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431B1 - 원단 텀블러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텀블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431B1
KR101048431B1 KR1020080084763A KR20080084763A KR101048431B1 KR 101048431 B1 KR101048431 B1 KR 101048431B1 KR 1020080084763 A KR1020080084763 A KR 1020080084763A KR 20080084763 A KR20080084763 A KR 20080084763A KR 101048431 B1 KR101048431 B1 KR 101048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rums
hot air
dru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981A (ko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filed Critical 김도현
Priority to KR102008008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4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텀블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이 분부된 염색 가공처리된 원단을 순환하는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동안 늘어난 원단을 수축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과 작업인원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열풍을 재순환시켜 사용함에 따른 전력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체의 내부에 정,역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과, 상기 제1,2드럼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함체 내부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2,3드럼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원단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제1,2,3드럼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와 이송수단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단, 축률, 드럼, 회동, 열풍, 이송

Description

원단 텀블러장치{TUMBLER APPARATUS FOR FABRIC}
본 발명은 원단 텀블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분부된 염색 가공처리된 원단을 순환하는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동안 늘어난 원단을 수축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과 작업인원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열풍을 재순환시켜 사용함에 따른 전력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일단이 경사진 드럼이 회동하도록 구비되므로 원단이 드럼을 지나는 동안 꼬임을 방지할 수 있어 축률된 원단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원단 텀블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원단은, 직조장치를 통하여 위사와 경사로 직조된 후, 염색 가공처리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원단은 염색 가공처리 과정을 거치는 동안 원단의 위사와 경사가 열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늘어난 원단을 이용하여 가공된 옷을 세탁하게 되면, 늘어난 원단 이 건조되는 중에 수축되어 옷 전체의 길이가 수축되는 문제가 있어 염색 가공처리된 원단은 원단 텀블러장치를 통하여 원단을 수축시키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원단 텀블러장치는, 전원인가에 의해 정역구동가능한 모터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일단은 상기 모터와 벨트를 통하여 연결되어 정,역회전가능하게 실장되어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측으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배출되도록 히팅코일과 송풍팬으로 구성된 히팅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원단 텀블러장치는, 작업자가 케이스에 실장된 드럼에 물이 분무된 원단을 투입시킨 후, 전원을 인가시키는 것에 의해 모터가 정역 구동하게 되고 아울러 히팅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원단이 가열되면서 수축이 된다.
상기와 같이 수축이 완료된 원단은 작업자에 의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어 지고, 다른 원단을 재투입시켜 전원을 인가시키는 것에 의해 원단을 수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원단 텀블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 첫 번째로는, 종래의 원단 텀블러장치는 케이스에 실장된 하나의 드럼을 통하여 원단을 수축시키게 되므로, 원단을 축률시키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원단 텀블러장치에 작업자가 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로 함에 따른 단가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원단 텀블러장치를 여러 대 설치함에 따른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장치관리에 대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세 번째로는, 상기한 종래의 원단 텀블러장치는 히팅수단에 의해 발생된 뜨거운 열은 드럼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지속적인 히팅수단을 가동시킴에 따른 전력이 많이 소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네 번째로는,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원단 텀블러장치는 드럼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드럼측으로 투입된 원단은 드럼을 지나는 동안 정,역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꼬임이 발생되고 그로 인하여 배출된 원단은 심한 구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이 분부된 원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일단이 경사져 독립적으로 정,역방향 회동가능한 드럼을 다수개 구비하고, 드럼측으로 열풍을 순환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원단 텀블러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원단을 축률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인원을 감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률된 원단의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원단 텀블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이 분부된 원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일단이 경사져 독 립적으로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드럼을 다수개 구비하고, 드럼측으로 열풍을 순환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원단 텀블러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원단을 축률시킬 수 있어, 원단 텀블러장치의 설치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원단 텀블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이 분부된 원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일단이 경사져 독립적으로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드럼을 다수개 구비하고, 드럼측으로 열풍을 순환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순환되는 열풍으로 인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원단 텀블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이 분부된 원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일단이 경사져 독립적으로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다수개의 드럼을 통과시키는 동안 드럼이 각각 정,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원단이 드럼내부에서 꼬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배출된 원단은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원단 텀블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염색 