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756B1 -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 Google Patents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756B1
KR101051756B1 KR1020090013035A KR20090013035A KR101051756B1 KR 101051756 B1 KR101051756 B1 KR 101051756B1 KR 1020090013035 A KR1020090013035 A KR 1020090013035A KR 20090013035 A KR20090013035 A KR 20090013035A KR 101051756 B1 KR101051756 B1 KR 10105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cathode
cathode fluorescent
clamp
terminal
fluor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895A (ko
Inventor
유근수
Original Assignee
인창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창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창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7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27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6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 H01J61/78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with cold cathode; with cathode heated only by discharge, e.g. high-tension lamp for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은 일정한 공간의 설치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며, 인버터가 접속되는 인버터접속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램프의 리드와이어가 끼워지는 램프접속부가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터미널과,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 램프접속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켜 리드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거나, 여기에 상기 하우징이 복수로 끼워질 수 있게 복수의 조립 홈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13035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터미널, 하우징, 클램프, 리드와이어

Description

냉음극형광램프 소켓{SOCKET FOR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본 발명은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음극형광램프의 리드와이어와 소켓의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면서 구조적으로 결속시켜 접속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킨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은 백라이트 유닛에 설치되는 것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광원장치로 적용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바텀샤시의 전방에 LCD 패널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 다수의 램프와, 바텀샤시에 고정되면서 인버터와 연결되는 소켓이 마련된다.
여기서 램프로서 냉음극형광램프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바텀샤시의 좌측과 우측에 다수의 소켓이 설치되고, 냉음극형광램프는 양측 소켓에 냉음극형광램프의 리드와이어가 접속된다.
이때 냉음극형광램프의 리드와이어의 접속은 납땜 등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였으나, 납땜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최근에는 냉음극형광램프의 리드와이어를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터미널에 직접 끼움결합 함으로써 접속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터미널은 자체탄성에 의해 상호 양측에서 밀착되도록 램프접속부가 마련되며, 밀착된 램프접속부에 리드와이어를 끼움 결합 할 경우 터미널의 자체탄성을 극복할 정도의 힘으로 냉음극형광램프 또는 와이어를 직접 가압하여 터미널에 마련된 램프접속부에 끼워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램프접속부는 리드와이어와의 접속력을 높이기 위해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힘의 불균형하거나, 누름의 위치가 부적절할 경우 냉음극형광램프가 파손되거나, 리드와이어에 휨이 발생되어 소켓에 접속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2008년 공개특허 제16191호 "CCFL을 PCB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소켓의 체결구"가 제시되었다. 이는 같이 터미널의 램프접속부에 냉음극형광램프의 리드와이어가 삽입되고, 별도의 가압부재를 하우징과 터미널 사이에 끼움 결합함으로서 램프접속부에 안착된 리드와이어가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소켓은 별도의 가압부재가 사출물로 제작되어 터미널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발화의 위험이 있고, 고온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될 경우 크립(Creep)현상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냉음극형광램프 또는 리드와이어를 직접 가압하지 않으면서 접속이 용이케 하면서, 발화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음극형광램프를 소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터미널에 리드와이어 결속시키는 과정에서 터미널의 램프접속부의 탄성극복을 위한 가압으로 램프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음극형광램프를 소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은 일정한 공간의 설치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며, 인버터가 접속되는 인버터접속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램프의 리드와이어가 끼워지는 램프접속부가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터미널과,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 램프접속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켜 리드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설치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개방되어 상기 터미널이 설치되면서 상기 램프접속부에 연결되는 상기 리드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개구와, 제1개구의 하부에 직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인버터 접속부에 연결되는 인버터가 삽입되는 제2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설치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걸리는 결합 