 88 899899 2323 비교재7Comparative Material7 10111011 90분90 minutes 1212 923923 2121 비교재8Comparative Material 8 10011001 90분90 minutes 77 961961 2626 비교재9Comparative Material 9 10191019 90분90 minutes 1414 887887 1818 발명재1Invention 1 10091009 85분85 minutes 77 946946 77 발명재2Invention 2 10131013 90분90 minutes 88 967967 1414 발명재3Invention 3 10081008 87분87 minutes 1111 956956 1515 발명재4Invention 4 10081008 90분90 minutes 1212 923923 1111 비교재10Comparative Material 10 10501050 90분90 minutes 1010 915915 2222 비교재11Comparative Material 11 10181018 90분90 minutes 99 935935 1818 비교재12Comparative Material 12 10101010 85분85 minutes 1212 942942 1212 비교재13Comparative Material 13 10191019 90분90 minutes 1313 901901 2323 비교재14Comparative Material14 10001000 90분90 minutes 1010 957957 2121 비교재15Comparative Material 15 10011001 85분85 minutes 99 921921 1919 비교재16Comparative Material 16 10031003 87분87 minutes 1515 897897 1818 비교재17Comparative Material17 10031003 90분90 minutes 1414 899899 1818 비교재18Comparative Material 18 10111011 90분90 minutes 1010 942942 1616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발명재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조성범위를 모두 충족시키는 강재이나, 비교재1의 경우는 탄소 함량이 본 발명이 요구하는 범위에 미달되는 경우를, 비교재2는 실리콘 함량이 부족한 경우를, 비교재3은 망간함량이 부족한 경우를, 비교재4는 알루미늄 함량이 미달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비교재5,6,7,8 및 9는 각각 크롬, 니켈, 티타늄, 니오븀 및 바나듐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함량조건에 미달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재10의 경우는 탄소 함량이 본 발명이 요구하는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를, 비교재11는 실리콘 함량이 과다한 경우를, 비교재12은 망간함량이 과다한 경우를, 비교재13은 알루미늄 함량이 본 발명에서 규정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비교재14,15,16,17 및 18는 각각 크롬, 니켈, 티타늄, 니오븀 및 바나듐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함량조건을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낸다.As described in Table 1, the invention is a steel material that satisfies all the composition ranges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but in the case of Comparative Material 1, the carbon content is less than the range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ative Material 2 is the silicon content. In this case, the comparative material 3 shows a case where the manganese content is insufficient, and the comparative material 4 shows a case where the aluminum content is insufficient. Comparative materials 5, 6, 7, 8, and 9 represent cases where chromium, nickel, titanium, niobium, and vanadium do not meet the content condition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material 10, the carbon content exceeds the range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ative material 11 is the case where the silicon content is excessive, the comparative material 12 is the case where the manganese content is excessive, and the comparative material 13 is aluminum The case where content exceeds the range prescribed | regulated by this invention is shown. In addition, the comparative materials 14, 15, 16, 17 and 18 represent a case where chromium, nickel, titanium, niobium and vanadium exceed the content conditions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의 강재를 표 2의 조건으로 압연하여 강선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표 2는 발명재와 비교재에 관계없이 모두 본 발명의 압연 조건대로 압연되도록 압연조건을 설정한 것이다. 상기 표 1의 조성을 충족하는 각 강재를 표 2의 조건으로 압연하여 제조한 강선재의 물성을 검토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steel material of the composition of Table 1 was rolled on condition of Table 2, and the steel wire material was manufactured. Table 2 above is to set the rolling conditions to be rolled according to the rolling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invention material and the comparative material. Table 3 show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teel wires manufactured by rolling each steel material satisfying the composition of Table 1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2.