가공처리되는 중에 늘어난 원단에 물을 분무시켜 물을 흡수시킨 후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른 축률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 을 투입시키기 위한 입구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률된 원단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를 갖되, 상기 입구측에는 원단을 입구측으로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가 구비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하부 일측과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드럼지지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통되게 내설되되, 출구측은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를 포함한 경사각 조절수단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정,역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과, 상기 제1,2드럼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함체 내부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2,3드럼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원단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제1,2,3드럼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와 이송수단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에 따르면, 물이 분부된 원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정역구동가능한 드럼을 다수개 구비하고, 드럼측으로 열풍을 순환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원단 텀블러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원단을 축률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인 원을 감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률된 원단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에 따르면, 물이 분부된 원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정역구동가능한 드럼을 다수개 구비하고, 드럼측으로 열풍을 순환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원단 텀블러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원단을 축률시킬 수 있어, 원단 텀블러장치의 설치에 따른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배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에 따르면, 물이 분부된 원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정역구동가능한 드럼을 다수개 구비하고, 드럼측으로 열풍을 순환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순환되는 열풍으로 인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에 따르면, 물이 분부된 원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정역구동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일단이 경사져 독립적으로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다수개의 드럼을 통과시키는 동안 드럼이 각각 정,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원단이 드럼내부에서 꼬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배출된 원단은 구김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100)는, 염색 가공처리되는 중에 늘어난 원단에 물을 분무시켜 물을 흡수시킨 후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른 축률시키시 위한 장치로서, 상기 원단(A)을 투입시키기 위한 입구(미도시)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률된 원단을 배출시키기 위한 미도시된 출구를 갖되, 상기 입구측에는 원단(A)을 입구측으로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하부 일측과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드럼지지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통되게 내설되되, 출구측은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를 포함한 경사각 조절수단(13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141,142,143)과, 상기 제1,2드럼(141,142)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A)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142,143)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150)과, 상기 함체(110) 내부 일측에 내설되 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원단(A)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와,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와 이송수단(150)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100)의 함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프레임(113)에 의해 좌,우측이 2분할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그리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이 내설되는 것에 의해 연통되도록 입구와 출구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함체(110)에 내설된 다수개의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의 입구와 출구가 연통되도록 전면과 배면에는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의 입구 및 출구와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의 전면 하부 우측에 형성된 입구측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A)을 입구를 통하여 제1드럼(121)측에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한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된다.
상기한 드럼지지용부재는, 상기 함체(110)에 내설되는 제1,2,3드럼(141,142,143)에 대응되게 각각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도록 제1,2,3드럼지지용부재(121,122,123)로 구비되되, 상기 원단(A)이 투입되어 배출되는 출구측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2,3드럼지지용부재(121,122,1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2,3지지틀(121a,122a,123a)과, 상기 제1,2,3지지틀(121a,122a,123a)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소정 거리 이격된 고정편(도면부호 생략)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의 외주면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로울러(121b,122b,123b)와, 상기 제1,2,3지지틀(121a,122a,123a)의 상부 양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경사각조절수단(130)을 가이드하기 위해 고정 구비되는 제1,2,3안내편(121c,122c,123c)과, 상기 제1,2,3지지틀(121a,122a,123a)의 외측면 중앙부에 일단이 고정된 제1,2,3지지축(121d,122d,123d)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1드럼(141)과, 제2 및 제 3드럼(142,143)은, 상기 함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와 벨트 연결되어 하부 일측과 상부 그리고 상부 우측에 정,역회동 즉, 9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 늘어난 원단(A)을 이송시키는 중에 축률시킴과 아울러 90도 각도로 정,역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꼬임을 방지하고 아울러 원단 축률시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제1드럼(14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기둥체로 형성되어 상기 함체(110)의 외주면 좌측 하부 전방에 구비된 정,역구동모터(141a)의 풀 리에 연결된 벨트(141b)를 외주면에 권회시키기 위한 벨트연결용링(141c)이 일단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연결용링(141c)에 