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043B1 - 미러 마운트 - Google Patents

미러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043B1
KR101052043B1 KR1020110035607A KR20110035607A KR101052043B1 KR 101052043 B1 KR101052043 B1 KR 101052043B1 KR 1020110035607 A KR1020110035607 A KR 1020110035607A KR 20110035607 A KR20110035607 A KR 20110035607A KR 101052043 B1 KR101052043 B1 KR 10105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upport member
mirror holder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민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러 마운트는, 일면에 미러가 구비되는 미러 거치대, 상기 미러 거치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 끝단에 구 형태의 볼이 구비되며, 상기 미러 거치대의 적어도 세 개소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미러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켓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각 지지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적어도 세 개소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미러 거치대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미러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한다.

Description

미러 마운트{Mirror Mount}
본 발명은 군수용 전자 광학장비에 사용되는 미러를 거치하기 위한 미러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여도 상기 미러에 응력이 발생되지 않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미러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상장비, 전자광학경보시스템 등 최첨단의 군사용 전자 광학장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상기 광학장비에는, 상기 광학장비의 특성 상 빛, 레이저 등의 광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Mirror)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광학장비는 고도의 정교함이 요구되므로, 상기 미러는 상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밀하게 평면 가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미러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미러 마운트가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미러 마운트의 모습이 도시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미러 마운트(100)는 프레임(120) 및 상기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미러 거치대(11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거치대(110)는 프레임(120)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미러 거치대(110)의 일면에 구비된 미러(115)의 모습이 도시되며, 상기 미러(115)의 전면은 양측의 프레임(120)이 이격된 사이를 통해 노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미러 마운트(100)에 있어서, 미러(115)를 틸트(Tilt)시켜 각도를 조절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미러 거치대(110)와 미러 거치대(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20) 사이에 필러(Pillar)를 삽입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미러 마운트(100)는 미러 거치대(110)의 각 모서리 부분이 프레임(120)에 고정된 형태를 가지며, 이때 미러(115)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각 모서리 부분 중 적절한 부분에 필러를 삽입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할 경우에는, 프레임(120)에 고정된 미러 거치대(110)의 각 모서리 부분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미러 거치대(110)에는 응력이 발생되어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미러 거치대(110)에 평면 접촉된 미러(115)에도 변형을 유발시키게 되어, 미러(115)가 깨지게 되거나, 또는 휘어짐에 의한 상의 변형을 일으키는 등의 현상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미러(115)의 각도를 미세한 범위 내에서만 조절할 수 밖에 없으며, 광축의 흔들림에 민감한 대구경 광학장비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미러 거치대(110)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의 높이만을 조절할 경우에 비해, 양측 모두의 높이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는 보다 정밀한 조절이 요구되므로,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이와 같은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러 거치대(110)에 들뜸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더 큰 변형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러의 각도 조절 시에도 상기 미러에 응력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미러 마운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보다 용이하고 정밀한 각도 조절 방식을 가지는 미러 마운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러 마운트는, 상기 미러 거치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 끝단에 구 형태의 볼이 구비되며, 상기 미러 거치대의 적어도 세 개소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미러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켓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각 지지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적어도 세 개소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미러 거치대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미러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소켓의 하부가 형성된 하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소켓의 상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와 결합 시 상기 소켓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봉이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러 거치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는 결합구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러 마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미러 거치대의 지지축 중 어느 한 측 이상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나머지 다른 지지축은 상기 높이 조절에 대응되어 구동되므로, 미러 거치대 및 미러에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미러의 각도 조절이 간편하고, 상기 각도 조절에 따른 작업 시간이 극히 짧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미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광학장비의 수명을 크게 증가시키고, 상의 왜곡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미러 마운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미러 마운트를 다른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마운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마운트를 다른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마운트에 있어서, 지지부재 및 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마운트에 있어서, 미러 거치대가 수평을 이룬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마운트에 있어서, 미러 거치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마운트(1)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러 마운트(1)는 크게 미러 거치대(10), 미러(15), 프레임(20), 지지부재(30) 및 가이드부(40)를 포함한다.
