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547B1 - Car Umbrella Holder - Google Patents

Car Umbrella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547B1
KR101048547B1 KR1020090016034A KR20090016034A KR101048547B1 KR 101048547 B1 KR101048547 B1 KR 101048547B1 KR 1020090016034 A KR1020090016034 A KR 1020090016034A KR 20090016034 A KR20090016034 A KR 20090016034A KR 101048547 B1 KR101048547 B1 KR 10104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vehicle
holder
reces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6525A (en
Inventor
마사루 사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0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5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과제) 자동차용 우산 홀더로서,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걸어 지지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 지지성 및 사용성, 안전성 등이 뛰어난 것을 제공한다.(Problem) As an umbrella holder for automobiles, by providing the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by hanging, it is excellent in simplification of configuration, supportability and usability, safety and the like.

(해결수단) 차실 내에 설치되어 우산(7)을 지지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2)로서, 차실 내장 패널 중, 우산(7)을 매달기 가능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차량 상방향으로 트이고, 또한 우산의 손잡이(7a)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의 걸이용 오목부(2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21)는 복수의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긴 구멍형상으로 되어 있다.(Solution means) An umbrella holder 2 for an automobile installed in a vehicle compartment and supporting an umbrella 7, which is formed at a height position of the interior panel of the vehicle in which the umbrella 7 can be suspended, and opens in the vehicle upward direction. The hanger recess 21 of the magnitude | size which can insert the handle part 7a of an umbrella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Moreover, the recessed part 21 is a long hole shape which can insert the handle part of several umbrella.

Description

자동차용 우산 홀더{UMBRELLA HOLDER FOR AUTOMOBILE}Umbrella holder for car {UMBRELLA HOLD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실 내에 반입한 우산을 지지해 두기 위한 자동차용 우산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holder for automobiles for supporting an umbrella carried in a cabin.

자동차용 우산 홀더에는, 도어나 시트 쿠션을 따라 설치되어 우산을 쓰러뜨린 양태로 지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특허문헌 1∼특허문헌 3에 명시된 바와 같이 우산을 거의 기립한 양태로 더 간단히 지지 가능하게 한 구성이 있다. 이 중, 특허문헌 1의 홀더는, 우산을 선단으로부터 삽입하는 우산꽂이 타입으로서, 차체의 일부(예를 들면, 운전석측 벽에 설치된 콘솔 박스의 측벽부)에 브래킷 등을 통하여 수직 자세와 수평 자세로 회동 전환된다. 특허문헌 2의 홀더(지지구)는, 조수석 부근에 배치되는 내장품(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대하여 우산을 기립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구멍을 가지는 지지구를 출납 가능하게 부착한 구성이다. 특허문헌 3의 홀더는, 차체의 일부(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측의 카울 사이드 트림)에 부착된 본체와, 그 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측에 우산 의 선단을 하향으로 삽입하는 수납부를 설치한 회동 아암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를 통과한 우산의 선단을 끼워넣는 배수 캡을 가지고 있다.The umbrella holder for automobiles is provided along a door or a seat cushion, and the umbrella holder can be supported more easily in an almost standing mode, a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s 1 to 3, fo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mbrella is knocked down. There is a configuration. Among these, the holder of Patent Literature 1 is an umbrella stand type for inserting an umbrella from a tip, and is a vertical posture and a horizontal posture through a bracket or the like on a part of a vehicle body (for example, a side wall portion of a console box provided on a driver's side wall). Is switched to rotation. The holder (support) of patent document 2 is a structure which attached and supported the support tool which has a support hole which supports the interior goods (for example, an instrument panel) arrange | positioned near a passenger seat in the state which stood up in an umbrella. The holder of Patent Literature 3 is rotatably supported on a main body attached to a part of a vehicle body (for example, cowl side trim under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tip of the umbrella is inserted downward on the front end side. It has a rotation arm which provided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drain cap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aid main body, and fits the tip of the umbrella which passed the said accommodating part.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51000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51000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8-108805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8-108805

특허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3-237482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237482

상기 특허문헌 1∼특허문헌 3의 홀더는, 모두 복잡하고 경비가 증가되는 것에 더하여, 우산의 선단 또는 상하 도중 부분을 지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설치 개소가 한정된다. 또한,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3의 경우는, 홀더가 차체 플로어의 근처에 부착되기 때문에 승무원의 발이 닿기 쉬워 안전성을 해칠 우려도 있다. 특허문헌 2의 경우는, 홀더가 조수석측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위화감을 주기 쉽고 안전성을 해칠 우려도 있다.Since the holders of the said patent documents 1-patent documents 3 are all complicated, and a cost increases, since it is a structure which supports the edge part of an umbrella, or a part during up-and-down, an installation location is limited. Moreo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3, since a holder is affixed to the vicinity of a vehicle body floor, a crew's foot is easy to touch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impair safety.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since a holder is pulled out to the passenger seat side, it is easy to give a sense of incongruity and may damage safety.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여,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걸어 지지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 지지성 및 사용성, 안전성 등이 뛰어난 것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superior configuration simplification, supportability and usability, safety and the like by hanging the handle portion of an umbrell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실 내에 설치되어 우산을 지지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에 있어서, 차실 내장 패널 중, 우산을 매달기 가능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차량 상방향으로 트이고, 또한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의 걸이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주위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측에 가라앉은 수납 양태로부터, 압압 조작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하여 우산의 손잡이 또는 스트랩을 걸기 가능하게 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되는 걸림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이상의 우산 홀더는, 제 1 형태로부터 걸림 부재 및 그 관계 부재를 생략한 구성, 제 2 형태의 뚜껑을 생략한 구성, 제 3 형태의 후크 부재를 생략한 구성으로 특정한 것이다. 우산으로서는, 일반적인 장우산 즉 손잡이가 U형 내지는 후크형상을 이루고 있는 타입을 상정하고 있다. 걸이용 오목부는, 그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하여 걸 수 있는 폭 및 깊이로 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오목부의 깊이가 규제되는 경우에는 도 5의 통재에 의해 깊이를 만족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mbrella holder for a vehicle installed in a vehicle compartment to support an umbrella, the vehicle interior panel being formed at a height position where the umbrella can be suspended so as to open up the vehicle and further Hanging recess for inserting the handle part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sunk in the periphery of the said recessed part, and has a latching member which switches to the use aspect which protrudes upwards by a press operation, and can hang a handle or a strap of an umbrella from a storage mode which sunk below. I am doing it.
Here, the above-mentioned umbrella holder is specified by the structure which omitted the latching member and its relationship member from the 1st form, the structure which omitted the lid of a 2nd form, and the structure which omitted the hook member of a 3rd form. As an umbrella, the type | mold in which the general rain umbrella, ie, the handle is U-shaped or hook shape, is assumed. The hanger recess may have a width and a depth through which the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can be inserted, and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recess may be satisfied when the depth of the recess is restricted.

