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571B1 -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571B1
KR101048571B1 KR1020090064402A KR20090064402A KR101048571B1 KR 101048571 B1 KR101048571 B1 KR 101048571B1 KR 1020090064402 A KR1020090064402 A KR 1020090064402A KR 20090064402 A KR20090064402 A KR 20090064402A KR 101048571 B1 KR101048571 B1 KR 10104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ubber brush
mascara
brus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829A (ko
Inventor
박학규
Original Assignee
박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규 filed Critical 박학규
Priority to KR102009006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5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46B2200/106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including comb like element

Landscapes

  •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계열의 고무를 이용하여서 만든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러버 브러시본체로 인서트 성형되는 보강삽입부재의 구조를 제자리 나사의 형태로 개선하여 나사산의 곡저부(谷低部 : 낮은 골, 계곡부)에 밀착된 러버 브러시 본체(rubber : 고무 성분)와 보강삽입부재(철소재)의 서로 상이한 열팽창 계수 및 멸균소독 등에도 러버 브러시본체로부터 보강삽입부재가 분리됨 없이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사형의 러버모를 가지는 러버 브러시의 신뢰성을 높인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눈에 자극이 적으며 부드럽게 속눈썹을 빗어 올리 화장이 가능한 러버모(22)가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 외주면에서 방사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뚜껑(100)으로 조립 형성되는 솔대(110)와 체결되는 보강삽입부재(30)가 상기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에 인서트 형성되어서 된 러버 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로 인서트 형성되어지는 보강삽입부재(30)는 상기 지지체(21)에 대하여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제자리나사산(31)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러버브러시, 러버브러시본체, 지지체, 보강삽입부재, 제자리나사산

