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552B1 -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 Google Patents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552B1
KR101052552B1 KR1020110000319A KR20110000319A KR101052552B1 KR 101052552 B1 KR101052552 B1 KR 101052552B1 KR 1020110000319 A KR1020110000319 A KR 1020110000319A KR 20110000319 A KR20110000319 A KR 20110000319A KR 101052552 B1 KR101052552 B1 KR 10105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septum
patient
orthodontic
nasal sep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섭
Original Assignee
박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섭 filed Critical 박균섭
Priority to KR102011000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552B1/ko
Priority to PCT/KR2011/005527 priority patent/WO20120937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의 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되어, 환자의 비중격의 틀어짐을 교정하는 비중격 교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비뚤어진 비중격을 교정할 뿐만 아니라, 상악 및 하악을 교정할 수 있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Mouthpiece for Correcting Unconformity of Nasal Septum, and Mouthpiece Structure for Correcting Unconformity of Nasal Septum}
본 발명은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비뚤어진 비중격을 교정할 뿐만 아니라, 상악 및 하악을 교정할 수 있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비중격의 비뚤어짐은 환자에게 수많은 관련 질병 및 통증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며, 해당 환자에게 있어서 비중격의 비뚤어짐을 잡아주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수많은 관련 질병 및 통증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최근까지 수많은 치아 및 턱관절 교정 장치가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비뚤어진 비중격을 교정할 뿐만 아니라, 상악 및 하악을 교정할 수 있는 교정 장치는 제안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비뚤어진 비중격을 교정할 뿐만 아니라, 상악 및 하악을 교정할 수 있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는, 비중격을 교정하기 위한 마우스피스(100)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환자의 비중격의 틀어짐을 교정하는 비중격 교정부(1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우스피스(100)의 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앞니의 안쪽 잇몸에 밀착되는 상악 교정부(1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아랫입술과 아랫니 사이에 삽입되는 하악 교정부(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는 열가소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는 연화되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인중을 눌러줌으로써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및 엘라스토마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상기 환자의 윗니에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는,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환자의 비중격의 틀어짐을 교정하는 비중격 교정부(130)를 구비하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 및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가 상기 환자의 치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입술과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 사이의 공간에 삽입고정되는 이완구(2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앞니의 안쪽 잇몸에 밀착되는 상악 교정부(1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전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아랫입술과 아랫니 사이에 삽입되는 하악 교정부(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는 열가소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는 연화되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인중을 눌러줌으로써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완구(200)에는 상기 이완구(200)를 상기 환자의 입술과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 사이의 공간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잡아당기는데 사용되는 손잡이부(2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및 엘라스토마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상기 환자의 윗니에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비뚤어진 비중격을 교정할 뿐만 아니라, 상악 및 하악을 교정할 수 있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변형 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변형 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환자의 치료를 위해 도 2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와 함께 사용되는 이완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도 2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와 도 3에서의 이완구가 함께 사용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변형 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비중격 교정부(130), 상악 교정부(110), 및 하악 교정부(150)를 포함한다.
비중격 교정부(130)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되어, 환자의 비중격의 틀어짐을 교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악 교정부(110)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앞니의 안쪽 잇몸에 밀착되게 되며, 하악 교정부(150)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환자의 아랫입술과 아랫니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먼저,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비중격 교정부(130), 상악 교정부(110), 및 하악 교정부(150)가 일체로서 열가소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및 엘라스토마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환자는 도 1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가 연화되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치아로 물게 되며, 이 상태에서 비중격 교정부(130)는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가 연화되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환자는 자신의 인중을 눌러주게 되고, 도 1에서의 비중격 교정부(130)는 환자가 자신의 인중을 손가락 등으로 누름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변형되며, 변형된 비중격 교정부(130)는 환자의 바깥쪽 잇몸의 비중격과 연결된 상단 끝부분까지 확장되고, 환자의 비중격 주변의 잇몸 구조에 밀착되도록 변형 형성된다.
