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25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256B1
KR101031256B1 KR1020090097315A KR20090097315A KR101031256B1 KR 101031256 B1 KR101031256 B1 KR 101031256B1 KR 1020090097315 A KR1020090097315 A KR 1020090097315A KR 20090097315 A KR20090097315 A KR 20090097315A KR 101031256 B1 KR101031256 B1 KR 101031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s
line width
board assembly
signal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154A (ko
Inventor
박수준
채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256B1/ko
Priority to US12/869,722 priority patent/US20110084895A1/en
Publication of KR2011004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DP의 단부에 형성한 신호라인들을 유연회로에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유연회로를 경유한 신호라인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만큼 나머지 신호라인의 선폭을 증대시켜, 인가 거리의 증가로 인한 임피던스 증가를 줄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제1 면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들에 전압,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라인들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라인들은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에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 가까운 부분의 선폭보다 먼 부분에서 더 넓은 선폭을 가진다.
신호라인, 선폭, 인피던스, 인가 거리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LASM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제거/축소하고, 이 제거/축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구성들 중 일부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PDP를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들(P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을 포함한다.
PBA들 중,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는 전원 보드 어셈블리 및 로직 보드 어셈블리로부터 전압 및 제어신호를 받아서 PDP에 구비되는 어드레스전극들에 인가하도록 유연회로, 즉 예를 들면,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를 통하여 어드레스전극에 연결된다.
전원 보드 어셈블리는 어드레스 전압을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에 인가하고, 로직 보드 어셈블리는 드라이버IC 동작전압, 드라이버IC 제어신호, 클록신호 및 어드레스 데이터신호 등을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에 인가하며, 이 신호들 에 따라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는 선택된 어드레스전극들을 제어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제거하거나 축소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때, 제거/축소된 기능의 구성 및 제거/축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구성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제거/축소에 관련되는 기능의 구성들과, 제거/축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구성들 중 일부를 PDP에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거/축소에 관련되는 기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로직 보드 어셈블리에 포함하여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 대신에 새롭게 형성되는 통합보드 어셈블리와 어드레스전극들을 연결하는 신호라인들을 PDP의 단부에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DP의 단부에 형성한 신호라인들을 유연회로에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유연회로를 경유한 신호라인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만큼 나머지 신호라인의 선폭을 증대시켜, 인가 거리의 증가로 인한 임피던스 증가를 줄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전극들 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제1 면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들에 전압,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라인들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라인들은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에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 가까운 부분의 선폭보다 먼 부분에서 더 넓은 선폭을 가진다.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서 시작하여 상기 유연회로들의 경유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신호라인들의 개수는 감소하고, 상기 신호라인들의 개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유연회로를 경유하고 남은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 경유 전에 보다 증가된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들을 경유하면서 계단 구조로 증가된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계단 구조의 상기 신호라인에 이웃하는 신호라인은 상기 유연회로 경유 전에 비하여 선폭이 증가된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들을 경유하면서 사다리꼴로 증가된 선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 배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에 복수의 전극들과, 상기 복수의 전 극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면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들에 전압,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배면기판에 인접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라인들은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에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 가까운 부분의 선폭보다 먼 부분에서 더 넓은 선폭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상기 PDP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PBA), 및 제1 면으로 상기 PDP를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PBA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PBA는 유지보드 어셈블리, 주사보드 어셈블리, 로직 보드 어셈블리, 미니보드 어셈블리 및 전원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는 상기 로직 보드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들 중 어드레스전극을 제어 하며, 상기 PDP의 단부에는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전압,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라인들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라인들은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드라이버IC를 실장하는 유연회로로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 가까운 부분의 선폭보다 먼 부분에서 더 넓은 선폭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제거/축소에 관련되는 기능의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PDP의 단부에 형성하므로 플라즈마 디스플 레이 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즉 통합보드 어셈블리와 어드레스전극을 연결하는 신호라인들을 기존에 미사용 영역인 PDP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PDP 단부에 형성된 신호라인들을 유연회로들에 순차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유연회로를 경유하면서 신호라인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만큼 나머지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폭이 증대되어, 신호 소스로부터 인가 거리 증가에 따른 임피던스 증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을 보면,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PDP(10), 방열시트(20), 샤시 베이스(30) 및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들(PBA)(40)을 포함한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2를 보고, PDP(1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PDP(10)는 글라스로 이루어지는 배면기판(11)과 전면기 판(12) 및 배면기판(11)과 전면기판(12) 사이에서 기체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들, 예를 들면, 유지전극들과 주사전극들(미도시) 및 어드레스전극들(13)을 포함한다.