이상의 자동차용 우산 홀더는 이하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bove umbrella holder for automobiles is embodied as follows.

(가)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긴 구멍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이다.(A) The said recessed part is the structure which has a long hole shape which can insert the handle part of several umbrella.

(나) 상기 오목부의 주위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측에 가라앉은 수납 양태로부터, 압압 조작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하여 우산의 손잡이 또는 스트랩을 걸기 가능하게 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되는 걸림 부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B) a locking member which is provided to be protruded in the periphery of the concave portion and which is settled down from the lower side to a usage mode that protrudes upward by a pressing operation to be able to hang the handle or strap of the umbrella; It is a composition.

(다) 상기 오목부에 상하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오목부의 트인구멍을 막는 닫힘 상태로부터, 상기 우산의 손잡이 부분의 삽입시에 받는 응력으로 그 오목부의 내저면측에 탄지력에 대항하여 가라앉는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뚜껑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C) It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recess, and from the closed state blocking the open hole of the recess, it sinks against the holding force on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recess due to the stress received upon insertion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It has a lid that switches to the open state.

(라) 상기 오목부의 주위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오목부의 주위부 상하로 배치된 수납 양태로부터, 그 오목부의 주위부 상측으로 이동된 후, 그 오목부 밖으로 인출되어 우산을 지지 가능하게 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후크 부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지지구멍과 함께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D)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be pulled out at the periphery of the concave portion, and is moved above the periphery of the concave portion from an accommodating aspect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periphery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n pulled out of the concave portion to support the umbrella. It is a structure which has the hook member in which the support hole to switch to the usage mode to be used is formed.
In this case, the hook member is configured to form a lock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support hole.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차실 내장 패널 중, 우산을 매달기 가능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점으로서는, (a) 승무원은 차실 내에 반입한 우산을,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그 오목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지지할 수 있고, 차에서 내릴 때에도 간단히 뺄 수 있다. (b) 우산의 보관 스페이스가 우산을 차실 상하로 배치하는 관계로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차실 공간의 유효 활용이 도모된다. (c) 홀더 지지 구성으로서, 우산이 도 1과 같이 손잡이를 통하여 오목부에 걸려 있을 뿐인데, 차체 진동을 받았을 때 우산의 자중에 의해 잘 빠지지 않는 점, 우산이 손잡이 부분을 제외하고 차체 내장 패널의 대응부에 접하여 옆으로 어긋나기 어려운 점으로부터 우산을 안정 지지할 수 있다. (d) 비사용시에는 걸이용 오목부를 소지품 등을 넣는 수납 장소로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부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recess interior part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panel in the height position which can hang an umbrella is provided. For this reason, as an advantage, (a) the crew can support the umbrella carried in the cabin only by inserting the handle part of an umbrella into the recessed part, and can remove it easily, even when it gets out of a car. (b) Since the storage space of an umbrella arranges an umbrella up and down in a compartment, the occupied space can be made small, thereby effectively utilizing the compartment space. (c) As the holder supporting configuration, the umbrella is only suspended in the recess through the handle as shown in Fig. 1, but when the body is vibrated, the umbrella is not easily pulled out by the weight of the umbrella. The umbrella can be stably supported from the point where it is hard to shift laterally in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d) When not in use, the hook recess can be used as a storage place for carrying belongings or the like, thereby providing added value.

또 본 발명에서는, 차실 내에 반입한 복수의 우산을 동일한 걸이용 오목부에 걸어 지지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오목부는 긴 구멍형상으로 되는데,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거는 구성이기 때문에 전체 치수로서 5㎝ 정도이어도 되므로, 설치 스페이스를 억제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mbrellas carried in the vehicle compartment can be supported by hanging on the same hanger. In this case, the concave portion is in the shape of a long hole. Since the concave portion is configured to hang the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the concave portion may be about 5 cm as the overall dimension, so that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또, 본 발명에서는, 우산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는 우산이면, 걸이용 오목부에 지지할 수 없지만, 그와 같은 경우, 우산 홀더의 주위부에 설치되어 압압 조작에 의해 돌출 상태로 전환되는 걸림 부재를 이용하고, 그 걸림 부재에 우산의 손잡이 또는 스트랩을 걸어 지지할 수 있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f an umbrella is a folding umbrella as shown in FIG. 4, it cannot support in a recessed part for hangers, but in such a case, it is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an umbrella holder, and it switches to a protruding state by a press operation. By using the locking member, the handle or the strap of the umbrella can be supported by the locking member.

