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517B1 - 오류율 판단 방법 및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오류율 판단 방법 및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517B1
KR101049517B1 KR1020057022829A KR20057022829A KR101049517B1 KR 101049517 B1 KR101049517 B1 KR 101049517B1 KR 1020057022829 A KR1020057022829 A KR 1020057022829A KR 20057022829 A KR20057022829 A KR 20057022829A KR 101049517 B1 KR101049517 B1 KR 10104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block
group
data blocks
error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064A (ko
Inventor
피르민 지바체
우베 배더
토마스 브라운
Original Assignee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filed Critical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1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방향(3)에 있는 피검사장치(2)로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기 장치의 오류율을 검출하는 방법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검사장치(1)는 제 1 길이를 갖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시험신호가 전송된다. 제 2의 다른 길이를 갖는 제 2 데이터 블록은 전송방향으로의 다른 데이터 속도를 얻기 위해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를 기초로 생성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은 제 2 전송방향(4)으로 응답신호로서 전송된다. 상기 응답신호는 상기 검사장치(1)의 송수신기 장치에 의해 수신 및 평가되고, 상기 오류율은 양쪽 데이터 블록의 내용을 비교하는 상기 검사장치(1)의 평가장치(11)에 의해 검출되며, 더 짧은 데이터 블록(3)의 내용은 상기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해 더 긴 데이터 블록(29)의 대응하는 섹션(29.1)의 내용과 비교된다.
오류율 판단방법, 오류율 판단 검사장치, 송수신기 장치

Description

오류율 판단 방법 및 검사장치{Method And Test Device For Detecting An Error Rate}
본 발명은 수신기 장치의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 수신기 장치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해, 시험신호가 피검사 수신기 장치를 포함하는 피검사장치에 전송된다. 시험신호는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제 1 데이터 블록에서 발생된다. 피검사장치는 상기 시험신호를 수신하고 평가한다; 즉, 피검사장치는 시험신호에 포함된 원래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전송 프로토콜을 기초로 실행되었던 과정을 역으로 한다. 전송경로를 통해서나 평가시에 어떠한 오류도 발생되지 않는 이상적인 경우에, 피검사장치의 평가된 시험신호는 본래 전송된 제 1 데이터 블록의 내용과 완전히 일치한다; 즉, 비트별로 동일하다.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피검사장치는 그런 후 사용된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제 1 데이터 블록과 동일하게 응답신호를 형성하도록 조절되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만든다. 이 응답신호는 피검사장치에 의해 검사장치로 다시 전송된다. 검사장치는 이제 제 2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예컨대,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의 내용과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의 내용 사이의 편차로부터 비트오류율(BER) 을 결정할 수 있는 평가된 응답신호의 내용과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의 내용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비교에서, 제 1 및 제 2 데이터 블록이 서로 비트별로 비교된다. 제 1 및 제 2 데이터 블록은 통상적으로 길이에 있어 동일한데, 왜냐하면 양쪽 전송방향에 대해 동일한 전송속도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지된 방법의 한가지 단점은 양쪽 전송방향에서 다른 데이터 속도를 구현하는 현대의 전송 시스템의 능력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단일 전송방향을 활용할 수 없는 결과, 많은 경우 데이터에서의 증가가 또한 대응하는 피검사장치 또는 수신기 장치의 오류율에서의 증가와 관련되기 때문에, 오류율 측정의 통계값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채널에서 다른 데이터 속도의 사용을 위해 통계적으로 유효한 측정결과를 제공하는 오류율 판단 방법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내지 6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 및 청구항 14 내지 17에 따른 본 발명의 검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시험신호가 검사장치로부터 피검사장치로의 제 1 전송방향으로 전송된다. 상기 시험신호는 그 내용이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또한 결정되는 제 1 데이터 블록 또는 데이터 블록의 제 1 그룹으로부터 생성된다. 피검사장치는 시험신호를 수신하고 평가하며, 이상적인 경우, 즉, 0 퍼센트의 오류율로,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 또는 데이터 블록의 제 1 그룹의 완전히 비트별로 동일한 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평가된 시험신호는 제 2 데이터 블록 또는 데이터 블록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도록 피검사장치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피검사장치가 응답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피검사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2 데이터 블록은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1 데이터 블록과는 길이가 다르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송방향에 대한 데이터 블록의 길이는 각각의 전송방향의 데이터 속도에 따른다. 무오류 전송의 경우, 더 짧은 데이터 블록의 내용은 더 긴 데이터 블록의 주어진 섹션과 동일하다. 제 1 데이터 블록은, 일반적으로 다운링크에서 3세대(예컨대, UMTS) 이동전화 시스템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 2 데이터 블록보다 더 길 수 있다; 또는 제 2 데이터 블록이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보다 더 길 수 있다. 예컨대, 이동 전화망의 기지국이 검사되어지는 경우, 제 2 데이터 블록이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보다 더 긴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데이터 속도가 또한 다수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하는 그룹의 형태를 통해 발생될 수 있고, 제 1 또는 제 2 그룹의 데이터 블록의 다른 개수가 각각 두 전송방향에서 사용된다. 무오류 전송에서, 소수의 데이터 블록을 갖는 그룹으로부터의 데이터 블록들은 다수의 데이터 블록을 갖는 그룹에서 소정의 데이터 블록들의 선택과 비트별로 일치한다. 제 1 또는 제 2 그룹 각각에서 다른 개수의 데이터 블록들 이외에 제 1 및 제 2 그룹에 대한 다른 길이의 데이터 블록들이 선택되는 경우, 이러한 일치가 데이터 블록의 섹션에 적용된다.
