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492B1 -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492B1
KR101052492B1 KR1020090094746A KR20090094746A KR101052492B1 KR 101052492 B1 KR101052492 B1 KR 101052492B1 KR 1020090094746 A KR1020090094746 A KR 1020090094746A KR 20090094746 A KR20090094746 A KR 20090094746A KR 101052492 B1 KR101052492 B1 KR 10105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emical liquid
container
chemica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343A (ko
Inventor
주원준
김유인
Original Assignee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4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의 약액통 내부에 주름통을 구비하여, 주름통을 압축함으로써 약액을 수목에 주입시켰으나, 이와 같은 주름통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생산단가가 상승하고 주름통 압축시에 압축거리가 커지는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단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단막(120)으로 막혀있는 배출구(130)가 바닥과 평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약액이 충진되는 약액통(100);과 약액통(100)의 개구부(110) 쪽에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약액통(100) 내부로 눌리면 약액통(100) 내부의 압력을 높혀주는 압축통(200); 으로 주입기본체(300)를 구성하고, 대롱 형태로서 수목에 형성되는 구멍속에 박히며, 결합시에 차단막(120)을 파열시키는 삽입부(410)가 후미에 돌출되는 주입관(400)을 약액통(100)의 배출구(130)에 결합하는 수간주입기에 있어서, 압축통(200) 하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누름부(210)를 형성하고, 하단의 입구 테두리(510)가 약액통(100) 내부 바닥에 하향으로 밀봉 부착되는 지지부(520) 상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압력부(530)가 형성되어 압력부(530)가 누름부(210) 저면에 대응된 형태를 이루는 압력통(500)을 압축통(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약액통(100) 내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하여 압축통(200)을 누르면 압력통(500)의 압력부(530)가 반대방향으로 접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수간주입기, 압력통, 압축통, 약액통, 주입관, 지지부, 안내부

Description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hermetic pressure type inject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부에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압력부를 형성하고, 약액통 상부에 설치되는 압축통 하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누름부를 압력부에 대응되게 설치하여, 압축통을 누르면 압력통의 압력부가 반대방향으로 접어지면서 압력통 내부의 약액을 수목에 주입시킴으로써, 부품이 단순화되어 제품의 생산단가가 낮아지고, 또한 압축시에 압축의 이동거리가 짧아져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은 각종 산업의 발달로 인한 공해와 토양의 환경변화로 인해 또는 각종 병충해로 인해 쉽게 병들기도 하고, 또는 수목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토양으로부터 원활히 공급받지 못하여 쇠약해지기도 한다.
그리고, 아파트 단지나 공원 등에 조경을 위해 수목을 옮겨심을 경우, 옮겨진 토양에 적응하지 못하여 심한 경우에는 고사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려면 치료제나 살충제 또는 영양제 같은 약액을 인위적 으로 적당한 시기에 적절하게 공급해 주어야만 수목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약액의 인위적 투입방법으로는 수목의 잎에 약액을 살포하는 엽면 살포수단과, 수목의 내부를 향하여 일정한 깊이로 주입공을 형성하고 그 주입공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는 수간 방제수단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수간 방제수단은 압력식 수간주입기 방식과 유입식 수간주입병 방식으로 구분된다.
압력식 수간주입기는 압축통을 압축하면 약액이 채워진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약액의 배출구를 차단막이 막고 있는 압력식 약액통과, 압력식 약액통의 배출구에 결합하면 차단막을 파열시키는 삽입부가 끝단에 구비된 주입관을 이용하여 약액통 내부의 약액을 주사하는 방식이다.
또한, 유입식 수간주입병 방식은 주입병 내부의 약액이 대기압하에 자연스럽게 주입관을 통해 나무의 구멍 속으로 주입되게 하는 방식으로서, 이는 계절에 따라 또는 수목의 수종에 따라 선별 사용된다.
