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691B1 -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691B1
KR101052691B1 KR1020090009030A KR20090009030A KR101052691B1 KR 101052691 B1 KR101052691 B1 KR 101052691B1 KR 1020090009030 A KR1020090009030 A KR 1020090009030A KR 20090009030 A KR20090009030 A KR 20090009030A KR 101052691 B1 KR101052691 B1 KR 10105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lead wire
circuit breaker
current
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681A (ko
Inventor
송중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6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01H71/7427Adjusting only the electrothermal mechanism
    • H01H71/7436Adjusting the position (or prestrain) of the bi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6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current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과, 이들 고정접점 또는 가동접점에 연결되고 정격 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바이메탈의 재질의 크기 및 종류를 변경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정격 전류에 따른 트립부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질의 크기 및 종류를 변경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정격 전류에 따른 트립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배전반 등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 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 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점 및 상기 고정접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한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에는,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어 전류를 통전하는 투입위치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위치(또는 트립위치)로 구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기구부가 구비 된다.
또한,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는 사고 전류 등 이상 전류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상기 기구부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게 동작하도록 하는 트립부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동접점은 사고 전류 등 이상전류를 제외하고 정상적인 전류의 통전 시 항상 고정접점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데, 이 정상적인 전류를 통상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전류라 한다. 배선용 차단기에서는 동일한 프레임에서 다양한 정격전류를 구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동일한 프레임에서 정격전류를 다르게 구현해야 할 경우, 통전부에 대한 과전류 검출을 위해 통전 용량을 구조적으로 다르게(구별되게), 예를 들면, 바이메탈의 크기 및 재질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격전류를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메탈의 재질의 크기 및 종류를 변경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정격 전류에 따른 트립부를 구현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메탈에 전류의 일부만을 통전시켜 상대적으로 큰 전류의 검출이 가능하여 바이메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메탈과 리드와이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바이메탈과 리드와이어의 연결지점에 따른 바이메탈의 만곡량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 및 상기 고정접점 또는 가동접점에 연결되고 정격 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는, 바이메탈과, 분기단부를 가지는 리드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메탈에는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기단부는 정격 전류가 낮을수록 상기 바이메탈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역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분기단부는 서로 다른 통전 용량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의 단부에는 상기 바이메탈에 맞물리는 클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과 연결되는 트립코일; 상기 트립코일의 일 측에 배치되는 바이메탈; 및 일 단은 상기 트립코일에 연결되고 타 단은 정격 전류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바이메탈의 일부 또는 전부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되는 리드와이어;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연결될 수 있게 분기된 분기단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의 통전 길이를 조절하여 정격전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클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점을 트립시키는 트립바가 배치되며, 상기 바이메탈의 타 측에는 상기 바이메탈과 상기 트립바의 간격을 조절하는 세트스크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립코일의 내부에는 상기 트립코일에 정격전류보다 일정 이상 큰 전류 인가시 상기 가동접점을 트립시키는 작동로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에는 정격 전류에 따라 구획된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메탈의 크기 및 재질을 변경함이 없이 다양한 정격전류에 따른 트립부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메탈에 정격전류에 따라 리드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게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정격전류별로 리드와이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리드와이어의 단부에 복수의 분기단부를 형성하여 분기단부 중 일부를 바이메탈에 연결하여 통전전류의 일부만이 바이메탈에 통전되도록 함으로써, 정격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바이메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이메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배선용 차단기의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리드와이어에 분기단부를 형성하고, 바이메탈에 정격전류에 따라 구획되게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정격 전류의 구현이 가능하고, 바이메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리드와이어의 단부에 클램프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리드와이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연결할 