그런 후 검사장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평가한다. 무오류 전송에서 일치하는 제 1 데이터 블록 및 제 2 데이터 블록에 있는 섹션 또는 무오류 전송에서 적어도 섹션에 일치하는 제 1 및 제 2 그룹의 데이터 블록들이 그 일치에 대하여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된다. 이를 위해, 다른 길이의 데이터 블록들이 사용되는 경우, 평가된 응답신호 또는 각각의 그 섹션이 제 1 데이터 블록의 소정 섹션의 내용과 또는 전체 제 1 데이터 블록과 각각 비트별로 비교된다. 그런 후, 예컨대, 비트오류율 또는 블록오류율이 결과적으로 발생한 편차로부터 검사장치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다른 개수의 데이터 블록들이 제 1 및 제 2 그룹에 사용되는 경우, 평가는 제 1 및 제 2 그룹의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비트별 비교를 통해 대응하는 식으로 하게 된다. 길이가 추가적으로 다른 경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의 관련된 섹션이 서로 비트별로 비교된다.
이런 종류의 평가 싸이클이 여러번 반복되어 많은 전송된 시험신호 및 수신된 응답신호로부터 통계적으로 입수된 오류율을 구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이점적인 발전에 관한 것이다.
수신기 장치의 성능을 판단하기 위해, 가능한 최대 데이터 속도가 제 1 전송방향으로 사용되는 경우 특히 이점이 있다. 수신기 장치의 품질은 사용된 데이터 속도에 따라 자주 변하므로, 최대 구현가능한 데이터 속도를 사용하는 것은 수신기 장치의 오류율이 최대 스트레스하에서 판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왜냐하면 데이터의 최대량이 단위시간 당 처리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시 최고의 임계조건과 관련된 비교기준을 제공한다.
고주파수 신호 대신에 기저대역 신호가 검사장치 및 피검사장치 사이에 전송되는 경우 또 다른 이점이 있다. 따라서, 고주파수 전송신호를 생성하거나, 예를 들어 혼합하는 경우, 기저대역의 또 다른 처리에서 발생되는 오류가 배제되므로, 기저대역 신호의 처리와 관련한 이들 구성부품들이 구체적으로 검사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에 대해, 상기 기저대역 신호는 검사장치 또는 피검사장치 모두에 대응하는 신호처리 위치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위한 제 1 장치의 매우 간략화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위한 제 2 장치의 매우 간략화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오류정정을 처리하는 신호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오류정정을 처리하는 신호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양쪽 전송방향에서 다른 길이의 데이터 블록의 처리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 1 및 제 2 전송방향에 사용된 접속 파라미터의 예시적인 표로 산출된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2개의 전송방향에서 다른 개수의 데이터 블록을 갖는 데이터 블록 그룹의 처리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2개의 전송방향에서 다른 개수의 데이터 블록을 갖는 데이터 블록 그룹의 처리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피검사장치의 오류율을 판단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하기 설명은 이동전화 시스템에서의, 특히 제 3 세대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른 데이터 속도가 제 1 전송방향 및 제 2 전송방향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명확하게 언급된다. 이런 종류의 한 시스템으로는 예컨대 사용된 모뎀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검사될 수 있는 인터넷이다.
도 1에서, 검사장치(1) 및 피검사장치(2) 사이의 접속이 확립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검사장치(2)는 이동전화기이다. 검사장치(1) 및 피검사장치(2)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데 있어, 주어진 이동전화망내에서 이동전화기의 동작에 필요로 하는 모든 파라미터들은 기지국을 모방함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접속은 각각의 이동전화표준 또는 사용된 전송 프로토콜의 사용에 따라 확립된다.
검사장치(1) 및 피검사장치(2) 사이의 접속은 제 1 전송방향(다운링크) 및 제 2 전송방향(업링크)에서 확립되고,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와 또한 케이블 접속이 검사장치(1) 및 피검사장치(2)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해, 공지된 테스트 시퀀스(test sequence), 즉, 주어진 2진수 데이터 시퀀스를 피검사장치(2)로 전송하고 그런 후 검사장치(1)에 알려진 상기 테스트 시퀀스의 내용이 상기 피검사장치(2)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었고 평가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기에, 주어진 비트 시퀀스로 구성되는 테스트 시퀀스가 제 1 데이터 블록으로서 검사장치(1)의 시퀀스 발생기(sequence generator)에서 발생된다. 사용된 비트 시퀀스는 고유의 애플리케이션 방법(application-specific manner)에서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검사받는 각각의 시스템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 후 이러한 테스트 시퀀스가 전송오류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오류를 정정하도록 상기 테스트 시퀀스를 더 처리하는 제 1 오류정정소자(6)에 제공된다. 도 1을 참조로 제 1 오류정정소자(6)에서 테스트 시퀀스의 처리를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시퀀스 발생기(5)에서 생성된 테스트 시퀀스는 시험신호로서 제 1 전송방향(3)에 있는 피검사장치(2)로 전송된다. 제 1 오류정정소자에서 테스트 시퀀스의 또 다른 처리는 선택적이며 또한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오류정정이 제 1 오류정정소자(6)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 1 오류정정소자(6)에서 테스트 시퀀스의 처리는 피검사장치(2)의 제 2 오류정정소자(7)에 있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역으로 되어, 제 1 전송방향(3)으로의 이상적인 전송의 경우에 또는 최적 오류정정의 경우에, 본래의 테스트 시퀀스가 피검사장치(2)의 제 2 오류정정소자(7)의 출력에서 완전히 재구성된다.