본 발명의 발명재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발명재 3에 대한 조직을 관찰한 현미경 사진인 도 3을 참고하면 내부에 구상화 평균크기 3~10 ㎛ 정도인 구상화 시멘타이트가 균일하게 분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It was confirmed that the invention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atisfied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3, which is a micrograph of the structure of the inventive material 3, it was confirmed that spheroidized cementite having a spherical average size of about 3 to 10 μm was uniformly distributed therein.

표 3에는 표 1에 나타낸 소재에 대하여 모두 표 2에 나타낸 조건과 같이 제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듯이, 비교재 1~9은 Acm 온도가 1000℃ 미만인 경우로서 미세 시멘타이트 핵을 잔존시키는데 부적합하여, 결국 조직내 구상화 시멘타이트가 형성되기 곤란하다. 즉, 비교재1의 조성을 가지는 강재를 표 2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으로 처리한 후 급냉처리하여 그 조직을 관찰한 사진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한 시멘타이트는 전혀 관찰하기 어려웠다. 고온에서 미세 시멘타이트가 잔존하지 않으면 이를 핵으로 하여 구상화 시멘타이트가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나머지 비교재1,3~9 역시 동일한 형태의 조직을 가지고 있었다.Table 3 shows the results of all of the materials shown in Table 1 prepar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As shown in Table 2, Comparative Materials 1 to 9 are unsuitable for remaining fine cementite nuclei when the Acm temperature is less than 1000 ° C., so that spheroidized cementite in the tissue is difficult to form. That is, as shown in FIG. 4, which is a photograph of a steel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of Comparative Material 1 at a heating temperature and a heating time of Table 2 and then quenched to observe its structure, fine cementite was hardly observed at all. If fine cementite does not remain at high temperatures, it is difficult to form spheroidized cementite as a nucleus and thus does not meet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the remaining comparative materials 1, 3 and 9 also had the same structure.

도 5에는 본 발명의 성분 조건을 충족하는 발명예2를 표 2에 도시한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으로 가열한 후 급냉한 후 조직을 관찰한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강재를 가열하더라도 시멘타이트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미세하게 잔존하기 때문에 이후 냉각, 압연 등의 과정에서 구상화 시멘타이트로 발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추가적인 구상화 열처리가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FIG. 5 shows a photograph of observing the tissue after quenching after heating Example 2 satisfying the component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shown in Table 2. FIG. As can be seen in Figure 5, even when the steel is heated, cementite is not completely dissolved but finely remaining, so that it can be developed into spheroidized cementite in the process of cooling, rolling, etc.,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dditional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도 6에는 비교재3을 표 2의 조건으로 제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재3의 경우에도 가열시 미세 시멘타이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조직은 모두 일반 펄라이트 조직으로 변태되었으며, 이는 냉간가공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결과는 나머지 비교재인 비교재1,2,4-9에서도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6 shows the results of preparing Comparative Material 3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2. As described above, even in Comparative Material 3, since no fine cementite was present during heating, the tissues were all transformed into normal pearlite structures, which are not suitable for cold working.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to be the same in the comparative comparative materials 1, 2, 4-9.

비교재 11은 본 발명의 조건에 비하여 실리콘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이다. 상기 실리콘은 가공경화를 조장하는 원소로써,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냉간압조용 소재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상기 비교재11에서는 가공중 극심한 가공경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냉간압조에 사용하기 곤란한 것이다. 즉, 표 2의 조건으로 제조된 발명재3과 비교해볼 때, 그 미세조직이 유사하며, 압연 및 냉각후 선재의 인장강도 역시 발명재1~4와 유사하게 720~780MPa 수준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에 속한다. 다만, 상기 선재에 대하여 30% 정도의 냉간가공을 실시한 경우 발명재1~4의 인장강도는 750~780MPa 수준으로서 인장강도의 상승이 거의 없었으나 상기 비교재11은 그 인장강도가 850MPa로서 냉간가공에 의하여 극심한 가공경화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가공경화가 심할 경우 성형하중이 증가하게 되며 다이스의 조기 마모를 유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비교예11은 적합하지 않다.Comparative material 11 is a case where the content of silicon is excessive compared to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icon is an element that promotes work hardening, and when the content thereof is excessive, the silicon is not suitable for the material for cold pressing targe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mparative material 11 is difficult to use in a cold press because the extreme work hardening phenomenon occurs during processing. That is, compared to the invention material 3 prepared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2, the microstructure is similar,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ire rod after rolling and cooling is also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720 ~ 780MPa level similar to the invention materials 1-4 It belongs to the range. However, when cold working about 30% of the wire rod was perform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inventive materials 1 to 4 was 750 to 780 MPa, and there was almost no increase in tensile strength. However, the comparative material 11 was cold worked as its tensile strength was 850 MPa.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eme work hardening occurred by. If the work hardening is sever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molding load increases and causes early wear of the die. Therefore, Comparative Example 11 is not suitable.

