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279B1 - 듀얼 코어 스피커 - Google Patents

듀얼 코어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279B1
KR101050279B1 KR1020090041617A KR20090041617A KR101050279B1 KR 101050279 B1 KR101050279 B1 KR 101050279B1 KR 1020090041617 A KR1020090041617 A KR 1020090041617A KR 20090041617 A KR20090041617 A KR 20090041617A KR 101050279 B1 KR101050279 B1 KR 10105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ignal
core
signal
bobbin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620A (ko
Inventor
최광림
Original Assignee
최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림 filed Critical 최광림
Priority to KR102009004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7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41Voice coil arrangements comprising more than one voice coil unit on the same bobb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코어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는 제1 고정부, 인입되는 제1 전기 신호에 상응하여 제1 유도력이 발생하여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는 제1 운동부를 포함하는 제1 코어, 제2 고정부, 인입되는 제2 전기 신호에 상응하여 제2 유도력이 발생하여 제2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는 제2 운동부를 포함하는 제2 코어, 일단에 제1 운동부가 설치되며 타단에 제2 운동부가 설치되며, 제1 유도력 및 상기 제2 유도력의 벡터 합에 상응하여 운동하는 보빈, 보빈에 연결되어,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 플레이트, 일단이 보빈의 제1 힘점에 연결되는 제1 댐퍼 및 일단이 보빈의 제2 힘점에 연결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한다.
스피커, 코어, 댐퍼

Description

듀얼 코어 스피커{SPEAKER HAVING DUAL CORES}
본 발명은 듀얼 코어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생 음향의 명료도를 향상시키도록 듀얼 코어를 가지며, 부진동을 최소화하도록 듀얼 코어에 대응하여 듀얼 댐퍼를 가지는 듀얼 코어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음향이란 공기의 진동, 즉 공기의 밀도 또는 압력의 변화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대기압은 기후와 장소에 따라서 변하며, 이 대기압은 1000 밀리바 전후의 값을 갖는다. 음향의 압력은 마이크로바 단위의 크기이므로, 대기압에 비하여 상당히 작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음향은 대기압 속에 존재하는 극히 작은 압력의 변화를 의미한다. 스피커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운동량으로 변환하여 대기압 속의 극히 작은 압력의 변화인 음향으로 재현하는 수단이다. 즉 스피커는 자계 내부에 위치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전기적 신호의 입력) 전류와 자계면에 수직 방향으로 도체에 힘이 발생하는 현상(기계적 운동량으로의 변환)인 플레밍의 왼손법칙의 원리를 이용한다. 스피커에 전기적 신호인 전류가 인입되 면, 마그네트에 의한 자계 내부에 직각으로 설치된 보이스 코일이 인입된 전류에 상응하여 상하로 운동하며, 보이스 코일의 상하 운동에 따라서 연결된 진동판의 진동에 의하여 음향이 재생된다. 스피커는 콘형 스피커, 크리스탈형 스피커, 콘덴서형 스피커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형 스피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피커에는 프레임(101)의 내측에 에지(103)를 개재하여 진동판(105), 보빈(107) 및 보이스 코일(109)이 설치되고, 프레임(101)과 보빈(107) 사이에 댐퍼(111)가 설치되며, 프레임(101)의 하측에는 상부 플레이트(113), 마그네트(115) 및 요크(117)가 설치된다. 보이스 코일(109)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보빈(107)의 외주측에 수회 권취된다. 요크(117)는 원통형의 보빈(107) 내주 측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요크(117)와 상부 플레이트(113) 사이에는 자계를 형성하는 마그네트(115)가 설치된다. 마그네트(115)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계 내부에 보이스 코일(109)이 수직으로 위치하여 전류가 인입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서 보이스 코일(109)이 상하 운동을 하며, 외주측에 보이스 코일(109)이 수회 권취된 원통형의 보빈(107) 역시 보이스 코일(109)과 일체로 상하 운동을 한다. 보빈(107)의 선단부에는 진동판(105)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어서, 보이스 코일(109)이 인입되는 전류에 따라서 상하 운동을 함에 따라서 진동판(105)이 진동을 함으로써 음향이 재생된다. 보빈(107)의 외주면에 설치된, 적절한 탄성을 갖는 댐퍼(111)가 보빈(107)을 지지하며, 보이스 코일(109)의 운동 범위 내에서 보빈(107)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스피커의 경우에, 마그네트(115)와 요크(117) 사이의 자기갭(G)에 삽입되는 보이스 코일(109)에 발생하는 기계적인 운동량이 동일하게 인입되는 전류라도 보이스 코일(109)의 위치(자기갭(G)에 삽입되는 보이스 코일(109)의 길이)에 따라서 균일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원음을 재생할 때, 보이스 코일(109)이 권취된 보빈(107)의 상하 진동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진동판(105)의 진동에 의한 음향 재생시에, 원음에 대한 왜곡(distortion)이 발생하여, 재생 음향의 명료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의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인 보빈(107)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댐퍼(111)가 단일 구조이면, 보빈(107) 및 진동판(105)에 부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즉 보이스 코일(109)에 전류가 인입될 때 상하 진동하는 보빈(107) 및 진동판(105)에 수평 진동 성분이 있는 경우, 단일 구조의 댐퍼(111)가 부진동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단일 구조의 댐퍼(111)가 보빈(107) 및 진동판(105)에 발생하는 부진동을 완벽하게 흡수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재생되는 음향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이스 코일(109)이 요크(117)의 벽면에 부딪혀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보빈(107) 및 진동판(105)의 부진동에 의하여 댐퍼(111)의 변형을 초래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의 경우에, 인입되는 전기 신호가 양의 전기 신호 및 음의 전기 신호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마그네트(115) 및 보이스 코일(109)에 의하여 잔류 자기장을 유발할 수 있다. 