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347B1 -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347B1
KR101051347B1 KR1020090082168A KR20090082168A KR101051347B1 KR 101051347 B1 KR101051347 B1 KR 101051347B1 KR 1020090082168 A KR1020090082168 A KR 1020090082168A KR 20090082168 A KR20090082168 A KR 20090082168A KR 101051347 B1 KR101051347 B1 KR 10105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broadcast
information
signal
curr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255A (ko
Inventor
김영범
서호성
이영규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8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3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7/00Synchronisation
    • G04G7/02Synchronisation by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1/00Synchronisation of independently-driven clocks
    • G04C11/02Synchronisation of independently-driven clocks by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rought into action by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y temporarily changing the number of pulses per unit time, e.g. quick-feed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시각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외부전원이 공급되어 상용 방송이 수신되면 해당 상용 방송의 디지털 정보에서 현재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로 현재 시각을 설정하고, 시보 서비스를 통해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여 임시로 설정한 현재 시각을 표준시각에 동기화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은,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방송 수신부에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가 방송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시각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DARC 디코딩부로부터 현재 시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추출한 시각 정보에 따라 시각 정보 제공부의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는 단계; 동기신호 검출부가 방송 신호에서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면 시각 정보 제공부에 임시로 설정한 현재 시각을 실시각으로 동기화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표준시각, 시보 서비스, 방송 데이터

Description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standard time using digital information in commerical broadcasting}
본 발명은 표준시각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외부전원이 공급되어 상용 방송이 수신되면 해당 상용 방송의 디지털 정보에서 현재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로 현재 시각을 설정하고, 시보 서비스를 통해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여 임시로 설정한 현재 시각을 표준시각에 동기화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대중에게 시, 분, 초 등과 같은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아날로그시계나 디지털시계는 태엽이나 전원 등과 같은 에너지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디지털시계는 내부에 수정 발진기와 같은 자체 발진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반 대중에게 정확한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시계들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오차가 발생하므로 주기적으로 재설정해야 한다. 또한, 구동에 필요한 외부 현재시각을 정확하게 표시하지 못하고 경년 변화(drift)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시각정보 전용방송인 표준주파수국(HLA)의 경우는 5MHz 단파매체를 이용하는 관계로 수신장치의 규모가 크고 복잡하여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GPS를 이용하여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건물 내를 비롯한 음영지역이 넓고 GPS 수신기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일반 대중이 손쉽게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하였다.
또한, 라디오 등과 같은 일부 공중파 방송에서도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440 Hz나 880 Hz를 비롯하여 다른 형태의 정각 시보용 톤 신호만을 제공할 뿐 일반 대중이 필요로 하는 연, 월, 일, 시, 분, 초 등과 같은 구체적인 디지털 시각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송국에서의 방송 신호에 포함된 시보 서비스 이용하여 현재시각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용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독립 생존형의 클럭 제공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독립 생존형의 클럭 제공모듈은 다른 제품에 장착 가능한 형태의 독립적인 모듈로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독립 생존형의 클럭 제공 모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 튜너(31)동기신호 검출기(32)분주기(33)계수기(34)프로세서(35)배터리(36), 펄스 드라이버(37)로 구성된다.
RF 튜너(31)는 라디오 등과 같은 각종 상용방송의 방송신호를 튜닝한다.
동기신호 검출기(32)는 튜너(3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한다.
분주기(33)는 수정 발진기(X-tal)와 같은 각종 발진기의 펄스를 분주하여 동기신호 검출기(32)로부터 출력되는 매시 정각신호에 동기되는 초 펄스(1 pps)를 생성한다.
계수기(34)는 분주기(33)로부터 초 펄스(1 pps)를 공급받아 연,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현재시각을 계수한다.
프로세서(35)는 계수기(34)로부터 출력되는 연,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시각정보에 대한 시리얼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 또는 출력한다.
배터리(36)는 별도의 외부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클럭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동작만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분주기(33)와 계수기(34)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내부 배터리(36)를 충전하도록 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분주기(33)가 계수기(34)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은 RF 튜너(31)와 동기신호 검출기(32), 프로세서(35) 및 펄스 드라이버(37) 등에 공급되고, 분주기(33)와 계수기(34)에도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36)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프로세서(35)는 별도의 입력장치나 다른 독립 생존형 클럭모듈로부터 연,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시리얼 데이터를 입력받아 계수기(34)에 의해 계수되는 현재시각의 시작시각이 되는 연, 월, 일, 시, 분, 초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 성되어 있다.