비교재10 및 14의 경우에는 탄화물 중 일부가 M7C3 형태로 존재하여 강도가 높고 연성이 급격하게 저하하여 적합하지 않았다. 도 7에는 비교재10에서 관찰된 M7C3와 일반 시멘타이트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내었는데 육안으로는 거의 동일하게 관찰되나, 성분 분석에 의하여 구별가능하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Materials 10 and 14, some of the carbides were present in the form of M 7 C 3 , which is not suitable because of high strength and rapid ductility. 7 shows a photograph of M 7 C 3 and general cementite observed in Comparative Material 10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which is almost identical to the naked eye, but can be distinguished by component analysis.

비교재12는 경우는 망간 함량이 높은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망간에 의한 편석이 상당량 관찰되고, 편석으로 인하여 중심부에 마르텐사이트 등과 같은 경한 조직이 생성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표 4에 상기 각 발명재와 비교재에 대한 편석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에서 Mn(C)는 표 2의 조건으로 제조된 선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의 중심부 망간함량을 나타낸 것이며, Mn(S)는 중심부와 표면의 중간 지점에서 분석한 망간함량을 나타낸다.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재12의 중심부 망간 함량은 1.8중량% 수준인데 일반적으로 망간함량이 이 정도로 높으면 공냉을 통해서도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Comparative material 12 is a case of high manganese content. In this case, segregation by manganese is observed in a considerable amount, and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segregation may result in formation of a hard tissue such as martensite in the center. Table 4 shows the results of segregation analysis for each of the inventive and comparative materials. In the table, Mn (C) represents the manganese content in the center of th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wire rod manufactured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2, and Mn (S) represents the manganese content analyzed at the middle point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face. As can be seen in the table, the core manganese content of Comparative Material 12 is about 1.8% by weight, and in general, if the manganese content is so high, martensite may be generated through air cooling, which is not preferable.

비교재13의 경우는 알루미늄 함량이 매우 높은 경우를 나타낸다. 알루미늄 함량이 과다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가 단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의 공존 구역이 넓게 나타난다. 또한, 냉각 시 오스테나이트와 초석 시멘타이트의 상태도를 지나는 것이 아니라 오스테나이트, 시멘타이트 및 페라이트의 3상 공존 구역을 지나기 때문에 곤란하다. 더불어 이것은 시멘타이트의 양보다 페라이트의 양이 훨씬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변태되는 페라이트에 상당량의 탄소가 용해된 상태이기 때문에 강도는 낮아질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층상의 펄라이트 조직에 있는 층상의 시멘타이트를 적정한 범위 내로 구상화 시켜 강도를 낮추고자 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는 적합하지 않다.The comparative material 13 shows a case where the aluminum content is very high. If the aluminum content is excessive, austenite cannot exist in a single phase, and the coexistence area of austenite and ferrite is wid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ass the three-phase coexistence zone of austenite, cementite and ferrite, rather than passing the state diagram of austenite and salt cementite during cooling. In addition, this not only increases the amount of ferrite much more than that of cementite, but also the strength cannot be lowered because a considerable amount of carbon is dissolved in the transformed ferrite.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reduce the strength by spheroidizing the layered cementite in the layered pearlite structure within an appropriate range, which is not suitable in this case.