종래 스피커에 있어서, 유발되는 잔류 자기장은 재생되는 음향을 왜곡할 수 있으며, 특히 역기전력으로 작용할 경우에 왜곡의 정도가 심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듀얼 코어를 가짐으로써 자기갭에 삽입되는 보이스 코일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인입 전류에 대하여 동일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재생 음향의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듀얼 코어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빈과 진동판에 발생하는 부진동을 최소화하도록 듀얼 코어에 대응하여 듀얼 댐퍼를 가짐으로써, 재생되는 음향의 왜곡 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보이스 코일이 요크의 벽면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방지하며, 보빈 및 진동판의 부진동에 의하여 댐퍼의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스피커의 고장 발생을 줄이거나 성능 저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입되는 전기 신호를 양의 전기 신호 및 음의 전기 신호로 각각 분리하여 제1 코어 및 제2 코어에 인입함으로써 잔류 자장을 극소화하여, 신호의 감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듀얼 코어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고정부, 인입되는 제1 전기 신호에 상응하여 제1 유도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는 제1 운동부를 포함하는 제1 코어, 제2 고정부, 인입되는 제2 전기 신호에 상응하여 제2 유도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는 제2 운동부를 포함하는 제2 코어, 일단에 상기 제1 운동부가 설치되며 타단에 상기 제2 운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도력 및 상기 제2 유도력의 벡터 합에 상응하여 운동하는 보빈, 일단이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 플레이트-여기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가 마주보며 위치함-, 일단이 상기 보빈의 제1 힘점에 연결되는 제1 댐퍼, 일단이 상기 보빈의 제2 힘점에 연결되는 제2 댐퍼, 외함 일측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제1 고정부가 지지됨- 및 외함 타측을 형성하는 서브 프레임-상기 서브 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지지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운동부는 상기 보빈의 일단에 복수회 권취되는 제1 보이스 코일이며, 상기 제2 운동부는 상기 보빈의 타단에 복수회 권취되는 제2 보이스 코일이며, 인입되는 전기 신호가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를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요크, 마그네트 및 상부 플레이트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듀얼 코어 스피커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타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탄성 지지부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1 전기 신호가 양의 전기 신호이며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2 전기 신호가 음의 전기 신호이거나,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1 전기 신호가 음의 전기 신호이며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2 전기 신호가 양의 전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분리하는 제1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분리하는 제2 신호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된 제1 전기 신호는 제1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후 상기 제1 코어에 인입되며, 상기 분리된 제2 전기 신호는 제2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후 상기 제2 코어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신호가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후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듀얼 코어를 가짐으로써 자기갭에 삽입되는 보이스 코일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인입 전류에 대하여 동일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재생 음향의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듀얼 코어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보빈과 진동판에 발생하는 부진동을 최소화하도록 듀얼 코어에 대응하여 듀얼 댐퍼를 가짐으로써, 재생되는 음향의 왜곡 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보이스 코일이 요크의 벽면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방지하며, 보빈 및 진동판의 부진동에 의하여 댐퍼의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스피커의 고장 발생을 줄이거나 성능 저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인입되는 전기 신호를 양의 전기 신호 및 음의 전기 신호로 각각 분리하여 제1 코어 및 제2 코어에 인입함으로써 잔류 자장을 극소화하여, 신호의 감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듀얼 코어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 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는 크게 전기 신호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코어(300) 및 제2 코어(400), 제1 코어(300) 및 제2 코어(4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운동 에너지에 의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 플레이트(200) 및 제1 코어(300) 및 제2 코어(4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운동 에너지를 진동 플레이트(200)로 전달하는 보빈(500)을 포함한다.