이렇게 계수기(34)의 시작시각의 연, 월, 일, 시, 분, 초를 새롭게 설정하는 경우로는 독립 생존형 클럭모듈의 최초 제조하는 과정 혹은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부 배터리(36)가 모두 소모되어 설정되었던 현재시각에 대한 시각정보가 지워졌을 경우 등이다.
펄스 드라이버(37)는 분주기(33)로부터 출력되는 초 펄스(1 pps)를 증폭시켜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펄스 드라이버(37)는 배터리(36)의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동안에만 한정적으로 구동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독립 생존형 클럭모듈에서 현재시각을 방송신호로부터 검출되는 매시 정각신호와 동기시킨 후 초 펄스와 현재시각에 대한 시리얼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독립 생존형 클럭모듈을 최초로 생산하는 과정이거나, 배터리(36) 전원이 완전히 방전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는 경우, 계수기(34)의 시각 정보를 설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5)는 외부 입력으로부터 연,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시리얼 데이터를 입력받아 현재시각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기(34)의 시작시각이 되는 연, 월, 일, 시, 분, 초의 시각정보를 설정한다.
위와 같이 계수를 위한 시작시각이 설정되면, 계수기(34)는 각종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초 펄스(1 pps)로 분주한 분주기(33)의 초 펄스(1 pps) 출력을 공급 받아 위에서 설정된 시각정보를 시작 시각으로 현재시각을 계수하게 된다.
동기신호 검출기(32)는 RF 튜너(3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여 분주기(33)와 프로세서(35)에 제공한다.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가 검출되는 순간 분주기(33)는 발진 주파수를 분주하여 초 펄스(1 pps)를 발생하던 과정에서 리셋하고 매시 정각신호에 동기되게 초 펄스(1 pps)의 분주를 다시 시작한다. 그리고, 프로세서(35)는 계수기(34)에 의해 계수되는 연, 월, 일, 시, 분, 초의 현재시각이 정시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프로세서(35)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계수기(34)로부터 출력되는 현재시각의 연,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시리얼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35)는 계수기(34)로부터 정시에 대한 시각정보를 공급받고 나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가 검출되느냐에 따라 계수기(34)의 현재시각을 다시 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5)는 계수기(34)로부터 정시에 대한 시각정보를 공급받고 나서 30분이 경과하기 전에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계수기(34)의 현재시각을 지나간 시각의 정시로 조정한다. 그리고, 계수기(34)로부터 정시에 대한 시각정보를 공급받고 나서 30분이 경과한 후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가 검출되면 계수기(34)의 현재시각을 다가올 시각의 정시로 조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용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독 립 생존형의 클럭 제공 모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제품 출시 전 실시간 클럭 모듈에 현재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고, 현재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에 따른 생산공정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제품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실시간 클럭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배터리가 필요하므로 그에 따른 제품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넷째, 배터리 방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추가적인 A/S 과정이 필요하므로 A/S 절차에 따른 추가적인 인건비 상승의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는 경우 외부 입력이나 다른 독립 생존형 클럭모듈로부터 연,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시리얼 데이터를 재차 입력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전원이 공급되어 상용 방송이 수신되면 해당 상용 방송의 디지털 정보에서 현재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로 현재 시각을 설정하고, 시보 서비스를 통해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여 임시로 설정한 현재 시각을 표준시각에 동기화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방송 신호에서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 방송 신호에서 현재 시각 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라디오 채널(DARC) 디코딩부; 데이터 라디오 채널 디코딩부에서 검출된 시각 정보에 따라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고, 동기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매시 정각신호에 따라 임시로 설정한 현재 시각을 실시각으로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시각 정보 제공부; 및, 방송 신호에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서 현재 시각을 추정하여 상기 시각 정보 제공부의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방송 수신부에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가 방송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시각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DARC 디코딩부로부터 현재 시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추출한 현재 시각 정보에 따라 시각 정보 제공부의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는 단계; 동기신호 검출부가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면, 시각 정보 제공부에 임시로 설정한 현재 시각을 실시각으로 동기화하여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품에 실시간 클럭 모듈이 있는 경우에 현재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생산공정이 단순해 진다.