Description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mascara lubber brush}
본 발명은 실리콘계열의 고무를 이용하여서 만든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러버 브러시본체로 인서트 성형되는 보강삽입부재의 구조를 제자리 나사의 형태로 개선하여 나사산의 곡저부(谷低部 : 낮은 골, 계곡부)에 밀착된 러버 브러시 본체(rubber : 고무 성분)와 보강삽입부재(철소재)의 서로 상이한 열팽창 계수 및 멸균소독 등에도 러버 브러시본체로부터 보강삽입부재가 분리됨 없이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사형의 러버모를 가지는 러버 브러시의 신뢰성을 높인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을 길고 짙게 보이도록 꾸미는데 쓰이는 화장품이다.
속눈썹은 곧게 뻗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웨이브를 형성하여 속눈썹을 아름답게 해 주게 되는데, 그때 사용하는 화장도구사 마스카라브러시이다.
마스카라액을 위쪽 속눈썹에 발라 화장하는 방법은 브러시에 묻은 마스카라액의 양을 조절한 후, 시선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속눈썹의 뿌리 쪽으로부터 쓰다듬어 내리듯이 빗어주면서 발라주고 다음엔 브러시를 아래에서 위로 치켜 올리듯 이 빗어주면서 발라준다.
상기와 같이 빗질을 하듯이 속눈썹에 마스카라액을 바를때 브러시를 지그재그로 움직이면서 올려주면 마스카라액이 속눈썹에 대하여 더욱 잘 도포되어 뚜렷한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아래쪽 속눈썹에 마스카라액을 바르는 방법은 브러시를 세로로 세워 속눈썹을 좌우로 움직여 바른 다음 속눈썹 결을 따라 살짝살짝 바른다.
속눈썹을 더욱 선명하게 표현하고 싶다면 한올씩 섬세하게 바라 깨끗하고 또렷한 눈매를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 및 방식으로 사용되는 마스카라브러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의 일반적인 구조는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개폐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브러시가 장착된 마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의 마스카라는 브러시에 내용물을 적당량 묻힌 다음에 브러시를 돌려가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속눈썹 화장을 할 수 있도록된 브러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두가닥의 철심에 나이론모(모브러시)를 놓고 나사선 모양으로 일정횟수 꼬아서된 나이론브러시와, 실리콘계열의 고무를 원료로 성형한 러버브러시로 나누어진다.
상기에서 기술한 브러시중 최근에는 눈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소비자들로 하여금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된 러버브러시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속눈썹 화장시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화장할 수 있도록된 러버브러시는 디스크형과 방사형을 이루는 러버브러시모로 이루어진 두가지 타입이 있다.
상기의 러버브러시중 러버브러시가 방사형을 이루는 러버브러시의 대표적인 실시예로는 특허출원번호 제2001-7011441호로 출원하여 2002년 12월 20일에 공개번호 2002-95018호로 공개된 "액체 또는 점성매체용 도포브러시 특히 마스카라와 같은 화장품용 도포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반면, 디스크형 러버브러시로는 특허출원 제2007-51702호로 출원되어 2008년 6월 17일자에 특허제10-840781호로 등록된 "마스카라용 심부재 삽입형 브러쉬의 제조방법 및 그 브러쉬를 제조하기 위한 트렌스퍼 금형"이 있다.
상기의 선발명 중 특허출원번호 제2001-7011441호의 액체 또는 점성매체용 도포브러시, 특히 마스카라와 같은 화장품용 도포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포(塗布)브러시는 탄성중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핑거들이 방사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의 내부에 보강삽입물이 삽입 형성되어서 된 것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진 특허출원번호 제2001-7011441호의 도포(塗布)브러시를 이용하여 속눈썹 화장시 눈에 자극이 없고,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선출원발명(2001-7011441)은 지지체에 인서트 성형된 된 보강삽입물이 쉽게 분리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체와 보강삽입물이 분리되어지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원인중의 하나는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열처리 소 독을 할 때이다.
그 이유는 열처리 소독을 할 때 러버인 지지체와 금속인 보강삽입물의 열팽창계수가 달라 열처리 소독 후, 지지체와 보강삽입물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지지체와 보강삽입물의 결속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문제로 인하여 현재까지 생산 판매되어지는 러버브러시는 열처리 소독한 후 제품의 결속력에 대한 세심한 관찰 및 중점관리를 하고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러버브러시는 사용자들의 위생을 안전하게 담보할 수가 없었다,
또한 러버브러시를 용기에 수용된 마스카라액에 담가둔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마스카라액과의 화학적이 반응 내지 용기로부터 빼내어 사용을 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브러시에 당겨지는 힘이 반복 지속되어짐으로써, 지지체와 보강삽입물의분리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러버브러시가 선발명 특허제10-840781호로 등록된 "마스카라용 심부재 삽입형 브러쉬이다.
상기의 러버브러시는 어플리케이터는 물론 솔대와 연결되어지는 부위까지 러버로 도포 형성한 것으로써, 선출원발명과 같이 심부재가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쉽게 분리되어지는 문제점은 어느 정도 해소되었으나,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연결부를 솔대에 연결할 때 연결부를 감싸고 있는 러버가 쿠션역할을 하게 되어 견고한 연결을 도모할 수가 없다.
더불어 선등록발명인 특허제10-840781호는 연결부위에 휘어짐이 발생할 경우, 연결부위의 심부재를 감싸고 있는 러버의 두께가 얇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선등록발명 특허제10-840781호 역시 선출원발명에서 기술하였듯이 열처리 소독을할 때 심부재와 어플리케이터의 열팽창계수 차리로 인해 분리되는 현상은 해소되어지지 않아 어플리케이터에 휘어짐이 크게 일어날 경우, 터지는 문제까지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까지 생산 판매되어지는 러버브러시는 열처리 소독 과정을 거친 후 제품의 결속력에 대한 세심한 관찰 및 중점관리를 하고 판매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그로인하여 선등록발명의 버브러시 사용자들의 위생을 안전하게 담보할 수가 없다.
상기에서 기술한 선출원발명과 선등록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한 러버브러시가 특허등록 제10-0899236호의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이다.
