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496B1 -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496B1
KR101051496B1 KR1020090064742A KR20090064742A KR101051496B1 KR 101051496 B1 KR101051496 B1 KR 101051496B1 KR 1020090064742 A KR1020090064742 A KR 1020090064742A KR 20090064742 A KR20090064742 A KR 20090064742A KR 101051496 B1 KR101051496 B1 KR 10105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sensor network
value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292A (ko
Inventor
임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나티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나티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나티앤이
Priority to KR102009006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4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08C25/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by recording transmitted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에 센서를 구비한 종단기기를 각각 부착시켜 센싱 데이터를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감시소에 전송하고, 중앙감시소에서 이 센싱 데이터에 의한 발전량과 기저장된 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여 성능저하 또는 고장 태양전지모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의 모니터링시스템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각각 고유의 ID가 부여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마다 구비되어 태양전지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값을 수집하고 처리하여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의 무선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종단기기와, 상기 종단기기에서 전송한 ID별 센싱값을 기저장된 저장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태양전지모듈의 성능저하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64742
태양전지모듈, 센서네트워크, 지그비, 고장, 감시

Description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Monitoring System of Solar Cell Module Using Sensor Network for Photovoltaic Power Genar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에 센서를 구비한 종단기기를 각각 부착시켜 센싱 데이터를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감시소에 전송하고, 중앙감시소에서 이 센싱 데이터에 의한 발전량과 기저장된 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여 성능저하 또는 고장 태양전지모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의 고갈과 환경 보호라는 과제 달성을 위해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신 재생에너지 중 무공해이면서 무한정의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발전부와 제어부가 반도체 소자와 전자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 신 재생에너지의 큰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고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부하에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직류전력을 인버터를 통하여 상용 전원선에 실시간으로 공급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전력이 발생하지 않는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직류전력을 충전기를 통해서 축전지에 저장하였다가 직류 혹은 교류의 형태로 개별 부하에 공급하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일으키는 최소 단위로서, 태양전지로는 적절한 전압과 전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적절한 전압과 전류를 얻어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태양전지를 직병렬로 연결한 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충진재, 유리 등과 함께 압축하여 모듈 형태로 태양전지모듈을 제작하여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대전력 발전을 위해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을 직렬이나 병렬 연결한 태양전지 어레이를 이용한다.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를 구성하는 태양전지모듈은 자체의 오염이나 열화, 배선 불량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데 대단위 단지에서 고장난 태양전지모듈 하나를 찾기도 힘들거니와, 상기 고장난 태양전지모듈을 찾아 보수나 교체를 위해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어레이의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또한, 태양전지 어레이를 구성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중 1개가 고장 날 경우 그 원인을 실시간으로 찾기가 어려우며, 태양전지 어레이 전체를 점검해야 하 는 비효율성은 사후처리 비용의 상승과 발전량 감소를 초래해 수익성 악화를 불러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전지모듈에 센서를 구비한 종단기기를 각각 부착시켜 센싱 데이터를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감시소에 전송하고 중앙감시소에서 이 센싱 데이터에 의한 발전량과 기저장된 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여, 성능저하 또는 고장 태양전지모듈을 쉽게 찾을 수 있고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전성능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선선로모니터링방식에 비례하여 설치시공 비용이 절감되고,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시설후 유지관리에 대한 사후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발전량 감소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의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의 모니터링시스템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각각 고유의 ID가 부여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마다 구비되어 태양전지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값을 수집하고 처리하여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의 무선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종단기기와, 상기 종단기기에서 전송한 ID별 센싱값을 기저장된 저장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태양전지모듈의 성능저하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의 모니터링방법은 태양전지모듈을 제조한 제조사에서 출하시 규정하는 일사량과 온도에서 전압, 전류의 규격값을 모니터링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종단기기에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최초 설치후 전압, 전류의 설치측정기준값을 일정기간 동안 소정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태양전지모듈 고유의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ID별로 전압, 전류의 설치측정기준값을 일사량 및 온도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종단기기에서 태양전지모듈의 전압, 전류의 센싱값을 측정하여 태양전지모듈 고유의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종단기기에서 전송한 센싱값을 기저장된 규격값 및 설치측정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태양전지 모듈의 성능저하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압과 전류의 센싱값을 합산하여 전체 발전량을 연산하고, 이를 규격값의 합산에 따른 발전량과 설치측정기준값 합산에 따른 발전량과 비교하여 이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태양전지모듈의 측정 발전량과 저장 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여 성능저하나 고장 태양전지모듈을 쉽게 찾을 수 있고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전성능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후처리 비용을 줄이고 발전량 감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a,…,10n)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에 각각 구비된 종단기기(20a,…,20n)와, 센서네트워크(30)와, 중앙의 모니터링 서버(40) 및 또 다른 종단기기(20z)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태양전지모듈(10a,…,10n)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각각 고유의 ID가 부여된다.