또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걸이용 오목부가 뚜껑을 가지고, 그 뚜껑이 오목부의 트인구멍을 막는 닫힘 상태로부터, 우산의 손잡이 부분의 삽입시에 받는 응력으로 그 오목부 내저면측에 탄지력에 대항하여 가라앉기 때문에, 우산의 지지 조작을 해치지 않고, 미사용시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hanger recess has a lid, and from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lid closes the opening of the recess, the recess is provided with the stress received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Since it sinks against the anti-erosion force, the appearance at the time of non-use can be improved without impairing the support operation of the umbrella.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우산이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접는 우산이나 손잡이가 직선으로 되어 있는 우산이면, 걸이용 오목부에 지지할 수 없지만, 그와 같은 경우, 상하로 배치된 수납 양태로부터, 그 오목부의 주위부 상측으로 이동한 후, 그 오목부 밖으로 인출되는 후크 부재의 지지구멍을 이용하여, 그 지지구멍에 우산의 본체를 끼워넣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크 부재가 지지구멍과 함께 걸림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산이 스트랩이 부착된 경우라면, 그 걸림부에 스트랩을 걸어 지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mbrella is a folding umbrella or an umbrella having a straight line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umbrella cannot be supported by the hook recess, but in such a case, from the storage mode arranged up and down, After moving above the periphery of the recess, the main body of the umbrella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hole of the hook member drawn out of the reces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ok member has a lock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hole, if the umbrella is attached to the strap, the strap can be supported by the lock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각 형태의 우산 홀더가 설치되는 차실 내장 패널의 부착부를 분명히 한 후, 도 1∼도 4의 제 1 형태, 도 5의 변형예, 도 6과 도 7의 제 2 형태, 도 8∼도 11의 제 3 형태의 순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best for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In this description, after the attaching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panel in which the umbrella holder of each form is provided is made clear, the 1st form of FIGS. 1-4, the modification of FIG. 5, the 2nd form of FIGS. 6 and 7, and 8 It demonstrates in detail in order of 3rd form of FIG.

(차실 내장 패널의 부착부) 도 12는 자동차의 차실 내(10) 중 앞자리측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차실 내(10)는, 양측에 병설되어 있는 운전석(11) 및 조수석(12)과, 엔진 룸과의 사이를 구획하고 있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3)과, 운전석(11)의 전방에 설치된 스티어링(14)과, 인스트루먼트 패널(13)의 양측에 설치된 송풍창(15)과, 우산을 매달기 가능한 높이 위치에 설치된 각 형태의 우산 홀더(2, 3, 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17은 차실 플로어, 18은 도어 미러, 19는 조수석측 도어이다. 각 형태의 우산 홀더(2, 3, 4)는, 차실 내장 패널 중, 조수석(12)의 전방 측부에서 삼각창 부근, 내지는 조수석(12)의 전방 측부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3)의 한쪽 부근을 구성하고 있는 사이드 피니셔(13a)(도 1, 도 6, 도 8을 참조)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부착 구조로서는, 우산 홀더(2, 3, 4)가 사이드 피니셔(13a)에 형성된 배치구멍부에 대하여 상측을 제외하고 삽입된 상태로 적당한 수단으로 장착된다.(Mounting part of a vehicle interior panel) FIG. 12: shows typically the front seat side in the vehicle interior 10 of an automobile. The vehicle interior 10 includes an instrument panel 13 partitioning between the driver's seat 11 and the passenger seat 12 provided on both sides, and the engine room, and the steering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11 14), a windshield 1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trument panel 13, and umbrella holders 2, 3, 4 and the like of each form provided at a height position where the umbrella can be suspended. Reference numeral 17 denotes a passenger compartment floor, 18 a door mirror, and 19 a passenger seat side door. The umbrella holders 2, 3, and 4 of each form comprise one side of the instrument panel 13 in the vicinity of a triangular window in the front side part of the passenger seat 12, or the front side part of the passenger seat 12 among the vehicle interior panels. It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side finisher 13a (refer FIG. 1, FIG. 6, FIG. 8). As the attachment structure, the umbrella holders 2, 3, 4 are mounted by appropriate means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except for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placement hole formed in the side finisher 13a.

(제 1 형태) 이 우산 홀더(2)는, 차량 상방향으로 트이고, 또한 우산(7)의 손잡이(7a)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의 걸이용 오목부(21)를 구획하고 있는 본체(20)와, 본체(2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20) 및 걸림 부재(23)는 모두 수지 성형품이지만, 수지 이외이어도 된다.(1st aspect) This umbrella holder 2 opens the vehicle 20 and divides the main body 20 which partitions the recessed recessed part 21 of the magnitude | size which can insert the handle 7a part of the umbrella 7. And a locking member 23 provided on the main body 20 so that it can be projected. Here, although the main body 20 and the locking member 23 are both resin molded articles, it may be other than resin.

본체(2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긴 구멍형상의 오목부(21) 이외 에, 걸림 부재(23)를 출몰하는 세로구멍부(22)와, 그 세로구멍부(22)를 교차하도록 본체(20)의 후측 폭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샤프트(25)를 통과시키는 축구멍(24a)과, 한쪽의 축구멍(24a)에 대응하여 형성된 절결부(24b)를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21)는, 복수의 우산(7)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이다. 걸림 부재(23)는, 세로구멍부(22)에 들어가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측 주위에 형성되어 도 4와 같이 스트랩(8a)을 거는 오목부(23a)와, 상하의 도중 부분에 형성되어 샤프트(25)를 도피시키는 도피홈(23b)과, 하측 부분에 형성되어 도피홈(23b)과 거의 90도 변위한 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트인구멍(23c)과, 도피홈(23b)의 하측에 형성된 멈춤쇠부(23d)와, 하내측에 형성되어 래치(28)를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The main body 20 is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ntersects the longitudinal hole portion 22, in which the locking member 23 is projected, in addition to the elongated recessed portion 21, and the longitudinal hole portion 22. The shaft hole 24a which passes the shaft 25 which penetrates in the rear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main body 20 may be formed, and the notch part 24b formed corresponding to the one shaft hole 24a are formed. The recessed part 21 is the magnitude | size which can insert the handle part of several umbrella 7. The locking member 23 has a size that fits into the vertical hole portion 22, is formed around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recess 23a for hanging the strap 8a as shown in FIG. 25, an escape groove 23b for evacuating, an open hole 23c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escape groove 23b, and position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90 degrees away from the escape groove 23b, and a detent portion formed below the escape groove 23b. It has 23d and the support part which is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and is not shown in figure and which attaches the latch 28 so that it can swing.