방열시트(20)는 PDP(10)와 샤시 베이스(30) 사이에 구비되어, 기체방전으로 PDP(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확산시킨다. 샤시 베이스(30)는 방열시트(20)를 사이에 두고, 양면 테이프(21)로 PDP(10)의 배면기판(11)에 부착되어 PDP(10)를 지지한다.
다시 도1을 보면, PBA들(40)은 PDP(10)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각 PDP(10)에 전기적으로 연결(미도시)된다. PBA들(40)은 PDP(10)를 구동하는 기능들을 각각 분담하여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 개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PBA들(40)은 유지 보드 어셈블리(41), 주사 보드 어셈블리(42), 통합보드 어셈블리(43) 및 전원 보드 어셈블리(44)를 포함한다.
유지 보드 어셈블리(41)는 유연회로로 유지전극들에 연결되어(미도시) 유지전극들을 제어한다. 주사 보드 어셈블리(42)는 유연회로로 주사전극들에 연결되어(미도시) 주사전극들을 제어한다. 통합보드 어셈블리(43)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레스전극(13)과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의 구동에 필요한 각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보드 어셈블리들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전원 보드 어셈블리(44)는 각 보드 어셈블리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어드레스전극들(13)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다. 즉 PBA들(40)은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도2를 보면, PDP(10)는 샤시 베이스(30)의 제1 면, 즉 전면에 부착되고, PBA들(40)은 샤시 베이스(30)의 제2 면, 즉 배면에 장착된다. 복수의 PBA들(40)(도2에서 통합보드 어셈블리(43)가 예시됨) 각각은 샤시 베이스(30)에 복수로 구비되는 보스들(31)에 놓여지고, 세트 스크류(32)를 체결함으로써, 샤시 베이스(3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가 제거되므로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에서 담당하던 기능들에 관련된 구성들은 종래의 로직 보드 어셈블리에 재구성된다. 결과적으로, 통합보드 어셈블리(43)가 완성된다.
제1 실시예와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가 구비된 종래와 비교할 때, 제1실시예서도, 어드레스전극(13)은 원활히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PDP(10)는 단부에 신호라인들(60)을 형성하고,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와 신호라인들(60)을 연결한다(도3 참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에 커넥터(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열압착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3은 도1의 PDP의 정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PDP의 단부에 형성된 신호라인들과 유연회로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신호라인들(60)은 PDP(10)의 미사용 영역인,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배면기판(11)의 미사용 단부에 형성된다.
신호라인들(60) 및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어드레스전극(13)의 제어 기 능을 포함하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와 어드레스전극(13)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TCP(72)는 드라이버IC(73)를 실장하여, 일측으로 신호라인들(6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으로 어드레스전극들(13)에 연결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의 신호들을, 즉 전압,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신호라인들(60)에 인가한다. TCP(72)는 신호라인들(60)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드라이버IC(73)에 인가하고, 이 신호들에 따라 드라이버IC(73)에서 발생된 어드레스 전압 및 제어신호들을 어드레스전극들(13)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전극들(13)은 통합보드 어셈블리(43) 및 드라이버IC(7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제거하고, 이와 관련된 기능의 구성들을 통합보드 어셈블리(43)와 PDP(10)의 단부에, 즉 배면기판(11)의 단부에 형성하므로 장치 전체의 구성을 단순하게 한다.
한편, 신호라인들(60)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에 연결되며, 제1 실시예는 신호라인들(60)에 연결되는 2개의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를 예시한다.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통합보드 어셈블리(43)의 각종 신호들을 신호라인들(60)에 인가한다. 또한 TCP(72)는 신호라인들(6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드라이버IC(73)의 신호를 어드레스전극(13)에 인가한다.
신호라인들(60) 상의 임피던스는 신호 소스인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에 연결된 부분에서부터 점점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PDP(1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에서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해도 신호라인들(60) 상의 임피 던스 증가를 최소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실시예에서 신호라인들(60)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제1 신호라인(61))는 2가지 이상의 선폭을 가진다. 예를 들면, 신호라인들(60) 중 하나는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에 가까운 부분에서 좁은 선폭을 형성하고, 인가 거리가 증가하면서 더 큰 선폭을 형성한다(도4에서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는 도면의 우측에서 연결된다).