수 있어 연결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리드와이어 및 바이메탈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바이메탈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와이어 및 바이메탈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점(120)과, 상기 고정접점(1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130)과, 상기 고정접점(120) 또는 가동접점(130)에 연결되고 정격 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일 측에는 모선측 또는 부하측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접점(12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접점(120)과 접촉 및 분리되어 전류를 제어할 수 있게 가동접점(130)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접점(130)은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30)은 모선측 또는 부하측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접점(120)이 모선측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접점(130)이 부하측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10)의 일 측에는 상기 고정접점(120)과 연결되는 모선측 터미널(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10)의 타 측에는 상기 가동접점(130)과 연결되는 부하측 터미널(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상기 가동접점(130)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점(130)이 상기 고정접점(120)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투입위치와, 상기 가동접점(130)이 상기 고정접점(120)으로부터 분리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위치(또는 트립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하는 기구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구부(14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구부(140)가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로 동작할 수 있게 조작핸들(142)이 연결된다. 상기 조작핸들(142)은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조작핸들(142)은 상기 케이스(110)의 상단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접점(130)과 상기 고정접점(120)의 접촉 및 분리 시 두 접점 사이에 발생되는 아크(arc)를 소호할 수 있게 소호장치 또는 소호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30)의 일 측에는 코일형 트립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형 트립부(160)는, 전류 통전 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트립코일(162)과, 상기 트립코일(162)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로드(16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164)는 단락 전류와 같은 대전류의 통전시에만 동작되게 구 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164)는 일 단부가 상기 가동접점(130)이 상기 고정접점(120)으로부터 분리 회동되게 구성되거나, 상기 기구부(140)의 후술할 트립바를 회동(트립)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립코일(162)은 상기 가동접점(1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립코일(162)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점(130)과 일 단이 연결된 연결부재(165)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65)는 상기 가동접점(130)의 회동시에도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가요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접점(120) 또는 가동접점(130)에 연결되고 정격 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170)가 상기 가동접점(130)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170)는, 바이메탈(171)과, 상기 바이메탈(171)에 정격 전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드와이어(181)를 구비하여 소위 열동형 트립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71)은 열팽창계수가 다른 판상의 두 금속(합금)을 맞대어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71)은 상기 부하측 터미널(114)과 상기 트립코일(162)의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71)은 프레임(175)에 지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71)의 하단은 상기 부하측 터미널(114)과 상기 바이메탈(171)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플레이트(connecting plate)(17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71)의 일 측에는 상기 바이메탈(171)의 만곡에 의해 회동할 수 있게 상기 기구부(140)의 트립바(144)가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립바(144)는 투입시 상기 기구부(140)의 래치(latch)(146)의 회동을 억제(잠금)하는 것으로서, 상기 트립바(144)가 회동하면 상기 래치(146)의 잠금이 해제되게 구성된다. 상기 래치(146)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기구부(140)는 트립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바이메탈(171)은 정격 전류 보다 일정 이상 큰 전류의 통전시 상기 트립바(144)측으로 만곡되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트립바(144)를 회동시킨다. 상기 트립바(144)가 회동되면 상기 래치(146)가 해제되고, 이에 의해 상기 기구부(140)가 트립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가동접점(130)이 상기 고정접점(120)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정격 전류 이상의 대 전류에 의한 부하측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71)의 일 측에는 상기 바이메탈(171)과 상기 트립바(14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셋트 스크류(set screw)(178)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170)는, 바이메탈(171)에 정격 전류에 따라 구획된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172a~172f)를 형성하고, 정격 전류에 따라 리드와이어(181)의 연결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이메탈(171)의 크기 및 재질을 변경시키지 아니하고 다양한 정격전류에 따른 트립부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바이메탈(17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격전류에 따라 다른 위 치에 상기 리드와이어(181)가 연결될 수 있게 구획된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172a~172f)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격전류가 큰 고용량의 경우, 상기 바이메탈(171)의 만곡량이 줄어들 수 있게 도면상 하단에 가깝게 형성된 리드와이어 연결부(예를 들면 172f)에 리드와이어(181)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격전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저용량인 경우, 도면상 바이메탈(171)의 상단에 가까운 쪽에 형성된 리드와이어 연결부(예를 들면 172a)에 리드와이어(18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바이메탈(171)의 거의 전 영역에 걸쳐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바에메탈(171)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바이메탈(171)의 만곡량을 크게 하여 상기 트립바(144)를 빨리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170)는, 상기 바이메탈(171)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바이메탈(171)의 크기 및 재질을 변경시키지 아니하면서 다양한 정격전류에 따른 트립부의 구현이 가능하다. 