근접되는 전방과 상기 벨트연결용링(141c)이 구비되는 타단측에는 상기 제1드럼지지용부재(121)의 제1지지틀(121a) 내측면에 구비된 로울러(121b)를 수용시켜 지지되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용지지링(141d)이 고정 구비되어 정,역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드럼(142)은, 함체(110)의 외주면 우측 상부 후방에 구비된 정,역구동모터(142a)의 풀리에 연결된 벨트(142b)를 외주면에 권회시키기 위한 벨트연결용링(142c)이 일단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연결용링(142c)에 근접되는 전방과 상기 벨트연결용링(142c)이 구비되는 타단측에는 상기 제2드럼지지용부재(122)의 제2지지(122a)틀 내측면에 구비된 로울러(122b)를 수용시켜 지지되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용지지링(142d)이 고정 구비되어 정,역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드럼(143)은, 함체(110)의 외주면 좌측 상부 전방에 구비된 정,역구동모터(143a)의 풀리에 연결된 벨트(143b)를 외주면에 권회시키기 위한 벨트연결용링(143c)이 일단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연결용링(143c)에 근접되는 전방과 상기 벨트연결용링(143c)이 구비되는 타단측에는 상기 제3드럼지지용부재(123)의 제3지지틀(123a) 내측면에 구비된 로울러(123b)를 수용시켜 지지되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용지지링(143d)이 고정 구비되어 정,역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은 상기 각각의 모터(141a,142a,143a)의 구동에 대응되게 정,역 회동시 원단(A)을 상승 걸림시켜 떨어뜨려 원단(A)을 수 축시키면서 부드럽게 하고 아울러 원단(A)이 이동가능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설치되는 것에 의해 종방향을 기준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한쪽은 길이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걸림돌부(141e,142e,143e)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은 상기 열풍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내측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유동홀(미도시)이 각각 타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의 일단 즉, 원단(A)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제1,2,3드럼(141,142,143) 입구측을 승,하강시켜 경사각도를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를 통하여 동시에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경사각 조절수단(1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상면에 정역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와, 상기 경사각조절용모터(131)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13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과 타단에 스프로킷휠(sproket wheel)(133,133a)이 쌍으로 고정 구비되는 회동봉(134)과, 상기 스프로킷휠(133,133a)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함체(110)의 상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된 한 쌍의 안내로울러(135,135a)를 통하여 상기 함체(110) 내부로 각각 안내되어 구비되는 제1 및 제2체인(136,136a)과, 상기 제1체인(136)과 제2체인(136a) 타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3지지틀(122,123)의 안내편(122d,123d)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에 대응되게 상기 함체(110)의 우측 하부 내측면과, 우측 상부 내측면 및 좌측 상부 내측면 프레임(113)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제 1,2,3고정편(137,137a,137b)에 상기 지지축(121c,122c,123c)을 각각 베어링 고정 연결시키도록 베어링을 갖추어 상,하방향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이동편(138,138a,138b)의 제2,3이동편(138a,138b)에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제2 및 제3이동바(139a,139b)와, 상기 제3이동편(138b)의 이동과 동시에 제1드럼(141)의 경사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일단은 제3이동편(138b)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지지틀(121)의 안내편(121d)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제1이동편(138)에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제1이동바(139)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송수단(150)은, 제1 및 제2드럼의 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원단을 적재시키는 것에 의해 무게를 감지하여 원단을 제2드럼측과 제3드럼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가능하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이송수단(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에 내설된 제1드럼(141)의 출구측과 연통되는 함체(110)의 출구측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판(151)과, 상기 제1고정판(151)의 상면에 무게감지용센서(미도시)를 저부에 갖추고 상면은 원단은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바스켓(152)과, 상기 제1바스켓(152)에 수용된 원단(A)을 제2드럼(142)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무게감지용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에 의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속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원단이송용로울러(153)를 갖는 제1이송모터(154)와, 상기 제2드럼(142)의 출구측과 연통되는 함체(110)의 출구측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판(151')과, 상기 제2고정판(151')의 상면에 무게감지용센서를 저부에 갖추고 상면은 원단(A)은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바스켓(152')과, 상기 제2바스켓(152')에 수용된 원단을 제3드 럼(142)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무게감지용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에 의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속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원단이송용로울러(153')를 갖는 제2이송모터(16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열풍공급부(160)는, 상기 함체(110)의 우측 하단부에 내설되어 물이 분무된 원단이 제1,2,3드럼(141,142)을 통과하는 중에 상기 원단(A)측으로 열풍을 공급 및 재순환시켜 늘어난 원단(A)을 수축시켜 축률을 보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열풍공급부(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10)의 우측 상부 내측에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온/오프되어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히팅코일(도면부호 생략)을 갖는 열발생부(161)와, 상기 열발생부(161)로부터 발생된 열을 각각의 덕트(도면부호 생략)를 통하여 제1드럼(141)과 제2 드럼 및 제3드럼(142,143)측으로 송풍시키기 위해 상기 함체(110)의 우측 외측면에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동가능하게 송풍팬(도면부호 생략)을 각각 갖추어 고정 구비되는 열풍공급용모터(162)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170은 열풍 순환시 원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사 또는 보풀을 필터링시키기 위해 상기 제2드럼(142)와 열풍공급부(160) 사이에 횡방향 2단으로 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100)를 이용하여 늘어난 원단을 축률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함체(110)의 정면 좌측 하부 즉, 입구측 상부에 구비되는 모터(111)의 투입용 로울러(112)에 물이 분무된 원단(A)의 일단을 걸림시킨 후 제어부를 통하여 원단 텀블러장치(100)를 구동시킨다.