비교재 16~18은 티타늄, 니오븀 및 바나듐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함량조건을 초과하는 경우이며, 이는 티타늄 카바이드, 니오븀 카바이드 및 바나듐 카바이드가 다량 M7C3 형태로 존재하여 강도가 높고 연성이 저하하여 적합치 않은 경우이다. 그 결과, 비교재 16~18은 모두 인장강도 1000 MPa 이상이 되어 본 발명에서 적합하지 않으며, 연성 역시 발명재에 비하여 50% 수준인 10% 이하로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적합하지 않다. 탄화물 생성 형태는 도 7과 같은 M7C3 형태로 관찰된다.Comparative materials 16 to 18 are cases where titanium, niobium, and vanadium exceed the content conditions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itanium carbide, niobium carbide, and vanadium carbide are present in a large amount of M 7 C 3 to have high strength and low ductility. This is not the case. As a result, all of the comparative materials 16 to 18 are not sui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tensile strength is more than 1000 MPa, the ductility is also not suitable because it is rapidly reduced to 10% or less, which is 50% of the invention material. Carbide formation form is observed in the form of M 7 C 3 as shown in FIG.

표 3은 표 1의 함량을 가진 소재를 표 2의 조건에 따라 제조한 후 다양한 미세조직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더불어 비고에는 각 경우별로 본 발명에 적합하지 않은 이유를 기재하였다.Table 3 compares the various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after preparing the materials having the contents of Table 1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able 2. In addition, the remarks described in each case the reason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통상 강재가 800MPa 이하의 인장강도와 15% 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경우 냉간압조에 적합하다.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에 적합한 강재인 발명재들의 경우는 모두 상기 조건을 충족하고 있었다. 비교재는 비교재11과 비교재12가 상기 인장강도 조건을 충족하고 있었으나 이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경화가 극심하거나 편석이 심한 경우로서 본 발명의 조건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발명재들만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냉간압조용 강재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관찰한 결과, 구상화 시멘타이트 35~45%, 페라이트 40~60%, 펄라이트 5~15%의 값을 가지며 시멘타이트의 종횡비가 1.5 이하인 경우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평균 입도가 3 ㎛ 이하인 경우에는 구상화에 의한 효과를 얻기 어려웠으며 오히려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반대로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평균입도가 10㎛를 초과한 경우에는 인장강도는 감소시킬 수 있었으나 상업적인 방법으로는 제조가 거의 불가능하였다.In general, steel is suitable for cold pressing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800MPa or less and elongation of 15% or more. As shown in Table 1, all of the invention materials, which are steels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d the above conditions. In the comparative material, the comparative material 11 and the comparative material 12 satisfy the above tensile strength conditions, but these are cases where the work hardening or the segregation is severe as described above,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only the invention materials were found to be suitable as the cold-rolled steel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servation of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spheroidized cementite 35-45%, ferrite 40-60%, pearlite 5-15%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has a value of and the aspect ratio of cementite is 1.5 or less.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spheroidized cementite is 3 μm or less, it was difficult to obtain the effect by spheroidiza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result was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The tensile strength could be reduced, but it was almost impossible to manufacture by commercial methods.

또한, 표 3에서 정의되는 바는 시멘타이트 및 페라이트 조직의 비율은 펄라이트에 포함된 것을 의미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펄라이트 내에 존재하는 시멘타이트와 페라이트는 펄라이트에 포함되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비교재 1~9의 경우는 대부분이 펄라이트 조직으로 변태하였기 때문에 시멘타이트 형상 역시 구상의 형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시멘타이트의 형상만을 언급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s defined in Table 3, the ratio of cementite and ferrite tissue does not mean that the pearlite is included, but rather means an existing tissue. This is because cementite and ferrite present in pearlite were observed in pearli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Materials 1 to 9, since most of them were transformed into pearlite structures, the cementite shape also referred to only the shape of cementite independently existing in spherical form.