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는 내측에 램프접속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 램프접속부 사이에 끼움 결합할 경우 그 사이를 확대시켜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게 유도하는 유도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는 설치부 측벽과 터미널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릴 수 있도록 하는 후크 형태의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끼움 결합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클램프 가 조립 상태에서 걸릴 수 있도록 하는 제1걸림 홈과, 완 조립상태에서 거릴 수 있도록 하는 제2걸림 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중앙에 걸림돌기에 탄성이 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탄성 홀이 마련되고, 상기 탄성 홀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 홈에 자체 탄성에 의한 체결력을 상승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 터미널 사이에 결합될 경우 상기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터미널은 상하로 수직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양측에 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상부에 램프접속부가 마련되는 측벽부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의 일정한 틈새를 유지할 수 있게 간극돌기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은 상하로 수직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양측에 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상부에 램프접속부가 마련되는 측벽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안착 홈을 갖는 지지부가 수직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안착 홈에는 상기 리드와이어가 지지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중심으로 양측을 절개한 절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설치부에 끼움 결합될 경우 가이드 될 수 있게 가이드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의 상부에는 상기 클램프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철회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은 일정한 공간의 설치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며, 인버터가 접속되는 인버터접속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램프의 리드와이어가 끼워지는 램프접속부가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터미널과,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 램프접속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켜 리드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이 복수로 끼워질 수 있게 복수의 조립 홈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조립 홈에 끼움 결합할 경우 끼움정도를 결정할 수 있게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림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조립 홈에 끼움 결합할 경우 분리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해 체결 홈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체결 홈에 끼워질 수 있게 자체탄성을 갖는 체결돌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클램프를 금속으로 제작하여 터미널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발화의 가능성을 없애고, 고온으로 인한 크립현상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램프접속부에서 자체탄성으로 리드와이어를 결속하지 않고, 램프접속부의 자체탄성과 더불어 클램프에 의해 결속하므로 리드와이어 삽입시 램프에 불필요한 하중이 작용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결속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및 클램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및 클램프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선 및 "C-C"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8 및 도 9의 작동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부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음극형광램프(1) 소켓(100)은 절연재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도체로 된 터미널(20) 및 하우징(10)과 터미널(20) 사이에 설치되는 클램프(30)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터미널(20)이 설치되는 설치부(13)가 마련된다. 그리고 설치부(13)는 터미널(20) 결합을 위해 상부로 개방되는 제1개구(11)와, 설치부(13)에 조립된 터미널(20)에 인버터(3)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하부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제2개구(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개구(12)는 상부로 개방된 제1개구(11)에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터미널(20)은 탄성을 갖는 일정한 두께의 금속 도체 판을 절곡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수직부(25)와, 수직부(25)의 양측을 전방으로 나란하게 절곡하여서 마련되는 측벽부(27)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직부(25)와 측벽부(27)는 평면상에서 "ㄷ"자 형태를 갖도록 마련된다.
측벽부(27)의 상부에는 램프(1)의 리드와이어(2)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램프접속부(21)가 양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램프접속부(21)는 양측의 측벽부(27)를 상부로 연장한 후 절곡함으로서 그 사이에 리드와이어(2)가 위치될 경우 감싸는 형태로 접속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램프접속부(21)의 양측은 램프(1)의 리드와이어(2)가 자유낙하로 조립될 수 있는 간격을 갖는다. 이때 램프접속부(21)가 탄성을 가질 수 있게 터미널(20)을 자체탄성을 갖는 도체 판으로 마련된다.
터미널(20)의 하부에는 인버터(3)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인버터접속부(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인버터접속부(22)는 수직부(25)에서 하부로 더 연장하여 전방으로 절곡함으로서 "L"자 형태로 마련되며, 일정한 탄성 접촉력을 높일 수 있게 인버터접속부(22)를 호형으로 형성한고, 그 위에 돌기가 형성된다. 여기서 인버터(3)는 인버터회로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인버터접속부(22)에 접속된다.