이상의 걸림 부재(23)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래치(28)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 후, 도 2와 같이 탄지 수단인 코일 스프링(27)을 하측에 배치하도록 하여, 본체측 세로구멍부(22)에 삽입된 후, 샤프트(25)가 일방 축구멍(24a), 도피홈(23b), 타방 축구멍(24a)으로 삽입 통과되고, 타방 축구멍(24a)의 외측에서 E링 등의 스냅링(26)에 의해 빠짐 방지됨으로써, 도 3 및 도 4와 같이 코일 스프링(27)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하측으로 가라앉은 수납 양태와, 그 수납 양태로부터 하향의 압압 조작에 의해 코일 스프링(27)의 탄지력으로 상방으로 돌출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된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수납 양태에 있어서, 래치(28)가 멈춤쇠부(23d)에 압압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트인구멍(23c)을 통하여 세로구멍부(22)측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단부에 걸린다. 사용 양태로의 전환시에는, 걸림 부재(23)가 하향으로 눌리면, 래치(28)가 멈춤쇠부(23d)를 통한 요동을 수반하여 그 멈춤쇠부(23d)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단부와의 걸림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푸시식 출몰 기구는, 걸림 부재(23)를 침몰 상태로부터 누름 조작에 의해 돌출시킬 수 있으면,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공지의 구성이어도 지장 없다.After the latch member 23 pivotably supports the support portion, the above-described locking member 23 arranges the coil spring 27, which is a holding means, as shown in FIG.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haft 25, the shaft 25 is inserted into one of the shaft holes 24a, the escape grooves 23b, and the other shaft hole 24a, and a snap ring such as an E ring (outside the other shaft hole 24a) is inserted. 26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so that the coil spring 27 is pushed down by the pressing mode downward from the storing mode and the storing mode which is sunk downward against the hold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 as shown in FIGS. 3 and 4. It switches to the use aspect which protrudes upward by a finger force. Moreover, in this structure, in the accommodating aspect, in the state which the latch 28 was pressed against the detent part 23d, at the edge part which is not shown in the side of the vertical hole part 22 through the opening 23c, it is not shown. Takes At the time of switching to the use mode, when the latching member 23 is pressed downward, the latch 28 releases the engagement with the detent portion 23d with the swing through the detent portion 23d. Release the hook with the end. Such a push-out mechanism is not limited to this form as long as the locking member 23 can be protruded from the sinking state by a pressing operation, and may be any other known configuration.

이상의 우산 홀더(2)는, 비사용 상태에 있어서, 본체의 오목부(21)가 차실 내(10)에서 우산을 매달기 가능한 위치, 즉 비교적 높은 위치에 트여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소지품 등을 넣는 수납 장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차실 내(10)에 반입되는 우산의 종류로서, 장우산 등과 같이 U형 내지는 후크형상의 손잡이(7a)를 가진 우산(7)의 경우에는, 그 손잡이(7a)를 오목부(21)에 선단을 삽입하도록 하여 거는 것만으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에서 내릴 때에는 간단히 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접는 우산 등과 같이 스트랩(8a)를 가진 우산(8)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부재(23)를 수납 양태로부터 사용 양태, 즉 본체(20)의 상면에 돌출시켜, 오목부(23a)에 대하여 우산의 스트랩(8a)을 거는 것만으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에서 내릴 때에는 간단히 뺄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도 1과 도 4로부터 추찰되는 바와 같이 우산의 지지 구성으로서, 차체 진동을 받았을 때 우산(7, 8)의 자중에 의해 잘 빠지기 않고, 또한 우산이 손잡이 부분을 제외하고 차체 내장 패널의 대응부에 접하여 옆으로 어긋나기 어렵기 때문에 우산을 안정 지지할 수 있는 점, 우산 배치 스페이스로서, 우산(7, 8)을 차실 상하로 배치하기 때문에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하여 차실 공간의 유효 활용이 도모되는 점 등에서 뛰어나다.In the non-use state, the above-mentioned umbrella holder 2 is opened at a position where the recess 21 of the main body can hang the umbrella in the cabin 10, that is, a relatively high position, so that belongings and the like can be carried out as needed. It can be used as a storage place to put. In the case of an umbrella 7 having a U-shaped or hook-shaped handle 7a, such as a rain umbrella, the tip of the handle 7a is recessed into the recess 21. It can be supported simply by hanging it, and can be easily removed when getting out of the ca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mbrella 8 which has the strap 8a like a folding umbrella etc., 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member 23 protrudes from a storing aspect to the use aspect, i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With respect to the recess 23a, the umbrella strap 8a can be supported only by hanging, and can be easily removed when getting out of the car. Moreover, in this structure, as inferred from FIG. 1 and FIG. 4, as a support structure of an umbrella, when a vehicle body vibration is received, it does not fall out by the weight of the umbrellas 7, 8, and an umbrella removes a handle part except a handle part. Because it is hard to shift sideways in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of the built-in panel, the umbrella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umbrella space is arranged as the umbrella spaces 7 and 8 above and below the vehicle compartment. It is excellent in that it can be utilized.

(변형예) 도 5는 이상의 우산 홀더(2)로서 오목부(21)의 깊이 내지는 돌출량을 크게 하고 싶을 때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체(20)는, 오목부(21)의 내측에 상하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푸시식 출몰 기구에 의해 도 5a의 침몰 상태와 도 5b의 돌출 상태로 전환되는 통재(29)를 가지고 있다. 푸시식 출몰 기구로서는, 통재(29)를 탄지력에 대항하여 본체(20)의 상면과 거의 면 일치로 될 때까지 하강하여 도 5a의 침몰 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것, 통재(29)를 그 침몰 상태로부터 하향으로 압압 조작함으로써 상기 걸림을 해제하여 탄지력에 의해 최대까지 상승하여 도 5(b)의 돌출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이면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Modification) FIG. 5 shows a configuration example when the depth or protrusion amount of the recess 21 is to be increased as the umbrella holder 2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ain body 20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up-and-down movement is free in the inside of the recessed part 21, and the barrel 29 which switches to the sinking state of FIG. 5A and the protrusion state of FIG. 5B by the push-out type appearance mechanism not shown in figure is shown. Have As the push-out mechanism, the cylinder 29 is lowered until it almost coincid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gainst the force of the finger, and is fixed in the sinking state of FIG. 5A, and the cylinder 29 is sunk. If it is a structure which releases the said latch by pushing down from a state, and raises it to the maximum by a finger force, and switches to the protrusion state of FIG. 5 (b), a well-known thing is applicable.

