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332B1 -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332B1
KR101052332B1 KR1020090054545A KR20090054545A KR101052332B1 KR 101052332 B1 KR101052332 B1 KR 101052332B1 KR 1020090054545 A KR1020090054545 A KR 1020090054545A KR 20090054545 A KR20090054545 A KR 20090054545A KR 101052332 B1 KR101052332 B1 KR 10105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ocal
center
pattern
posi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270A (ko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수 filed Critical 박용수
Priority to KR102009005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33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GPS 모듈로부터 수신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로컬 제어부와, 로컬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제1 주기로 전송하는 로컬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로컬 시스템; 및 로컬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센터 송,수신부와,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동경로 패턴을 산출하는 센터 제어부와, 특정 야생동물의 행동 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가 기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센터 시스템;을 포함하며, 센터 제어부는, 산출된 이동경로 패턴과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로컬 제어부를 제어하여 데이터 송신 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전환한다. 이에 의하면, 야생동물의 위치 추적시 이상패턴이 발견되는 경우 송신주기를 짧게 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야생동물, 이동경로, 서식지 이용 특성, 이동패턴, GPS, CDMA

Description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wild animals}
본 발명은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야생동물의 목에 부착 및 설치하는 발신기(transmitter)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데이터 송신주기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발신기를 구동하는 배터리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는 야생동물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생동물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활동영역과 같은 생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야생동물의 몸에 발신기를 부착 및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컬러를 이용한 종래의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50)은, GPS 모듈(13), 데이터 송신부(15), 로컬 제어부(11)를 포함하는 로컬 시스템(10)과, 데이터 수신부(23) 및 센터 제어부(21)를 포함하는 센터 시스템(20)으로 구성된다.
로컬 시스템(10)의 GPS 모듈(13)은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로컬 제어부(11)는 현재 발신기(로컬 시스템 : 10)가 위치한 즉 야생동물이 위치하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된 위성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한다. 로컬 제어부(11)에서 산출된 위치 데이터 신호는 로컬 데이터 송신부(15)를 통하여 원격지의 센터 시스템(20)으로 전송된다.
센터 시스템(20)의 센터 데이터 수신부(23)에서는 로컬 시스템(10)에서 전송되는 야생동물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데이터는 센터 제어부(21)에서 이를 모니터상에 표시하거나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로컬 시스템(10) 즉, 컬러는 한번 야생동물에 설치후 재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충분한 대용량의 배터리가 장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컬러(10)는 대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어야 함에 따라 무게나 부피가 커지게 됨에 따라 야생동물에 설치될 때 불편할 수 있으며 활동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률적으로 일정한 주기마다 현재 위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일반적이지 않은 사건이 발생했을 때, 예를 들어 밀렵에 의해서나 길을 잃는 등과 같이 야생동물의 일상적인 활동범위를 넘는 경우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생동물의 위치 데이터를 자주 받을 필요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곰과 같이 겨울잠을 자는 경우 야생동물의 위치가 거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면 배터리 소모가 많이 되어 컬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컬러(10)는 컬러(10)에서 센터 시스템(20)으로 일방향 데이터 통신만이 가능하여 야생동물의 이동경로상에 이상패턴이 발생하거나 특정 행동형태 발견시 센터 시스템(20)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야생동물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수명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에 따라 위치 데이터 송신 주기를 조정할 수 있는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신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로컬 제어부와, 상기 로컬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제1 주기로 전송하는 로컬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로컬 시스템; 및 상기 로컬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센터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동경로 패턴을 산출하는 센터 제어부와, 특정 야생동물의 행동 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가 기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센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제어부는, 산출된 이동경로 패턴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로컬 제어부를 제어하여 데이터 송신 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기존 야생동물의 위치 추적시 초기에 세팅되어 고정된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로는 야생동물의 이동경로상에 이상패턴 예를 들어 밀렵 등에 의한 활동반경을 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이상패턴이 발견되는 경우 송신주기를 짧게 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신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로컬 제어부와, 상기 로컬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제1 주기로 전송하는 로컬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로컬 시스템; 및 상기 로컬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센터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동경로 패턴을 산출하여 야생동물의 행동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는 센터 제어부와, 상기 센터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센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제어부는, 산출된 이동경로 패턴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로컬 제어부를 제어하여 데이터 송신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기존에 