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823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823B1
KR101049823B1 KR1020090093495A KR20090093495A KR101049823B1 KR 101049823 B1 KR101049823 B1 KR 101049823B1 KR 1020090093495 A KR1020090093495 A KR 1020090093495A KR 20090093495 A KR20090093495 A KR 20090093495A KR 101049823 B1 KR101049823 B1 KR 10104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electrodes
signal lines
board assembly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682A (ko
Inventor
채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823B1/ko
Priority to US12/877,870 priority patent/US20110074742A1/en
Publication of KR2011003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63High current adaptations, e.g. printed high current conductors or using auxiliary non-printed means; Fine and coarse circuit patterns on one circuit board
    • H05K1/0265High current adaptations, e.g. printed high current conductors or using auxiliary non-printed means; Fine and coarse circuit patterns on one circuit board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or details of the printed conductors, e.g. reinforced conductors, redundant conductors, conductor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의 단부에 형성되는 전력신호라인들을 PDP의 전극들 또는 어드레스전극들에 비하여 낮은 저항률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제1 면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신호라인들이 형성되며,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상에서 상기 전극들과 이격되고,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를 통하여 상기 전극들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의 저항률이 상기 전극의 저항률보다 낮다.
저항률, 전력신호라인, 전극, 통합보드 어셈블리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LASM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제거/축소하고, 이 제거/축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구성들 중 일부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PDP를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들(P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을 포함한다.
PBA들 중,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는 전원 보드 어셈블리 및 로직 보드 어셈블리로부터 전압 및 제어신호를 받아서 PDP에 구비되는 어드레스전극들에 인가하도록 유연회로, 즉 예를 들면,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를 통하여 어드레스전극에 연결된다.
전원 보드 어셈블리는 어드레스 전압(Va)을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에 인가하고, 로직 보드 어셈블리는 드라이버IC 동작전압(Vcc), 드라이버IC 제어신호, 클록신호 및 어드레스 데이터신호 등을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에 인가하며, 이 신호들에 따라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는 선택된 어드레스전극들을 제어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제거하거나 축소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때, 제거/축소된 기능의 구성 및 제거/축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구성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제거/축소에 관련되는 기능의 구성들과, 제거/축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구성들 중 일부를 PDP에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거/축소에 관련되는 기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로직 보드 어셈블리에 포함하여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 대신에 새롭게 형성되는 통합보드 어셈블리와 어드레스전극들을 연결하는 전력신호라인들을 PDP의 단부에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DP의 단부에 형성되는 전력신호라인들을 PDP의 전극들 또는 어드레스전극들에 비하여 낮은 저항률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전극들 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제1 면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신호라인들이 형성되며,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상에서 상기 전극들과 이격되고,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를 통하여 상기 전극들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의 저항률이 상기 전극의 저항률보다 낮다.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Au 및 Mo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상기 전극들보다 더 높은 Ag 함유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들과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들은 어드레스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회로는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될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IC를 실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 사이에 복수의 전극들과 상기 복수의 전극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면기판에 형성되는 전력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배면기판에 인접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극들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력과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전력신호라인의 저항 률은 상기 전극들의 저항율보다 낮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상기 PDP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PBA), 및 제1 면으로 상기 PDP를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PBA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PBA는, 유지보드 어셈블리, 주사보드 어셈블리, 로직 보드 어셈블리, 미니보드 어셈블리 및 전원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는, 상기 로직 보드 어셈블리와 인터페이스 유연회로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전극들 중 어드레스전극을 제어한다. 상기 PDP는,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에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연결되는 전력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드라이버IC를 실장하는 유연회로로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저항률보다 낮은 저항률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는, 상기 전원 보드 어셈블리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 상기 전력신호라인들 및 상기 유연회로로 경유시켜,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어드레스 전압으로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제거/축소에 관련되는 기능의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PDP의 단부에 형성하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즉 통합보드 어셈블리와 어드레스전극을 연결하는 전력신호라인들을 기존에 미사용 영역인 PDP 단부에 형성 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PDP의 단부에 형성되는 전력신호라인들이 PDP의 전극들 또는 어드레스전극들 보다 낮은 저항률을 가지므로 임피던스 특성이 향상된다. 즉 전력신호라인들에서 전압 강하 및 신호 지연 현상이 저감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을 보면,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PDP(10), 방열시트(20), 샤시 베이스(30) 및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들(PBA)(40)을 포함한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2를 보고, PDP(1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PDP(10)는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배면기판(11)과 전면기판(12) 및 배면기판(11)과 전면기판(12) 사이에서 기체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들, 예를 들면, 유지전극들과 주사전극들(미도시) 및 어드레스전극들(13)을 포함한다.
방열시트(20)는 PDP(10)와 샤시 베이스(30) 사이에 구비되어, 기체방전으로 PDP(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확산시킨다. 샤시 베이스(30)는 방열시트(20)를 사이에 두고, 양면 테이프(21)로 PDP(10)의 배면기판(11)에 부착되어 PDP(10)를 지지한다.