상기 원단 텀블러장치(100) 구동으로 모터(111)가 구동하여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함체(110)의 좌측(도 3에서는 우측)과 우측 상부 및 좌측 상부에 각각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의 풀리에 연결된 벨트(141b,142b,143b)를 외주면에 권회시켜 제1,2,3드럼지지용부재(121,122,123)에 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내설되어 구비되는 제1,2,3드럼(141,142,143)와, 상기 제1드럼(141) 출구측과 제2드럼(142) 출구측에 구비된 이송수단(150) 및 열풍공급부(160)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원단 텀블러장치(100)의 구동으로 상기 투입용 로울러(112)에 일단이 걸림된 원단(A)은 상기 투입용 로울러(112)를 통하여 상기 함체(110)의 좌측 하부에 정역구동모터(141a)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경사각조절수단(130)에 의해 출구측이 하향 경사지도록 내설된 제1드럼(141)측으로 투입된다.
상기 투입된 원단(A)은 상기 제1드럼(141) 내부에서 열풍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열을 흡수하게 되고 아울러 정,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드럼(141)의 걸림돌부(141e)에 걸림되어 떨어지는 것을 반복하면서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출구를 통하여 원단(A)의 일단이 이송수단(150)의 제1바스켓(152)에 수용되면, 제2드럼(142)의 입구측에 구비된 원단이송용로울러(153)에 원단(A)의 일단을 걸림시켜 제2드럼(142)측으로 투입시킨다.
상기 제2드럼(142)측으로 투입된 원단(A)은 원단이송용로울러(153)를 통하여 지속적인 공급되고, 공급된 원단(A)은 상기한 제1드럼(141)을 통과한 방식과 동일하게 열풍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열을 흡수하게 되고 아울러 정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드럼(142)의 걸림돌부(142e)에 걸림되면서 떨어지는 것을 반복하면서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드럼(142)의 출구측으로 배출된 원단(A)이 제2드럼(142) 출구측 하부에 구비된 제2바스켓(152')에 수용되면, 제3드럼(143)측으로 투입시키기 위해 원단(A)의 일단을 제3드럼(143) 출구측에 구비된 원단이송용로울러(153')에 걸림시켜 제3드럼(143)측으로 투입시킨다.
상기 제3드럼(143)측으로 투입된 원단(A)은 상기한 제1,2드럼(141,142)을 통과한 방식과 동일하게 열풍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열을 흡수하게 되고 아울러 정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제3드럼(143)의 걸림돌부(143e)에 걸림되면서 떨어져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단(A)은 지속적으로 투입되는 중에 제1,2,3드럼(141,142,143)을 통과하게 되고 원단(A)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통과하는 중에 상기 열풍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에 형성된 걸림돌부(141e,142e,143e)에 의해 건조됨과 동시에 걸림돌부(141e,142e,143e)에 의해 반복적으로 떨어지면서 원단(A)이 축률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원단(A)을 축률시키는 중에 원단(A)으로부터 배출되는 보풀 또는 원사는 상기 제2드럼(142)과 열풍공급부(160)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필 터(170)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연속적으로 원단을 이동시키는 중에 축률시키게 되므로 작업자의 인원을 감축시킬 수 있고, 또한, 열풍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드럼이 정,역회동하게 되므로 원단의 꼬임을 방지하여 구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텀블러장치의 경사각 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단 텀블러장치
110 ; 함체
130; 경사각 조절수단
150 ; 이송수단
160 ; 연풍공급부
170 ; 필터

Claims (8)

  1. 삭제
  2. 염색 가공처리되는 중에 늘어난 원단에 물을 분무시켜 물을 흡수시킨 후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른 축률시키시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A)을 투입시키기 위한 입구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률된 원단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를 갖되, 상기 입구측에는 원단(A)을 입구측으로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하부 일측과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드럼지지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통되게 내설되되, 출구측은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를 포함한 경사각 조절수단(13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141,142,143)과;
    상기 제1,2드럼(141,142)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A)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142,143)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150)과;
    상기 함체(110) 내부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순차적적으로 통과하는 원단(A)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와;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와 이송수단(150)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110)는, 내부가 프레임(113)에 의해 좌,우측이 2분할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그리고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이 내설되는 것에 의해 연통되도록 입구와 출구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 하부 우측에 형성된 입구측의 상부에는 상기 원단(A)을 입구를 통하여 제1드럼(121)측에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한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텀블러장치.