이후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비중격 교정부(130)는 해당 환자의 비뚤어진 비중격을 교정할 수 있도록 환자의 바깥쪽 윗잇몸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된 비중격 교정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환자가 착용함으로써, 환자의 비중격이 교정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효과로서 비염, 축농증의 개선, 시누스의 염증 물질 배출, 내외 악돌근의 이완 및 강화를 통한 턱관절의 교정 및 관련 질환의 개선, 십자보합의 교정, 구륜근의 이완 및 강화를 통한 코골이 증상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환자가 도 1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가 연화되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치아로 물게 되면, 상악 교정부(110)는 환자의 앞니를 지지하는 윗잇몸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환자가 자신의 혀를 이용하여 상악 교정부(110)를 윗잇몸의 안쪽 부분에 대고 밀어 올리게 되면, 상악 교정부(110)는 도 2에서와 같이 변형되며, 변형된 상악 교정부(110)는 환자의 윗잇몸의 안쪽에서 입천장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윗잇몸 안쪽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후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상악 교정부(110)는 해당 환자의 돌출된 상악을 교정함과 동시에 척추를 교정할 수 있도록 환자의 윗잇몸의 안쪽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환자가 도 1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가 연화되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치아로 물게 되면, 하악 교정부(150)는 환자의 아랫입술과 아랫니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환자가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하악 교정부(150)가 위치하고 있는 자신의 아랫 입술 및 그 아래쪽 부분을 누르면, 하악 교정부(150)는 도 2에서와 같이 변형되며, 변형된 하악 교정부(150)는 환자의 아랫니와 아랫윗몸의 바깥쪽을 감싸면서 아래턱쪽으로 확장되면서 아랫니와 아랫윗몸의 바깥쪽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후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하악 교정부(150)는 해당 환자의 하악을 교정함과 동시에 아랫니를 교정하고, 사각턱을 교정하며, 두개골 밸런스를 맞출 수 있도록 환자의 아랫니와 아랫잇몸의 바깥쪽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악 교정부(150)는 도 2에서와 같이 아래쪽 어금니 부분에만 형성되는 경우 이외에도, 아래쪽 치아의 앞니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교정을 원하는 아래쪽 치아의 다른 부분에도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악 교정부(150)를 아래쪽 치아의 모든 부분에 적용되도록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하부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환자의 윗니에만 끼워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에 하악 교정부(150)는 구비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도 1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가 환자의 윗니에만 끼워지도록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환자의 상부 치아만이 삽입되도록 상부에만 골을 형성하게 될 것이며, 환자는 이러한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벌리고 음식을 먹거나 말을 하는 경우에도 비중격 및 상악에서의 교정의 효과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3은 환자의 치료를 위해 도 2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와 함께 사용되는 이완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완구(200)는 입술 삽입부(210) 및 손잡이부(230)를 포함한다.
도 3에서의 이완구(200)는 환자가 도 2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의 입술 부위에 추가로 착용되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환자는 도 2에서의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3에서의 이완구(200)를 자신의 입술 안쪽에 추가로 삽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완구(200)의 입술 삽입부(210)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가 환자의 치아에 끼워진 상태에서 환자의 입술과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 사이의 공간에 삽입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완구(200)의 입술 삽입부(210)가 환자의 입술에 끼워진 상태에서 치료사는 손잡이부(230)를 환자의 치아 반대 방향으로 상/하/좌/우로 원을 그리며 잡아당기게 되고, 이와 같은 경우에 환자의 비중격의 중심이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에 의해 올바르게 교정된 상태에서 입술 삽입부(210)가 입술 및 입술에 연결된 환자의 얼굴 근육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며 이완시키게 된다.
아울러, 이완구(200)를 통해 환자의 입술을 잡아당기게 되면 환자의 측두근 및 얼굴 근육에 있어서의 이완 및 강화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환자의 균형 감각 회복, 하지통 및 하지 마비의 개선, 척추의 교정, 교근의 이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완구(200)를 통해 환자의 입술을 잡아당김으로써, 치통, 두통, 및 어깨 통증의 개선, 중풍에 따른 침흘림 및 언어장애의 개선, 구완와사풍의 개선 등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이완구(200)를 통해 환자의 입술을 잡아당김으로써, 얼굴 전체의 근육의 이완 및 강화를 통해 얼굴 주름살 개선, 및 얼굴 축소, 이중턱의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110: 상악 교정부,
130: 비중격 교정부, 150: 하악 교정부,
200: 이완구, 210: 입술 삽입부,
230: 손잡이부.