구분
division
조직 비율Organization rate 시멘타이트 형상Cementite geometry 인장 강도
The tensile strength
연신율
Elongation
비고
Remarks
시멘타이트Cementite 페라이트ferrite 펄라이트Pearlite 종횡비Aspect ratio 평균입도Average particle size 비교재1Comparative Material 1 -- -- 100100 -- -- 12051205 1212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비교재2Comparative Material 2 -- -- 100100 -- -- 12431243 1414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비교재3Comparative Material 3 -- -- 100100 -- -- 13561356 1616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비교재4Comparative Material 4 -- -- 100100 -- -- 14021402 1515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비교재5Comparative Material 5 -- -- 100100 -- -- 12891289 1111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비교재6Comparative Material 6 -- -- 100100 -- -- 12641264 1212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비교재7Comparative Material7 -- -- 100100 -- -- 13211321 1313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비교재8Comparative Material 8 -- -- 100100 -- -- 14161416 1212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비교재9Comparative Material 9 -- -- 100100 -- -- 13791379 1414 Acm 온도 부족Acm lack of temperature 발명재1Invention 1 4545 4040 1515 1.31.3 33 768768 1616 본 발명에 적합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재2Invention 2 3636 5252 1212 1.21.2 77 772772 1818 본 발명에 적합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재3Invention 3 3939 4848 1313 1.11.1 88 750750 1919 본 발명에 적합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재4Invention 4 3535 4040 2525 1.51.5 1010 781781 1818 본 발명에 적합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비교재10Comparative Material 10 5858 2828 1414 10681068 33 M7C3 형성M 7 C 3 Formation 비교재11Comparative Material 11 3636 5252 1212 1.21.2 77 763763 1717 가공경화 극심Work hardening 비교재12Comparative Material 12 3636 5252 1212 1.21.2 77 778778 99 중심 편석 극심Center Segregation Extreme 비교재13Comparative Material 13 4848 3939 1313 1.51.5 33 10261026 55 오스테나이트상 소멸Austenite phase disappeared 비교재14Comparative Material14 4949 3131 3030 1.11.1 22 12561256 77 M7C3 형성M 7 C 3 Formation 비교재15Comparative Material 15 5252 3636 1212 1.51.5 66 11231123 33 오스테나이트상 소멸Austenite phase disappeared 비교재16Comparative Material 16 4949 1818 3333 1.81.8 1One 13251325 99 M7C3 형성M 7 C 3 Formation 비교재17Comparative Material17 5151 1616 3333 1.21.2 22 12321232 88 M7C3 형성M 7 C 3 Formation 비교재18Comparative Material 18 5050 2121 2929 1.31.3 33 11611161 55 M7C3 형성M 7 C 3 Formation

구분division 전체 망간 함량
(wt.%)
Total manganese content
(wt.%)
Mn(C)
(wt.%)
Mn (C)
(wt.%)
Mn(S)
(wt.%)
Mn (S)
(wt.%)
Mn(C)/Mn(S)Mn (C) / Mn (S) 비 고Remarks
비교재1Comparative Material 1 0.30.3 0.310.31 0.290.29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2Comparative Material 2 0.30.3 0.300.30 0.300.30 1.01.0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3Comparative Material 3 0.10.1 0.120.12 0.090.09 1.31.3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4Comparative Material 4 0.30.3 0.300.30 0.300.30 1.01.0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5Comparative Material 5 0.30.3 0.300.30 0.280.28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6Comparative Material 6 0.30.3 0.320.32 0.280.28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7Comparative Material7 0.30.3 0.350.35 0.310.31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8Comparative Material 8 0.30.3 0.320.32 0.300.30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9Comparative Material 9 0.30.3 0.310.31 0.280.28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발명재1Invention 1 0.30.3 0.300.30 0.290.29 1.01.0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발명재2Invention 2 0.30.3 0.340.34 0.280.28 1.21.2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발명재3Invention 3 0.70.7 0.750.75 0.680.68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발명재4Invention 4 0.70.7 0.760.76 0.620.62 1.21.2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10Comparative Material 10 0.70.7 0.790.79 0.700.70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11Comparative Material 11 0.70.7 0.720.72 0.710.71 1.01.0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12Comparative Material 12 1.01.0 1.821.82 0.820.82 2.22.2 편석 극심Segregation extremes 비교재13Comparative Material 13 0.70.7 0.730.73 0.690.69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14Comparative Material14 0.70.7 0.730.73 0.650.65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15Comparative Material 15 0.70.7 0.750.75 0.680.68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16Comparative Material 16 0.70.7 0.720.72 0.700.70 1.01.0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17Comparative Material17 0.70.7 0.780.78 0.710.71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비교재18Comparative Material 18 0.70.7 0.740.74 0.690.69 1.11.1 편석 양호Segregation is good