대조적으로, 실제 시스템에서 시험신호의 전송 또는 시험신호의 수신 및 평가 동안 적어도 어느 정도 오류가 부득이하게 발생된다. 이는, 제 2 오류정정소자 (7)의 출력에서 시험신호의 평가 후에, 시퀀스 발생기(5)에서 본래 생성된 테스트 시퀀스와는 내용이 다른 비트 시퀀스가 있음을 의미한다. 평가된 시험신호의 이러한 비트 시퀀스는 피검사장치(2)에 의해 제 2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이로부터 응답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검사장치(1) 및 피검사장치(2) 사이에 확립된, 특히 제 2 전송방향으로의, 접속요건에 일치하는 응답 시퀀스를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만드는 테스트 섹션(8)("테스트 루프(test loop)")이 사용된다. 제 1 전송방향(3)으로 피검사장치(2)로 전송된 데이터 블록의 길이가 상기 피검사장치(2)로부터 다시 제 2 전송방향(4)으로 상기 검사장치(1)로 전송된 데이터 블록의 길이보다 더 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길이가 더 짧은 제 2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데 필요로 하는 평가된 시험신호의 블록에서 첫번째 비트로 시작하는 데이터만이 사용된다. 이는 도 5의 설명을 참조로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부정확하게 인식된 비트들 또는 미인식된 비트들과는 별도로, 본래 발생된 테스트 시퀀스의 해당 부분과 일치하는 응답 시퀀스가 제 2 데이터 블록으로서 테스트 섹션(8)으로부터 발생된다. 응답신호로서 제 2 전송방향(4)으로 검사장치(1)로 다시 전송되기 전에, 이러한 제 2 데이터 블록은 제 3 오류정정소자(9)에서 오류정정을 위해 처리될 수 있다. 제 2 전송방향(4)으로의 전송경로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위해 제 3 오류정정소자(9)의 조치를 역으로 하는 대응하는 제 4 오류정정소자(10)가 검사장치(1)에 제공된다.
수신되고 평가된 응답신호가 상기 검사장치(1)의 평가장치(11)에 의해 전송되고, 예컨대, 평가된 응답신호 및 실제로는 검사장치(1)에 이미 알려진 테스트 시퀀스로부터 비트오류율(BER)이 결정된다. 이를 위해, 제 2 데이터 블록의 응답 시퀀스가 테스트 섹션(8)에서 생성되었던 테스트 시퀀스의 섹션이 평가장치(11)에 의해 상기 평가된 응답신호와 비트별로 비교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테스트 섹션(8)에서 제 2 데이터 블록의 응답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테스트 시퀀스의 주어진 섹션의 사용은 관련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표준에 의해 지정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나타낸 3세대 이동전화기의 예에서, 제 1 전송방향(3)으로의 데이터 속도가 제 2 전송방향(4)에서 보다 더 큰 경우, 테스트 시퀀스의 각각의 제 1 간섭 데이터(coherent data)가 제 2 데이터 블록의 응답 시퀀스를 발생하도록 사용된다. 이런 종류의 비트오류율을 판단함으로써 피검사장치(2)의 수신기 장치의 실제 품질을 입증하기 위해, 제 2 전송방향(4)으로의 전송은 평가된 응답신호가 실제로 제 2 데이터 블록의 응답신호와 정확하게 일치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가능한 최소의 간섭이 발생해야만 한다.
반대로, 페이딩 시뮬레이터(fading simulator)(12)도 또한 제 1 전송방향(3)으로의 실제 전송경로를 시뮬레이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예컨대, 다운링크(downlink)에서 실제 전송에서의 레벨 또는 시간변위의 취약성을 시뮬레이션하고 피검사장치(2)의 수신기 장치에 의해 상기 시험신호의 정확한 평가에 대한 영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검사장치(1') 및 피검사장치(2')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로 기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위해 검사장치(1) 및 피검사장치 (2)의 구성부품들은 도 2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들 부품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검사장치(1')는 시퀀스 발생기(5) 및 제 1 오류정정소자(6)이외에 변조기(13)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변조기를 통해, 상기 오류정정소자(6)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테스트 시퀀스가 고주파수 신호를 형성하도록 더 처리된다. 이러한 또 다른 공정은 다른 요인들 중에서 반송파 주파수에 기저대역 신호의 혼합을 포함하며, 이와 함께 그런 후에 나타나는 시험신호가 제 1 전송방향(3)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제 1 전송방향(3)으로 전송된 시험신호로부터 시퀀스 발생기(5)에서 생성된 시험신호의 원래 정보를 복구하기 위해 복조기(14)가 피검사장치(2')에 제공된다. 제 2 오류정정소자(7)에서 연이은 오류정정후에, 이런 식으로 평가된 시험신호가 테스트 섹션(8)에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또 다른 실시예가 테스트 섹션(8)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테스트 섹션(8)은 제 1 변형(8.1) 및 제 2 변형(8.2)을 구비한다. 제 1 변형(8.1) 및 제 2 변형(8.2)은 응답 시퀀스가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소위 "테스트 루프"가 배치될 수 있는 OSI 기준모델의 다른 계층들을 나타낸다.
주어진 전송 프로토콜에 대해, 이들 가능성은 관련된 표준에 명시되어 있다. UMTS 시스템의 예가 주어진 "계층 1" 또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이 표준에 명시되어 있다. 표준 사양에 따르면, 테스트 섹션(8)의 2개의 다른 변형(8.1 및 8.2)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이러한 선택은 바람직하게는 접속의 확립동안 피검 사장치(2')에 접속된 각각의 검사장치(1')에 의해 결정된다. 평가된 시험신호는 제 1 변형(8.1)에 대한 "계층 1" 또는 제 2 변형(8.2)에 대한 "RLC 계층"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양에 따라 제공되므로, 각각 이들 변형(8.1 또는 8.2) 중 하나에 의해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응답신호가 발생된다.