상기 선등록특허 제10-0899236호는 러버 브러시체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보강삽입부재에 응결부재를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응결부재는 사출공정에서 투입되는 용융된 러버의 온도에 의하여 그 끝단부가 녹아 결합 및 융융되면서 러버 브러시체의 지지체에 대하여 응결되어지도록 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선등록특허 제10-0899236호는 청결 사용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열처리 소독시에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야기되었던 러버 브러시체와 보 강삽입부재 사이의 틈 발생으로 야기되었던 보강삽입부재와 러버 브러시체의 분리현상을 해소하였고, 견고한 결속으로 러버 브러시의 신뢰성 향상과 더불어 시장경쟁력을 높인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보강삽입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여 많은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는 제조상의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러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보강삽입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없을 경우 보강삽입부재의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을 초래하여 출하되는 완제품의 소비자가격을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러버 브러시체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내부로 인서트 되는 보강삽입부재의 외주면을 제자리나사산으로 형성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 시킴으로써, 러버 브러시 생산에 따른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생산공정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보강삽입부재의 구조 단순화와 생산성 향상은 러버 브러시본체의 생산원가를 낮추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출하되는 완제품의 소비자 가격을 현저하게 낮춘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눈에 자극이 적으며 부드럽게 속눈 썹을 빗어 올리 화장이 가능한 러버모(22)가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 외주면에서 방사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뚜껑(100)으로 조립 형성되는 솔대(110)와 체결되는 보강삽입부재(30)가 상기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에 인서트 형성되어서 된 러버 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로 인서트 형성되어지는 보강삽입부재(30)는 상기 지지체(21)에 대하여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제자리나사산(31)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10)는, 러버 브러시본체(20)를 형성하는 지지체(21)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보강삽입부재(30)의 외주면이 제자리나사산(31)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첫째, 보강삽입부재의 구조 단순화를 꾀함과 더불어 구조 단순화에 따른 러버 브러시 생산에 따른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였고;
둘째, 생산공정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러버 브러시(10)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보강삽입부재(30)의 구조 단순화와 생산성 향상은 러버 브러시(10)의 생산원가를 낮추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출하되는 완제품의 소비자 가격을 현저하게 낮추었고;
넷째, 보강삽입부재(30)의 외주면을 이루는 제자리나사산(31)에 의해 지지 체(21)가 결속되어짐에 따라 청결 사용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열처리 소독시에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야기되었던 러버 브러시본체(20)와 보강삽입부재(30) 사이의 틈 발생으로 보강삽입부재(30)가 러버 브러시본체(20)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해소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는, 눈에 자극이 적으며 부드럽게 속눈썹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러버로 된 마스카라 브러시이다.
상기 러버 브러시(10)는 러버 브러시본체(20)와 보강삽입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러버 브러시본체(20)는 보강삽입부재(30)가 삽입 형성되는 지지체(21)와, 상기 지지체(21)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을 이루며 형성되는 러버모(22)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에 삽입 형성되는 보강삽입부재(30)에는 지지체(21)의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자리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삽입부재(30)의 제자리나사산(31)상에는 톱니형 요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러버 브러시(10)는 수동 마스카라와 전동 마스카라 모두에 적용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원 발명의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는 사출기계의 금형에 전처리 공정을 거쳐 외주면에 제자리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삽입부재(30)가 자동공급되어진 상태에서 러버 브러시본체(20) 원료인 러버를 공급하므로써, 제자리나사산(31)을 포함하는 보강삽입부재(30)를 내측으로 가지는 러버 브러시(10)가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로 삽입 위치하는 보강삽입부재(30)의 제자리나사산(31)가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에 대하여 견고한 결속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자리나사산(31)이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에 대하여 견고한 결속을 이룸으로써, 보강삽입부재(30)가 러버 브러시본체(20)로부터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러버 브러시(10)는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 외주면 외주면을 따라 러버모(22)가 방사형을 이루며 형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성형 된 러버 브러시(10)를 뚜껑(100)로 연장 형성되는 솔대(110)에 결합할 때에는 러버 버러시본체(20)의 지지체(21)로부터 돌출되어진 보강삽입부재(30)의 돌출된 부위를 상기의 솔대(110) 선단 부분으로 형성된 결합구멍(도면에 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에 끼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성형되어진 러버 브러시(10)를 이용하여 속눈썹화장을 할 때에는 마스카라액이 묻은 러버 브러시본체(20)를 용기(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인출해 낸다.
상기와 같이 용기로부터 러버 브러시본체(20)를 인출할때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퍼에 의해 러버모(22)가 훑어져 적당량의 마스카라액만 존재하게 됨과 동시에 러버모(22) 사이에 마스카라액이 저장 위치하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스카라액이 포함된 러버 브러시(10)를 이용하여 속눈썹 화장을 하게 되고, 화장을 할 때에는 위쪽의 속눈썹을 먼저 화장하게 되고, 이후 아래쪽 속눈썹을 화장하게 된다.
위쪽 속눈썹을 화장할 때에는 시선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속눈썹의 뿌리 쪽으로부터 쓰다듬어 내리듯이 빗어주면 러버모(22) 사이에 존재하는 마스카라액이 속눈썹에 발라지게 되고, 이후, 러버 브러시본체(20)를 속눈썹 아래에서 위로 치켜올리 듯이 빗어올려 마스카라액을 발라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스카라액을 골고루 바른 상태에서 러버 브러시본체(20)를 돌려가면서 빗어 올리면 속눈썹이 말려(웨이브) 올라가게 된다.
위쪽 속눈썹 화장을 마친 다음에는 아래쪽 속눈썹 화장을 하게 되는데, 아래쪽 속눈썹을 화장할 때에는 러버 브러시본체(20)를 세로로 세워 속눈썹을 좌우로 움직여 바른 다음 속눈썹 결을 따라 살짝살짝 바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러버 브러시(10)는 상기와 같이 마스카라액을 묻혀 속눈썹 화장하는 과정에서도 용기로부터 러버 브러시본체(20)를 넣고 뺄때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러버 브러시본체(20)와 보강삽입부재(30)가 분리되어지지 않고 견고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가 적용된 마스카라용기의 뚜껑을 발췌한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를 발췌한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를 발췌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러버 브러시 20 : 러버 브러시본체
21 : 지지체 22 : 러버모
30 : 보강삽입부재 31 : 재자리나사산
32 : 요홈 100 : 뚜껑
110 : 솔대