야생동물의 행동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가 파악되지 못한 희귀하거나 연구되지 못한 야생동물의 경우라도 이들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야생동물 연구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이동경로상에 이상패턴이 발견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터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야생동물의 행동형태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송신주기를 제1 주기보다 긴 제3 주기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가 초기에 세팅되어 고정된 경우 위치 데이터가 변경이 없는 것이 정상적인 패턴인 경우에도 계속하여 데이터를 송신함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불필요하게 됨으로 로컬 시스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예를 들어 곰과 같이 겨울잠을 자는 야생동물의 경우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배터리와 같은 전원소모를 최소화하여 로컬 시스템의 수명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야생동물에 대한 연구자나 관리자의 단말기로 위치 데이터 및 이상패턴 여부 결과를 송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야생동물을 관리하거나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시스템은, 상기 송신주기에 대한 데이터가 기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센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송신 주기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에 따라 그 위치 데이터 전송주기를 전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야생동물을 관리 또는 이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전원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방법은,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위성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 데이터를 산출하는 위치데이터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제1 주기로 무선 송신하는 위치 데이터 송신단계;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을 산출하는 이동패턴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이동패턴과 야생동물의 행동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이동패턴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이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 송신 주기를 상기 제1 주기보다 짧게 전환하는 송신주기 전환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기존 야생동물의 위치 추적시 초기에 세팅되어 고정된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로는 야생동물의 이동경로상에 이상패턴 예를 들어 밀렵 등에 의한 활동반경을 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이상패턴이 발견되는 경우 송신주기를 짧게 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방법은,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위성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 데이터를 산출하는 위치데이터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제1 주기로 무선 송신하는 위치 데이터 송신단계;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행동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을 산출하는 이동패턴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이동패턴과 상기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이동패턴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이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 송신 주기를 상기 제1 주기보다 짧게 전환하는 송신주기 전환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기존에 야생동물의 행동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가 파악되지 못한 희귀하거나 연구되지 못한 야생동물의 경우라도 이들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야생동물 연구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이동경로상에 이상패턴이 발견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의 야생동물 행동형태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송신주기를 제1 주기보다 긴 제3 주기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가 초기에 세팅되어 고정된 경우 위치 데이터가 변경이 없는 것이 정상적인 패턴인 경우에도 계속하여 데이터를 송신함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불필요하게 됨으로 로컬 시스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예를 들어 곰과 같이 겨울잠을 자는 야생동물의 경우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배터리와 같은 전원소모를 최소화하여 로컬 시스템의 수명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야생동물의 위치 데이터 및 상기 비교단계의 결과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야생동물에 대한 연구자나 관리자의 단말기로 위치 데이터 및 이상패턴 여부 결과를 송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야생동물을 관리하거나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주기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에 따라 그 위치 데이터 전송주기를 전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야생동물을 관리 또는 이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전원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야생동물의 위치 추적시 초기에 세팅되어 고정된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로는 야생동물의 이동경로상에 이상패턴 예를 들어 밀렵 등에 의한 활동반경을 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이상패턴이 발견되는 경우 송신주기를 짧게 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야생동물의 행동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가 파악되지 못한 희귀하거나 연구되지 못한 야생동물의 경우라도 이들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야생동물 연구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이동경로상에 이상패턴이 발견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가 초기에 세팅되어 고정된 경우 위치 데이터가 변경이 없는 것이 정상적인 패턴인 경우에도 계속하여 데이터를 송신함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불필요하게 됨으로 컬러(로컬 시스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예를 들어 곰과 같이 겨울잠을 자는 야생동물의 경우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배터리와 같은 전원소모를 최소화하여 컬러의 수명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야생동물에 대한 연구자나 관리자의 단말기로 위치 데이터 및 이상패턴 여부 결과를 송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야생동물을 관리하거나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에 따라 그 위치 데이터 전송주기를 전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야생동물을 관리 또는 이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전원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100)은 로컬 시스템(110) 및 센터 시스템(150)을 포함한다.