이러한 응답 시퀀스는 제 3 오류정정소자(9)를 지난다. 오류정정소자(9)의 기능은 또한 투명 방식(transparent mode)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오류정정이 응답 시퀀스의 제공된 데이터로 수행되지 않는다. 이는 소위 "투명 방식"이 또한 다른 오류정정소자에 대해 가능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사장치(1') 또는 각각 도 1의 검사장치(1)에 의한 접속의 확립동안 결정된다.
응답 시퀀스는 전송가능한 응답신호를 형성하도록 피검사장치(2')의 변조기(15)에 의해 한번 더 처리되므로, 상기 응답신호는 다시 피검사장치(2')에 의해 제 2 전송방향(4)에 있는 검사장치(1')로 최종적으로 전송된다. 검사장치(1')의 수신기에는 대응하는 복조기(16)가 설비되어, 수신된 응답신호가 수신되고 평가될 수 있다. 오류정정이 피검사장치(2')에 의해 실행된 경우, 복조된 응답신호가 제 4 오류정정소자(10)에 제공된 후에 완전히 평가된 응답신호가 최종적으로 평가장치(11)에서 원래 발생된 테스트 시퀀스와 비트별로 비교된다. 원래 발생된 테스트 시퀀스를 완전히 평가된 응답신호와의 비교함으로써, 예컨대, 비트오류율 또는 블록오류율이 평가장치(11)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블록오류율을 판단하는데 있어, 적어도 하나의 비트오류를 포함하는 모든 블록이 블록오류로서 평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UMTS 시스템에 대해서, 제 1 전송방향(3) 및 제 2 전송방향(4)에서의 데이터 속도는 검사장치(1')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접속의 확립동안, 검사장치(1')는 "테스트 루프"가 위치되는 피검사장치(2')내의 위치를, 즉, 테스트 섹션(8)의 제 1 변형(8.1)이나 제 2 변형(8.2)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검사장치(1')는 제 1 전송방향(3)에서 또는 제 2 데이터 블록에 대한 응답 시퀀스의 연이은 발생에서 전송후에 시험신호의 평가의 실제 실행에 관여하지 않으나, 피검사장치(2')는 관련된 표준에서 정의된 루틴을 실행한다.
응답신호를 평가하거나 이로부터 발생한 오류율을 결정하기 위해, 검사장치(1')는 평가된 응답신호가 이상적인 조건하에서 동일해야 하는 테스트 시퀀스의 섹션을 결정한다. 제 1 전송방향(3) 및 제 2 전송방향(4)에서 전송용으로 사용된 데이터 블록의 길이에 따라, 검사장치(1')는 제 1 데이터 블록의 길이가 제 2 데이터 블록의 길이보다 더 긴 경우 테스트 시퀀스의 대응하는 섹션과 평가된 응답신호의 전체 길이를 비교한다.
도 3은 제 3 오류정정소자(9)에 의해 또는 각각 검사장치(1 또는 1')에 있는 제 4 오류정정소자(10)에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데이터 시퀀스의 처리 동안 각각의 단계를 매우 간략화된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제 1 단계(17)에서 체크섬(checksum), 예컨대,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합이 응답시퀀스에 추가된다. 체크섬이 추가되는 이런 방식으로 생성된 응답 시퀀스는 다음 단계(18)에서, 예컨대, "컨볼루션 코딩(convolution coding)" 또는 "터보 코딩(turbo coding)"에 의해 부호화되며, 다양한 실행가능한 코딩 알고리즘이 관련된 전송표준 에 의해 확립된다.
제 3 단계(19)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시퀀스가 먼저 인터리브된다. 즉,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시퀀스에 포함된 정보 시퀀스가 기설정된 계획에 따라 변경된다. 그 후에, 단계 20에서, 각각의 데이터 패킷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데이터 패킷은, 예컨대, 주어진 시간 시스템을 따르는 프레임 구조의 사양에 따라 형성된다. UMTS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 속도는, 후속 단계 21에서, 비트 반복(bit repetition) 또는 비트 블랭킹(bit blanking)에 의한 물리적 채널(physical channel)과 정합된다. 물리적 채널은 전송된 데이터 속도에 따라 제 2 전송방향(4)에서 확립된다. 이 단계 후에 있게되는 시퀀스는 다음 단계 22에서 한번 더 인터리브되고, 그런 후에 상기 시퀀스는 직각 확산 코드(orthogonal spreading codes)를 사용하여 확산되어 진다. 확산 후에, 전송된 데이터는 칩 시퀀스(chip sequence)로서 제공된다.
그런 후 이런 형태로 있는 데이터가 제 2 방향(4')으로 상술된 방식으로 전송되며,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제 2 전송방향(4')은 단계 22에서 제 2 인터리빙 후에 또 다른 공정이 발생되는 것을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단계 17 내지 단계 22에서 응답 시퀀스를 사용하여 수행된 오류정정과정은 대응하는 공정단계(22' 내지 17')에서 검사장치(1 또는 1')에 있는 제 4 오류정정소자(10)에 의해 단계적으로 다시 삭제되며, 상기 공정단계(22' 내지 17')는 공정단계(17 내지 22)와 동일 하지만 역순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는 검사장치(1 또는 1')의 제 1 오류정정소자(6) 및 피검사장치(2 또는 2')의 제 2 오류정정소자(7)에서 오류정정을 위한 가능한 제 2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 23 및 단계 24는 도 3을 참조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17 및 단계 18에 해당한다. 그러나, 후속 단계 25에서, 데이터 속도는 비트 반복 또는 비트 블랭킹에 의해 물리적 채널과 정합된다. 이 단계 후에 제공된 시퀀스가 단계 26에서 인터리브된다. 단계 27에서, 상기 비트 블록은 관련된 전송표준에서 지정된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로 분할된다. 상기 프레임의 각각의 비트 패킷으로 분할된 정보가 단계 28에서 한번 더 인터리브된다.