(제 2 형태) 이 우산 홀더(3)는, 차량 상방향으로 트이고, 또한 우산(7)의 손잡이(7a)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의 걸이용 오목부(31)를 구획하고 있는 본체(30)와, 오목부(31)에 상하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오목부(31)의 트인구멍을 막는 닫힘 상태로부터 우산(7)의 손잡이(7a) 부분의 삽입시에 받는 응력으로 그 오목부의 내저면측에 탄지력에 대항하여 가라앉아 열림 상태로 되는 뚜껑(35)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30) 및 뚜껑(35)은 모두 수지 성형품이지만, 수지 이외이어도 된다.(2nd aspect) This umbrella holder 3 opens the vehicle 30 and divides the main body 30 which partitions the recessed recessed part 31 of the magnitude | size which can insert the handle 7a part of the umbrella 7. And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3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is stressed when the handle 7a portion of the umbrella 7 is inserted from the closed state that closes the opening of the concave portion 31. The lid 35 is provided on the side to sink and open against the finger force. Here, although the main body 30 and the lid 35 are both resin molded articles, it may be other than resin.

본체(3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긴 구멍형상의 오목부(31) 이외에, 주위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홈(32)과, 오목부 내저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33)를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31)는, 복수의 우산(7)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이다. 각 세로홈(32)은, 본체 주위를 대략 등분하는 개소 에 형성되어 있고, 뚜껑(35)의 상하동을 안내한다. 위치 결정부(33)는, 1개소 내지는 2개소에 형성되고, 뚜껑(35)을 상방으로 탄지하는 탄지 수단인 코일 스프링(34)의 하단을 끼워맞춘다.The main body 30 is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32 formed in the periphery and extending up and down in addition to the long hole-shaped recesses 31 and positioning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s. The part 33 is formed. The recessed part 31 is the magnitude | size which can insert the handle part of several umbrella 7. Each longitudinal groove 32 is formed at a location approximately equally divided around the main body, and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d 35. The positioning part 33 is provided in one or two places, and fits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34 which is a holding | gripping tool which clamps the lid 35 upward.

뚜껑(35)은, 오목부(31)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각 세로홈(32)과 대응하여 형성되어 세로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걸림쇠부(36)와, 위치 결정부(33)와 대응하여 뚜껑 내면에 돌설되어 코일 스프링(34)의 상단을 끼워맞추는 위치 결정부(3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뚜껑(35)은, 통상, 도 7a, 도 7b와 같이 코일 스프링(34)의 탄지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오목부(31)의 트인구멍을 막는 닫힘 상태로 되어 있고, 그 닫힘 상태로부터 도 7c와 같이 우산의 손잡이(7a) 부분의 삽입시에 받는 응력으로 그 오목부 내저면측에 코일 스프링(34)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가라앉아 열림 상태로 된다.The lid 35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side the recess 31,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grooves 32 to be slidably fitted in the vertical grooves, and the positioning unit ( Corresponding to 33), it is made up of a positioning portion 37 protrud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to fit the upper end of the coil spring (34). And the lid 35 is normally moved up by the holding force of the coil spring 34 like FIG. 7A, 7B, and it is in the closed state which closes the open hole of the recessed part 31, From the closed state As shown in FIG. 7C, the stress received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handle portion 7a of the umbrella is settled and opened against the holding force of the coil spring 34 on the inner bottom face of the recess.

이상의 우산 홀더(3)는, 비사용 상태에 있어서, 본체의 오목부(31)가 뚜껑(35)으로 닫혀 있기 때문에 외관이 좋고, 또한 제 1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7c로부터 추찰되는 바와 같이 우산(7)의 지지 구성으로서, 차체 진동을 받았을 때 우산(7)의 자중에 의해 잘 빠지지 않고, 또한 우산(7)이 손잡이(7a) 부분을 제외하고 차체 내장 패널의 대응부에 접하여 옆으로 어긋나기 어렵기 때문에 우산을 안정 지지할 수 있는 점, 우산 배치 스페이스로서, 우산(7)을 차실 상하로 배치하기 때문에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하여 차실 공간의 유효 활용이 도모되는 점 등에서 뛰어나다.The above-mentioned umbrella holder 3 has a good appearance since the recess 31 of the main body is closed by the lid 35 in a non-use state, and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umbrella holder 3 is inferred from FIG. 7C. 7) The support structure of 7) does not fall out due to the weight of the umbrella 7 when the vehicle body is vibrated, and the umbrella 7 is shifted laterally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body interior panel except for the handle 7a. Since it is difficult, it is excellent in the point which can hold | maintain an umbrella stably, and an umbrella arrangement space, since the umbrella 7 is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in a vehicle room, the occupied space is restrained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a vehicle space is aimed at.

(제 3 형태) 도 8∼도 11에 도시한 우산 홀더(4)는, 차량 상방향으로 트이 고, 또한 우산(7)의 손잡이(7a)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의 걸이용 오목부(21)를 구획하고 있는 본체(40)와, 본체(40)의 주위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후크 부재(4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40) 및 후크 부재(45)는 모두 수지 성형품이지만, 수지 이외이어도 된다.(3rd aspect) The umbrella holder 4 shown to FIGS. 8-11 is a hook recess 21 of the magnitude | size which opens in a vehicle upward direction and can insert the handle 7a part of the umbrella 7. The main body 40 which partitions off and the hook member 45 provided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main body 40 so that extraction is possible are provided. Here, although the main body 40 and the hook member 45 are both resin molded articles, it may be other than resin.