그 일 예로 활엽수는 계절에 상관없이 유입식 수간주입병을 사용하여도 약액이 주입되는 시간상 차이만이 있을 뿐 약액의 수간 주입은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나무의 경우 겨울철인 11월 ~ 2월경에는 송진이 활동을 잘 안하므로 압력없이 주입하는 유입식 수간주입병을 사용하여도 약액이 잘 주입되지만 2월 이후에는 나무 표피에 손상을 주면 그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송진이 상처부위로 집중되어 약액을 차단하므로 이 때는 압력식 수간주입기를 사용하여야만 약액을 주입 할 수 있다.
즉, 도 1 은 종래의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 도 4 는 종래의 밀폐형 수간주입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이와 같은 밀페형 압력식 수간주입기는 일단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단막(12)으로 막혀있는 배출구(13)가 형성된 약액통(10)과, 약액통(10)의 개구부(11)쪽에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약액통(10) 내부로 눌리면 약액통(10) 내부의 압력을 높혀주는 압축통(20)으로 주입기본체(30)를 구성하고, 대롱 형태로서 수목의 구멍속에 박히며 약액통(10)의 차단막(12)을 파열시키는 삽입부(41)가 후미에 돌출된 주입관(40)을 약액통(10)의 배출구(13)에 결합하여 형성하는 수간주입기의 입구 테두리(51)가 약액통(10)의 내부 하단에 하향으로 밀봉 부착되면서 내부에 약액이 충진되는 주름통(50)을 약액통(10)과 압축통(20) 사이에 설치하여 압축통(20)을 누르면 주름통(50)이 접히면서 주름통(50) 내부의 약액을 수목에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주름통을 이용하여 수목에 약액을 주입할 경우, 주름통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생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작단가가 상승하며, 또한 여러겹으로 형성되는 주름통의 특성상 압축시에 모든 주름이 일정하게 접히지 않을 경우 주름통 내부의 약액이 모두 수목으로 주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름통의 형상때문에 주름통 내부에 구비되는 약액의 양이 작아지며, 또한 주름통의 체적이 커져서 작업성이 떨어지고 주름통을 압축하여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많은 힘이 필요해 장시간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통 하부에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누름부를 형성하고, 약액통 내부에는 상부에 모서리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압력부가 형성되어 압력부가 누름부의 저면에 대응된 형태를 이루는 압력통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압축통을 누르면 압력통의 압력부가 누름부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접어지면서 압력통 내부의 약액을 수목에 주입되게 함으로써, 압력통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품의 제작단가가 낮아지고 오작동으로 인해 약액이 모두 주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압력통의 체적을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양 만큼의 약액을 압력통 내부에 주입하면서도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힘을 적게 들이고도 큰 압축효율을 형성하므로 약액을 손쉽게 주입할 수 있어 장시간 작업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단막으로 막혀있는 배출구가 바닥과 평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약액이 충진되는 약액통;과 약액통의 개구부 쪽에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약액통 내부로 눌리면 약액통 내부의 압력을 높혀주는 압축통;으로 주입기본체를 구성하고, 대롱 형태로서 수목에 형성되는 구멍속에 박히며, 결합시에 차단막을 파열시키는 삽입부가 후미에 돌출되는 주입관을 약액통의 배출구에 결합하는 수간주입기에 있어서, 압축통 하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누름부를 형성하고, 하단의 입구 테두리가 약액통 내부 바닥에 하향으로 밀봉 부착되는 지지부 상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압력부가 형성되어 압력부가 누름부 저면에 대응된 형태를 이루는 압력통을 압축통이 끼워질 수 있도록 약액통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압축통을 누르면 압력통의 압력부가 반대방향으로 접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압력통은 연질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되 압력통의 압력부는 쉽게 눌리도록 얇게 형성하고, 압력통의 지지부는 압력부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압축통을 눌렀을 때 압력부만이 눌릴 수 있도록 하며, 압력통의 입구 테두리가 부착되는 약액통의 내부 바닥에는 압력통 하부의 깔때기 형태 경사면을 따라 지지부 내면에 밀착되는 안내부를 형성하여 약액통의 약액이 전부 주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압력통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압축이동거리가 크고, 압력통이 압축되었을때 내부 체적을 감소시켜서 압축 이동거리 이상의 압력효율을 확보함에 따라 고압력의 주입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수간주입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번화가, 또는 공원 등지에서 사용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통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단가가 낮아지고 생산공정이 단순화되어 작업효율이 높아지며 불량률이 