편의상, 도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TCP들(72) 중에, 우측 것을 제1 TCP(721)라 하고, 좌측 것을 제2 TCP(722)라 한다. 제1, 제2 TCP들(721, 722)은 신호라인들(60) 중 관련하는 신호라인들을 대응 어드레스전극 단자들(18)에 연결한다.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60)은 예를 들면, 7개로, 즉 제1 내지 제7 신호라인들(61, 62, 63, 64, 65, 66, 67)로 배면기판(11)의 단부에 패턴으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5 및 제7 신호라인들(61, 62, 63, 64, 65, 67)은 TCP들(72) 각각에 독립적인 신호를 인가하며, 제6 신호라인(66)은 TCP들(72)에 공통적인 신호, 예를 들면, 어드레스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5 및 제7 신호라인들(61, 62, 63, 64, 65, 67)은 TCP들(72) 중 관련 TCP들(7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제6 신호라인(66)은 TCP들(72) 모두에 연결된다.
일례를 들면, 제1 TCP(721)는 제3, 제6 신호라인들(63, 66)의 단자(631, 661)에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 받고, 어드레스전극 단자들(18)에 연결되어 드라이버 IC(7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어드레스전극들(13)에 인가한다.
제3 신호라인(63)이 제1 TCP(721)에서 끝남에 따라 제1 TCP(721)를 경유한 제6 신호라인(66)은 이전의 제1 선폭(W1)보다 큰 제2 선폭(W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TCP(722)는 제4, 제6 신호라인들(64, 66)의 단자(641, 661)에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 받고, 어드레스전극 단자들(18)에 연결되어 드라이버IC(7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어드레스전극들(13)에 인가한다.
제4 신호라인(64)이 제2 TCP(722)에서 끝남에 따라 제2 TCP(722)를 경유한 제6 신호라인(66)은 제1 TCP(721)를 경유한 제2 선폭(W2)보다 더욱 큰 제3 선폭(W3)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소스 신호를 공급하는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에서 시작하여 TCP들(72)을 경유하는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라인들(60)의 개수는 감소한다. 따라서 배면기판(11) 단부의 동일 면적 범위 내에서, 신호라인들(60)의 형성 가능 면적이 증가된다. 즉 신호라인들(6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폭을 더 증가할 수 있다.
신호라인들(60) 중, 제6 신호라인(66)은 신호 인가 거리가 증가해도 제1, 제2, 제3 선폭(W1, W2, W3)의 증가로 임피던스 증가를 최소화한다. 즉 인가 거리의 증가로 인하여 임피던스를 증가할 수 있는 요인은 선폭의 증가로 감소된다. 이로 인하여 PDP(10)는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신호라인들(60)의 개수 감소에 따라 발생되는 배면기판(11) 단부의 여유 면적은 하나의 신호라인, 즉 제6 신호라인(66)의 선폭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 고, 또한 2개 이상의 신호라인들, 즉 제6 신호라인(66)과 다른 신호라인의 선폭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유연회로들에 대응하여 선폭이 변화되는 신호라인들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5에서는 TCP들(72)과 어드레스전극 단자들(18)과의 연결 구조를 생략하고, TCP들(72)을 경유한 후 신호라인들(80)의 개수 감소 및 선폭 증대 상태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제2 실시예에 따를 신호라인들(80)은 제1 내지 제6 신호라인들(81, 82, 83, 84, 85, 86)을 포함하고, TCP들(72)은 제1 내지 제3 TCP(721, 722, 723)을 포함한다.
이때, 신호라인들(80) 중 하나는 TCP들(72)을 경유하면서 계단식으로 증가된 선폭을 가진다. 즉 제3 신호라인(83)은 제1 TCP(721)에 연결되어 끝나므로 제2 신호라인(82)은 제1 TCP(721)까지 제1 선폭(W1)으로 형성되고, 제1 TCP(721) 이후부터 확장된 제2 선폭(W2)으로 형성된다.
제4 신호라인(84)은 제2 TCP(722)에 연결되어 끝나므로 제2 신호라인(82)은 제2 TCP(722)까지 제2 선폭(W2)으로 형성되고, 제2 TCP(722) 이후부터 확장된 제3 선폭(W3)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신호라인(82)의 선폭 증대와 동시에 이웃하는 신호라인들(80) 중 또 다른 신호라인의 선폭은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신호라인(83)은 제1 TCP(721) 경유 후 제1 선폭(W1)에서 제32 선폭(W32)으로 증대될 수 있다. 즉 제 32 선폭(W32)은 제1 선폭(W1)에 확장부(W83)를 더 가진다.
또한 제4 신호라인(84)은 제2 TCP(722) 경유 후 제1 선폭(W1)에서 제42 선폭(W42)으로 증대될 수 있다. 즉 제42 선폭(W42)은 제1 선폭(W1)에 확장부(W84)를 더 포함한다.