먼저, 미러 거치대(10)는 적어도 어느 일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는 미러(15)가 설치된다. 따라서, 미러 거치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미러(15)의 각도 역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은 상기 미러 거치대(10)가 설치되기 위한 바닥면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미러 거치대(10)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의 중앙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형성되고, 미러 거치대(10)의 일면에는 미러(15)가 상기 프레임(2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프레임(20)의 비어 있는 중앙부를 통해 미러(15)에 빛, 레이저 등을 조사하여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러 거치대(10)는 지지부재(30) 및 가이드부(40)에 의해 프레임(2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부재(30) 및 가이드부(40)는 서로 하나씩 대응되어 결합되고, 이는 미러 거치대(10)의 하나의 지지축을 형성한다. 즉, 지지부재(30) 및 가이드부(40)의 개수에 따라 미러 거치대(10)의 지지축의 개수가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장비는 고도의 정밀성을 요구하므로, 미러 거치대(10)는 프레임(20)에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러 거치대(10)의 지지축은 3개소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이 3개소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미러 거치대(10)에 편향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미러 거치대(10)는 적어도 세 개소에 지지축을 가지며, 목적에 따라 세 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축이 세 개소 형성되며, 이는 미러 거치대(10)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각 지지축 중 어느 일측 이상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도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은 지지부재(30) 및 가이드부(40)가 서로 하나씩 대응되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며, 도 5에는, 지지부재(30) 및 가이드부(40)의 상세 구조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30)는 미러 거치대(10)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32) 및 상기 지지봉(32) 끝단에 구비된 볼(34)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부(40)에는 상기 볼(34)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켓이 형성되어, 지지부재(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볼(34)은 구형으로 형성되므로, 지지부재(30)는 가이드부(40)로부터 전방위로 가동될 수 있는 자유도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소켓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3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형의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볼(34)의 지름에 대응되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가지도록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그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부재(42) 및 하부 가이드부재(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가이드부재(42)는 상기 소켓의 상부를 형성하는 홈(45)을 가지며, 하부 가이드부재(46)는 상기 소켓의 하부를 형성하는 홈(48)을 가진다. 따라서, 상부 가이드부재(42) 및 하부 가이드부재(46)를 서로 결합할 경우, 각 홈(45, 48)에 의해 볼(34)이 수용될 수 있는 소켓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가이드부재(42)에는 지지봉(32)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44)이 형성되고, 지지봉(32)은 이를 통해 미러 거치대(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0)는 미러 거치대(1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볼(34)은 상기 소켓에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홀(44)의 크기에 따라 지지부재(30)의 가동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가이드부재(42) 및 하부 가이드부재(46)에는 각각 관통홀(43, 47)이 형성되어, 볼트 형태의 결합부재(49)에 의해 프레임(20)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재(30)의 볼(34)은 결합부재(49)를 조임에 따라, 상부 가이드부재(42) 및 하부 가이드부재(46)에 의해 상하 가압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볼(34)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어 미러 거치대(1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미러 거치대(10)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결합부재(49)를 풀어 볼(34)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미러 거치대(10)의 각도 조절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에 따라 지지부재(30) 및 가이드부(40)에 의해 형성된 지지축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형태는 이와 같은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가이드부(4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소켓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이에 따라 볼(34)의 고정 및 풀림 상태를 조절하는 방식 역시 다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30)가 미러 거치대(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부(40)가 프레임(20)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나, 이와 달리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되어 탈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마운트(1)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따른 미러 거치대(10)의 각도 조절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미러 거치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이 각각 도시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미러 거치대(10)가 프레임(20)에 대해 수평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미러 거치대(10)의 세 개소에 구비된 지지축은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각 지지축의 볼(34a, 34b, 34c)은 대응되는 상부 가이드부재(42a, 42b, 42c)와 하부 가이드부재(46a, 46b, 46c)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미러 거치대(10)의 각도 조절은, 각 지지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미러 거치대(10)가 지지부재(3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프레임(20)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세 개소의 지지축 중 우측에 구비된 지지축의 높이를 길게 조절하여, 미러 거치대(10)의 각도가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지지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0)의 지지봉(32)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가이드부(4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40)와 프레임(20) 사이에 필러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는, 지지부재(30) 또는 가이드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어, 이들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지지축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에는, 별도의 측정 과정 없이도 신속하게 미리 설정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지지축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경우에는, 미러 거치대(10)에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음은 배경기술 부분에서 설명한 바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볼(34)이 가이드부(40)의 소켓 내에서 회전되어 지지부재(3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해 도 7의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경우, 우측의 하부 가이드부재(46a)의 높이가 다른 하부 가이드부재(46b, 46c)보다 높게 조절되었으며, 이에 따라 미러 거치대(10)의 우측 부분 역시 상향된다. 이때, 각 볼(34a, 34b, 34c)는 미러 거치대(10)의 변화 각도에 대응되어 회전되고, 각 지지봉(32a, 32b, 32c) 역시 상기 회전에 따라 각도가 변화된다.
결과적으로, 미러 거치대(10)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에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와 같이 미러 거치대(10)에 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미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러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이 미러 거치대(10)의 어느 부분에 설치될 경우에도 문제 없이 상기와 같은 구동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어 미러 마운트(1)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축의 위치를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러 거치대(10)에는 지지부재(30)를 연결시킬 수 있는 결합구를 여러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할 경우에는, 지지축의 위치에 따라 미러 마운트(1)를 복수 개의 제품으로 생산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미러 마운트
10: 미러 거치대
15: 미러
20: 프레임
30: 지지부재
32: 지지봉
34: 볼
40: 가이드부
42: 상부 가이드부재
43, 47: 관통홀
44: 가이드홀
45, 48: 홈
46: 하부 가이드부재
49: 결합부재