제1 코어(300)는 제1 고정부(310), 인입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제1 고정부(310)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는 제1 운동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코어(400)는 제2 고정부(410), 인입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제2 고정부(410)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는 제2 운동부(42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310) 및 제2 고정부(4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요크, 마그네트 및 상부 플레이트의 조합에 대응되거나, 마그네트와 마그네트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조합에 대응되는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집중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운동부(320)는 원통형의 보빈(500)의 일단에 복수회 권취된 제1 보이스 코일(320)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운동부(420)는 원통형의 보빈(500)의 타단에 복 수회 권취된 제2 보이스 코일(4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이스 코일(320)은 제1 고정부(310)의 자기갭에 삽입되며, 제2 보이스 코일(420)은 제2 고정부(410)의 자기갭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외함 일측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330)의 일단에 제1 고정부(310)가 지지된다. 베이스 프레임(330)의 타단의 내측에 탄성 지지부(210)를 개재하여 원뿔 형상의 진동 플레이트(200)가 설치되며, 진동 플레이트(200)의 좁은 윗면은 원통 형상의 보빈(500)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보빈(500)의 외주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제1 댐퍼(340)가 보빈(500)을 지지하며, 제1 보이스 코일(320)의 운동 범위 내에서 보빈(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베이스 프레임(330)의 일단에는 제1 고정부(310)가 지지되며, 제1 보이스 코일(320)의 타단이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지지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외함 타측을 형성하는 서브 프레임(430)의 일단에 제2 고정부(410)가 지지된다. 서브 프레임(430)의 타단의 내측에 탄성 지지부(210)를 개재하여 원뿔 형상의 진동 플레이트(200)가 설치되며, 진동 플레이트(200)의 좁은 윗면은 원통 형상의 보빈(500)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보빈(500)의 외주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제2 댐퍼(440)가 보빈(500)을 지지하며, 제2 보이스 코일(420)의 운동 범위 내에서 보빈(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브 프레임(430)의 일단에는 제2 고정부(410)가 지지되며, 제2 보이스 코일(420)의 타단이 연결되는 서브 프레임 지지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프레임(430)의 타단에는 베이스 프레임(330)의 타단을 연결 하기 위한 연결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원음에 따라서 제1 보이스 코일(320)에 제1 전류 신호를, 제2 보이스 코일(420)에 제2 전류 신호를 인가하면, 제1 고정부(310) 및 제2 고정부(410)의 마그네트에서 형성하는 자기장 내에서 자기갭에 삽입된 제1 보이스 코일(320) 및 제2 보이스 코일(420) 각각에 제1 전류 신호 및 제2 전류 신호에 상응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유도력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서 제1 보이스 코일(320) 및 제2 보이스 코일(420)은 각각 제1 전류 신호 및 제2 전류 신호에 상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운동한다. 일단에 제1 보이스 코일(320)이 권취되며 타단에 제2 보이스 코일(420)이 권취되는 보빈(500)은 제1 보이스 코일(320)에 발생하는 유도력과 제2 보이스 코일(420)에 발생하는 유도력의 벡터 합에 상당하는 유도력에 상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운동한다. 또한 보빈(500)에 연결된 진동 플레이트(200)도 상하 방향으로 진동한다. 진동 플레이트(200)가 제1 보이스 코일(320), 제2 보이스 코일(420) 및 보빈(500)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인접한 공기의 압력을 변화시켜 음파를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1 보이스 코일(320) 및 제2 보이스 코일(420)에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인가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
제1 코어(300)에 상응하는 제1 댐퍼(340) 및 제2 코어(400)에 상응하는 제2 댐퍼(440)는 각각 보빈(500)의 외주면의 제1 힘점(제1 부진동 흡수점) 및 제2 힘점(제2 부진동 흡수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인 보 빈(500)의 외주면의 제1 힘점에 설치되는 제1 댐퍼(340) 및 제2 힘점에 설치되는 제2 댐퍼(440)의 듀얼 댐퍼 구조인 경우, 보빈(500) 및 진동 플레이트(200)에 부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최소화하여, 재생되는 음향의 왜곡 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보이스 코일들(320, 420)이 제1 고정부(310) 및 제2 고정부(410)의 요크 등의 벽면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방지하며, 보빈(500) 및 진동판(200)의 부진동에 의하여 제1 댐퍼(340) 또는 제2 댐퍼(440)의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스피커의 고장 발생을 줄이거나 성능 저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경우에, 제1 코어(300)의 제1 고정부(310)의 자기갭에 삽입되는 제1 보이스 코일(320)의 길이가 변화하면, 그 변화량 만큼 제2 코어(400)의 제2 고정부(410)의 자기갭에 삽입되는 제2 보이스 코일(420)의 길이가 보정되어, 결과적으로 동일 자속의 경우 인력과 척력의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200)의 진동에 의한 음향 재생시에, 원음에 대한 왜곡(distortion)이 발생하지 않아서, 재생 음향의 명료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부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제1 코어 및 제2 코어로 인입되는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는 신호 분리부(601)에 의하여 인입되는 전기 신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신호 분리부(601)는 인입되는 전기 신호를 동일한 값을 갖는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로 분리한다. 