로컬 시스템(110)은 야생동물의 목 등에 부착되어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여 센터 시스템(150)으로 전송하고, 센터 시스템(150)은 전송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시 로컬 시스템(110)의 데이터 전송 주기를 전환하여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최소화하고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관리, 연구할뿐만 아니라 이상상황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하, 로컬 시스템(110) 및 센터 시스템(150)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로컬 시스템(110)은 GPS 모듈(113), 로컬 제어부(111) 및 로컬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GPS 모듈(113)은 GPS 항법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GPS를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만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이동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럽형 갈릴레오 시스템 등을 이용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로컬 제어부(111)는 GPS 모듈(113)로 수신된 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산출한다.
로컬 송,수신부(115)는 로컬 제어부(111)에서 산출된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센터 시스템(150)으로 전송하며, 또한, 센터 시스템(150)으로부터 로컬 시스템(110)의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센터 시스템(150)은 센터 송,수신부(153), 센터 제어부(151) 및 데이 터 베이스부(155)를 포함한다.
센터 송,수신부(153)는 로컬 시스템(110)에서 전송되는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며, 또한 후술하는 로컬 송,수신부(115)의 송신 주기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로컬 시스템(110)으로 전송한다.
센터 제어부(151)는 센터 송,수신부(153)로 수신된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을 분석하여, 이동패턴이 통상적인 이동패턴과는 다른 패턴 즉, 이상패턴인 경우 로컬 시스템(110)의 데이터 송신 주기를 전환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센터 송,수신부(153)를 제어한다.
데이터 베이스부(155)에는 센터 제어부(151)에 의하여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이 통상적인 이동인지 이상패턴인지 분석하는 기준 데이터가 저장된다. 기준 데이터에는 특정 야생동물의 통상적인 행동 형태, 활동 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의 행동 형태에는 특정 시기에 이동이 제한되는지 등, 예를 들어 곰인 경우 겨울철에 동면에 의하여 이동이 없는 경우와 같은 데이터가 포함되며, 활동 반경에는 특정 야생동물의 활동영역의 범위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서식환경에는 특정 야생동물의 활동영역이 산악지대인지 초목지대인지 등에 대한 활동영역이 속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이동 패턴에는 활동 반경내에서 특정 야생동물이 어떠한 이동패턴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센터 제어부(151)는 수신된 야생동물의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이동패턴을 데이터 베이스부(155)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통상적인 활동반경이나 서식환경을 벗어나는 등과 같이 그 이동패턴이 다른 경우 이상패턴으로 판단하여 로컬 시스템(110)으로 데이터 송신주기를 짧게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로컬 시스템(110)의 로컬 제어부(111)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명령된 송신주기로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센터 시스템(15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이상패턴 예를 들어 밀렵 등에 의하여 야생동물이 통상적인 활동범위내를 벗어나는 등의 경우에 위치 데이터 전송주기를 짧게 하여 보다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기 로컬 시스템(110)의 데이터 전송주기를 제1 주기로 세팅되며, 이상패턴시에는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의 제1 주기 및 제2 주기는 특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또는 야생동물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석된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이 통상적인 경우라하여도 특정 시간에 특정한 이동패턴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곰과 같이 겨울잠을 자는 경우 특정 시간(겨울철)에 이동이 없는 경우 즉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부(155)의 행동 형태와 소정 오차범위내에서 일치하는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으로 분석되는 경우, 센터 시스템(110)의 센터 제어부(151)는 제1 주기보다 긴 제3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로컬 시스템(111)으로 전송하고, 로컬 시스템(110)의 로컬 제어부(111)는 명령에 따라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제3 주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로써, 야생동물의 이동이 제한적인 행동 형태에 추종하여 데이터 전송 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위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여 로컬 시스템(110)의 수명을 실질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주기, 제2 주기 및 제3 주기에 대한 데이터는 메모리부(117)에 기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컬 제어부(111)는 센터 시스템(150)의 명령에 따라 명령에 매칭되는 송신주기를 메모리부(117)로부터 추출하여 데이터를 명령된 송신주기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센터 시스템(150)의 데이터 베이스부(155)에 기준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희귀한 야생동물이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야생동물의 경우 그 행동 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이나 이동패턴이 파악이 안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로컬 시스템(110)을 야생동물에 부착한 후 이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행동 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실험이나 실행에 의하여 기준 데이터를 확보한 후 상기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므로, 야생동물에 대한 연구 또는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컬 시스템(110)의 송신 주기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연구자 또는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송신 주기를 전환할 수 있도록 입력부(15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야생동물의 기준 데이터가 센터 시스템(150)에 저장되고 센터 제어부(151)에서 이상패턴 