공정단계 28' 내지 23'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한번 더, 피검사장치(2 또는 2')에 제공된 오류정정소자(7)는 제 1 오류정정소자(6)에서 오류정정을 위해 수행된 단계(23 내지 28)를 역으로 한다.
도 5는 비교 및 그 결과 오류율의 결정을 위해 검사장치(1 또는 1')의 평가장치(11)에 사용되는 제 2 데이터 블록이, 예컨대, 제 1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피검사장치(2 또는 2')에 의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예시한 것이다. 다운링크의 신호에 대해, 즉, 예로서 설명된 이동전화 시스템의 제 1 전송방향으로, 예컨대, 2880비트의 길이가 제 1 데이터 블록에 대해 결정된다. 이 데이터 용량이 전송될 전송시간(TTI, Transport Time Interval)이 추가로 결정된다. 결정된 데이터가 도 6a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제 1 데이터 블록은 2880비트의 총 길이를 제공하며, 상기 길이는 제 1 섹션 29.1 및 제 2 섹션 29.2으로 세분될 수 있다. 전체 제 1 데이터 블록(29)의 길이는 시퀀스 발생기(5)에서 생성된 테스트 시퀀스의 길이와 동일하다. 이 테스트 시퀀스는 상술한 방식으로 처리되며, 다른 요인들 중에서도, 체크섬(30)이 추가된 후에, 시험신호가 제 1 전송방향(3)에 있는 피검사장치로 전송된다.
제 2 오류정정소자(7)에서 오류정정이 투명 방식(transparent mode)으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시험신호의 처리는 체크섬(30)을 고려에 넣는다. 이에 대해, 관련된 손실정보가, 예를 들어, 중복정보로 정정될 수 있는 경우에는, 테스트 시퀀스의 원래 데이터 중 일부가 피검사장치(2 또는 2')의 제 2 오류정정소자(7)에 의해 정정된다.
제 1 섹션(29.1)로부터 시험신호의 평가에서 구한 데이터는 응답 시퀀스로서 응답신호에 사용된 데이터에 해당하며 그 결과 제 2 데이터 블록(31)을 형성한다. 제 1 섹션(29.1)의 내용으로서 피검사장치(2 또는 2')에 의한 평가에서 결정되는 이들 데이터가 상기 응답 시퀀스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응답 시퀀스는 피검사장치(2 또는 2')에 의해 형성된다. 평가시에, 제 1 데이터 블록 및 체크섬(30)의 전체 정보가 오류정정용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제 2 섹션(29.2)의 내용이 고려된다.
예컨대, 20㎳의 전송시간내에 또한 전송되어야만 하는 검사장치(1 또는 1')에 의해 결정되는 데이터 속도에 따르는 제 2 데이터 블록(31)의 길이는 1280비트이다. 따라서, 제 1 섹션(29.1)의 시험신호로부터 결정된 내용만이 제 2 전송 블록에 대한 데이터로서 사용되므로, 전체 제 2 데이터 블록(31)의 데이터 u'0 내지 u'k-1은 본래의 테스트 시퀀스의 평가된 데이터 u0 내지 uk-1로부터 발생된다. 제 2 전송방향(4)에 대한 파라미터가 도 6b에 나타나 있다.
응답 시퀀스에 대한 중복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체크섬(32)이 제 2 데이터 블록(31)의 이들 데이터에 추가된 후에, 상기 체크섬(32)과 함께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31)이 제 2 전송방향(4)에 있는 검사장치(1 또는 1')로 다시 전송된다. 그런 후 이 응답신호가 평가되며, 이는, 적어도 대략, 어떠한 전송오류도 제 2 전송방향(4)에서 발생하지 않았음이 적절한 시험환경에 의해 확실히 되어야 한다. 검사장치(1 또는 1')의 평가장치(11)에서, 상기 평가된 응답신호의 내용이 그런 후 제 1 데이터 블록(29)의 제 1 섹션(29.1)의 내용과 비트별로 비교된다.
기본적인 제 1 데이터 블록이 응답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 2 데이터 블록보다 더 짧은 시험신호로부터 응답 시퀀스를 만들기 위해, 예컨대, 채움 데이터(filling data)가 사용될 수 있거나 주어진 기정의된 비트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 후 데이터의 모든 편차에 대해, 비트 오류가 계산되고, 이로부터 전송된 총 비트 수에 대해 비트오류율이 판단된다. 블록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해, 비트오류가 발생한 각 블록이 동시에 블록 오류로서 계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데이터 속도들이 양방향 채널에서 2개의 전송방향에 사용되는 것이 측정결과의 통계값에 대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 다른 길이의 데이터 블록의 사용 이외에, 또한 다수의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을 사용하여 제 1 그룹으로부터 시험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그런 후, 각각의 데이터 속도가 단위시간당 전송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에 의해 판단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의 제 1 개수 Q 는 제 1 그룹(35)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은 모두 길이가 동일하다. 각각의 체크섬 34.0 내지 34.Q-1이 오류정정을 하기 위해 각각의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에 추가된다.
피검사장치(2 또는 2')에서 평가되는 시험신호가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의 이러한 그룹(35)으로부터 형성된다.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의 제 2 개수 R을 갖는 제 2 그룹(36)이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를 기초로 형성된다. 체크섬 38.0 내지 38.R-1이 제 2 그룹의 각각의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에 또한 추가된다.
특히, 제 2 그룹(36)의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은 제 1 그룹(35)의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해, 각각 제 1 및 제 2 그룹(35 및 36)의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 및 37.0 내지 37.R-1이 검사장치(1 또는 1')에서 서로 비트별로 비교된다.
