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863B1 -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863B1
KR101048863B1 KR1020090129186A KR20090129186A KR101048863B1 KR 101048863 B1 KR101048863 B1 KR 101048863B1 KR 1020090129186 A KR1020090129186 A KR 1020090129186A KR 20090129186 A KR20090129186 A KR 20090129186A KR 101048863 B1 KR101048863 B1 KR 101048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collecting module
current collecting
vehicle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311A (ko
Inventor
조동호
서인수
유병역
설동균
윤 정
강대준
윤대훈
김중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2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8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집전모듈의 장착 구조의 개선을 통해 장착 및 탈거가 보다 간단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더불어 유지 보수시간 및 노동력의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집전모듈이 차량의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하부프레임 측면부에 록커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모듈이 고정되는 집전모듈 프레임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는 수평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레버 선단에는 상기 집전모듈의 장착시 차량 하부프레임의 측면부와의 간섭을 지나 상기 록커 고정홀에 삽입되는 록커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레버 외측에는 록커가 상기 록커 고정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록커에 대해 미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전기자동차, 집전모듈, 장착, 록커, 탄성

Description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pick-up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in on-lin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집전모듈의 장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집전장치는 급전도로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힘을 전기에너지로 받는 트랜지스터의 원리가 적용되며, 충전된 전기 배터리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EV)와는 달리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무선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기존에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집전모듈을 차량 하부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방법인 볼트 체결을 하고 있으나, 이는 공정이 다소 번거로우며 특히 유지 보수를 위한 탈거에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볼트 체결 방식은 집전모듈의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 및 노동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집전모듈의 장착 구조의 개선을 통해 장착 및 탈거가 보다 간단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더불어 유지 보수시간 및 노동력의 절감할 수 있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집전모듈이 차량의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하부프레임 측면부에 록커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모듈이 고정되는 집전모듈 프레임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는 수평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레버 선단에는 상기 집전모듈의 장착시 차량 하부프레임의 측면부와의 간섭을 지나 상기 록커 고정홀에 삽입되는 록커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레버 외측에는 록커가 상기 록커 고정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록커에 대해 미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집전모듈의 장착 구조의 개선을 통해 장착 및 탈거가 보다 간단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더불어 유지 보수시간 및 노동력의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 집전모듈이 차량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 사시도이고, 도 2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 집전모듈이 차량 하부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 집전모듈 고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선을 따른 요부 단면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집전모듈이 차량의 하부프레임(2)에 고정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에 록커 고정홀(200)을 형성하고, 상기 집전모듈(1)이 고정되는 집전모듈 프레임(3)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는 수평레버(4)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레버(4) 선단에는 상기 집전모듈(1)의 장착시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와의 간섭을 지나 상기 록커 고정홀(200)에 삽입되는 록커(5)를 설치하며, 상기 수평레버(4) 외측에는 상기 록커(5)가 상기 록커 고정홀(200)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록커(5)에 대해 미는 힘을 부여하는 압축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6)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레버(4) 끝단부에는 상기 록커(5)를 상기 차량 하부프레 임(2)의 측면부(20)에 형성된 록커 고정홀(200)로부터 석방시켜 상기 집전모듈(1)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레버(7)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조작레버(7)는 집전모듈 프레임(3)의 조작레버 설치공(300)이 형성된 면상에 시소(seesaw) 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록커(5)는 상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하부측이 수평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커(5)와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와의 간섭에 의해 록커(5)가 후퇴시 탄성부재(6)가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버팀면은 상기 집전모듈 프레임(3)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 하단부도 상기 록커(5)의 경사면에 대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집전모듈을 차량의 하부프레임(2)에 장착시에는 집전모듈(1)이 고정된 집전모듈 프레임(3)을 차량의 하부로부터 밀어 올리게 되는데, 초기에는 록커(5) 상면이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와 간섭함에 따라 탄성부재(6)가 압축되면서 록커(5)가 차체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 내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커(5)의 끝단부가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계속 집전모듈 프레임(3)을 위로 올리게 되어 록커(5)가 차량 하부프레임(2)의 록커 고정홀(200)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부재(6)의 복원력에 의해 록커(5)가 상기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에 형성된 록커 고정홀(200) 내로 진입하게 되며, 이로써 집전모듈(1)의 장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집전모듈을 차량의 하부프레임(2)으로부터 탈거시에는, 조작레버(7)를 탄성부재(6)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는데, 상기 조작레버(7)에 작용하는 당김력은 조작레버(7)를 시소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7)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조작레버(7)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된 수평레버(4) 및 이에 연결된 록커(5) 역시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 하부프레임(2)의 록커 고정홀(200)에서 이탈하게 됨에 따라 집전모듈 프레임(3)의 탈거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록커(5)는 상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하부측이 수평면이 형성되는데, 이는 집전모듈의 차량 장착시 록커(5)와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용이하고, 대신 록커(5)가 상기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에 형성된 록커 고정홀(2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록커(5)가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의 록커 고정홀(200)을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 하단부도 상기 록커(5)의 경사면에 대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집전모듈 프레임(3)의 차량 장착시 록커(5)와 차량 하부프레임(2)의 측면부(20)와의 간섭을 피하는데 더욱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집전모듈(1)이 고정된 집점모듈 프레임을 차량 하부프레임(2)의 위치에 맞추어 위로 밀어올리기만 일정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집전모듈 프레임(3)과 차량 하부프레임(2)간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고, 조작레버(7)만 당기면 록커(5)가 석방되어 집전모듈이 차량 하부프레임(2)으로부터 손쉽게 탈거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집전모듈의 장착 구조의 개선을 통해 장착 및 탈거가 보다 간단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더불어 유지 보수시간 및 노동력의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 집전모듈이 차량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 사시도
도 2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 집전모듈이 차량 하부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선을 따른 단면 상세도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 집전모듈 고정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집전모듈 2: 차량 하부프레임
20: 하부프레임 측면부 200: 록커 고정홀
3: 집전모듈 프레임 4: 수평레버
5: 록커 6: 탄성부재
7: 조작레버 300: 조작레버 설치공