Claims (13)

  1. 비중격을 교정하기 위한 마우스피스(100)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환자의 바깥쪽 잇몸에서의 비중격과 연결된 부분까지 상기 바깥쪽 잇몸에 밀착되는 비중격 교정부(130)를 포함하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00)의 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앞니의 안쪽 잇몸에 밀착되는 상악 교정부(110)를 더 포함하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아랫입술과 아랫니 사이에 삽입되는 하악 교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는 열가소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는 연화되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인중을 눌러줌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및 엘스토마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상기 환자의 윗니에만 끼워지는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7. 마우스피스(100)의 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환자의 바깥쪽 잇몸에서의 비중격과 연결된 부분까지 상기 바깥쪽 잇몸에 밀착되는 비중격 교정부(130)를 구비하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 및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가 상기 환자의 치아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입술과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 사이의 공간에 삽입고정되는 이완구(200)
    를 포함하는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앞니의 안쪽 잇몸에 밀착되는 상악 교정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전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아랫입술과 아랫니 사이에 삽입되는 하악 교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는 열가소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는 연화되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인중을 눌러줌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완구(200)에는 상기 이완구(200)를 상기 환자의 입술과 상기 비중격 교정부(130) 사이의 공간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잡아당기는데 사용되는 손잡이부(230)가 구비된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구강 전용 실리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및 엘스토마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상기 환자의 윗니에만 끼워지는 것인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KR1020110000319A 2011-01-03 2011-01-03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KR10105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319A KR101052552B1 (ko) 2011-01-03 2011-01-03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PCT/KR2011/005527 WO2012093761A1 (ko) 2011-01-03 2011-07-27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319A KR101052552B1 (ko) 2011-01-03 2011-01-03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552B1 true KR101052552B1 (ko) 2011-07-29

Family

ID=4492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319A KR101052552B1 (ko) 2011-01-03 2011-01-03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5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053Y1 (ko) * 2004-12-03 2005-04-19 이종대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100784346B1 (ko) *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05715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JP2010051765A (ja) * 2008-08-29 2010-03-11 Shinya Kondo 姿勢矯正用スタビライザーマウスピ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053Y1 (ko) * 2004-12-03 2005-04-19 이종대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20080005715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100784346B1 (ko) *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51765A (ja) * 2008-08-29 2010-03-11 Shinya Kondo 姿勢矯正用スタビライザーマウスピー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63724B (zh) 口腔训练器具
KR101235888B1 (ko) 코골이 방지부재
US8231507B2 (en) Device for strengthening tongue muscle
US20070023055A1 (en) Dental appliance to prevent the negative effects of bruxism
US20150366700A1 (en) Oral appliance
AU2015266592B2 (en)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leep apnea
US20230210687A1 (en) Oral appliance
JP2013106811A (ja) 軟口蓋安定器
JP2015150179A (ja) 歯科矯正装置
AU2020202046A1 (en) Oral appliance
KR20120033385A (ko) 턱관절 교정 패드
KR101052552B1 (ko)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US10376408B2 (en) Oral appliance
CN201001781Y (zh) 牙齿畸形矫正器
WO2012093761A1 (ko)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KR101077620B1 (ko)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CN110547885A (zh) 一种牙齿矫治器
CN205215415U (zh) 一种牙套
CN209847422U (zh) 一种口腔医学矫正植体装置
JP6120780B2 (ja) 口腔装置
JP3167198U (ja) 健康用マウスピース
KR101831251B1 (ko)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US20180325722A1 (en) Mouthguard
CN105559898B (zh) 一种口腔反颌矫治器
CN215019825U (zh) 一种纠正伸舌吞咽矫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