둘째, 외부전원공급시 자동으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서 시각정보를 추정하고, 추정한 시각정보를 통해 실시간 클럭 모듈의 시각을 설정하므로, 실시간 클럭 모듈이 현재 시각을 계속해서 계수하지 않아도 되므로 현재 시각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내부 배터리가 필요없다.
셋째, 배터리가 필요없으므로 그에 따른 생산 공정을 단축시키고, 제품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며, 제품 단가 역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배터리가 필요없으므로 배터리 방전 문제에 따른 시각을 재입력하는 등의 A/S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A/S 절차에 따른 추가적인 인건비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100), 동기신호 검출부(200), DARC 디코딩부(300), 시각 정보 제공부(500) 및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방송 수신부(100)는 FM 방송과 같은 상용 방송이나 데이터 라디오 채널(DARC : Data Radio Channel) 방송을 수신하는 RF 튜너(110)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하는 DMB 튜너(12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DMB 튜너(120)는 위성 DMB 튜너이거나 지상파 DMB 튜너이다. 그리고, 방송 수신부(100)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들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방송신호를 동조(tuning)한다.
동기신호 검출부(200)는 RF 튜너(110)를 통해 수신된 상용방송의 방송 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매시 정각신호는 방송국에서 방송신호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보용 톤 신호를 통해 제공되는 시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DARC 디코딩부(300)는 방송신호에서 DARC를 디코딩하는데, DARC는 기존의 FM 방송전파에 다양한 부가 디지털 정보를 다중화시켜 부가서비스로 제공되는 방송 채널이다. 이때 DARC 디코딩부(300)는 DARC의 부가 디지털 정보를 디코딩하여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600)는 디코딩된 DARC의 부가 디지털 정보에서 시각(Time)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디코딩된 시각 정보는 디지털 부가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 지연된 패킷 형태의 시각 정보이다.
시각 정보 제공부(500)는 제어부(600)에서 전송된 현재 시각 정보에 따라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고, 동기 신호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매시 정각신호에 따라 표준시각을 동기화하여 재설정하고, 현재 시각을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시각 정보 제공부(500)는 수정 발진기(X-tal)와 분주기 및 계수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매시 정각신호에 동기되는 초 펄스(1 pps)를 생성하고, 연,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현재시각을 계수한다. 그리고, 시각 정보 제공부(500)에 설정된 현재시각은 제어부(6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제품에 시각 정보를 제공하거나, 표시장치를 통해 시계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를 실시간 클럭 모듈(RTC)이 내장되는 제품에 대체되는 경우 생산공정에서 실시간 클럭 모듈에 현재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이 불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시각 정보 제공부(500)에 임시로 현재시각을 설정하거나, 실시각을 설정함에 따라 제품에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실시간 클럭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역시 불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간 클럭 모듈에 대한 현재 시간 설정과정 및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 실시간 클럭 모듈이 내장되는 제품 생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품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해지며,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어부(600)는 DARC 디코딩부(300)에서 디코딩되어 전송된 다양한 부가 디지털 정보에서 현재 시각 정보를 검출하거나, DMB 튜너(120)를 통해 현재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대략적인 현재시각을 추정하여 시각 정보 제공부(500)에 임시로 현재 시각을 설정한다. 그리고, 시각 정보 제공부(500)에 실시각이 설정되면 해당 실시각을 연, 월, 일, 시, 분, 초의 표준시각 정보로 하여 실시간 클럭 모듈(RTC)과 같은 장치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가 디지털 방송 신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서 현재 시각을 추정할 때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과 경과시간을 계산하여 추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펄스 드라이버(400)를 더 구비하여 동기신호 검출부(200)로부터 출력되는 매시 정각 신호용 시 펄스(1 pph)와, 시각 정보 제공부(500)로부터 출력되는 초 펄스(1 pps)를 증폭시켜 외부로 출력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표준시각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DMB, DARC와 같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나, 부가 디지털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에 외부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면 방송 수신부를 통해 방송신호가 수신된다(S10). 이때, RF 튜너(110)에서는 FM 방송과 같은 상용방송과 DARC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DMB 튜너(120)는 DMB 디지털 방송신호가 수신된다.