분리된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는 각각 제1 코어 및 제2 코어로 인입되며, 제1 코어에 인입된 제1 전기 신호에 의하여 유도되는 제1 유도력과 제2 코어에 인입된 제2 전기 신호에 의하여 유도되는 제2 유도력은 동일 벡터값을 가질 수 있다(도 8a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신호 분리부(601)는 인입되는 전기 신호를 양의 전기 신호('+'신호) 또는 음의 전기 신호('-'신호)로 분리한다. 즉 신호 분리부(601)에 의하여 분리되는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는 각각 양의 전기 신호 또는 음의 전기 신호를 가진다. 양의 전기 신호와 음의 전기 신호로 분리된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는 각각 제1 코어 및 제2 코어로 인입되며, 제1 코어에 인입된 제1 전기 신호에 의하여 유도되는 제1 유도력과 제2 코어에 인입된 제2 전기 신호에 의하여 유도되는 제2 유도력은 반대 방향의 벡터값을 가질 수 있다(도 8b 및 8c 참조). 즉 제1 코어에 인입된 제1 전기 신호에 의하여 유도되는 제1 유도력은 제1 방향의 벡터값을 가지며, 제2 코어에 인입된 제2 전기 신호에 의하여 유도되는 제2 유도력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벡터값을 가진다. 양의 전기 신호와 음의 전기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인입되는 전기 신호는 양방향에 대한 진동 신호로 환원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코어(310) 및 제2 코어(410)에 당기는 방향의 유도력이 발생하는 데, 이는 코어간의 거리, 보이스 코일(320, 420)이 권취된 보빈(500)의 탄성 정도나 인장 정도가 다른 소재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인장 강도는 좋으나, 압축시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소재일 경우 인장력만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압축력에는 강하나(진폭이 매우 작은 경우) 한쪽에 대한 인장력을 쓰게 되면 진폭에서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인입되는 전기 신호를 양의 전기 신호 및 음의 전기 신호로 각각 분리하여 제1 코어 및 제2 코어에 인입함으로써 잔류 자장을 극소화하여, 신호의 감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리부는 인입되는 전기 신호를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제1 신호 분리부 및 제2 신호 분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도 6b 참조). 신호 분리부 또는 제1 신호 분리부/제2 신호 분리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c는 제1 신호 분리부의 구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인데, 회로도의 다이오드의 방향을 바꾸면 제2 신호 분리부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방식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방식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능동 방식의 듀얼 코어 스피커의 경우, 인입되는 전기 신호를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로 분리한 후, 제1 전기 신호를 제1 증폭기(703)를 통하여 증폭하며 제2 전기 신호를 제2 증폭 기(705)를 통하여 증폭한다. 그 후 증폭된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는 각각 제1 코어(300) 및 제2 코어(400)로 인입되어 제1 유도력 및 제2 유도력을 발생시키며, 제1 유도력 및 제2 유도력의 벡터합에 의하여 보빈(500)이 운동하며, 보빈(500)의 운동에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200)가 진동함으로써 음향이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방식의 듀얼 코어 스피커의 경우, 인입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기(701)로 증폭한 후, 신호 분리부(601)를 통하여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로 분리한다. 그 후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는 각각 제1 코어(300) 및 제2 코어(400)로 인입되어 제1 유도력 및 제2 유도력을 발생시키며, 제1 유도력 및 제2 유도력의 벡터합에 의하여 보빈(500)이 운동하며, 보빈(500)의 운동에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200)가 진동함으로써 음향이 재생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형 스피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단일 구조의 댐퍼를 갖는 스피커에서 보빈 및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부진동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에서 보빈 및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부진동을 듀얼 댐퍼가 흡수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에서 자기갭에 삽입되는 보이스 코일의 길이의 변화를 보정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부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부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부를 구현한 회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방식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방식에 따른 듀얼 코어 스피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분리된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유도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Claims (11)

  1. 제1 고정부, 인입되는 제1 전기 신호에 상응하여 제1 유도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는 제1 운동부를 포함하는 제1 코어;
    제2 고정부, 인입되는 제2 전기 신호에 상응하여 제2 유도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 운동하는 제2 운동부를 포함하는 제2 코어;