본체(40)는, 도 9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긴 구멍형상의 오목부(41)와 함께, 후크 부재용 격납부(42)와, 격납부(42)에 배치되는 후크 부재(45)의 이동을 샤프트(5)를 통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홈(44)을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41)는, 복수의 우산(7)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이다. 격납부(42)는, 도 11b와 같이 본체(40)의 주위부 중, 길이 방향을 따른 부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위가 트여 있음과 아울러, 내측의 일부가 절결된 결여부(43)로 되어 있다. 결여부(43)는, 격납부(42) 내와 오목부(41)를 연통하고 있고, 후크 부재(45)를 이곳을 통해 쥐고 꺼낼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홈(44)은, 격납부(42)를 구획하고 있는 전후 단면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샤프트(5)의 양단(5b)을 끼워맞춘 상태에서 그 샤프트(5)의 상하동을 안내한다.The main body 40 is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9, and with the long hole-shaped recessed part 41, the hook member storage part 42 and the hook memb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storage part 42 ( The guide groove 44 which guides the movement of the 45 through the shaft 5 is formed. The recessed part 41 is the magnitude | size which can insert the handle part of several umbrella 7. The containment part 42 is integrally formed in the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mong the periphery parts of the main body 40 like FIG. 11B, the upper part is open, and the lacking part 43 in which a part of the inner side was cut out was carried out. It is. The lacking part 43 communicates the inside of the containment part 42 and the recessed part 41, and makes it possible to grasp | hook and take out the hook member 45 through this. The guide groove 44 is formed to face the front-rear cross section which partitions the storage part 42, and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haft 5 in the state which fitted the both ends 5b of the shaft 5 together.

후크 부재(45)는, 전체가 격납부(42) 내에 들어가는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측에 형성되어 샤프트(5)의 중간부(5a)를 고정하는 파지부(46, 46)와, 상측에 형성되어 우산을 끼워넣어 지지하는 지지구멍(47) 및 스트랩 등을 거는 걸림부(48, 48)를 가지고 있다. 파지부(46, 46)는, 후크 부재(45)의 판폭 중간에 있는 슬릿을 통하여 2분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각이 단면 대략 ㄷ형상을 이루고 있음과 아울러 서로의 ㄷ형 트인구멍의 방향을 반대로 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문에, 샤프트(5)는, 후크 부재(45)에 대하여 도 11a와 같이 후크 부재와 교차하는 상태로부터, 중간부(5a)의 일부를 상기 슬릿에 넣은 후, 거의 90도 회전함으로써 중간부(5a)의 대응부를 각 파지부(46)에 걸어맞춰서 부착된다. 후크 부재(45)는, 샤프트(5)를 장착한 상태로부터, 격납부(42)에 대하여 샤프트 양단(5b)을 대응하는 가이드 홈(44)에 끼워맞춤으로써 인출 가능하게 짜 넣어져서, 격납부(42) 내에 들어간 수납 양태로부터, 결여부(43)를 통하여 인출 조작됨으로써 도 10과 같이 격납부(42) 밖으로 인출되어 우산을 지지 가능하게 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된다.The hook member 4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having a size that fits entirely within the storage portion 42, and is formed on the lower end side to hold grip portions 46 and 46 that fix the middle portion 5a of the shaft 5; And a support hole 47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holding portions 48 and 48 for hanging a strap or the like. The gripping portions 46 and 46 are formed to be divided into two through the slits in the middle of the plate width of the hook member 45, and each has a substantially c-shaped cross s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s of the c-shaped openings. It is in a state. At this time, the shaft 5 rotates about 90 degrees after inserting a part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a into the slit from the state where the shaft 5 intersects the hook member with respect to the hook member 45 as shown in Fig. 11A.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section 5a are attached to each grip 46. The hook member 45 is woven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by fitting the shaft both ends 5b with the corresponding guide groove 44 with respect to the storage part 42 from the state which attached the shaft 5, and a storage part From the storage mode entered into the 42, the draw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lacking part 43, thereby switching from the storage mode to the use mode with which the umbrella 42 can be pulled out as shown in FIG. 10 to support the umbrella.

지지구멍(47)은, 구멍의 일부가 트여 있고, 도 10과 같이 그 트인구멍으로부터 우산(9)의 본체(9a)를 수평 이동에 의해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단, 지지구멍(47)으로서는 우산을 끼워넣어 지지하는 구멍이면 관통구멍이어도 된다. 걸림부(48, 48)는, 지지구멍(47)을 구획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양측으로 대략 L형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 4와 같은 우산(8)의 스트랩(8a)을 걸거나 쇼핑백을 걸 수 있게 되어 있다.A part of the hole is open in the support hole 47, and as shown in FIG. 10, the main body 9 a of the umbrella 9 can be supported by horizontal movement from the open hole. However, the support hole 47 may be a through hole as long as it is a hole for sandwiching and supporting an umbrella. The locking portions 48 and 48 are shaped to be bent in an approximately L shape to both sides from the portion partitioning the supporting hole 47, and to hang the strap 8a of the umbrella 8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hang.

이상의 우산 홀더(4)는, 비사용 상태에 있어서, 본체의 오목부(41)가 차실 내(10)에서 우산을 매달기 가능한 위치, 즉 비교적 높은 위치에 트여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소지품 등을 넣는 수납 장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차실 내(10)에 반입되는 우산의 종류로서, 장우산 등과 같이 U형 내지는 후크형상의 손잡이(7a)를 가진 우산(7)의 경우에는, 그 손잡이(7a)를 오목부(41)에 선단을 삽입하도록 하여 거는 것만으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에서 내릴 때에는 간단히 뺄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도 8로부터 추찰되는 바와 같이 우산의 지지 구성으로서, 차체 진동을 받았을 때 우산(7)의 자중에 의해 잘 빠지지 않고, 또한 우산이 손잡이 부분을 제외하고 차체 내장 패널의 대응부에 접하여 옆으로 어긋나기 어렵기 때문에 우산을 안정 지지할 수 있는 점, 우산 배치 스페이스로서, 우산(7)을 차실 상하로 배치하기 때문에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하여 차실 공간의 유효 활용이 도모되는 점 등에서 뛰어나다. 이들은 제 1 형태와 동일하다.Since the above-mentioned umbrella holder 4 is opened in the non-use state, the recessed part 41 of the main body opens in the position which can hang an umbrella in the compartment 10, ie, a comparatively high position, so that belongings etc. may be carried out as needed. It can be used as a storage place to put. In the case of the umbrella 7 having the U-shaped or hook-shaped handle 7a, such as a rain umbrella, the tip of the handle 7a is recessed into the recess 41 as a kind of umbrella carried in the vehicle interior 10. It can be supported simply by hanging it, and can be easily removed when getting out of the car. Moreover, in this structure, as inferred from FIG. 8, as a support structure of an umbrella, when the body vibration is received, it does not fall out easily by the weight of the umbrella 7, and the corresponding part of a vehicle interior panel except the handle part is carried out. Because it is hard to slip sideways in contact with the side, it is excellent in the point that the umbrella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umbrella arrangement space is placed up and down the vehicle compartment, so that the occupied space can be suppressed to effectively utilize the interior space. . These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form.