  3. 염색 가공처리되는 중에 늘어난 원단에 물을 분무시켜 물을 흡수시킨 후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른 축률시키시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A)을 투입시키기 위한 입구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률된 원단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를 갖되, 상기 입구측에는 원단(A)을 입구측으로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하부 일측과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드럼지지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통되게 내설되되, 출구측은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를 포함한 경사각 조절수단(13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141,142,143)과;
    상기 제1,2드럼(141,142)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A)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142,143)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150)과;
    상기 함체(110) 내부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순차적적으로 통과하는 원단(A)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와;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와 이송수단(150)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럼지지용부재는, 상기 함체(110)에 내설되는 제1,2,3드럼(141,142,143)에 대응되게 각각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도록 제1,2,3드럼지지용부재(121,122,123)가 구비되되, 상기 원단(A)이 투입되어 배출되는 출구측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2,3드럼지지용부재(121,122,123)는,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2,3지지틀(121a,122a,123a)과, 상기 제1,2,3지지틀(121a,122a,123a)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소정 거리 이격된 고정편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의 외주면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로울러(121b,122b,123b)와, 상기 제1,2,3지지틀(121a,122a,123a)의 상부 외측면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경사각조절수단(130)을 가이드하기 위해 고정 구비되는 제1,2,3안내편(121c,122c,123c)과, 상기 제1,2,3지지틀(121a,122a,123a)의 외측면 중앙부에 일단이 고정된 제1,2,3지지축(121d,122d,123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텀블러장치.
  4. 염색 가공처리되는 중에 늘어난 원단에 물을 분무시켜 물을 흡수시킨 후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른 축률시키시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A)을 투입시키기 위한 입구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률된 원단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를 갖되, 상기 입구측에는 원단(A)을 입구측으로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하부 일측과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드럼지지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통되게 내설되되, 출구측은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를 포함한 경사각 조절수단(13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141,142,143)과;
    상기 제1,2드럼(141,142)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A)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142,143)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150)과;
    상기 함체(110) 내부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순차적적으로 통과하는 원단(A)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와;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와 이송수단(150)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의 기둥체로 형성된 제1드럼(141)은, 상기 함체(110)의 외주면 좌측 하부 전방에 구비된 정역구동모터(141a)의 풀리에 연결된 벨트(141b)를 외주면에 권회시키기 위한 벨트연결용링(141c)이 일단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연결용링(141c)에 근접되는 전방과 상기 벨트연결용링(141c)이 구비되는 타단측에는 제1드럼지지용부재(121)의 제1지지틀(121a) 내측면에 구비된 로울러(121b)를 수용시켜 지지되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구비된 회동용지지링(141d)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드럼(142)은, 상기 제1드럼(141)의 대각선 방향에 회동가능하게 함체(110)에 내설되어 상기 함체(110)의 외주면 우측 상부 후방에 구비된 정역구동모터(142a)의 풀리에 연결된 벨트(142b)를 외주면에 권회시키기 위한 벨트연결용링(142c)이 일단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연결용링(142c)에 근접되는 전방과 상기 벨트연결용링(142c)이 구비되는 타단측에는 제2드럼지지용부재(122)의 제2지지(122a)틀 내측면에 구비된 로울러(122b)를 수용시켜 지지되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구비되는 회동용지지링(142d)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드럼(143)은, 상기 제1드럼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함체(110)에 내설되어 상기 함체(110)의 외주면 좌측 상부 전방에 구비된 정역구동모터(143a)의 풀리에 연결된 벨트(143b)를 외주면에 권회시키기 위한 벨트연결용링(143c)이 일단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연결용링(143c)에 근접되는 전방과 상기 벨트연결용링(143c)이 구비되는 타단측에는 제3드럼지지용부재(123)의 제3지지틀(123a) 내측면에 구비된 로울러(123b)를 수용시켜 지지되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구비되는 회동용지지링(143d)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텀블러장치.