다시 도1을 보면, PBA들(40)은 PDP(10)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각 PDP(10)에 전기적으로 연결(미도시)된다. PBA들(40)은 PDP(10)를 구동하는 기능들을 각각 분담하여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 개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PBA들(40)은 유지 보드 어셈블리(41), 주사 보드 어셈블리(42), 통합보드 어셈블리(43) 및 전원 보드 어셈블리(44)를 포함한다.
유지 보드 어셈블리(41)는 유연회로로 유지전극들에 연결되어(미도시) 유지전극들을 제어한다. 주사 보드 어셈블리(42)는 유연회로로 주사전극들에 연결되어(미도시) 주사전극들을 제어한다. 통합보드 어셈블리(43)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레스전극(13)과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의 구동에 필요한 각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보드 어셈블리들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전원 보드 어셈블리(44)는 각 보드 어셈블리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어드레스전극들(13)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다. 즉 PBA들(40)은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도2를 보면, PDP(10)는 샤시 베이스(30)의 제1 면, 즉 전면에 부착되어지지되고, PBA들(40)은 샤시 베이스(30)의 제2 면, 즉 배면에 장착된다. 복수의 PBA들(40)(도2에서 통합보드 어셈블리(43)가 예시됨) 각각은 샤시 베이스(30)에 복수로 구비되는 보스들(31)에 놓여지고, 세트 스크류(32)를 체결함으로써, 샤시 베이스(3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가 제거되므로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에서 담당하던 기능들에 관련된 구성들은 종래의 로직 보드 어셈블리에 재구성된다. 결과적으로, 통합보드 어셈블리(43)가 완성된다.
제1 실시예와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종래와 비교할 때, 제1실시예서도, 어드레스전극(13)은 원활히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PDP(10)는 단부에 전력신호라인들(60)을 형성하고,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와 전력신호라인들(60)을 연결한다(도3 및 도4 참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에 커넥터(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열압착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3은 도1의 PDP의 정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PDP의 단부에 형성된 전력신호라인들과 유연회로 및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3 및 도4를 보면, 전력신호라인들(60)은 PDP(10)의 미사용 영역인,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배면기판(11)의 미사용 단부에 형성된다.
전력신호라인들(60) 및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어드레스전극(13) 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와 어드레스전극(13)을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한다.
또한 TCP(72)는 드라이버IC(73)를 실장하여, 일측으로 전력신호라인들(6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으로 어드레스전극들(13)에 연결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의 전압 및 제어신호를 전력신호라인들(60)에 인가한다. TCP(72)는 전력신호라인들(60)에 인가된 전압 및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드라이버IC(73)에서 발생된 어드레스 전압 및 제어신호들을 어드레스전극들(13)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전극들(13)은 통합보드 어셈블리(43) 및 드라이버IC(7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제거하고, 이에 관련된 기능의 구성들을 통합보드 어셈블리(43)와 PDP(10)의 단부, 즉 배면기판(11)의 단부에 형성하므로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줄인다.
한편,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에 연결되는 전력신호라인들(60)은 이에 연결되는 TCP(72)를 통하여 어드레스전극들(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전력신호라인들(60)은 어드레스전극들(13)의 저항률 보다 낮은 저항률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력신호라인들(60)에서 어드레스전극들(13)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전압의 강하 및 제어신호의 지연이 줄어든다.
즉 어드레스전극들(13)과 전력신호라인들(60)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전극들(13)은 Ag를 함유하여 형성되고, 이때, 전력신호라인들(60)은 Au 및 Mo 중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Au 및 Mo는 Ag에 비하여 낮은 저항률, 즉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므로 전력신호라인들(60)은 어드레스 전압의 강하 및 제어신호의 지연을 줄인다.
또한, 어드레스전극들(13)과 전력신호라인들(60)이 모두 Ag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어드레스전극들(13)의 Ag 함유량과 전력신호라인들(60)의 Ag 함유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어드레스전극들(13)과 전력신호라인들(60)에 함유된 물질들이 Ag보다 낮은 저항률 또는 높은 저항률을 가질 수 있다.
Ag보다 낮은 저항률의 물질이 포함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률을 가지게 되는 Ag는 전력신호라인들(60)에서 보다 어드레스전극들(13)에서 더 많이 함유된다. 반대로, Ag보다 높은 저항률의 물질이 포함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률을 가지게 되는 Ag는 어드레스전극들(13)에서 보다 전력신호라인들(60)에서 더 많이 함유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전극들(13)과 전력신호라인들(60)이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므로 PDP(10)의 배면기판(11) 형성공정은 어드레스전극들(13)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력신호라인들(60)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어드레스전극들(13) 형성 공정과 전력신호라인들(60) 형성 공정은 별도로 진행된다.