상기 종단기기(End Device)(20a,…,20n)는 상기 태양전지모듈(10a,…,10n)의 하면에 부착되고 (+)와 (-) 출력에 연결되어 이를 전원으로 사용해서, 내부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모듈(10a,…,10n)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값(예를 들어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태양전지모듈의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30)의 무선 경로를 통해 중앙의 모니터링 서버(40)에 전송한다.
상기 센서네트워크(30)는 종단기기(20a,…,20n)에 네트워크 개념을 추가해 사물의 존재 및 위치까지 감지하면서 네트워크에 연동,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개념으로서, 궁극적으로 센서네트워크 기술은 종단기기(20a,…,20n)를 통해 측정한 센싱값을 무선네트워크(30)의 무선 경로를 통해 원하는 목적지(즉, 모니터링 서버(40)의 송수신기(41))까지 전달해 준다.
상기 태양전지모듈(10a,…,10n)의 수가 아주 많은 경우에는 중간에 미도시된 중계기를 설치하여 이 중계기를 통해 센싱값을 모니터링 서버(40)의 송수신기(41)에 전달한다.
상기 모니터링 서버(40)는 송수신기(41), 중앙처리장치(42), 메모리(43), 디스플레이(44), 입력부(45)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처리장치(42)는 태양으로부터 일사된 광량을 측정하는 일사량계(51)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2)의 디지털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또 다른 종단기기(20z)로부터 송수신기(41)를 통해 일사량과 온도를 입력받는다.
메모리(42)에는 태양전지모듈(10a,…,10n)을 제조한 제조사에서 출하시 규정하는 제품규격(일사량(에어매스 1.5, 일사량 1kw/m2)과 온도(25℃)에서 전압, 전류 등: 이하 '규격값')과, 태양전지모듈(10a,…,10n)을 최초 설치후 일정기간 동안 소정시간 단위로 측정한 값(전압, 전류 등: 이하 '설치측정기준값')이 저장된다.
상기 설치측정기준값은 설치후 하루 중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지는 일정기간 동안을 소정시간 단위로 나누어 여러 번 측정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2)는 송수신기(41)를 통해 수신한 각 ID별 센싱값을 규격값 및 ID별 설치측정기준값과 비교하여 성능저하나 고장 유무를 판단하고, 각 센싱값을 통합해서 전체 발전량을 얻고 이를 규격값의 합산 및 설치측정기준값의 합산에 따른 발전량과 비교하여 전체 발전량을 감시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44) 화면에 출력하고, 태양전지모듈(10a, …,10n)의 성능저하나 고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44) 화면에 적색경고 메시지 등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알린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종단기기의 블록도로서, 종단기기(20a,…,20n)의 하나를 나타낸다.
상기 종단기기(20)는 마이컴(21)과, 테이터 수집 및 처리부(22)와, 태양전지모듈(10)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인 변압기(Power Transformer)(23) 및 변류기(Current Transformer)(24)와, 송수신기(25) 및 디지털 입력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단기기(20)는 태양전지모듈(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와 (-) 출력을 전원으로 사용하여 마이컴(21)과 송수신기(22)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종단기기(20)는 IEEE 무선표준 중 전력소모가 가장 적은 지그비(ZigBee) 통신을 지원하여 태양전지모듈(10)의 발전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변압기(23)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전지모듈(10)의 (+), (-) 출력에 연결되어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22)에 알맞은 입력범위로 변압시키고, 변류기(24)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전지모듈(10)의 출력의 하나를(도면에서는 (+) 출력) 변류기(24) 내로 통과시켜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22)에 알맞은 입력범위로 변류시킨다.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22)는 변압기(23)와 변류기(24)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수집하여 처리하고, 이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다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마이컴(21)에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21)은 내장형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종단기기(2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특히, 전압과 전류를 태양전지모듈(10)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ID와 함께 송수신기(25)를 이용해 센서네트워크(30)의 무선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송수신기(25)는 마이컴(21)의 정보를 지그비 기반하에 무선통신이 가능케하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출력하는 지그비 통신 모듈로 이루어지고, 모니터링 서버(40)의 송수신기(41)도 지그비 통신 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지털 입력부(26)는 일사량계 및 온도계의 디지털 센서를 연결하여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센서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지그비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지그비(ZigBee)는 저전력 무선 근거리 표준 통신 기술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전력소모가 매우 적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데이터 크기(센싱값이 전압과 전류로만 이루어지므로 데이터 크기가 매우 작다)와 프로그램이 작으며, 근거리 통신인 경우에 적합하다.