낮아지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수간주입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안내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단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단막(120)으로 막혀있는 배출구(130)가 바닥과 평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약액이 충진되는 약액통(100);과 약액통(100)의 개구부(110) 쪽에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약액통(100) 내부로 눌리면 약액통(100) 내부의 압력을 높혀주는 압축 통(200); 으로 주입기본체(300)를 구성하고, 대롱 형태로서 수목에 형성되는 구멍속에 박히며, 결합시에 차단막(120)을 파열시키는 삽입부(410)가 후미에 돌출되는 주입관(400)을 약액통(100)의 배출구(130)에 결합하는 수간주입기에 있어서, 압축통(200) 하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누름부(2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단의 입구 테두리(510)가 약액통(100) 내부 바닥에 하향으로 밀봉 부착되는 지지부(520) 상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압력부(530)가 형성되어 압력부(530)가 누름부(210) 저면에 대응된 형태를 이루는 압력통(500)을 압축통(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약액통(100)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압축통(200)을 누르면 압력통(500)의 압력부(530)가 반대방향으로 접어지도록 하며, 압력통(500)은 연질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되 압력통(500)의 압력부(530)는 쉽게 눌리도록 얇게 형성하고, 압력통(500)의 지지부(520)는 압력부(530)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압축통(200)을 눌렀을 때 압력부(530)만이 눌릴 수 있도록 하고, 압력통(500)의 입구 테두리(510)가 부착되는 약액통(100)의 내부 바닥에는 압력통(500) 하부의 깔때기 형태 경사면을 따라 지지부(520) 내면에 밀착되는 안내부(550)를 형성하여 약액통(100)의 약액이 전부 주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단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단막(120)으로 막혀있는 배출구(130)가 형성되며 내부에 약액이 충전되는 약액통(100)과, 약액통(100)의 개구부(110) 쪽에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약액통(100) 내부로 눌리면 약액통(100) 내부의 압력을 높여주는 압축통(200)으로 구성되는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에서, 압축통(200) 하부에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누름부(210)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약액통(100) 내부에는 하단의 입구 테두리(510)가 약액통(100) 내부 바닥에 하향으로 밀봉 부착되는 지지부(520) 상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압력부(530)를 형성하여, 압력부(530)가 누름부(210)의 호 저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는 압력통(500)을 약액통(100) 내부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압축통(200)을 눌렀을때 압축통(200)이 약액통(100)과 압력통(50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약액통(100)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압력통(5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약액을 수목에 주입시키기 위해 압축통(200)을 누르면 압축통(200)이 약액통(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슬라이드되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압축통(200)이 하강하게 되면 압축통(200) 하부에 형성되는 호 형태의 누름부(210)가 하강하면서 압력통(500)을 누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압력통(500)은 압축통(200)의 누름부(210)와 대응되는 호 형태의 압력부(530)와 약액통(100)과 입구 테두리(510)가 결합되는 지지부(520)로 나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압력부(530)는 누름부(210)에 의해 쉽게 접어질 수 있는 연질 플라스틱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520)는 쉽게 접어지지 않고 누름 부(210)의 압력에 버틸 수 있도록 압력부(530)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서, 압축통(200)을 누르면 압축통(200)의 누름부(210)에 의해서 압력통(500)의 압력부(530)만 반대방향으로 접어지며 약액통(100) 내부의 압력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압축통(200)의 누름부(210)가 압력통(500)의 압력부(530)를 누르면서 하강하면 압력통(500)의 압력부(530)는 접어지지만 지지부(520)는 압축통의 하강에 의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압축통(200)이 지지부(520)와 약액통(100)의 이격된 간격으로 하강하여 고정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압력통(500)의 형태와 작동원리가 단순하기 때문에 부품의 생산단가가 낮아지고 불량율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통(500)의 체적이 종래의 주름통 등보다 줄어들어서 사용자가 압축통(200)을 누르는 거리가 줄어들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같은 힘으로 더 높은 압축효율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압축된 수간주입기는, 미리 수목에 뚫은 구멍속으로 삽입된 주입관(400)에 약액통(100)의 배출구(130)를 결합시켜 망치 등으로 박게 되는 것이다.