제2 실시예는 신호라인들(80) 중에서, 하나의 신호라인, 즉 제2 신호라인(82)에서 임피던스 증가 최소화에 더하여, 제3, 제4 신호라인(83, 84)에서 임피던스 증가 최소화를 구현한다.
도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유연회로들에 대응하여 선폭이 변화되는 신호라인들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6에서는 TCP들(72)과 어드레스전극 단자들(18)과의 연결 구조를 생략하고, TCP들(72)을 경유한 후 신호라인들(90)의 개수 감소 및 선폭 증대 상태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제3 실시예에 따를 신호라인들(90)은 제1 내지 제5 신호라인들(91, 92, 93, 94, 95)을 포함하고, TCP들(72)은 제1 내지 제3 TCP(721, 722, 723)을 포함한다.
이때, 신호라인들(90) 중 하나는 TCP들(72)을 경유하면서 사다리꼴로 증가된 선폭을 가진다. 즉 제3 신호라인(93)은 제1 TCP(721)에 연결되어 끝나고, 제4 신호라인(94)은 제2 TCP(722)에 연결되어 끝나며, 제5 신호라인(95)은 제3 TCP(723)에 연결되어 끝난다. 그러므로 제2 신호라인(92)의 선폭은 제1 TCP(721)에서 제3 TCP(723)까지 점차적으로 확장된다.
제3 실시예는 신호라인들(90) 중에서, 하나의 신호라인, 즉 제2 신호라인(92)의 선폭을 사다리꼴로 증대시켜 제2 신호라인(92)에서 임피던스의 증가 최소화를 구현한다
도7a, 도7b는 신호라인들의 개수가 감소하면서 신호라인의 선폭이 증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실제 사진이다. 도7a는 신호라인이 20개인 패턴을 보여주며, 도7b는 신호라인이 17개인 패턴으로 감소하면서, 신호라인 중 하나의 선폭이 255에서 455㎛로 확장된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7a, 도7b를 비교해 보면, 대상 신호라인(TL) 아래의 6개 신호라인들 중 하나가 이전 TCP(72)에 연결되어 끝나고, 대상 신호라인(TL) 위의 5개 신호라인들(중간 부분) 중 2개가 이전 TCP(72)에 연결되어 끝난다. 그러므로, 대상 신호라인(TL)은 선폭을 크게 확장하여 형성되어 임피던스 증가를 최소화한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신호라인들(60)에 연결되는 TCP(72)는 어드레스전극 단자들(18)에 연결되어, 드라이버IC(73)에서 발생한 어드레스 전압 및 제어신호들을 어드레스전극들(13)에 인가한다. 실링재(50)는 신호라인(60)과 TCP(72)의 연결부 및 신호라인들(60)을 실링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TCP(72)에 실장되는 드라이버IC(73)는 방열패드(74) 또는 써멀 그리스(미도시)를 개재하여 커버 플레이트(75)에 지지된다. 커버 플레이트(75)는 샤시 베이스(30)의 절곡부(33)에 세트 스크류(32)로 장착되어, TCP(72)를 보호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샤시 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제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00) 는 제1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달리, 종래의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축소한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를 포함한다.
즉 종래의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구성은 로직 보드 어셈블리(431)와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 및 신호라인들(60)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제4 실시예는 제조 비용의 감소에 있어서 다소 불리하지만, 종래의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구성에 비해서 역시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를 구비함에 따라, 어드레스전극(13)을 제어하는 전압 및 제어신호들 중, 상대적으로 고압인 어드레스 전압은 전원 보드 어셈블리(44)로부터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에 인가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전압은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에서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 신호라인들(60) 및 TCP(72)를 통하여 어드레스전극(13)에 인가된다.
상대적으로 저압인, 드라이버IC(73) 그라운드, 드라이버IC(73) 구동 전압, 드라이버IC 제어신호, 및 클록신호와 어드레스 데이터신호는 로직 보드 어셈블리(431)로부터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에 인가된다. 따라서 저압의 제어신호들은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에서 인터페이스 유연회로(71) 및 전력신호라인들(60)을 통하여 TCP(72) 및 드라이버IC(73)에 인가된다.