일반적인 배터리로도 1년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전송속도는 2.4GHz 대역에서 최대 250 Kbps, 칩의 가격은 $1 정도이다.
지그비 네트워크에 최대 65,536개의 노드를 붙일 수 있고, 스타(Star), 클러스터 트리(Cluster Tree) 및 메시(Mesh) 네트워크 망까지도 지원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비 네트워크는 코디네이터(31), 라우터(32) 및 종단기기(33)로 구성된다.
단 하나의 코디네이터(31)는 도 1에 나타낸 모니터링 서버(40)의 송수신기(41)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지그비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지그비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며 네트워크 트리의 루트 역할을 한다.
라우터(32)는 중계기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코디네이터(31)에 의해 생성된 지그비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지그비 네트워크를 확대하며 다른 기기에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단기기(33)는 도 1에 나타낸 종단기기(20a,…,20n)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지그비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코디네이터(31)와 라우터(32)와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서버(40)에 구비된 입력부(45)를 이용해 태양전지모듈(10a,…,10n)을 제조한 제조사에서 제품 출하시 규정한 규격값(규정 일사량과 온도에서의 전압과 전류)을 입력하여 메모리(43)에 저장한다(S402).
태양전지모듈(10a,…,10n)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고, 상술한 센서네트워크(30)를 이용한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한 후, 종단기기(20a,…,20n)에서 일정기간 동안 소정시간 단위로 전압과 전류의 설치측정기준값을 측정하고 이를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30)를 통해 중앙의 모니터링 서버(40)에 전송한다(S404).
중앙의 모니터링 서버(40)는 현재의 일사량과 온도 및 설치측정기준값을 ID별로 메모리(43)에 저장한다(S406).
이후 태양광 발전을 하는 경우 종단기기(20a,…,20n)는 각 태양전지모듈(10a,…,10n)의 출력 전압과 전류의 센싱값을 측정하고 수집하여(S408), 이를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30)를 통해 중앙의 모니터링 서버(40)에 전송한다(S410).
일사량계(51)와 온도센서(52)는 일사량과 온도를 측정하여 모니터링 서버(40)에 입력하고(S411), 모니터링 서버(40)는 일사량과 온도에 따른 ID별 센싱값 즉, 전압과 전류를 규격값 및 ID별 설치측정기준값과 비교하며(S412), 이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다(S414).
이를 통해 센싱값이 규격값 및 설치측정기준값보다 소정% 이상 벗어난 경우 해당 ID를 갖는 태양전지모듈(10a,…,10n)이 성능저하나 고장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센싱값, 비교결과, 성능저하나 고장 태양전지모듈(10a,…,10n)에 대한 정보 등은 메모리(43)에 저장되며, 관리자는 성능저하나 고장 태양전지모듈(10a,…,10n)의 정도에 따라 보수 및 교체 등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각 ID별 전압과 전류의 센싱값을 합산하여 전체 발전량을 연산하고 이를 규격값의 합산에 따른 발전량 및 설치측정기준값 합산에 따른 발전량과 비교하여(S416), 이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며(S418) 이를 통해 전체 발전량과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전성능 상태를 감시하고 유지 보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의 블록 도이다.