주입관(400)에 약액통(100)의 배출구(130)를 결합시켜 망치 등으로 박으면, 주입관(400)에 형성되는 삽입부(410)가 약액통(100)의 차단막(120)의 뚫고 결합되면서 약액통(100) 내부의 약액이 수목에 주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통(500)의 입구 테두리(510)가 부착되는 약액통(100)의 내면 바닥에는 압력통(500) 하부의 깔때기 형태 경사면을 따라 지지부(520) 내면에 밀착되 는 안내부(550)가 형성되어 있어서 약액통(100)과 압력통(500) 사이에 턱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주입기본체(300)가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뿐아니라 어떠한 경사에서 약액을 수목에 주입되더라도 약액통(100) 내부의 약액을 모두 수목에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약액통(100)의 배출구(130)를 측면에 형성하여, 약액을 주입하여야 하는 수목의 상황에 따라서 주입관(400)을 주입기본체(300)의 측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도 4 는 종래의 밀폐형 수간주입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수간주입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안내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수간주입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약액통 110 : 개구부
120 : 차단막 130 : 배출구
200 : 압축통 210 : 누름부
300 : 주입기본체 400 : 주입관
410 : 삽입부 500 : 압력통
510 : 입구 테두리 520 : 지지부
530 : 압력부 550 : 안내부

Claims (3)

  1. 일단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단막(120)으로 막혀있는 배출구(130)가 바닥과 평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약액이 충진되는 약액통(100);과
    약액통(100)의 개구부(110) 쪽에서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약액통(100) 내부로 눌리면 약액통(100) 내부의 압력을 높혀주는 압축통(200); 으로 주입기본체(300)를 구성하고,
    대롱 형태로서 수목에 형성되는 구멍속에 박히며, 결합시에 차단막(120)을 파열시키는 삽입부(410)가 후미에 돌출되는 주입관(400)을 약액통(100)의 배출구(130)에 결합하는 수간주입기에 있어서,
    압축통(200) 하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누름부(210)를 형성하고,
    하단의 입구 테두리(510)가 약액통(100) 내부 바닥에 하향으로 밀봉 부착되는 지지부(520) 상부에는 모서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위로 돌출되는 호 형태의 압력부(530)가 형성되어 압력부(530)가 누름부(210) 저면에 대응된 형태를 이루는 압력통(500)을 압축통(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약액통(100)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
    압축통(200)을 누르면 압력통(500)의 압력부(530)가 반대방향으로 접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통(500)은 연질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되
    압력통(500)의 압력부(530)는 쉽게 눌리도록 얇게 형성하고,
    압력통(500)의 지지부(520)는 압력부(530)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압축통(200)을 눌렀을 때 압력부(530)만이 눌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압력통(500)의 입구 테두리(510)가 부착되는 약액통(100)의 내부 바닥에는
    압력통(500) 하부의 깔때기 형태 경사면을 따라 지지부(520) 내면에 밀착되는 안내부(550)를 형성하여
    약액통(100)의 약액이 전부 주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KR1020090094746A 2009-10-06 2009-10-06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KR10105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46A KR101052492B1 (ko) 2009-10-06 2009-10-06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46A KR101052492B1 (ko) 2009-10-06 2009-10-06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43A KR20110037343A (ko) 2011-04-13
KR101052492B1 true KR101052492B1 (ko) 2011-07-28

Family

ID=4404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746A KR101052492B1 (ko) 2009-10-06 2009-10-06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4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9990A (ja) * 2014-02-18 2015-08-24 グンテ ソン 圧力式樹幹注入器
KR102074311B1 (ko) 2019-07-19 2020-02-06 주식회사 에코그린나무병원 압력식 수간주입기
KR20230054241A (ko) 2021-10-15 2023-04-24 김도경 가압식 밀폐형 수간주입기