그리고 터미널(20)이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게 인버터접속부(22)의 후방에는 결합돌기(23)가 마련되고, 인버터접속부(22)의 결합돌기(23)에 끼워질 수 있게 하우징(10)의 설치부(13)의 후방측벽 즉, 하우징(10)에는 결합 턱(15)이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설치부(13) 좌우 양측 측벽에는 제1개구(11)를 통해 터미널(20)을 결합할 경우 결합이 가이드 될 수 있게 가이드부(14)가 수직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터미널(20)의 측벽부(27)의 모서리가 가이드부(14)에 가이드 되어 결합된다. 이때 양측 가이드부(14)의 거리는 램프접속부(21)의 좌우 폭보다 작으면서 터미널(20)의 인버터접속부(22)의 좌우 폭보다 크게 마련된다.
그리고 터미널(20)의 측벽부(27)에는 결합시 설치부(13)의 측벽과 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틈새를 유지하는 간극돌기(27a)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설치부(13)에는 간극돌기(27a)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램프접속부(21)의 후방 즉, 수직부(25)의 상부에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한 지지부(26)가 마련되고, 지지부(26)에 상부로 개방되어 램프(1)의 리드와이어(2)가 안착되는 안착 홈(26a)이 마련된다.
그리고 안착부(31)에는 리드와이어(2)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받침부(26b)와, 받침부(26b)를 중심으로 양측을 절개하여서 되는 절개부(26c)가 마련된다. 또한, 받침부(26b)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리드와이어(2)의 외주가 면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리드와이어(2)가 램프접속부(21)에 접속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그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한편, 클램프(30)는 설치부(13)의 측벽과, 터미널(20) 사이에 끼워져 램프접속부(21)를 양측에서 중앙으로 가압하여,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킨다. 여기서 클램프(30)는 평면에서 "ㄷ"자 형태로 램프접속부(21)의 전방에서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1차적인 가 조립을 위해 램프접속부(21)가 안착되는 안착부(31)와, 안착부(31)에 연결되며 2차적인 완 조립을 수행할 경우 램프접속부(21)와 설치부(13)의 측벽사이를 확장시켜 램프접속부(21)를 중앙으로 가압하는 유도경사부(32) 및 유도경사부(32)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램프접속부(21)의 가압상태를 유지 하는 가압유지부(30a)로 구성된다.
또한, 클램프(30)는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후크 형태의 걸림돌기(33)가 마련되고, 터미널(20)에는 걸림돌기(33)가 삽입되는 걸림 홈(24)이 마련된다. 여기서 걸림 홈(24)은 터미널(20)의 측벽부(27)에 형성된다. 또한, 클램프(30)는 금속재로 마련된다.
그리고 걸림 홈(24)은 후크 형태의 걸림돌기(33)가 1차적인 가 조립으로 고정시키는 제1걸림 홈(24a)과, 2차적인 완 조립으로 고정시키는 제2걸림 홈(24b)이 마련된다.
또한, 클램프(30)의 상부에는 일부 절개하여 램프(1)의 리드와이어(2)가 수용되는 유도부(34)가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클램프(30)의 걸림돌기(33)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 있게 탄성 홀(35)이 마련되고, 걸림 홈(24)의 내측으로 밀착될 수 있게 절곡되는 절곡부(36)가 마련된다. 이때 걸림 홈(24)은 걸림돌기(33)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다.
그리고 클램프(30)의 양측에는 하우징(10)의 설치부(13)에 삽입될 경우 가이드 될 수 있게 가이드돌기(37)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가이드돌기(37)는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4)에 의해 가이드 된다. 이때, 가이드부(14) 일측에 가이드부(14)와 나란한 미도시한 가이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30)의 상부에는 클램프(30)를 하우징(10)에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회부(38)가 마련된다. 여기서 철회부(38)는 클램프(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가압유지부(30a)의 상부를 외측으로 절곡시킨다. 또한 철회부(38)는 가압유지부(30a)를 관통하는 홀로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30)는 설치부(13)의 측벽과, 터미널(20) 사이에 끼워져 램프접속부(21)를 양측에서 가압할 경우 상기 램프접속부(21)의 단부를 양측에서 가압하는 가압부(39)가 마련된다.