2개의 전송방향(3 및 4)에서 다른 데이터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제 1 그룹(35)의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의 제 1 개수 Q 및 제 2 그룹(36)의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의 제 2 개수 R은 서로 다르다.
모든 데이터 블록에 대한 무오류 전송의 경우, 각각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 또는 37.0 내지 37.R-1의 낮은 개수 Q 또는 R를 갖는 그룹(36 또는 35)의 제 1 데이터 블록은 다른 그룹(36 또는 35)의 제 1 데이터 블록과 각각 일치한다. 그러나,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은, 예컨대,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의 매 두번째 블록과의 일치가 무오류 전송에 제공되는 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룹(35 및 36)에서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 및 37.0 내지 37.R-1의 개수 뿐만 아니라, 제 1 그룹(35)의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의 길이는 또한 제 2 그룹(36)의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한 그룹(35 또는 36)내의 각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 또는 37.0 내지 37.R-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서 동일하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그룹(35)의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의 체크섬 34.0 내지 34.Q-1의 포맷과 일치하는 제 2 그룹(36)의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의 체크섬 38.0 내지 38.R-1과는 다른 식으로, 도 8은 제 1 그룹(35)의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의 체크섬 34.0 내지 34.Q-1과는 포맷이 다른 체크섬 38.0' 내지 38.R-1'이 제 2 그룹(36)의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에 사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치하는 소자들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 1 그룹(35)의 데이터 블록 33.0 내지 33.Q-1의 제 1 개수 Q가 제 2 그룹(36)의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보다 더 큰 경우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제 1 전송방향(3)으로의 데이터 속도가 더 큰 가정에 해당한다. 다른 데이터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데이터 블록들에 대해 길이들이 다르듯이, 제 2 전송방향(4)으로의 데이터 속도가 또한 더 커질 수 있다. 해당하는 경우, 제 2 개수 R이 제 1 개수 Q보다 더 크다.
그런 후 데이터 블록 37.0 내지 37.R-1의 추가 개수에는 피검사장치(2, 2') 에 의해 기결정된 데이터 내용이 채워진다.
본 발명은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또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의 각 특징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에 포함됨.

Claims (22)

  1. 검사장치(1,1')에 의해 제 1 길이의 제 1 데이터 블록(29)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1,1')에 의해, 제 1 데이터 속도로 제 1 데이터 블록(29)으로부터 생성된 시험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피검사장치(2,2')에 의해 상기 시험신호를 수신 및 평가하는 단계;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29)의 제 1 길이와는 다른 제 2 길이의 제 2 데이터 블록(31)을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검사장치(2,2')에 의해 상기 제 1 데이터 속도와는 다른 제 2 데이터 속도로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31)으로부터 생성된 응답신호를 반송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 및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29)이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보다 더 긴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의 대응하는 섹션(29.1)을 상기 평가된 응답신호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29)이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보다 더 긴 경우 상기 평가된 응답신호의 대응하는 섹션을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29)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오류율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및 피검사장치(2,2')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길이가 상기 제 2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31)은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의 일부(2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길이가 상기 제 1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31)은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29)의 내용과 채움 데이터(filling dat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1,1')의 송수신기 장치는 상기 피검사장치(2,2')의 OSI 기준모델의 어떤 면상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31)이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길이 및 상기 제 2 길이는 상기 검사장치와 피검사 장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되는 동안 상기 검사장치에 의한 전송방향인 제 1 전송방향(3) 및 반송방향인 제 2 전송방향(4)에 대하여 상기 검사장치(1,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6. 검사장치(1,1')에 의해, 제 1 개수(Q)의 데이터 블록(33.0, …, 33.Q-1)을 갖는 제 1 그룹(35)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1,1')에 의해, 제 1 데이터 속도로 상기 데이터 블록(33.0, …, 33.Q-1)의 상기 제 1 그룹(35)으로부터 생성된 시험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피검사장치(2,2')에 의해 상기 시험신호를 수신 및 평가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룹(35)의 데이터 블록(33.0, …, 33.Q-1)의 상기 제 1 개수(Q)와는 다른, 제 2 개수(R)의 데이터 블록(37.0, …, 37.R-1)을 갖는 제 2 그룹(36)을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검사장치(2,2')에 의해, 상기 제 1 데이터 속도와는 다른 제 2 데이터 속도로 상기 데이터 블록(37.0, …, 37.R-1)의 제 2 그룹(36)으로부터 생성된 응답신호를 반송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 및 평가하는 단계;
    제 1 개수(Q)가 상기 제 2 그룹(36)의 제 2 개수(R)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 1 그룹(35)의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33.0, …, 33.Q-1)을 상기 평가된 응답신호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또는 제 2 개수(R)가 상기 제 1 그룹(35)의 제 1 개수(Q)보다 더 큰 경우, 상기 평가된 응답신호의 제 2 그룹(36)의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37.0, …, 37.R-1)을 상기 데이터 블록(33.0, …, 33.Q-1)의 제 1 그룹(35)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오류율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장치와 피검사장치(2,2')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수(Q)가 상기 제 2 개수(R)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그룹의 데이터 블록들은 상기 평가된 제 1 그룹(35)의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들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수(R)가 상기 제 1 개수(Q)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그룹의 데이터 블록은 채움 데이터 및 상기 평가된 제 1 그룹의 데이터 블록들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1,1')의 송수신기 장치는 상기 피검사장치(2,2')의 OSI 기준모델의 어떤 레벨상에서 상기 데이터 블록(37.0, …, 37.R-1)의 제 2 그룹(36)이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생성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35,36)의 데이터 블록(33.0, …, 33.Q-1; 37.0, …, 37.R-1)의 상기 제 1 및 제 2 개수(Q,R)는, 상기 검사장치와 피검사 장치 사이의 접속의 확립 동안 상기 검사장치에 의한 전송방향인 제 1 전송방향(3) 및 반송방향인 제 2 전송방향(4)에 대하여 상기 검사장치(1,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35, 36)의 데이터 블록(33.0, …, 33.Q-1; 37.0, …, 37.R-1)의 상기 제 1 및 제 2 개수(Q,R)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향(3,4)에서 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대 길이의 데이터 블록(29, 31, 33.0, …, 33.Q-1; 37.0, …, 37.R-1)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향(3,4)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신호 및 상기 응답신호는 기저대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율 판단방법.