도 1의 일실시예에서는 각 태양전지모듈(10a,…,10n)마다 종단기기(20a,…,20n)를 구비하나,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a,…,10n)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어레이(60aa,…,60nn)별로 종단기기(20aa,…,20nn)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 어레이(60aa,…,60nn)의 성능저하나 고장 또는 전체 발전량과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전성능 상태를 쉽게 감시할 수 있으나, 어느 태양전지모듈(10a,…,10n)에서 성능저하나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일반적으로 일사량계(51)와 온도센서(52)를 중앙의 모니터링 서버(40)에 구비하나, 태양전지모듈(10a,…,10n)이 대단지에 설치되는 경우 지역별로 일사량과 온도가 다를 수 있는 바, 이때에는 종단기기(20a,…,20n)에 일사량계(51)와 온도센서(5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종단기기의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센서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지그비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태양전지모듈 20: 종단기기
23: 변압기 24: 변류기
30: 센서네트워크 40: 모니터링 서버
42: 중앙처리장치 51: 일사량계
52: 온도센서

Claims (8)

  1.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각각 고유의 ID가 부여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상기 태양전지모듈마다 구비되어 태양전지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싱값을 수집하고 처리하여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의 무선 경로를 통해 전송하되,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면에 부착되고 출력부분에 연결되어 전압과 전류를 센싱값으로 수집하며, 태양전지모듈의 (+), (-) 출력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종단기기; 및
    상기 종단기기에서 전송한 ID별 센싱값을 기저장된 저장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태양전지모듈의 성능저하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네트워크는 지그비 네트워크이고, 종단기기는 지그비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지그비 통신 모듈을 송수신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기저장값은 태양전지모듈을 제조한 제조사에서 출하시 규정하는 전압, 전류의 규격값과, 태양전지모듈 설치후 일정기간 동안 소정시간 단위로 측정한 ID별 전압, 전류의 설치측정기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값, 규격값, 설치측정기준값에는 일사량과 온도가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각 ID별 전압과 전류의 센싱값을 합산하여 전체 발전량을 연산하고, 이를 규격값의 합산에 따른 발전량 및 설치측정기준값 합산에 따른 발전량과 비교하여 이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7. 삭제
  8. 태양전지모듈을 제조한 제조사에서 출하시 규정하는 일사량과 온도에서 전압, 전류의 규격값을 모니터링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종단기기에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설치후 전압, 전류의 설치측정기준값을 일정기간 동안 소정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태양전지모듈 고유의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ID별로 전압, 전류의 설치측정기준값을 일사량 및 온도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상기 종단기기에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압, 전류의 센싱값을 측정하여 태양전지모듈 고유의 ID와 함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종단기기에서 전송한 센싱값을 기저장된 규격값 및 설치측정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태양전지 모듈의 성능저하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압과 전류의 센싱값을 합산하여 전체 발전량을 연산하고, 이를 규격값의 합산에 따른 발전량 및 설치측정기준값 합산에 따른 발전량과 비교하여 이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방법.
KR1020090064742A 2009-07-16 2009-07-16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742A KR101051496B1 (ko) 2009-07-16 2009-07-16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742A KR101051496B1 (ko) 2009-07-16 2009-07-16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92A KR20110007292A (ko) 2011-01-24
KR101051496B1 true KR101051496B1 (ko) 2011-07-22

Family

ID=4361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742A KR101051496B1 (ko) 2009-07-16 2009-07-16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4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63B1 (ko) * 2012-07-17 2012-11-15 곽기영 단위 모듈 감시가 가능한 태양광 진단 시스템
WO2013085157A1 (ko) * 2011-12-07 2013-06-13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태양전지 모듈에 개별적으로 내장된 mppt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정션박스 및 그 구동방법
CN103810830A (zh) * 2012-11-12 2014-05-21 青岛理工大学琴岛学院 温度监测装置
KR101409774B1 (ko) 2014-02-14 2014-06-25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개별 솔라셀 패널 감시 장치
KR101568667B1 (ko) 2015-03-05 2015-11-13 (주)탑인프라 사물통신 기반 태양광발전 고장 자동복구 시스템
CN111696332A (zh) * 2020-06-10 2020-09-22 青岛鼎信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联边缘处理单元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16B1 (ko) * 2011-03-03 2013-02-19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저전력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태양광 어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56681B1 (ko) * 2011-12-20 2014-01-2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관리 방법
KR101270871B1 (ko) * 2012-04-23 2013-06-05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 모니터링 프로그램 내 알람 방법
KR101250802B1 (ko) * 2012-08-06 2013-04-08 주식회사 대은계전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57665B1 (ko) * 2013-01-04 2013-04-30 (주)우진기전 일체형 지그비 모듈 및 중계기에 기반하여 태양광 모듈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14119822A1 (ko) * 2013-01-31 2014-08-07 (주)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발전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485051B1 (ko) * 2013-03-12 2015-01-2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진단 장치