본 발명의 제조조건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조건에 적합한 상기 발명재1 내지 발명재4의 강재에 대하여 강재 가열 시간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시 가열온도는 약 1000℃으로 설정하였으며, 도 8에 기재된 가열 시간동안 가열한 이후 900℃의 온도에서 선재 마무리 압연을 종료하였으며, 압연 이후 500℃까지 평균 16℃/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였다.In order to observe the influence of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uence of the steel heating time on the steel of the invention materials 1 to 4 suitable for the composition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 the heating temperature was set to about 1000 ° C, and after heating for the heating time described in FIG. .

도 8의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듯이, 1시간 30분(90분)을 초과하여 가열할 경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급속히 조대하게 되어 버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30분 미만으로 가열할 경우에는 본 발명자들의 해석 결과 예열시간이 부족하여 강재(빌레트) 전체에 온도가 균일하지 않게 되고, 중심부와 표면부의 온도차에 의하여 압연시 빌레트에 균열이 생겼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결과 열간압연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As shown in the graph of FIG. 8, it was confirmed that the austenite grains rapidly became coarse when heated for more than 1 hour 30 minutes (90 minutes). On the contrary, when heating to less than 30 minu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inventors, the preheating time is insufficien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steel (billet) is not uniform. Hot rolling could not be performed.

다음은 선재의 압연후 냉각속도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발명재 3의 조성을 가지는 강재(빌레트)를 가열온도 약 1003℃, 가열시간 84분, 냉각속도 평균 11℃/s로 냉각한 후 921℃에서 압연한 후 각 냉각속도 조건으로 500℃까지 냉각한 후의 선재 내부의 각 조직의 비율을 관찰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냉각속도가 30℃/s를 초과하면서 펄라이트의 비율이 15%를 초과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냉각속도가 더욱 높아지면 베이나이트나 마르텐사이트와 같이 냉간가공용 소재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조직까지 발생하게 되어 강재의 변형저항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Next,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cooling rate after rolling of the wire rod, the steel (billet) having the composition of Inventive Material 3 was cooled to a heating temperature of about 1003 ° C, a heating time of 84 minutes, and an average cooling rate of 11 ° C / s, and then 921 ° C. The result of observing the ratio of each structure in the wire rod after cooling to 500 degreeC by each cooling rate condition after rolling at is shown in FIG.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pearlite exceeds 15% while the cooling rate exceeds 30 ℃ / s. In addition, when the cooling rate is further increased, it is confirmed that even in the cold working material such as bainite or martensite, undesired tissues are generated and deformation resistance of the steel is very high.