Claims (4)

  1. 집전모듈이 차량의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하부프레임의 측면부에 록커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전모듈이 고정되는 집전모듈 프레임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는 수평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레버 선단에는 상기 집전모듈의 장착시 차량 하부프레임의 측면부와의 간섭을 지나 상기 록커 고정홀에 삽입되는 록커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레버 외측에는 록커가 상기 록커 고정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록커에 대해 미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버 끝단부에는 상기 록커를 상기 차량 하부프레임 측면부에 형성된 록커 고정홀로부터 석방시켜 상기 집전모듈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레버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조작레버는 집전모듈 프레임의 조작레버 설치공이 형성된 면상에 시소(seesaw) 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하부측이 수평면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하부프레임 측면부의 단부를 상기 록커의 경사면에 대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을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KR1020090129186A 2009-12-22 2009-12-22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KR10104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186A KR101048863B1 (ko) 2009-12-22 2009-12-22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186A KR101048863B1 (ko) 2009-12-22 2009-12-22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11A KR20110072311A (ko) 2011-06-29
KR101048863B1 true KR101048863B1 (ko) 2011-07-13

Family

ID=4440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186A KR101048863B1 (ko) 2009-12-22 2009-12-22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8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95B1 (ko) * 2005-06-02 2006-07-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JP2008054424A (ja) * 2006-08-24 2008-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並びに車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95B1 (ko) * 2005-06-02 2006-07-12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JP2008054424A (ja) * 2006-08-24 2008-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並びに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11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0231A1 (en) Battery pack fix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replacing apparatus
CN110254278B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系统
CN204886435U (zh) 电动汽车行车道路非接触型供电的装置
KR101048863B1 (ko)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용 집전모듈 장착 구조
KR101284315B1 (ko) 전기차량의 배터리 교환시스템
CN104282507B (zh) 一种紧凑型节能电磁操作机构
CN207705621U (zh) 一种建筑施工用移动式开关柜
CN203401993U (zh) 一种闭合轨道运行巡检小车的自动供电设备
CN206605480U (zh) 一种电磁式小零件夹取安装装置
CN208411326U (zh) 用于智能自动导引小车的牵引伸缩销机构
CN212044788U (zh) 一种电子精密机械零件抓取装置
CN205029537U (zh) 轻型货车振动能量回收装置
CN211809113U (zh) 机械停车装置的充电装置
CN204444575U (zh) 一种拉杆箱
KR20210010140A (ko) 무인 주행 작업차의 충전용 도킹 충전기
CN206368617U (zh) 一种新型电磁固定器
CN206172814U (zh) 取电设备
CN218997359U (zh) 一种高压pt柜
CN218040910U (zh) 一种应用双路供电系统的砂石输送机
CN104901369A (zh) 一种电瓶车泊车自动充电系统
CN204480980U (zh) 一种紧凑型节能电磁操作机构
CN214176316U (zh) 一种具有正反提示功能的汽车用充电接口
CN214958811U (zh) 适用于微电网的过流保护变电装置
CN108790926A (zh) 适用垂直循环立体车库的无线充电装置
CN216085815U (zh) 一种一键控制操作的智能型移开式高压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