KR101354190B1 (ko) * 2013-02-18 2014-02-07 최석준 태양광 모듈의 발전회로 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의 발전량 감시시스템
KR101492528B1 (ko) * 2013-06-10 2015-02-12 주식회사 하이메틱스 Rtu를 이용한 태양광발전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 rtu장치
KR101591575B1 (ko) * 2013-12-30 2016-02-03 윤윤화 다중 전원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형 태양광 발전모니터링 장치
KR101420644B1 (ko) * 2014-02-14 2014-07-18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무선 통합 접속반
KR101479020B1 (ko) * 2014-03-12 2015-01-07 에스디엔 주식회사 태양 전지용 진단 장치
KR101685679B1 (ko) * 2016-07-06 2016-12-20 에스피브이(주) 예비모듈 제어와 재배치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88862B1 (ko) * 2016-07-06 2017-01-03 (주)세진엔지니어링 마이크로컨버터 및 전력 회귀제어를 통한 태양광발전장치
KR20190059803A (ko) * 2017-11-23 2019-05-31 (주)비에이에너지 태양광 패널 일체형 단열 외장재
KR102141673B1 (ko) * 2018-06-28 2020-08-0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고장 예측 및 진단시스템의 화면표시방법
CN109342948A (zh) * 2018-09-27 2019-02-15 北京凯华网联新能源技术有限公司 便携式太阳能电池组件性能检测比较仪
KR102065443B1 (ko) * 2019-10-02 2020-01-13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태양광 발전소의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537688B1 (ko) * 2022-10-25 2023-05-30 주식회사 세주아이씨티 스마트팜 환경 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995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인터넷을 활용한 태양광발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632466B1 (ko) * 2005-06-08 2006-10-11 주식회사 휴메이트 재난감시 시스템
KR20080011979A (ko) * 2006-08-02 2008-02-11 대덕대학산학협력단 대규모 태양광 발전시설의 태양전지모듈 온라인 감시 진단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02295A (ko) * 2007-06-26 2009-01-09 대한전선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설비의 통합 운용과 사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995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인터넷을 활용한 태양광발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632466B1 (ko) * 2005-06-08 2006-10-11 주식회사 휴메이트 재난감시 시스템
KR20080011979A (ko) * 2006-08-02 2008-02-11 대덕대학산학협력단 대규모 태양광 발전시설의 태양전지모듈 온라인 감시 진단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02295A (ko) * 2007-06-26 2009-01-09 대한전선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설비의 통합 운용과 사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157A1 (ko) * 2011-12-07 2013-06-13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태양전지 모듈에 개별적으로 내장된 mppt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정션박스 및 그 구동방법
KR101201863B1 (ko) * 2012-07-17 2012-11-15 곽기영 단위 모듈 감시가 가능한 태양광 진단 시스템
CN103810830A (zh) * 2012-11-12 2014-05-21 青岛理工大学琴岛学院 温度监测装置
KR101409774B1 (ko) 2014-02-14 2014-06-25 주식회사 텐코리아 태양광 발전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개별 솔라셀 패널 감시 장치
KR101568667B1 (ko) 2015-03-05 2015-11-13 (주)탑인프라 사물통신 기반 태양광발전 고장 자동복구 시스템
CN111696332A (zh) * 2020-06-10 2020-09-22 青岛鼎信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联边缘处理单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92A (ko) 201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496B1 (ko)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방법
JP5856294B2 (ja) 太陽光発電監視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太陽光発電監視システム
KR101234616B1 (ko) 저전력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태양광 어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42806B1 (ko) 현장 고장 진단이 가능한 이동형 태양광 발전설비 고장 진단시스템
US10389300B2 (en) Photovoltaic system having fault diagnosis apparatus, and fault diagnosis method for photovoltaic system
US9154075B2 (en) Solar cell module efficacy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for
KR101674019B1 (ko) 태양광발전 장비 감시 디바이스 서버
KR101295529B1 (ko) 태양전지판의 고장진단 원격감시 시스템
US201200566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diagnostics of photovoltaic solar modules in photovoltaic systems
KR101026139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pv 모듈의 개별적인 진단이 가능한 pv 진단 장치
JP2011216811A (ja) 太陽電池異常診断システム、太陽電池異常診断装置および太陽電池異常診断方法
KR20170007625A (ko) 마이크로그리드 태양광 하베스팅 기반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CN105871331B (zh) 光伏系统
KR101669847B1 (ko) 태양 광 발전모듈의 원격 진단시스템
KR101000734B1 (ko) Usn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셀 라인/모듈/그룹상의 음영, 고장을 감지하고 태양광 발전량의 상황을 감시하는 장치
CN103399219A (zh) 光伏发电站性能实时监测方法
KR101947508B1 (ko) 태양광 발전소의 운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2495A (ko) 태양광 모듈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JP5461722B1 (ja) 太陽光発電装置の健全性を診断する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0028192A (ja) 太陽光発電装置、診断装置および太陽電池ストリングの診断方法
Suryono et al. Wireless sensor system for photovoltaic panel efficiency monitoring using wi-fi network
TWM611886U (zh) 太陽能案場無線監控系統
KR101121622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창문 어레이별 발전맵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5811879A (zh) 光伏装置
KR20120131706A (ko) 스마트 태양광 발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