KR20230131695A (ko) 2022-03-07 2023-09-14 김원준 특수 형태의 튜브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제가 내재된 튜브형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10B1 (ko) * 2012-12-05 2013-04-05 송근태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101594998B1 (ko) * 2014-03-17 2016-02-17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밀폐형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101678636B1 (ko) * 2014-05-22 2016-11-22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스크류타입 압력식 수간주사기
KR101525228B1 (ko) * 2014-12-02 2015-06-04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수간 주사기
CN106258531A (zh) * 2015-05-20 2017-01-04 裕元环境科学有限公司 密闭型压力式树干注入器
KR101751913B1 (ko) * 2015-09-08 2017-07-03 (주) 하임바이오텍 전기영동용 미세유체칩이 결합된 pcr 기반 현장분석장치
AU2020354631A1 (en) * 2019-09-26 2022-03-1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lant supplement delivery assemblies, plant supplement delivery assembly insert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lant supple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991U (ko) * 1997-06-24 1999-01-15 윤상화 식물용 수간주사 용액의 용기 및 주입기구
KR200389579Y1 (ko) 2005-04-15 2005-07-14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수목의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200400170Y1 (ko) 2005-08-18 2005-11-02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수목의 밀폐 압력식 수간주입기
KR20070000537U (ko) * 2007-04-18 2007-05-08 최평곤 수목용 압력식 약액 주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991U (ko) * 1997-06-24 1999-01-15 윤상화 식물용 수간주사 용액의 용기 및 주입기구
KR200389579Y1 (ko) 2005-04-15 2005-07-14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수목의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200400170Y1 (ko) 2005-08-18 2005-11-02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수목의 밀폐 압력식 수간주입기
KR20070000537U (ko) * 2007-04-18 2007-05-08 최평곤 수목용 압력식 약액 주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9990A (ja) * 2014-02-18 2015-08-24 グンテ ソン 圧力式樹幹注入器
KR102074311B1 (ko) 2019-07-19 2020-02-06 주식회사 에코그린나무병원 압력식 수간주입기
KR20230054241A (ko) 2021-10-15 2023-04-24 김도경 가압식 밀폐형 수간주입기
KR20230131695A (ko) 2022-03-07 2023-09-14 김원준 특수 형태의 튜브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제가 내재된 튜브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43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492B1 (ko)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CN104334062B (zh) 制备冲泡产品的方法和制备系统
KR100849863B1 (ko) 주름통을 이용한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CN207108448U (zh) 一种活塞式定量灌装头
KR101250910B1 (ko)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101416661B1 (ko) 압력식 수간 주입기
CN106413383A (zh) 树木注入系统和方法
CN206366031U (zh) 一种输液容器
CN207238377U (zh) 一种多头点胶阀
KR101594998B1 (ko) 밀폐형 압력식 수간 주입기
CN209546384U (zh) 一种注射针头
CN100486431C (zh) 一种树木杀虫注射器
CN209527257U (zh) 一种缠绕式林木快速药液注射装置
CN208836612U (zh) 一种林业育苗用病虫害防治设备
KR200400180Y1 (ko) 수목의 압력식 수간 주입기
TW201639444A (zh) 密閉型壓力式樹幹注入器
CN206880877U (zh) 用薄膜覆盖的土壤熏蒸消毒系统
CN207545536U (zh) 一种可自行膨胀的引流条
KR200400166Y1 (ko) 수목의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101111056B1 (ko) 압력식 수간주입기
KR200401784Y1 (ko) 수목의 압력식 수간주입기
KR20230054241A (ko) 가압식 밀폐형 수간주입기
CN107455242A (zh) 根部施肥器
CN216874043U (zh) 淡紫紫孢菌、白僵菌和苏云金芽孢杆菌施用的灌根装置
CN202409479U (zh) 一种粉剂药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