여부를 판단하여 송신 주기를 전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로컬 시스템(110) 자체에 기준 데이터가 마련되고 로컬 제어부(111)에서 이상패턴 여부를 판단하여 송신 주기를 전환하는 구성도 무방하며, 이러한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이 통상적인 이동패턴과 다른 경우 데이터 송신주기를 짧게 하여 보다 정확하게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특정한 행동 형태가 발견되는 경우 데이터 송신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여 제품수명을 실질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야생동물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야생동물 위치 추적 방법은, 항법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데이터 수신단계(S110)와, 위성 데이터 수신단계(S110)에서 수신된 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데이터 산출단계(S115)와,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세팅된 제1 주기로 원격지의 관리센터(센터 시스템)로 무선 송신하는 위치데이터 송신단계(S120)와, 위치 데이터 송신단계(S120)에서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를 관리센터에서 수신하는 위치데이터 수신단계(S125)와,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을 분석하는 이동패턴 산출단계(S130)와, 산출된 이동패턴과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이동패턴 비교단계(S135)와, 비교결과 이동패턴이 통상적인 야생동물의 패턴과는 다른 이상패턴인 경우 위치 데이터 송신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전환하는 송신주기 전환단계(S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에는 특정 야생동물의 통상적인 행동 형태, 활동 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의 행동 형태에는 특정 시기에 이동이 제한되는지 등, 예를 들어 곰인 경우 겨울철에 동면에 의하여 이동이 없는 경우와 같은 데이터가 포함되며, 활동 반경에는 특정 야생동물의 활동영역의 범위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서식환경에는 특정 야생동물의 활동영역이 산악지대인지 초목지대인지 등에 대한 활동영역이 속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이동 패턴에는 활동 반경내에서 특정 야생동물이 어떠한 이동패턴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로써,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이 통상적인 패턴과는 다른 예를 들어 밀렵 등에 의하여 이동되는 경우, 자주 현재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면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40에서 야생동물의 이동패턴이 이상패턴은 아니지만 특정 행동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50), 예를 들어 곰같이 겨울잠을 자는 야생동물의 경우 특정시기(겨울철)에 겨울잠(이동없슴)과 같은 특정 행동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초기 제1 주기보다 긴 제3 주기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55). 이로써, 자주 야생동물의 위치 데이터를 파악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 등과 같은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어 제품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산출된 야생동물의 위치 데이터 및 이상패턴 판단결과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자 또는 연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여,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관리 또는 연구할 수 있으며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제1 내지 제3 송신 주기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연산과정없이 즉각적으로 송신주기 변환에 대한 명령이 오는 경우 송신주기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야생동물에 대한 기준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로컬 시스템)를 야생동물에 부착한 후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추후 야생동물의 이상패턴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S230). 이때,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다른 프로세스 S210, S215, S220, S225, S235, S240, S245, S250, S255 및 S260은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110 : 로컬 시스템
111 : 로컬 제어부 113 : GPS 모듈
115 : 로컬 데이터 송수신부 117 : 메모리부
150 : 센터 시스템 151 : 센터 제어부
153 : 센터 데이터 송수신부 155 : 데이터 베이스부
157 : 단말기 159 : 입력부

Claims (10)

  1.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신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로컬 제어부와, 상기 로컬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제1 주기로 전송하는 로컬 송,수신부와, 상기 위치 데이터의 송신 주기에 대한 데이터가 기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로컬 시스템; 및
    상기 로컬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센터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패턴을 산출하는 센터 제어부와, 특정 야생동물의 행동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가 기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와, 상기 센터 제어부로부터 상기 위치 데이터와 상기 산출된 이동경로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센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이동경로 패턴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패턴이 이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의 송신 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전환하는 신호를 상기 센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 송,수신부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야생동물의 행동형태를 기초로 상기 위치 데이터의 변경이 없는 것이 정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의 송신 주기를 제1 주기보다 긴 제3 주기로 전환하는 신호를 상기 센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 송,수신부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센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주기의 전환 신호에 따라 송신 주기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로컬 시스템의 배터리의 전원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2. 위성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신된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로컬 제어부와, 상기 로컬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제1 주기로 전송하는 로컬 송,수신부와, 상기 위치 데이터의 송신 주기에 대한 데이터가 기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로컬 시스템; 및