  5. 염색 가공처리되는 중에 늘어난 원단에 물을 분무시켜 물을 흡수시킨 후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른 축률시키시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A)을 투입시키기 위한 입구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률된 원단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를 갖되, 상기 입구측에는 원단(A)을 입구측으로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하부 일측과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드럼지지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통되게 내설되되, 출구측은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를 포함한 경사각 조절수단(13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141,142,143)과;
    상기 제1,2드럼(141,142)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A)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142,143)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150)과;
    상기 함체(110) 내부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순차적적으로 통과하는 원단(A)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와;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와 이송수단(150)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각 조절수단(130)은, 함체(110)의 상면에 정역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와, 상기 경사각조절용모터(131)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기(13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과 타단에 스프로킷휠(133,133a)이 쌍으로 고정 구비되는 회동봉(134)과, 상기 스프로킷휠(133,133a)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함체(110)의 상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된 한 쌍의 안내로울러(135,135a)를 통하여 상기 함체(110) 내부로 각각 안내되어 구비되는 제1 및 제2체인(136,136a)과, 상기 제1체인(136)과 제2체인(136a) 타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2,3지지틀(122,123)의 안내편(122d,123d)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에 대응되게 상기 함체(110)의 우측 하부 내측면과, 우측 상부 내측면 및 좌측 상부 내측면 프레임(113)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제1,2,3고정편(137,137a,137b)에 지지축(121c,122c,123c)을 각각 베어링 고정 연결시키도록 베어링을 갖추어 상,하방향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이동편(138,138a,138b)의 제2,3이동편(138a,138b)에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제2 및 제3이동바(139a,139b)와, 상기 제3이동편(138b)의 이동과 동시에 제1드럼(141)의 경사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일단은 제3이동편(138b)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제1지지틀(121)의 안내편(121d)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제1이동편(138)에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제1이동바(1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텀블러장치.
  6. 염색 가공처리되는 중에 늘어난 원단에 물을 분무시켜 물을 흡수시킨 후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른 축률시키시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A)을 투입시키기 위한 입구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률된 원단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를 갖되, 상기 입구측에는 원단(A)을 입구측으로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하부 일측과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드럼지지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통되게 내설되되, 출구측은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를 포함한 경사각 조절수단(13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141,142,143)과;
    상기 제1,2드럼(141,142)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A)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142,143)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150)과;
    상기 함체(110) 내부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순차적적으로 통과하는 원단(A)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와;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와 이송수단(150)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150)은, 함체(110)에 내설된 제1드럼(141)의 출구측과 연통되는 함체(110)의 출구측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판(151)과, 상기 제1고정판(151)의 상면에 무게감지용센서를 저부에 갖추고 상면은 원단은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바스켓(152)과, 상기 제1바스켓(152)에 수용된 원단(A)을 제2드럼(142)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무게감지용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에 의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속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원단이송용로울러(153)를 갖는 제1이송모터(154)와, 상기 제2드럼(142)의 출구측과 연통되는 함체(110)의 출구측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판(151')과, 상기 제2고정판(151')의 상면에 무게감지용센서를 저부에 갖추고 상면은 원단(A)은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바스켓(152')과, 상기 제2바스켓(152')에 수용된 원단을 제3드럼(142)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무게감지용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에 의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속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원단이송용로울러(153')를 갖는 제2이송모터(1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텀블러장치.