여기서 가압부(39)는 "ㄷ "자 형태의 클램프(30)의 상부에 양측에 마련되되,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클램프(30)를 설치부(13)에 최종 완조립에 될 경우에 램프접속부(21)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한편,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은 복수의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40)이 마련된다. 여기서 프레임(40)은 복수의 하우징(10)이 설치되는 복수의 조림 홈(41)이 마련된다.
그리고 조립 홈(41)의 상부에는 하우징(10)의 안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단차를 갖는 안착단차(42)가 마련되고, 하우징(10)의 외측에는 안착단차(42)에 안착되는 림부(16)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 홈(41)의 내측 하부에는 삽입된 하우징(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돌기(43)가 마련되고, 하우징(10)에는 상기 체결돌기(43)에 대응하는 체결 홈(17)이 마련된다. 여기서 체결돌기(43)는 자체 탄성에 의해 체결 홈(17)에 안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의 작용을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의 제1개구(11)를 통해 설치부(13)에 터미널(20)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터미널(20)의 측벽부(27)는 가이드부(14)에 의해 가이드 되어 삽입되면서 간극돌기(27a)에 의해 측벽부(27)는 설치부(13)의 측벽에 점 접촉되는 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설치부(13)에 터미널(20) 삽입이 완료되면, 터미널(20)의 결합돌기(23)에 하우징(10)의 결합 턱(15)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후, 도 7 부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30)를 1차 가 조립한다. 즉, 클램프(30)를 설치부(13)의 측벽과 터미널(20) 사이에 삽입하여 터미널(20)의 램프접속부(21)가 클램프(30)의 안착부(31)에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클램프(30)의 걸림돌기(33)가 제1걸림 홈(24a)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면서 클램프(30)는 안착부(31)에 안착된 램프접속부(21)의 자체탄성에 의해 1차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결합은 사용자가 아닌 제조사 측에서 이루어진다.
이후, 클램프(30)의 유도부(34)와, 터미널(20)의 지지부(26)에 마련된 안착 홈(26a)에 램프(1)의 리드와이어(2)를 안착시킨다. 이때 램프접속부(21) 중앙에 리드와이어(2)가 클램핑 되지 않는 상태로 자유낙하하여 안착되며, 리드와이어(2)의 외주와, 안착 홈(26a)에 형성된 받침부(26b)가 접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30)를 재차 가압하여 2차 완 조립한다. 즉, 클램프(30)를 설치부(13)의 측벽과, 터미널(20) 사이에 더 삽입하여 터미널(20)의 램프접속부(21)가 클램프(30)의 유도경사부(32)를 따라 가압되어 중앙으로 좁혀지게 된다.
그리고 클램프(30)의 2차 결합이 완료되면, 클램프(30)의 유도경사부(32)에 의해 램프접속부(21)가 좁혀져 램프(1)의 리드와이어(2)를 클램핑 하게 된다. 그리고 리드와이어(2)의 클램핑이 완료되면서 클램프(30)에 마련된 걸림돌기(33)는 터미널(20)에 마련된 제2걸림 홈(24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리드와이어(2)의 접속이 완료된다.