따라서, 상기 냉각속도는 30℃/s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oling rate is preferably 30 ° C / s or less.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Fe-C 평형상태도,1 is a Fe-C equilibrium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강선재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구현례를 나타낸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el wir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강선재의 내부조직을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 3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el wire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비교재 2을 표 2의 가열온도 및 시간 조건 후 급냉 처리하여 시멘타이트를 관찰한 전자 현미경 사진,4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cement 2 observed in cementite by quenching the comparative material 2 after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of Table 2;

도 5는 발명재 2를 표 2의 가열온도 및 시간 조건 후 급냉 처리하여 시멘타이트를 관찰한 전자 현미경 사진,5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the invention material 2 observed in cementite by quenching after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of Table 2,

도 6은 비교재 3의 최종 미세조직을 나타낸 전자현미경 사진,6 is an electron micrograph showing the final microstructure of Comparative Material 3,

도 7은 비교재 10의 관찰된 M7C3의 형태와 일반 시멘타이트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7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f the observed form of M 7 C 3 and general cementite of Comparative Material 10,

도 8는 가열시간에 따라 결정립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 그리고8 is a graph showing that the grain size changes with heating time, and

도 9는 냉각속도에 따라 강선재 내부조직의 비율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at the ratio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el wir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oling rate.

Claims (3)

중량%로, 탄소 : 0.9-1.4%, 실리콘 : 0.3-0.7%, 망간 : 0.3-0.7%, 알루미늄 : 0.75-1.45%, 크롬 : 1.3-1.7%, 니켈 : 0.3-0.7%, 티타늄 : 0.1-0.3%, 니오븀 : 0.05-0.2%, 바나듐 : 0.05-1.5% 및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공석강 강재.By weight, carbon: 0.9-1.4%, silicon: 0.3-0.7%, manganese: 0.3-0.7%, aluminum: 0.75-1.45%, chromium: 1.3-1.7%, nickel: 0.3-0.7%, titanium: 0.1- 0.3%, niobium: 0.05-0.2%, vanadium: 0.05-1.5% and the remaining masonry steels comprising the remaining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중량%로, 탄소 : 0.9-1.4%, 실리콘 : 0.3-0.7%, 망간 : 0.3-0.7%, 알루미늄 : 0.75-1.45%, 크롬 : 1.3-1.7%, 니켈 : 0.3-0.7%, 티타늄 : 0.1-0.3%, 니오븀 : 0.05-0.2%, 바나듐 : 0.05-1.5% 및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고,By weight, carbon: 0.9-1.4%, silicon: 0.3-0.7%, manganese: 0.3-0.7%, aluminum: 0.75-1.45%, chromium: 1.3-1.7%, nickel: 0.3-0.7%, titanium: 0.1- 0.3%, niobium: 0.05-0.2%, vanadium: 0.05-1.5% and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maining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내부조직이 구상화 시멘타이트,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3상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면적분율은 구상화 시멘타이트 35~45%, 페라이트 40~60%, 펄라이트 5~15%의 값을 가지며,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osed of three phases of spheroidized cementite, ferrite and pearlite, and each area fraction has the values of spheroidized cementite 35-45%, ferrite 40-60%, and pearlite 5-15%. 시멘타이트의 종횡비가 1.5 이하이며 평균 입도가 3~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구상화된 강선재.An in-line spherical steel wire having an aspect ratio of cementite of 1.5 or less an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 to 10 µm. 중량%로, 탄소 : 0.9-1.4%, 실리콘 : 0.3-0.7%, 망간 : 0.3-0.7%, 알루미늄 : 0.75-1.45%, 크롬 : 1.3-1.7%, 니켈 : 0.3-0.7%, 티타늄 : 0.1-0.3%, 니오븀 : 0.05-0.2%, 바나듐 : 0.05-1.5% 및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000~1100℃의 온도로 30분~1시간 30분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재를 5~15℃/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강재를 A1 온도 이상에서 압연하여 강선재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강선재를 30℃/s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상화 열처리가 생략가능한 강선재의 제조방법.By weight, carbon: 0.9-1.4%, silicon: 0.3-0.7%, manganese: 0.3-0.7%, aluminum: 0.75-1.45%, chromium: 1.3-1.7%, nickel: 0.3-0.7%, titanium: 0.1- Heating the steel containing 0.3%, niobium: 0.05-0.2%, vanadium: 0.05-1.5% and the remaining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at a temperature of 1000-1100 ° C. for 30 minutes to 1 hour 30 minutes; Cooling the heated steel at a cooling rate of 5 to 15 ° C./S; Rolling the steel at an A1 temperature or more to produce a steel wire shape; And cooling the steel wire to 30 ° C / s or less.
KR1020080107332A 2008-10-30 2008-10-30 In-line spheroidized steel wi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3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332A KR101053409B1 (en) 2008-10-30 2008-10-30 In-line spheroidized steel wi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332A KR101053409B1 (en) 2008-10-30 2008-10-30 In-line spheroidized steel wi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254A KR20100048254A (en) 2010-05-11
KR101053409B1 true KR101053409B1 (en) 2011-08-01