Claims (2)

  1. 눈에 자극이 적으며 부드럽게 속눈썹을 빗어 올리 화장이 가능한 러버모(22)가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 외주면에서 방사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뚜껑(100)으로 조립 형성되는 솔대(110)와 체결되는 보강삽입부재(30)가 상기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에 인서트 형성되어서 된 러버 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러버 브러시본체(20)의 지지체(21)로 인서트 형성되어지는 보강삽입부재(30)는 상기 지지체(21)에 대하여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제자리나사산(31)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삽입부재(30)는 제자리나사산(31)상에 톱니형 요홈(32)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KR1020090064402A 2009-07-15 2009-07-15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KR10104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402A KR101048571B1 (ko) 2009-07-15 2009-07-15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402A KR101048571B1 (ko) 2009-07-15 2009-07-15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29A KR20110006829A (ko) 2011-01-21
KR101048571B1 true KR101048571B1 (ko) 2011-07-12

Family

ID=4361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402A KR101048571B1 (ko) 2009-07-15 2009-07-15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5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018A (ko) * 1999-03-16 2002-12-20 초로네트-베르케 게엠베하 액체 또는 점성매체용 도포브러시, 특히 마스카라와 같은화장품용 도포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
KR200393379Y1 (ko) 2005-06-10 2005-08-18 주식회사 태평양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KR20090016759A (ko) * 2009-01-28 2009-02-17 홍정욱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018A (ko) * 1999-03-16 2002-12-20 초로네트-베르케 게엠베하 액체 또는 점성매체용 도포브러시, 특히 마스카라와 같은화장품용 도포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
KR200393379Y1 (ko) 2005-06-10 2005-08-18 주식회사 태평양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KR20090016759A (ko) * 2009-01-28 2009-02-17 홍정욱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29A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505B1 (ko) 2 개의 조립된 부분을 포함하는 도포기 부재
US5761760A (en) Mascara brush
JP3862168B2 (ja) 睫または眉毛のためのマスカラ等の化粧製品のアプリケータ
KR100820075B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0396785Y1 (ko)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JP7209635B2 (ja) マスカラ
KR200468530Y1 (ko) 마스카라 브러쉬
KR200393379Y1 (ko)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KR20110057043A (ko) 이형(異形)의 브러시모가 양분 형성되어 있는 마스카라 브러시
JP5507676B2 (ja) 化粧用ブラシ
KR101048571B1 (ko)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KR100899236B1 (ko) 마스카라 러버 브러시
KR200388031Y1 (ko) 마스카라 브러쉬
JP2002172019A (ja) 化粧用ブラシ
JP4296394B2 (ja) 化粧製品などの塗布具および当該塗布具の製造方法
KR200453537Y1 (ko) 뭉침없는 마스카라 브러쉬
KR200451467Y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140003580U (ko) 몸체에 블레이드가 형성된 화장도구
KR200438508Y1 (ko) 브레이드 성형부와 브러쉬모 형성부를 갖는 마스카라용브러쉬
KR200443116Y1 (ko) 브레이드 성형부와 방사상 돌기부를 갖는 마스카라용 러버브러쉬
KR200445344Y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0451468Y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0375816Y1 (ko) 마스카라 도포구
KR200451469Y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0424803Y1 (ko)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