  14. 제 1 길이를 갖는 제 1 데이터 블록(29)의 생성을 위한 시퀀스 발생기(5), 제 1 데이터 블록(29)으로부터 생성된 시험신호의 전송 및 상기 제 1 길이와는 다른 제 2 길이를 갖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장치(2,2')에 의해 전송된 응답신호의 수신 및 평가를 위한 송수신기 장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블록(29,30)의 내용의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장치(11)를 구비하고, 상기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평가장치(11)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블록들 중 더 짧은 데이터 블록의 내용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블록들 중 더 긴 데이터 블록의 대응하는 부분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전송방향(3)으로 피검사장치(2,2')로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기 장치에 대한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한 검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피검사장치(2,2')의 OSI 기준모델의 어떤 레벨상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31)이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생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에 의한 전송방향인 제 1 전송방향(3) 및 반송방향인 제 2 전송방향(4)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 블록(29,31)의 길이가 상기 수신기 장치와 피검사 장치 사이의 접속의 확립동안 상기 검사장치(1,1')에 의해 판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장치.
  17. 제 1 개수(Q)의 데이터 블록(33.0, …, 33.Q-1)을 갖는 제 1 그룹(35)을 생성하는 시퀀스 발생기(5), 상기 데이터 블록(33.0, …, 33.Q-1)의 제 1 그룹으로부터 생성된 시험신호의 전송 및 상기 제 1 개수(Q)와는 다른 제 2 개수(R)의 데이터 블록(37.0, …, 37.R-1)을 갖는 제 2 그룹(36)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장치(2,2')로부터 제 2 방향(4)으로 전송된 응답신호의 수신 및 평가를 위한 제 1 송수신기 장치, 및 상기 데이터 블록(33.0, …, 33.Q-1; 37.0, …, 37.R-1)의 상기 두 그룹(35,36)의 내용에 대한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장치(11)를 구비하고,
    상기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한 상기 평가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 블록(33.0, …, 33.Q-1; 37.0, …, 37.R-1) 중 각각의 더 작은 개수(Q,R)를 갖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그룹(35,36)의 상기 데이터 블록(33.0, …, 33.Q-1; 37.0, …, 37.R-1)의 내용은 상기 데이터 블록(37.0, …, 37.R-1; 33.0, …, 33.Q-1) 중 더 큰 개수(R,Q)를 갖는 상기 제 2 또는 제 1 그룹(36,35)의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37.0, …, 37.R-1; 33.0, …, 33.Q-1)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전송방향(3)으로 피검사장치(2,2')로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기 장치에 대한 오류율을 판단하기 위한 검사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피검사장치(2,2')의 OSI 기준모델의 어떤 레벨에서 상기 데이터 블록(37.0, …, 37.R-1)의 제 2 그룹(36)이 상기 평가된 시험신호로부터 생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에 의한 전송방향인 제 1 전송방향(3) 및 반송방향인 제 2 전송방향(4)에 대한 상기 데이터 블록33.0, …, 33.Q-1; 37.0, …, 37.R-1)의 각 그룹(35,36)의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개수(Q,R)가 상기 수신기 장치와 상기 피검사 장치 사이의 접속확립동안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판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35,36)의 데이터 블록(33.0, …, 33.Q-1; 37.0, …, 37.R-1)의 상기 제 1 및 제 2 개수(Q,R)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향(3,4)에서 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장치.
  21.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대 길이의 데이터 블록(29,31,33.0, …, 33.Q-1; 37.0, …, 37.R-1)이 적어도 하나의 전송방향(3,4)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장치.
  22.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신호 및 상기 응답신호는 기저대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장치.