다시 도2를 보면, 전력신호라인들(60)에 연결되는 TCP(72)는 어드레스전극 단자들(18)에 연결되어, 드라이버IC(73)에서 발생한 어드레스 전압 및 제어신호들을 어드레스전극들(13)에 인가한다. 실링재(50)는 전력신호라인(60)과 TCP(72)의 연결부 및 전력신호라인들(60)을 실링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TCP(72)에 실장되는 드라이버IC(73)는 방열패드(74) 또는 써멀 그리스(미도시)를 개재하여 커버 플레이트(75)에 지지된다. 커버 플레이트(75)는 샤시 베이스(30)의 절곡부(33)에 세트 스크류(32)로 장착되어, TCP(72)를 보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샤시 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달리, 종래의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축소한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를 포함한다.
즉 종래의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구성은 로직 보드 어셈블리(431)와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 및 전력신호라인들(60)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제2 실시예는 제조 비용의 감소에 있어서 다소 불리하지만, 종래의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구성에 비해서 역시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를 구비함에 따라, 어드레스전극(13)을 제어하는 전압 및 제어신호들 중, 상대적으로 고압인 어드레스 전압(Va)은 전원 보드 어셈블리(44)로부터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에 인가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전압(Va)은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에서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 전력신호라인들(60) 및 TCP(72)를 통하여 어드레스전극(13)에 인가된다.
상대적으로 저압인, 드라이버IC(73) 그라운드, 드라이버IC(73) 구동 전압(Vcc), 드라이버IC 제어신호, 및 클록신호와 어드레스 데이터신호는 로직 보드 어셈블리(431)로부터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에 인가된다. 따라서 저압의 제어신호들은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에서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 및 전력신호라인 들(60)을 통하여 TCP(72) 및 드라이버IC(73)에 인가된다.
제2 실시예는 종래의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기능을 축소하여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로 구성하는 경우, PDP(10)의 단부에 전력신호라인들(60)을 동일하게 구비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은 임피던스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PDP의 정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PDP의 단부에 형성된 전력신호라인들과 유연회로 및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샤시 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20 : 방열시트 30 : 샤시 베이스
40 :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들(PBA) 60 : 전력신호라인
11 : 배면기판 12 : 전면기판
13 : 어드레스전극 21 : 양면 테이프
32 : 세트 스크류 33 : 절곡부
41 : 유지 보드 어셈블리 42 : 주사 보드 어셈블리
43 : 통합보드 어셈블리 431 : 로직 보드 어셈블리
432 : 미니 보드 어셈블리 44 : 전원 보드 어셈블리
71 : 인터페이스 유연회로 72 : TCP
73 : 드라이버IC 74 : 방열패드
75 : 커버 플레이트

Claims (15)

  1.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제1 면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신호라인들이 형성되며,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상에서 상기 전극들과 이격되고,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를 통하여 상기 전극들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의 저항률이 상기 전극의 저항률보다 낮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Au 및 Mo 중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의 Ag 함유량은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의 Ag 함유량 보다 많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과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어드레스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회로는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될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IC를 실장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전면기판, 배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에 복수의 전극들과, 상기 복수의 전극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면기판에 형성되는 전력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배면기판에 인접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극들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력과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전력신호라인의 저항율은 상기 전극들의 저항율보다 낮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Au 및 Mo 중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의 Ag 함유량은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의 Ag 함유량 보다 많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과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어드레스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유연회로로 연결되며,
    상기 유연회로는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될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IC를 실장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상기 PDP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PBA); 및
    제1 면으로 상기 PDP를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PBA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PBA는,
    유지보드 어셈블리, 주사보드 어셈블리, 로직 보드 어셈블리, 미니보드 어셈블리 및 전원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는,
    상기 로직 보드 어셈블리와 인터페이스 유연회로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전극들 중 어드레스전극을 제어하며,
    상기 PDP는,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에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연결되는 전력신호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드라이버IC를 실장하는 유연회로로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저항률보다 낮은 저항률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는,
    상기 전원 보드 어셈블리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 상기 전력신호라인들 및 상기 유연회로로 경유시켜,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어드레스 전압으로 인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Au 및 Mo 중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의 Ag 함유량은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의 Ag 함유량 보다 많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상기 전력신호라인들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93495A 2009-09-30 2009-09-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495A KR101049823B1 (ko) 2009-09-30 2009-09-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2/877,870 US20110074742A1 (en) 2009-09-30 2010-09-08 Plasm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495A KR101049823B1 (ko) 2009-09-30 2009-09-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682A KR20110035682A (ko) 2011-04-06
KR101049823B1 true KR101049823B1 (ko) 2011-07-15

Family

ID=4377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495A KR101049823B1 (ko) 2009-09-30 2009-09-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74742A1 (ko)
KR (1) KR1010498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368A (ko) * 2005-04-08 2006-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368A (ko) * 2005-04-08 2006-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4742A1 (en) 2011-03-31
KR20110035682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2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456384B2 (en) Plasma display device
JP506927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596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98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98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954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65931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8157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219227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10312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526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87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1057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82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421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69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478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92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61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26611B1 (ko) 스캔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81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3739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