    상기 로컬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센터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패턴을 산출하여 야생동물의 행동형태, 활동반경, 서식환경 및 이동패턴을 포함하는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는 센터 제어부와, 상기 센터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와, 상기 센터 제어부로부터 상기 위치 데이터와 상기 산출된 이동경로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센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이동경로 패턴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패턴이 이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의 송신 주기를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전환하는 신호를 상기 센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 송,수신부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야생동물의 행동형태를 기초로 상기 위치 데이터의 변경이 없는 것이 정상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의 송신 주기를 제1 주기보다 긴 제3 주기로 전환하는 신호를 상기 센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 송,수신부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센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주기의 전환 신호에 따라 송신 주기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로컬 시스템의 배터리의 전원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54545A 2009-06-18 2009-06-18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05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545A KR101052332B1 (ko) 2009-06-18 2009-06-18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545A KR101052332B1 (ko) 2009-06-18 2009-06-18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270A KR20100136270A (ko) 2010-12-28
KR101052332B1 true KR101052332B1 (ko) 2011-07-27

Family

ID=4351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545A KR101052332B1 (ko) 2009-06-18 2009-06-18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1387B (zh) * 2021-04-15 2024-02-27 深圳市中融数字科技有限公司 牲畜活动范围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52932B1 (ko) * 2022-01-20 2022-10-11 정우석 지도 기반 유기동물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3331B1 (ko) * 2023-02-21 2023-08-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야생동물 위치추적 정보와 현장 및 생물 정보를 결합한 위치정보 결측지점 예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측지점 예측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599A (ja) 1997-09-17 1999-04-09 Sony Corp 野生動物生態調査システム
KR20010044832A (ko) * 2001-03-30 2001-06-05 백무창 지피에스를 이용한 동물 관리방법 및 그 관리시스템
KR20070034273A (ko) * 2005-09-23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성항법 시스템 단말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0817311B1 (ko) * 2006-12-28 2008-03-2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위치추적 시스템에 사용되는 동물위치추적송신기 및동물위치추적수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599A (ja) 1997-09-17 1999-04-09 Sony Corp 野生動物生態調査システム
KR20010044832A (ko) * 2001-03-30 2001-06-05 백무창 지피에스를 이용한 동물 관리방법 및 그 관리시스템
KR20070034273A (ko) * 2005-09-23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성항법 시스템 단말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0817311B1 (ko) * 2006-12-28 2008-03-2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위치추적 시스템에 사용되는 동물위치추적송신기 및동물위치추적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270A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6684B2 (en) Power management in wireless tracking device operating with restricted power source
US100042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location of animal
CA3052216A1 (en) Wearable apparatus for an animal
CN107251122B (zh) 用于运行传感器设备的方法和传感器设备
US20160205894A1 (en) Collar for wild animal and apparatus for monitoring/managing activity of wild animal using same
AU2015240436B2 (en) Position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164191A1 (en) Asset tracking system
EP3050042B1 (en) Tracking system
KR101052332B1 (ko) 야생동물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94579A1 (en) Sensor network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ensor node used in sensor network system
CN101995978B (zh) 用于为无线计算机鼠标提供无线通信和全球定位的装置和方法
US10945097B1 (en) Method of implementing a lightweight, electronic ear tag for location tracking and geo-fencing tasks
JP525207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パラメーター決定装置
EP2002276B1 (en) Geolocation methods and apparatus
WO20111098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efficient gps localisation
KR20190020428A (ko) 가축 상태 정보 관리 시스템
EP4021005A1 (en)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to sample and transmit sensor data
CN110956424B (zh) 库存跟踪标签、用于延长电池寿命的系统和方法
CN112970620B (zh) 发情状态检测的方法、装置、系统、设备和介质
WO2023074801A1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23064836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6157056A (zh) 用于有效管理动物监测装置的功耗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