KR1020057022829A 2003-05-30 2004-05-27 오류율 판단 방법 및 검사장치 KR101049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4745.9 2003-05-30
DE10324745A DE10324745A1 (de) 2003-05-30 2003-05-30 Verfahren und Testgerät zum Ermitteln einer Fehlerrate
PCT/EP2004/005729 WO2004107653A1 (de) 2003-05-30 2004-05-27 Verfahren und testgerät zum ermitteln einer fehler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064A KR20060014064A (ko) 2006-02-14
KR101049517B1 true KR101049517B1 (ko) 2011-07-15

Family

ID=3348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829A KR101049517B1 (ko) 2003-05-30 2004-05-27 오류율 판단 방법 및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250972A1 (ko)
EP (1) EP1629632B1 (ko)
JP (1) JP4460575B2 (ko)
KR (1) KR101049517B1 (ko)
CN (1) CN100512156C (ko)
AT (1) ATE461567T1 (ko)
CA (1) CA2522353A1 (ko)
DE (2) DE10324745A1 (ko)
DK (1) DK1629632T3 (ko)
ES (1) ES2340282T3 (ko)
WO (1) WO2004107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3884C (zh) * 2006-09-22 2008-11-12 北京天碁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无线终端设备接收质量的系统与方法
DE102006045182A1 (de) * 2006-09-25 2008-04-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Signalgenerator und Verfahren zum Testen einer Basisstation
DE102007013756A1 (de) 2007-03-22 2008-09-25 Rhode & Schwarz Gmbh & Co. Kg Umschaltvorrichtung
DE102007038337A1 (de) 2007-08-14 2009-02-19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m Testen von Geräten für ein Mobilfunksystem, Signalgenerator, Gerät für ein Mobilfunksystem und Messsystem
DE102007039174A1 (de) * 2007-08-20 2009-02-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m Testen der Zuweisung einer Übertragungsfrequenz, Testgerät und Basisstation
DE102009023989A1 (de) * 2009-06-05 2010-12-16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einer Bitfehlerrate und/oder eines Datendurchsatzes
US8578221B1 (en) * 2010-12-23 2013-11-05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bit error rate and block error rate of device under test
US10158552B2 (en) * 2016-08-12 2018-12-18 W2Bi, Inc. Device profile-driven automation for cell-based test systems
US10701571B2 (en) 2016-08-12 2020-06-30 W2Bi, Inc. Automated validation and calibration portable test systems and methods
US10681570B2 (en) 2016-08-12 2020-06-09 W2Bi, Inc. Automated configurable portable test systems and methods
CN106487485A (zh) * 2016-10-17 2017-03-08 南京迈途迈智能科技有限公司 无线终端双向误码率简易测试方法
DE102016221660A1 (de) * 2016-11-04 2018-05-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zum kommunizieren mit einem transponder sowie system zum kommunizieren
CN106603171B (zh) * 2017-02-21 2020-06-0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终端接收机误比特率的测试方法及设备
US11228380B2 (en) 2019-10-29 2022-01-18 Keysight Technologies, Inc. Bit error ratio (BER) measurement including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on back channel
US11742979B2 (en) * 2019-12-18 2023-08-29 Siemens Industry Software Inc. Transmission rate adaptation
CN111901198B (zh) * 2020-07-29 2021-11-26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高速数字解调器自动化并行测试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163A (en) * 1992-09-09 1995-02-14 Nec Corporation Data exchange capable of minimizing loss of a data block
US6377817B1 (en) 1999-05-03 2002-04-23 Nokia Mobile Phones Ltd. Asymmetric data transmission for use in a multi-modulation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8816A1 (de) * 1978-09-06 1980-03-20 Tekade Felten & Guilleaume Schleifentest fuer datenuebertragungsstrecken
FR2651944B1 (fr) * 1989-09-08 1991-10-25 Bonnifait Michel Equipements de controle de qualite pour liaisons de transmission numeriques.
US6169763B1 (en) * 1995-06-29 2001-01-02 Qualcomm Inc. Characterizing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frame aligned test signals
US5764221A (en) * 1996-03-19 1998-06-09 Willard Technologies, Inc. Data collection system
US6069876A (en) * 1997-02-13 2000-05-30 Nortel Networks Corporation Performance monitoring of an ATM Network
US5828672A (en) * 1997-04-30 1998-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imation of radio channel bit error rate in a digital radio telecommunication network
FI107862B (fi) * 1999-02-23 2001-10-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radiolaitteen toimivuuden testaamiseksi ja matkaviestin
DE10063243A1 (de) * 2000-12-19 2002-06-27 Siemens Ag Verfahren zum Ermitteln der Übertragungsqualität in einem Übertragungssytem sowie entsprechendes Übertragungssystem
FI110734B (fi) * 2001-03-16 2003-03-14 Nokia Corp Kanavakoodekkien testisilmukoi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163A (en) * 1992-09-09 1995-02-14 Nec Corporation Data exchange capable of minimizing loss of a data block
US6377817B1 (en) 1999-05-03 2002-04-23 Nokia Mobile Phones Ltd. Asymmetric data transmission for use in a multi-modulation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2353A1 (en) 2004-12-09
CN1799220A (zh) 2006-07-05
JP4460575B2 (ja) 2010-05-12
ES2340282T3 (es) 2010-06-01
CN100512156C (zh) 2009-07-08
DK1629632T3 (da) 2010-07-19
KR20060014064A (ko) 2006-02-14
EP1629632A1 (de) 2006-03-01
DE502004010912D1 (de) 2010-04-29
US20060250972A1 (en) 2006-11-09
DE10324745A1 (de) 2004-12-30
ATE461567T1 (de) 2010-04-15
WO2004107653A1 (de) 2004-12-09
EP1629632B1 (de) 2010-03-17
JP2006526340A (ja)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517B1 (ko) 오류율 판단 방법 및 검사장치
CA1223649A (en) Method for improving message reception from multiple sources
US70037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multimode decoding
EP11905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using parity check combining
CN101176288B (zh) 通信设备、所述设备中的接收方法、编解码器、解码器、通信模块、通信单元以及解码方法
CN101720537B (zh) 高速共享控制信道的检测控制信道消息的方法和装置
JP4386587B2 (ja) 符号化または復号化方法および符号化または復号化装置
US8230306B2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channel decoding
WO2002035761A3 (en) Method for superimposing a sequence number in an error detection code (crc) in a data network
CN101116360A (zh) 重传方法和系统
US2007029732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rq Data Transmission
WO2002017550A2 (en) Two stage data packet processing scheme
US9246643B2 (en) Method of determining an error rate and a suitable testing device
AU755295B2 (en) Packet-switched data transmission in radio system
US7620871B2 (en) Method and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ing an error rate without incremental redundancy
ZA200110464B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using parity check combining.
JP4659049B2 (ja) 通信ステーションにおいて受信されるデータセグメントを無効として拒絶するかどうかを選択する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10612682A (zh) 基于有效和调度码率的nb-iot下行链路控制信道中的误报检测
KR100324202B1 (ko) 유휴비트를 활용한 적응형 에러 제어 방법
KR2006001457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수신측에서의 제어정보의 수신 판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