제4 실시예는 종래의 어드레스 버퍼 보드 어셈블리의 기능을 축소하여 미니 보드 어셈블리(432)로 구성하는 경우, PDP(10)의 단부에 신호라인들(60, 80, 90)을 동일하게 구비하여,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은 임피던스 증가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PDP의 정면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PDP의 단부에 형성된 신호라인들과 유연회로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유연회로들에 대응하여 선폭이 변화되는 신호라인들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유연회로들에 대응하여 선폭이 변화되는 신호라인들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7a 및 도7b는 신호라인들의 개수가 감소하면서 신호라인의 선폭이 증가된 상태를 보여주는 실제 사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샤시 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20 : 방열시트 30 : 샤시 베이스
40 :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들(PBA) 60, 80, 90 : 신호라인
61, 62, 63, 64, 65, 66, 67 : 제1 내지 제7 신호라인
81, 82, 83, 84, 85, 86 : 제1 내지 제6 신호라인
91, 92, 93, 94, 95 : 제1 내지 제5 신호라인들
11 : 배면기판 12 : 전면기판
13 : 어드레스전극 21 : 양면 테이프
32 : 세트 스크류 33 : 절곡부
41 : 유지 보드 어셈블리 42 : 주사 보드 어셈블리
43 : 통합보드 어셈블리 431 : 로직 보드 어셈블리
432 : 미니 보드 어셈블리 44 : 전원 보드 어셈블리
71 : 인터페이스 유연회로 72 : TCP
721, 722, 723 : 제1, 제2, 제3 TCP 73 : 드라이버IC
74 : 방열패드 75 : 커버 플레이트
W1, W2, W3, W32, W42 : 제1, 제2, 제3, 제32, 제42 선폭
W83, W84 : 확장부 TL : 대상 신호라인

Claims (13)

  1.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제1 면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들에 전압,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라인들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라인들은,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에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 가까운 부분의 선폭보다 먼 부분에서 더 넓은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서 시작하여 상기 유연회로들의 경유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신호라인들의 개수는 감소하고,
    상기 신호라인들의 개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유연회로를 경유하고 남은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 경유 전에 보다 증가된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들을 경유하면서 계단 구조로 증가된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구조의 상기 신호라인에 이웃하는 신호라인은 상기 유연회로 경유 전에 비하여 선폭이 증가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들을 경유하면서 사다리꼴로 증가된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전면기판, 배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에 복수의 전극들과, 상기 복수의 전극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면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들에 전압,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배면기판에 인접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라인들은 상기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에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 가까운 부분의 선폭보다 먼 부분에서 더 넓은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서 시작하여 상기 유연회로들의 경유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신호라인들의 개수는 감소하고,
    상기 신호라인들의 개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유연회로를 경유하고 남은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 경유 전에 보다 증가된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들을 경유하면서 계단 구조로 증가된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구조의 상기 신호라인에 이웃하는 신호라인은 상기 유연회로 경유 전에 비하여 선폭이 증가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들을 경유하면서 사다리꼴로 증가된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상기 PDP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보드 어셈블리(PBA); 및
    제1 면으로 상기 PDP를 지지하고 제2 면에 상기 PBA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PBA는,
    유지보드 어셈블리, 주사보드 어셈블리, 로직 보드 어셈블리, 미니보드 어셈블리 및 전원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는,
    상기 로직 보드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들 중 어드레스전극을 제어 하며,
    상기 PDP의 단부에는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전압,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라인들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라인들은,
    인터페이스 유연회로로 상기 미니보드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드라이버IC를 실장하는 유연회로로 상기 어드레스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연회로에 가까운 부분의 선폭보다 먼 부분에서 더 넓은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들을 경유하면서 계단 구조로 증가된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연회로들을 경유하면서 사다리꼴로 증가된 선폭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97315A 2009-10-13 2009-10-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31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315A KR101031256B1 (ko) 2009-10-13 2009-10-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2/869,722 US20110084895A1 (en) 2009-10-13 2010-08-26 Plasm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315A KR101031256B1 (ko) 2009-10-13 2009-10-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154A KR20110040154A (ko) 2011-04-20
KR101031256B1 true KR101031256B1 (ko) 2011-04-29

Family

ID=4385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315A KR101031256B1 (ko) 2009-10-13 2009-10-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84895A1 (ko)
KR (1) KR1010312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788B1 (ko) 2005-04-1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4785B2 (en) * 2008-10-08 2012-11-20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788B1 (ko) 2005-04-1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4895A1 (en) 2011-04-14
KR20110040154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9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09204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669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894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65330A (ko) 반도체 칩 실장 기판 및 평면 디스플레이
KR200800954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134459A1 (en) Flat display device
KR1010312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98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1218B1 (ko) 접속 부재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KR1009223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895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98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12914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1394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82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421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1057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0915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6611B1 (ko) 스캔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02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76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8003739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WO2008010280A1 (fr) Affichage à plas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