또한, 차실 내에 반입된 우산이 접는 식 등과 같이 우산의 손잡이가 U형 내지는 후크형상이 아닌 경우에는, 후크 부재(45)를 상기한 요령으로 수납 양태로부터 도 10의 사용 양태로 전환하여, 지지구멍(47)에 대하여 우산의 본체(9a)를 끼워넣어 지지한다. 이 경우, 우산(9)은, 지지구멍(47)에 대하여 우산의 선단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하거나 뽑아낼 수도 있지만, 지지구멍(47)의 트인구멍으로부터 우산의 본체(9a)를 끼워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면, 원터치로 지지하거나 뺄 수 있다. 또한, 우산이 도 4와 같이 스트랩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지지구멍(47)을 이용하는 것 외에, 그 스트랩을 걸림부(48)에 걸도록 하여도 된다. 이 구조에서는, 우산의 타입에 따라 오목부(41), 지지구멍(47), 걸림부(4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 및 범용성이 뛰어나다.In addition, when the handle of the umbrella is not U-shaped or hook-like, such as when the umbrella carried into the vehicle is folded, the hook member 45 is switched from the storage mode to the use mode of FIG. The main body 9a of the umbrella is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reference numeral 47. In this case, although the umbrella 9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or pulled out from the tip of the umbrella with respect to the support hole 47, the umbrella body 9a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open hole of the support hole 47. Can be supported or removed with one touch. In addition, when an umbrella has a strap like FIG. 4, in addition to using the support hole 47, you may make it hang on the locking part 48. FIG. In this structure, any one of the concave portion 41, the support hole 47, and the locking portion 48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mbrella, which is excellent in usability and versatility.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실질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세부는 각 형태 및 변형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우산은, 예를 들면, 우산 본체를 커버로 씌운 상태에서 각 형태의 우산 홀더에 지지하여도 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should just be equipped substantially with the structure specified by a claim, and can change further and develop further with reference to each form and modification. In addition, of course, an umbrella may be supported by the umbrella holder of each form, for example in the state which covered the umbrella body with a cover.

도 1은 제 1 형태의 우산 홀더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 모식 외관도1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showing the umbrella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in use;

도 2a는 상기 우산 홀더의 분해 구성도Figure 2a is an exploded view of the umbrella holder

도 2b는 걸림 부재에 관계 부재를 설치한 요부 외관도Fig. 2B is a main view of the appearance of the relation member provided with the engaging member;

도 3a는 상기 우산 홀더의 상면도3A is a top view of the umbrella holder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A

도 4는 도 3b의 걸림 부재를 사용 양태로 전환한 모식 단면도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in which the locking member of FIG. 3B is switched to a use mode;

도 5a는 상기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확장용 통재를 미사용 양태로 도시하는 도면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said form, and shows the expansion barrel in the unused aspect.

도 5b는 상기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확장용 통재를 사용 양태로 도시한 모식 외관도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said form, A schematic external view which shows the expansion barrel in use mode.

도 6은 제 2 형태의 우산 홀더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 모식 외관도6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showing the umbrella holder of the second embodiment in use;

도 7a는 도 6의 우산 홀더를 도시한 모식 외관도7A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the umbrella holder of FIG. 6.

도 7b는 도 7a의 모식 단면도FIG. 7B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FIG. 7A

도 7c는 도 7b로부터 우산을 건 상태로 도시한 모식 단면도FIG. 7C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umbrella opened from FIG. 7B. FIG.

도 8은 제 3 형태의 우산 홀더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 모식 외관도FIG. 8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the umbrella holder of the third embodiment in use; FIG.

도 9a는 도 8의 우산 홀더의 모식 외관도9A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the umbrella holder of FIG. 8.

도 9b는 도 9a로부터 후크 부재를 인출할 때의 도중 상태로 도시한 도면FIG. 9B is a view in a halfway state when withdrawing the hook member from FIG. 9A; FIG.

도 10은 상기 후크 부재를 도 9b로부터 사용 양태까지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member is taken out from FIG. 9B to a use mode;

도 11a는 상기 후크 부재의 조립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후크 부재와 지지 부재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Fig. 11A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ing configu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ok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도 11b는 상기 후크 부재의 조립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후크 부재와 홀더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Fig. 11B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ing configuration of the hook member, and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ok member and the holder.

도 12는 상기 각 형태의 우산 홀더를 부착하는 차실 내의 장착부를 도시한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ounting portion in a vehicle compartment to which umbrella holders of the above forms are attach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차실 내장 패널 11 - 조수석1-Interior panel 11-Passenger seat