  7. 염색 가공처리되는 중에 늘어난 원단에 물을 분무시켜 물을 흡수시킨 후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중에 순환되는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른 축률시키시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A)을 투입시키기 위한 입구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축률된 원단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를 갖되, 상기 입구측에는 원단(A)을 입구측으로 연속적으로 투입가능하도록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용 로울러(112)가 구비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하부 일측과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드럼지지용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입구와 출구와 연통되게 내설되되, 출구측은 하나의 경사각조절용모터(131)를 포함한 경사각 조절수단(13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3드럼(141,142,143)과;
    상기 제1,2드럼(141,142) 출구측 하부에는 원단(A)을 적재하여 무게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제2,3드럼(142,143)측으로 이송시킬 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수단(150)과;
    상기 함체(110) 내부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순차적적으로 통과하는 원단(A)측으로 열풍을 순환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와;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을 정,역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와 이송수단(150) 그리고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측으로 열풍을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열풍공급부(160)를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열풍공급부(160)는, 상기 함체(110)의 우측 상부 내측에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온/오프되어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히팅코일을 갖는 열발생부(161)와, 상기 열발생부(161)로부터 발생된 열을 각각의 덕트를 통하여 제1드럼(141)과 제2 드럼 및 제3드럼(142,143)측으로 송풍시키기 위해 상기 함체(110)의 우측 외측면에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동가능하게 송풍팬을 각각 갖추어 고정 구비되는 열풍공급용모터(1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텀블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드럼(141,142,143)은, 상기 각각의 정역구동모터(141a,142a,143a)의 구동에 대응되게 정,역 회동시 원단(A)을 상승 걸림시켜 떨어뜨려 원단(A)을 수축시키면서 부드럽게 하고 아울러 원단(A)이 이동가능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설치되는 것에 의해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한쪽은 길이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걸림돌부(141e,142e,143e)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은 상기 열풍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내측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유동홀이 각각 타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하는 원단 텀블러장치.
KR1020080084763A 2008-08-28 2008-08-28 원단 텀블러장치 KR101048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763A KR101048431B1 (ko) 2008-08-28 2008-08-28 원단 텀블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763A KR101048431B1 (ko) 2008-08-28 2008-08-28 원단 텀블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981A KR20100025981A (ko) 2010-03-10
KR101048431B1 true KR101048431B1 (ko) 2011-07-11

Family

ID=4217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763A KR101048431B1 (ko) 2008-08-28 2008-08-28 원단 텀블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745B1 (ko) * 2010-07-22 2011-04-19 전종남 직물 연속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74Y1 (ko) * 2001-09-14 2001-12-28 신척우 섬유원단용 텀블러가공기의 열풍 공급장치
KR200431189Y1 (ko) * 2006-07-06 2006-11-23 장성욱 원단 텀블러 가공 장치
KR100845188B1 (ko) * 2007-11-27 2008-07-10 장성욱 원단 텀블러 가공장치
KR100922611B1 (ko) * 2007-09-18 2009-10-29 장성욱 원단 텀블러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74Y1 (ko) * 2001-09-14 2001-12-28 신척우 섬유원단용 텀블러가공기의 열풍 공급장치
KR200431189Y1 (ko) * 2006-07-06 2006-11-23 장성욱 원단 텀블러 가공 장치
KR100922611B1 (ko) * 2007-09-18 2009-10-29 장성욱 원단 텀블러 가공 장치
KR100845188B1 (ko) * 2007-11-27 2008-07-10 장성욱 원단 텀블러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981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197B1 (ko) 섬유 원단용 텀블러장치
EP2286013B1 (en) Machine for the processing of open - width fabrics and related method
US359491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relaxing textile fabrics
KR101108502B1 (ko) 원단 텀블러장치
KR100922611B1 (ko) 원단 텀블러 가공 장치
EP1945846B1 (en) Machine for continuous treatment of a fabric in rope form and relative method
KR101048431B1 (ko) 원단 텀블러장치
KR100967089B1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CN114576962A (zh) 具有选择性干燥功能的布料收缩干燥机
JP5917589B2 (ja) シート湯洗処理ユニットおよびシート湯洗処理装置
KR101021856B1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KR101758243B1 (ko) 텀블러장치
KR200431189Y1 (ko) 원단 텀블러 가공 장치
KR100845188B1 (ko) 원단 텀블러 가공장치
US405279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finishing of webs of textiles, artificial leather and the like
KR200439629Y1 (ko) 섬유 건조장치
CN115559076B (zh) 一种改善纱线纤维固色工艺
KR100625607B1 (ko)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2055619B1 (ko) 수세부가 구비되는 원단 열처리 가공기
US5062220A (en) Textile fabric dryer and method
CN106868749A (zh) 一种用于纱线加工的染色槽
KR101033529B1 (ko) 냉각부와 필터수단을 갖는 원단 텀블러장치
JP2905431B2 (ja) コードディップ処理機
KR100548419B1 (ko) 원단 염색장치용 권양릴
EP0860534B1 (en) Finishing machine for fabrics in rope or open-width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