Family

ID=4227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332A KR101053409B1 (en) 2008-10-30 2008-10-30 In-line spheroidized steel wi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4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118B1 (en) * 2011-08-10 2013-07-23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without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137A (en) 1998-08-26 2000-03-07 Kobe Steel Ltd Steel wire rod excellent in cold workability
JP2000192148A (en) 1998-12-25 2000-07-11 Kobe Steel Ltd Steel wire rod excellent in cold workability and its production
KR100470671B1 (en) * 2000-11-02 2005-03-07 주식회사 포스코 A method for manufacturing non-hteat-treated steel with excellent cold formability
KR100516518B1 (en) 2001-12-24 2005-09-26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having superior cold formability and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rking product made of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137A (en) 1998-08-26 2000-03-07 Kobe Steel Ltd Steel wire rod excellent in cold workability
JP2000192148A (en) 1998-12-25 2000-07-11 Kobe Steel Ltd Steel wire rod excellent in cold workability and its production
KR100470671B1 (en) * 2000-11-02 2005-03-07 주식회사 포스코 A method for manufacturing non-hteat-treated steel with excellent cold formability
KR100516518B1 (en) 2001-12-24 2005-09-26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having superior cold formability and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rking product made of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254A (en)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73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ultra soft high carbon hot-rolled steel sheets
KR101253852B1 (en) Non-heat Treatment Rolled Steel and Drawn Wire Rod Having High T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554505B2 (en) Hot-rolled wire rod / steel bar for machin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43075B1 (en) Non-quenched and tempered wire rod having excellent drawability and impact t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65264B1 (en) Wire rod for chq capable of reducing softening treatment tim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same
KR102318036B1 (en) Non-heat treated wire rod having excellent machinability and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977499B1 (en) Wire rod without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959475B1 (en) Producing method for reinforcing steel
CN113966404B (en) Non-heat-treated wire rod having excellent drawability and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3210106B (en) High-toughness cold-drawn non-heat-treated wire r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3505366A (en) High carbon flexible wire capable of omitting softening treat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16271B1 (en) Medium carbon soft wire rod capable of eliminating softening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same
KR101318383B1 (en) Hot rolled steel sheet and methdo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53409B1 (en) In-line spheroidized steel wi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08234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carbon steel wire
JP355450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ot-rolled wire and bar for machine structure
KR101091511B1 (en) Non heat-treated steel wire rod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cnt toughness and ductility
KR102318035B1 (en) Non-heat treated wire rod having excellent drawability and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492641B1 (en) Wire rod and steel wire for spring, spring with improved fatigue resistance and nitriding propertie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4554B1 (en) Steel for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65266B1 (en) Wire rod for chq capable of reducing softening treatment tim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same
KR102109278B1 (en) Steel wire rod enabling omission of softening heat treat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65265B1 (en) Wire rod for chq capable of reducing softening treatment tim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same
KR101500210B1 (en) High carbon soft wire rod capable of eliminating softening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same
KR101289118B1 (en) Steel without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