DARC 디코딩부(300)는 수신된 DARC 방송신호에서 DARC를 디코딩하여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600)는 DARC에서 시간 정보를 검출한다. 한편, 제어부(600)에는 DMB 튜너(120)에서 수신된 DMB 방송 신호를 통해 DMB 방송 프로그램 정보 역시 검출한다(S20). 이때, DARC에서 시각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일정시간 지연된 시각 정보이다.
이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예로는 DMB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DAB(Digital Audio Brodcasting)는 아날로그 방식의 TV 방송을 디지털 TV 방송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시작되면서 역시 아날로그 방식으로 송출되는 라디오(FM,AM) 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바꾸려는 시도에서 시작된 것이다. 그런데, DAB가 개발됨에 따라 그 영역을 오디오에서 비디오까지 확장시킨 것이 DMB이다. 이러한 DMB를 통해 이동 중에도 DTV 방송 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DARC(Data Radio Channel)란, 기존의 FM 방송전파에 부가 디지털 정보를 다중화시켜 주파수 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부가서비스를 말하는 것이다. DARC는 76KHz 대역폭내에 차량항법용 교통정보, 위치보정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지리정보시스템(GIS)정보, 뉴스, 기상, 시보 등 다양한 부가데이터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DARC는 추가의 주파수 자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넓은 범위의 서비스 영역을 확보하고, 낮은 운영가격과 완전한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어 폭넓은 교통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MBC에서는 교통정보로 DARC(Data Radio Channel)기술을 이용한 'MBC idio'라는 서비스 브랜드를 론칭하여 교통, 생활정보, 증권 등의 정보를 무료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DMB, DAB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EPG란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서비스되는 프로그램 정 보이다. 여기서, EPG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DTV를 시청하는 시청자는 이 편성표를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시간, 제목, 채널, 장르 등의 기준을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앞으로의 방송 예정 시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600)는 디코딩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서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경과시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작시각 정보에 경과시간 정보를 더한 현재시각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DARC에서 디코딩된 현재 시각 정보를 검출하여 현재시각을 추정(추출)할 수 있다(S30).
그리고, 추정한 현재시각에 따라 시각 정보 제공부(500)의 현재시각을 설정한다(S40). 이때, 시각 정보 제공부(500)에 설정된 현재시각은 펄스 드라이버(400)나 제어부(600)를 통해 외부 장치나 제품내에 포함된 실시간 클럭 모듈(RTC)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 동기신호 검출부(200)를 통해 상용방송의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에 따른 연, 월, 일, 시, 분, 초의 실시각이 검출되는가를 판단한다(S50). 이러한 실시각은 방송국에서 방송신호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보용 톤 신호를 통해 제공되는 시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판단결과(S50), 실시각이 검출되면 시각 정보 제공부(500)의 현재 시각을 검출된 실시각 정보 즉, 표준시각으로 동기화하도록 재설정한다(S60). 한편 이와 같 이 시각 정보 제공부(500)에 재설정된 실시각은 펄스 드라이버(400)나 제어부(60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용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독립 생존형의 클럭 제공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송 신호 수신부 110 : RF 튜너
120 : DMB 튜너부 200 : 동기신호 검출부
300 : DARC 디코딩부 400 : 펄스 드라이버
500 : 시각 정보 제공부 600 : 제어부

Claims (10)

  1.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100);
    상기 방송 신호에서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200);
    상기 방송 신호에서 현재 시각 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라디오 채널(DARC) 디코딩부(300);
    상기 데이터 라디오 채널 디코딩부(300)에서 검출된 현재 시각 정보에 따라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고, 상기 동기신호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매시 정각신호에 따라 임시로 설정한 현재 시각을 실시각으로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시각 정보 제공부(500); 및,
    상기 방송 신호에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서 현재시각을 추정하여 상기 시각 정보 제공부(500)의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는 제어부(6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100)는 상용방송이나 데이터 라디오 채널(DARC) 방송을 수신하는 RF 튜너(110)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이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을 수신하는 DMB 튜너(12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검출부(200)는 상기 RF 튜너(110)에서 수신된 상용 방송에서 상기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라디오 채널(DARC) 디코딩부(300)는 상기 RF 튜너(110)에서 수신된 상기 데이터 라디오 채널(DARC)에서 시각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DMB 튜너(120)에서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여 현재시각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는 상기 동기신호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매시 정각신호에 따른 시간 펄스(1 pph)와 상기 시각정보 제공부(500)에서 제공된 초 펄스(1 pps)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펄스 드라이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지 않고, 외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펄스 드라이버(400) 또는 제어부(600)를 통해 상기 시각 정보 제공부(500)에 임시로 설정된 현재 시각 정보나 상기 실시각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EPG)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7. 청구항 1 기재 장치의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방송 수신부(100)에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S10), 상기 제어부(600)가 방송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시각 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DARC 디코딩부(300)가 현재 시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
    상기 제어부(600)가 추출한 현재 시각 정보에 따라 시각 정보 제공부(500)의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는 단계(S40);
    상기 동기신호 검출부(200)가 상기 방송신호에서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하면(S50), 상기 시각 정보 제공부(500)에 임시로 설정한 현재 시각을 실시각으로 동기화하여 재설정하는 단계(S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현재 시각 정보에 따라 시각 정보 제공부(500)의 현재 시각을 임시로 설정하는 단계(S40)는,
    상기 제어부(600)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나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중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정보와 경과시간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시작시각 정보에 경과시간 정보를 더하여 추출하는 단계(S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시 정각신호는,
    방송국에서 방송신호의 일부를 이용하여 매시 정각에 제공하는 시보용 톤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 제공부(500)의 시각이 상기 실시각으로 동기화하여 재설정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재설정된 실시각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방법.