더욱이, 바이메탈(171)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콤팩트 한 구성이 가능하고 배선용 차단기의 크기를 줄이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드와이어(181)는 바이메탈(171)에 연결되는 측 단부의 전류량을 나눌 수 있게 복수의 분기단부(182a,182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단부(182a,182b)의 개수, 길이 및 굵기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통전용량(분기단부의 와이어의 굵기)을 가지는 복수의 분기단 부(192a,192b,192c)가 형성되는 리드와이어(19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상 최상측의 분기단부(192a)는 가장 가늘게 형성될 수 있고, 최하측의 분기단부(192c)는 가장 굵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의 분기단부(192b)는 중간 굵기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분기단부(192a~192c)의 개수 또는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정격 전류에 대응되게 트립부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작은 통전용량(가는 굵기)을 가지는 분기단부(192a)는 바이메탈(171)의 상부영역에 연결하고, 상대적으로 큰 통전용량(굵은 굵기)을 가지는 분기단부(192b,192c)들을 바이메탈(171)의 하단 또는 커넥팅 플레이트(177)에 연결함으로써, 바이메탈(171)에 통전되는 전류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바이메탈(171)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의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고 배선용 차단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메탈(171)은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172a~172f)가 형성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즉, 분기단부(192a~192c)의 통전용량의 변화에 의해서 바이메탈(171)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정격 전류에 대응되게 트립부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통전 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분기단부(202a,202b,202c,202d)가 형성된 리드와이어(20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분기단부(202a~202d)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절 또는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정격전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171)에 흐르는 전류량을 줄일 수 있어 바이메탈(171)의 크기를 줄 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리드와이어(181)는 두 개의 분기단부(182a,182b)를 구비하며, 두 분기단부(182a,182b)는 동일한 통전 용량을 가지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바이메탈(171)은 정격전류에 따라 구획된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172a~172f)를 구비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리드와이어(181)의 일 단부는 상기 트립코일(162)의 단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181)의 분기단부(182a,182b)들은 상기 바이메탈(17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정격전류가 상대적으로 저용량인 경우, 상기 분기단부(182a,182b)들은 상기 바이메탈(171)의 상단에 가까운 쪽에 형성된 리드와이어 연결부(예를 들면 172a)에 동시에 연결되거나 서로 가깝게(예를 들면 172a 및 172b)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격전류가 큰 고용량인 경우, 상기 분기단부(182a,182b)들은 상기 바이메탈(171)의 하단에 가까운 쪽에 형성된 리드와이어 연결부(예를 들면 172f)에 동시에 연결되거나 서로 가깝게(예를 들면 172e 및 172f)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181)는 상기 트립코일(162) 및 상기 바이메탈(171)에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와이어(181)는 일 단부은 상기 트립코일(162)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타 단부는 바이메탈(17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드와이어(181)의 각 분기단부(182a,182b)들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분기단부(182a,182b)를 상기 바이메탈(171)에 설정된 정격전류에 대응되게 정확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171)의 특성에 따라 만곡량의 편차가 있을 경우에도 상기 분기단부(182a,182b)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만곡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 클램프(211)는 통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각 클램프(211)는 두 개의 물림부(jaw)(212)를 구비하며, 각 물림부(212)는 회동축(214)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각 물림부(212)의 후단에는 물림부(212)를 벌릴 수 있도록 손잡이(216)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손잡이(216)는 사이가 벌어지게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14) 또는 손잡이(216)들 사이에는 상기 물림부(212)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2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18)은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축(214)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클램프(211)들의 상기 물림부(21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리드와이어(181)의 분기단부(182a,182b)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조작핸들(142)을 투입위치로 이동시키면, 기구부(140)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30)은 상기 고정접점(120)에 접촉된다. 정격전류보다 일정 이상 큰 전류가 통전되면 상기 바이메탈(171)은 만곡되어 상기 트립바(144)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기구부(140)가 트립위치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130)은 상기 고정접점(120)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어 전류를 차단 하게 된다.