또한, 클램프(30)의 2차 결합이 완료되면, 클램프(30)에 마련된 가압부(39)가 터미널(20)의 램프접속부(21) 단부를 양측에서 중앙으로 가압하여 재차 견고한 클램핑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인버터(3)를 구성하는 미도시한 인쇄회로기판은 하우징(10)의 제2개구(12)를 통해 인버터접속부(22)와 연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을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음극형광램프 소켓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및 클램프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및 클램프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8 및 도 9의 작동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소켓 10: 하우징
11,12: 제1,2개구 13: 설치부
14: 가이드부 15: 결합 턱
16: 림부 17: 체결 홈
20: 터미널 21: 램프접속부
22: 인버터접속부 23: 결합돌기
24: 걸림 홈 25: 수직부
26: 지지부 27: 측벽부
30: 클램프 31: 안착부
32: 유도경사부 33: 걸림돌기
34: 유도부 35: 탄성 홀
36: 절곡부 37: 가이드돌기
38: 철회부 39: 가압부
30a: 가압유지부 40: 프레임
41: 조립 홈 42: 안착단차
43: 체결돌기

Claims (16)

  1. 일정한 공간의 설치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며, 인버터가 접속되는 인버터접속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램프의 리드와이어가 끼워지는 램프접속부가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터미널과,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 램프접속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켜 리드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는 설치부 측벽과 터미널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릴 수 있도록 하는 후크 형태의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끼움 결합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클램프 가 조립 상태에서 걸릴 수 있도록 하는 제1걸림 홈과, 완 조립상태에서 거릴 수 있도록 하는 제2걸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설치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개방되어 상기 터미널이 설치되면서 상기 램프접속부에 연결되는 상기 리드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개구와, 제1개구의 하부에 직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인버터 접속부에 연결되는 인버터가 삽입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설치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걸리는 결합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내측에 램프접속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 램프접속부 사이에 끼움 결합할 경우 그 사이를 확대시켜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게 유도하는 유도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중앙에 걸림돌기에 탄성이 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탄성 홀이 마련되고,
    상기 탄성 홀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 홈에 자체 탄성에 의한 체결력을 상승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 터미널 사이에 결합될 경우 상기 양측 램프접속부의 간격을 축소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하로 수직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양측에 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상부에 램프접속부가 마련되는 측벽부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설치부의 측벽과의 일정한 틈새를 유지할 수 있게 간극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하로 수직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양측에 전방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상부에 램프접속부가 마련되는 측벽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안착 홈을 갖는 지지부가 수직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에는 상기 리드와이어가 지지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중심으로 양측을 절개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설치부에 끼움 결합될 경우 가이드 될 수 있게 가이드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상부에는 상기 클램프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철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013035A 2009-02-17 2009-02-17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KR10105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35A KR101051756B1 (ko) 2009-02-17 2009-02-17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35A KR101051756B1 (ko) 2009-02-17 2009-02-17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895A KR20100093895A (ko) 2010-08-26
KR101051756B1 true KR101051756B1 (ko) 2011-07-25

Family

ID=4275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35A KR101051756B1 (ko) 2009-02-17 2009-02-17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7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208A (ko) * 2006-12-14 200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055209A (ko) * 2006-12-14 200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084110A (ko) * 2007-03-15 2008-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108756A (ko) * 2007-06-11 2008-12-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208A (ko) * 2006-12-14 200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055209A (ko) * 2006-12-14 200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084110A (ko) * 2007-03-15 2008-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108756A (ko) * 2007-06-11 2008-12-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895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251B1 (ko)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KR101234100B1 (ko) 램프소켓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EP1884822B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098168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の組立方法
US7901231B2 (en) Lamp holding unit
KR100758352B1 (ko) 백라이트 커넥터
KR101494741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 장치
US20040115966A1 (en) Land grid array socket with reinforcing plate
CN101162083A (zh) 背光组件及其装配方法
JP2010282856A (ja) 液晶モジュール
KR101051756B1 (ko) 냉음극형광램프 소켓
KR20080045399A (ko) 전원인가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812776B1 (ko) Ccfl을 pcb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소켓의 체결구
RU2460937C2 (ru) Держатель лампы,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прибор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приемника
US20100321925A1 (en) Liquid crystal module
KR20080013562A (ko) 백라이트 커넥터
KR100873494B1 (ko) 일체형 백라이트 형광등 고정유닛.
KR100982429B1 (ko) 접지편을 구비한 점등제어장치
KR20080016190A (ko) Ccfl을 pcb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소켓의 하우징
KR100774427B1 (ko) 램프 소켓
KR100861107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032283A (ko) 램프소켓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EP1995833B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KR200204442Y1 (ko) 형광등기구용 소켓 커버
KR100628540B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용 어레이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