KR1020090082168A 2009-09-01 2009-09-01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051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68A KR101051347B1 (ko) 2009-09-01 2009-09-01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68A KR101051347B1 (ko) 2009-09-01 2009-09-01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55A KR20110024255A (ko) 2011-03-09
KR101051347B1 true KR101051347B1 (ko) 2011-07-22

Family

ID=4393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68A KR101051347B1 (ko) 2009-09-01 2009-09-01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3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020A (ko) * 2005-11-14 2007-05-17 주식회사 팬택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현재 시간을설정하는 gsm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108612A (ko) * 2006-05-08 2007-11-1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시계의 자동시간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80038603A (ko) * 2006-10-30 2008-05-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방송 시보 신호에 의한 표준 시각 정보 세팅 시스템 및그를 이용한 표준 시각 정보 세팅 방법
KR20080047732A (ko) *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시간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020A (ko) * 2005-11-14 2007-05-17 주식회사 팬택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현재 시간을설정하는 gsm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108612A (ko) * 2006-05-08 2007-11-1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시계의 자동시간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80038603A (ko) * 2006-10-30 2008-05-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방송 시보 신호에 의한 표준 시각 정보 세팅 시스템 및그를 이용한 표준 시각 정보 세팅 방법
KR20080047732A (ko) *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시간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55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0946B2 (en) In-vehicle clock synchronization with local time
KR20080101978A (ko) 무선 시각송수신시스템 및 무선 시각동기방법
US201402083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ninterrupted broadcast content provisioning
JP4555391B2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における緊急速報を受信する受信機
JP3796380B2 (ja) 時刻修正用情報出力装置および自動時刻修正時計
KR101051347B1 (ko) 상용방송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표준시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JP4598870B2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における緊急速報の受信機及び送信装置、並びに伝送システム
JP4812899B2 (ja) 受信装置
KR20080004292A (ko)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를 보정하는 방법 및장치
KR100860105B1 (ko) 방송 시보 신호에 의한 표준 시각 정보 세팅 시스템 및그를 이용한 표준 시각 정보 세팅 방법
KR20020034517A (ko) 표준시간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8903B1 (ko) 자동 시간 교정장치
US8340238B2 (en)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ime-multiplexed signals,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for time synchronization of time-multiplexed signals
KR100603070B1 (ko) 디엠비를 이용한 램프의 제어장치 및 이에 의한 제어방법
KR100697799B1 (ko) 상용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독립 생존형 클럭제공방법
JP3787887B2 (ja) 電波受信装置
JP3165706U (ja) 放送調査システム
AU2006345610C1 (en) Method for providing self-surviving clock to be synchronized with a timecast in commercial broadcasting
JP2000131471A (ja) 放送受信装置
KR2007003726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방송시청 리스트 전송 방법
JP3922287B2 (ja) 文字多重放送受信装置
KR20110088938A (ko) 실시간 수신가능 방송국 목록을 제공하는 dmb 수신 모듈 및 방법
JPH08316858A (ja) 放送受信装置
JPS62272183A (ja) 時刻自動修正時計
KR100827298B1 (ko)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가이드 수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