13 - 인스트루먼트 패널 2,3,4 - 우산 홀더13-instrument panel 2,3,4-umbrella holder

20,30,40 - 본체 21,31,41 - 오목부20,30,40-Main body 21,31,41-Concave

23 - 걸림 부재 23a - 오목부23-locking member 23a-recess

23b - 세로홈 29 - 통재23b-Groove 29-Clearance

35 - 뚜껑 42 - 격납부35-lid 42-housing

45 - 후크 부재 47 - 지지구멍45-hook member 47-support hole

48 - 걸림부 7∼9 - 우산48-Hanging part 7-9-Umbrella

7a - 우산의 손잡이 8a - 우산의 스트랩7a-handle of the umbrella 8a-strap of the umbrella

9a - 우산의 본체9a-the body of the umbrella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실 내에 설치되어 우산을 지지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에 있어서, 차실 내장 패널 중, 우산을 매달기 가능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차량 상방향으로 트이고, 또한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의 걸이용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In an automobile umbrella holder installed in a vehicle compartment and supporting an umbrella, a recess for a hanger having a size that is formed at a height position where the umbrella can be suspended among the interior panels of the vehicle and which is open in the vehicle upward direction and which can insert a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In having a part, 상기 오목부의 주위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측에 가라앉은 수납 양태로부터, 압압 조작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하여 우산의 손잡이 또는 스트랩을 걸기 가능하게 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되는 걸림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sunk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said recessed part, and has a latching member which protrudes upward by a press operation, and switches to the use aspect which can hang a handle or a strap of an umbrella, and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Umbrella holder for cars. 차실 내에 설치되어 우산을 지지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에 있어서, 차실 내장 패널 중, 우산을 매달기 가능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차량 상방향으로 트이고, 또한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크기의 걸이용 오목부를 구비하고,In an automobile umbrella holder installed in a vehicle compartment and supporting an umbrella, a recess for a hanger having a size that is formed at a height position where the umbrella can be suspended among the interior panels of the vehicle and which is open in the vehicle upward direction and which can insert a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With wealth,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우산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 가능한 긴 구멍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The concave portion has a long hole shape into which the handle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umbrellas can be inserted. 상기 오목부의 주위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측에 가라앉은 수납 양태로부터, 압압 조작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하여 우산의 손잡이 또는 스트랩을 걸기 가능하게 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되는 걸림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sunk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said recessed part, and has a latching member which protrudes upward by a press operation, and switches to the use aspect which can hang a handle or a strap of an umbrella, and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Umbrella holder for cars.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오목부에 상하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오목부의 트인구멍을 막는 닫힘 상태로부터, 상기 우산의 손잡이 부분의 삽입시에 받는 응력으로 그 오목부의 내저면측에 탄지력에 대항하여 가라앉는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뚜껑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It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recess is closed against the finger force by the stress received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against the opening force. Car umbrella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id that is switched.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오목부의 주위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오목부의 주위부 상하로 배치된 수납 양태로부터, 그 오목부의 주위부 상측으로 이동된 후, 그 오목부 밖으로 인출되어 우산을 지지 가능하게 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후크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The usage mode which is provided so that extraction is possible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said recessed part, and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from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and is pulled out of the recess and can support an umbrella. Umbrella holde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ook member formed with a support hole to be switched to. 청구항 5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오목부의 주위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오목부의 주위부 상하로 배치된 수납 양태로부터, 그 오목부의 주위부 상측으로 이동된 후, 그 오목부 밖으로 인출되어 우산을 지지 가능하게 되는 사용 양태로 전환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후크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The usage mode which is provided so that extraction is possible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said recessed part, and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from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and is pulled out of the recess and can support an umbrella. Umbrella holde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ook member formed with a support hole to be switched to.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지지구멍과 함께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The hook member is an umbrella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lock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support hole. 청구항 7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지지구멍과 함께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홀더.The hook member is an umbrella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lock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support hole.
KR1020090016034A 2008-07-09 2009-02-25 Car Umbrella Holder KR1010485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78659A JP5222639B2 (en) 2008-07-09 2008-07-09 Car umbrella holder
JPJP-P-2008-178659 2008-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525A KR20100006525A (en) 2010-01-19
KR101048547B1 true KR101048547B1 (en) 2011-07-12

Family

ID=4152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034A KR101048547B1 (en) 2008-07-09 2009-02-25 Car Umbrella Hold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22639B2 (en)
KR (1) KR101048547B1 (en)
CN (1) CN101624032B (en)
TW (1) TWI34010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3072A (en) * 2011-08-22 2013-03-04 Napolex Co Rod-shaped article holder for automobile
JP6084848B2 (en) * 2013-01-21 2017-02-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Vehicle hold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3846A (en) 1986-01-10 1987-07-20 Nissan Motor Co Ltd Umbrella housing device for vehicle
JPH11318681A (en) * 1998-05-13 1999-11-24 Nobuyuki Ono Stopper of umbrella
JP2001178612A (en) * 1999-12-22 2001-07-03 Masami Murata Hanging tool
JP2004203284A (en) * 2002-12-26 2004-07-22 Toyoda Gosei Co Ltd Storage type hol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6552U (en) * 1990-11-30 1992-07-28
JP2000229529A (en) * 1999-02-10 2000-08-22 Nissan Motor Co Ltd Automobile cupholder structure
CN2561638Y (en) * 2002-05-17 2003-07-23 史昀 Umbrella holder of b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3846A (en) 1986-01-10 1987-07-20 Nissan Motor Co Ltd Umbrella housing device for vehicle
JPH11318681A (en) * 1998-05-13 1999-11-24 Nobuyuki Ono Stopper of umbrella
JP2001178612A (en) * 1999-12-22 2001-07-03 Masami Murata Hanging tool
JP2004203284A (en) * 2002-12-26 2004-07-22 Toyoda Gosei Co Ltd Storage type hol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0104B (en) 2011-04-11
TW201002559A (en) 2010-01-16
CN101624032A (en) 2010-01-13
KR20100006525A (en) 2010-01-19
JP5222639B2 (en) 2013-06-26
JP2010018078A (en) 2010-01-28
CN101624032B (en)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1596A1 (en) Mot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box
KR101048547B1 (en) Car Umbrella Holder
JP4284660B2 (en) Vehicle roof console box
US7229114B2 (en) Stowage device for a luggage space of a motor vehicle
KR100558409B1 (en) console box of automobile
KR20130058826A (en) Center console for vehicle
JP2007261549A (en) Vehicular rear door
KR101092782B1 (en) Console box for automobile
JP4563860B2 (en) Tonneau cover device
EP2879915A1 (en) Vehicle door storage compartment
JP2009208485A (en) Vehicular storage compartment
KR100868146B1 (en) Storing structure of door trim armrest
JP4682486B2 (en) Car interior pocket
JP2005335655A (en) Tonneau cover apparatus for vehicle
KR200380704Y1 (en) Consol box of automobile
KR0140658Y1 (en) Cup holder for retaining various-sized cup
JP4133775B2 (en) Vehicle storage device
KR100896892B1 (en) Luggage box assembly
JP4016087B2 (en) Car interior storage structure
JP2002321565A (en) Glove box device for vehicle
JP3836808B2 (en) Vehicle accessory device
KR0124717Y1 (en) Case structure for vehicle trunks
KR100294752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0130645Y1 (en) Door armrest for a car
KR200146808Y1 (en) Auxiliary cup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