한편, 투입 시 단락 전류 등 대 전류가 통전되면 트립코일(162)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작동로드(164)가 동작하고,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30)이 상기 고정접점(120)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됨으로써 전류를 차단하여 사고의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리드와이어 및 바이메탈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바이메탈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와이어 및 바이메탈 영역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스 120 : 고정접점
130 : 가동접점 131 : 회동축
140 : 기구부 142 : 조작핸들
144 : 트립바 146 : 래치
150 : 소호유닛 160 : 코일형 트립부
162 : 트립코일 164 : 작동로드
165 : 연결부재 170 :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
171 : 바이메탈 172a~172f : 리드와이어 연결부
175 : 프레임 177 : 커넥팅 플레이트
178 : 셋트 스크류 181 : 리드와이어
182a,182b : 분기단부

Claims (1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 및
    상기 고정접점 또는 가동접점에 연결되고 정격 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격전류 가변형 트립부는, 바이메탈과, 분기단부를 가지는 리드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메탈에는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단부는 정격 전류가 낮을수록 상기 바이메탈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역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단부는 서로 다른 통전용량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6.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7.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의 단부에는 상기 바이메탈에 맞물리는 클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9.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과 연결되는 트립코일;
    상기 트립코일의 일 측에 배치되는 바이메탈; 및
    일 단은 상기 트립코일에 연결되고 타 단은 정격 전류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바이메탈의 일부 또는 전부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되는 리드와이어;
    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연결될 수 있게 분기된 분기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의 통전 길이를 조절하여 정격전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클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상기 바이메탈에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용 차단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점을 트립시키는 트립바가 배치되며, 상기 바이메탈의 타 측에는 상기 바이메탈과 상기 트립바의 간격을 조절하는 세트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코일의 내부에는 상기 트립코일에 정격전류보다 일정 이상 큰 전류 인가시 상기 가동접점을 트립시키는 작동로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에는 정격 전류에 따라 구획된 복수의 리드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KR1020090009030A 2009-02-04 2009-02-04 배선용 차단기 KR10105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30A KR101052691B1 (ko) 2009-02-04 2009-02-04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30A KR101052691B1 (ko) 2009-02-04 2009-02-04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681A KR20100089681A (ko) 2010-08-12
KR101052691B1 true KR101052691B1 (ko) 2011-07-28

Family

ID=4275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030A KR101052691B1 (ko) 2009-02-04 2009-02-04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6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089B1 (ko) * 1984-09-28 1993-07-29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바이메탈 및 조정장치를 가진 회로 차단기
KR930007829Y1 (ko) * 1989-04-22 1993-11-18 금성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정장치
JPH1116476A (ja) 1997-06-24 199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KR200247033Y1 (ko) * 2001-06-14 2001-10-29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정격전류 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089B1 (ko) * 1984-09-28 1993-07-29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바이메탈 및 조정장치를 가진 회로 차단기
KR930007829Y1 (ko) * 1989-04-22 1993-11-18 금성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정장치
JPH1116476A (ja) 1997-06-24 199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KR200247033Y1 (ko) * 2001-06-14 2001-10-29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정격전류 조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681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9912B1 (en) Activation for switching apparatus
EP1098331A2 (en) Arc chut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8558650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AU2006203110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rip unit including one or more fuses
US7843291B2 (en) Integrated maglatch accessory
US20110248815A1 (en) Method For Expanding The Adjustment Range of Overload Protection Devices, Associated Overload Protection Devices, and Their Use
CA2789187C (en) Limiter including a number of gas channels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6222143B1 (en) Positive off toggle mechanism
KR101276370B1 (ko) 배선용 차단기
JPH03133019A (ja) 回路遮断器
JPH0855555A (ja) 回路遮断器
US6392512B1 (en) Stationary line bus assembly
US8436264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four poles circuit breaker
KR101052691B1 (ko) 배선용 차단기
US6727788B1 (en) Latch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US6252480B1 (en) Moving contact and crossbar assembly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20039329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메카니즘
KR100662746B1 (ko) 배선용 회로차단기의 압트립 장치
KR10148960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KR10055749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스압 트립장치
JP2017010796A (ja) 配線用遮断器
CN110024073B (zh) 电气开关设备及其热跳闸组件
EP0883887A1 (en) Zero current circuit interruption
KR20040003596A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 구조
KR20240000676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조정 트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