    일단에 상기 제1 운동부가 설치되며 타단에 상기 제2 운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도력 및 상기 제2 유도력의 벡터 합에 상응하여 운동하는 보빈;
    일단이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 플레이트-여기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가 마주보며 위치함-
    외함 일측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1 고정부가 지지됨-; 및
    외함 타측을 형성하는 서브 프레임-상기 서브 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지지됨-;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운동부는 상기 보빈의 일단에 복수회 권취되는 제1 보이스 코일이며, 상기 제2 운동부는 상기 보빈의 타단에 복수회 권취되는 제2 보이스 코일이며,
    인입되는 전기 신호가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요크, 마그네트 및 상부 플레이트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타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탄성 지지부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1 전기 신호가 양의 전기 신호이며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2 전기 신호가 음의 전기 신호이거나,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1 전기 신호가 음의 전기 신호이며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2 전기 신호가 양의 전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분리하는 제1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전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분리하는 제2 신호 분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제1 전기 신호는 제1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후 상기 제1 코어에 인입되며,
    상기 분리된 제2 전기 신호는 제2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후 상기 제2 코어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신호가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후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코어 스피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041617A 2009-05-13 2009-05-13 듀얼 코어 스피커 KR10105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617A KR101050279B1 (ko) 2009-05-13 2009-05-13 듀얼 코어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617A KR101050279B1 (ko) 2009-05-13 2009-05-13 듀얼 코어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620A KR20100122620A (ko) 2010-11-23
KR101050279B1 true KR101050279B1 (ko) 2011-07-19

Family

ID=4340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617A KR101050279B1 (ko) 2009-05-13 2009-05-13 듀얼 코어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07B1 (ko) 2019-10-22 2020-11-10 부전전자 주식회사 삼각형 또는 다각형 다중 코어 구조의 슬림형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798A (ja) 1998-12-22 2000-07-04 Sony Corp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KR20010107404A (ko) * 2000-05-27 2001-12-07 김수호 두 개 이상의 자극공(공극)을 갖고, 보빈의 양 끝에댐퍼를 설치한 스피커
KR20040017173A (ko) * 2002-08-20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장치
KR20090131311A (ko) * 2008-06-18 2009-12-29 (주)좋은소리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798A (ja) 1998-12-22 2000-07-04 Sony Corp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KR20010107404A (ko) * 2000-05-27 2001-12-07 김수호 두 개 이상의 자극공(공극)을 갖고, 보빈의 양 끝에댐퍼를 설치한 스피커
KR20040017173A (ko) * 2002-08-20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장치
KR20090131311A (ko) * 2008-06-18 2009-12-29 (주)좋은소리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07B1 (ko) 2019-10-22 2020-11-10 부전전자 주식회사 삼각형 또는 다각형 다중 코어 구조의 슬림형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620A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7810B2 (en) Magnetic circuit and speaker
US9538291B2 (en) Speaker
KR100888965B1 (ko) 스피커
US7813521B2 (en) Speaker apparatus
KR100897807B1 (ko) 스피커
CN103281658B (zh) 磁动扬声器
JP4385981B2 (ja) 動電型スピーカー
CN107682792B (zh) 一种发声装置
EP3654669A1 (en) Symmetric dual suspension speaker structure
US20200196039A1 (en) Symmetric Dual Suspension Speaker Structure
KR101050279B1 (ko) 듀얼 코어 스피커
KR20230098143A (ko) 단일 영구 자석 및 하나 이상의 음성 코일에 의해 구동되는 플랫 스피커
CN209845299U (zh) 一种减震防杂音微型扬声器
CN113785599A (zh) 具有对称的音圈和磁路的微型扬声器
US10129653B2 (en) Speaker apparatus
KR101106469B1 (ko) 내자형 또는 외자형의 슬림구조를 갖는 스피커
KR19990041872A (ko) 이중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스피커 구조
US11228841B2 (en) Speaker
CN117560608B (zh) 扬声器及扬声器箱
KR102659183B1 (ko) 슬림 스피커
KR101345335B1 (ko) 스피커
JP2014003470A (ja) スピーカ装置
KR100665716B1 (ko) 스피커
CN207283796U (zh) 一种微型扬声器
KR100545069B1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