Claims (6)

  1. 일면에 미러가 구비되는 미러 거치대;
    상기 미러 거치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 끝단에 구 형태의 볼이 구비되며, 상기 미러 거치대의 적어도 세 개소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미러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켓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각 지지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적어도 세 개소에 구비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미러 거치대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미러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미러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소켓의 하부가 형성된 하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소켓의 상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와 결합 시 상기 소켓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봉이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미러 마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러 마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미러 마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미러 마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거치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는 결합구가 복수 개 형성된 미러 마운트.
KR1020110035607A 2011-04-18 2011-04-18 미러 마운트 KR10105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607A KR101052043B1 (ko) 2011-04-18 2011-04-18 미러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607A KR101052043B1 (ko) 2011-04-18 2011-04-18 미러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043B1 true KR101052043B1 (ko) 2011-07-26

Family

ID=4492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607A KR101052043B1 (ko) 2011-04-18 2011-04-18 미러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80A (ko) 2021-04-30 2022-11-08 (주)아인테크놀러지 반사미러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587A (en) 1974-10-07 1975-08-26 Ernest Haile Framing and mounting means for a rear vision mirror
JPH10113265A (ja) 1996-10-14 1998-05-06 Asuberu Kk 角度自在型ミラー
JP2008170759A (ja) 2007-01-12 2008-07-24 Seiko Epson Corp 載置台付きプロジェクタ
KR20100010755U (ko) * 2009-04-23 2010-11-02 이해성 가구 높낮이 조절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587A (en) 1974-10-07 1975-08-26 Ernest Haile Framing and mounting means for a rear vision mirror
JPH10113265A (ja) 1996-10-14 1998-05-06 Asuberu Kk 角度自在型ミラー
JP2008170759A (ja) 2007-01-12 2008-07-24 Seiko Epson Corp 載置台付きプロジェクタ
KR20100010755U (ko) * 2009-04-23 2010-11-02 이해성 가구 높낮이 조절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80A (ko) 2021-04-30 2022-11-08 (주)아인테크놀러지 반사미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090B2 (en) Camera apparatus and methods
US7111406B2 (en) Laser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60191813A1 (en) Multi-headed adjustable camera
US10145503B2 (en) Wall mount for flat and non-flat screens
JP2009150456A (ja) スタンド
CN107106394A (zh) 用于医疗吊架装置的载体臂的支撑接头
JP2014522566A (ja) 支持体に対し電子ディスプレイを接続するディスプレイ取付け用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9192894A (ja) ラックシステム及びそのケーブル支持アセンブリ
US20200003987A1 (en) Laser alignment systems
US9429825B2 (en) Modular projector cage and stacked frame using same
JP4526414B2 (ja) レーザーラインユニットおよびレーザー墨出し器
KR101052043B1 (ko) 미러 마운트
JP4536099B2 (ja) テレビボード
JP2012027463A (ja) アダプター装置
JP4628192B2 (ja) レーザー墨出し器およびその三脚用傾き調整アタッチメント
KR200404987Y1 (ko) 멀티프로젝터 설치용 스테이지
CN216431160U (zh) 安装架及显示设备
JP6356979B2 (ja) 光学機器用雲台
KR20090105042A (ko) 스탠드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48095B1 (ko) 룸미러용 블랙박스 거치대
JP6762062B1 (ja) 光軸合わせ機構及び光軸合わせ方法
JP4967698B2 (ja) 取付器具及び表示ユニット
JP4907704B2 (ja) スタンド
JP4925260B2 (ja) レーザー墨出し器用アダプター
KR20110008281U (ko)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