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318B1 -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 Google Patents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318B1
KR101048318B1 KR1020090090804A KR20090090804A KR101048318B1 KR 101048318 B1 KR101048318 B1 KR 101048318B1 KR 1020090090804 A KR1020090090804 A KR 1020090090804A KR 20090090804 A KR20090090804 A KR 20090090804A KR 101048318 B1 KR101048318 B1 KR 10104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abric
jet nozzle
j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349A (ko
Inventor
조경철
김용대
박시우
전두환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산업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산업,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산업
Priority to KR102009009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3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2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with means to improve the circulation of the tre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트노즐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제트노즐에 구성되는 분출구의 간격을 일정하고 미세한 조정이 용이토록 하고, 저유량, 저압력으로 직물의 빠른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직물의 꼬임과 기포발생을 줄여 보다 이상적인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분출구에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이 걸리더라도 노즐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제트노즐을 통과하는 직물에 흠이 발생되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노즐박스 상단에 구성된 상부고정체에 다수개의 관통공을 등간격으로 뚫어 구성하고, 상기 상부고정체 상에 하부노즐과 상부노즐을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로 체결고정하여 제트노즐이 조립구성되게 하되, 상하부 노즐 사이에 다양한 두께로 구성된 간격조절링을 선택적으로 끼워 상하부노즐 사이에 형성되는 분출구의 간격조정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서, 염액의 회류현상을 방지하여 직물의 꼬임을 방지케 하고, 또한 상하부노즐 사이에 구성되는 분출구가, 하부노즐에 길게 구성된 내부경사면과, 상부노즐에 길게 구성된 외부경사면 사이에 길게 구성되게 하여 분출구를 통하여 분사되는 분사수의 분사력을 좋게 하여 직물이송력을 좋게 할 뿐 아니라,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이 분출구에 걸리더라도 이물질의 단부가 노즐 내부로는 돌출되지 않게 하여 직물에 흠이 발생하지 않게 하며, 노즐박스 내면에는 격판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염액의 회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JET NOZZLE STRUCTURE FOR LIQUID DYEING MACHINE}
본 발명은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즐박스에 조립구성되는 제트노즐의 조립수단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분출구의 간격조정이 간단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할 뿐 아니라, 전면에 걸쳐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면서 길게 구성되게 하여 저유량 저압력으로 직물의 이송을 쉽게 하며, 또한 상부분사노즐 일측에 절개부를 구성하여 분사수의 일부가 내측방향으로 분사되게 하여 직물을 가압케 하므로서 기포발생을 줄임과 동시에 직물의 꼬임을 방지케 하여 이상적인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직물의 염색은 제트서큘러 염색기와 같은 고온고압의 액류염색기를 통하여 염색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액류염색기는 통상적으로 130℃, 0.5MPa의 고온고압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상적인 염색을 위하여서는 저장력으로 안정된 고속운전이 요구되고, 다양한 직물을 저장력, 고속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제트노즐의 효율적인 분사력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제트노즐의 분사수에 의해 이송되는 직물은 염액조 내의 정열장치부에서 루우프형태로 가지런히 정열되어야 다시 제트노즐로 공급될때 순차적으로 풀리면서 저장력으로 안정된 고속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액류염색기에 사용되는 제트노즐은 벤트리노즐로서 분사유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직물과 공기의 유입량도 증가되어 정열장치부에 과다한 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직물의 이상적인 정열에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특히 고밀도직물을 염색할 때에는 정열장치에서 공기가 신속히 배출되지 않으면 직물사이에 공기방(Air Ballon, Water Porket)이 만들어져 정열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며, 염액순환도 불가능하게 되어 제트노즐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액류염색기에서 염액과 함께 직물을 이송순환시키는 제트노즐의 기능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여러구성으로 된 제트노즐이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100)의 구조는 도 8에서와 같다.
즉 노즐박스(110) 내면 상하에 상부고정체(120)와 하부고정체(130)를 용접구성하되, 상부고정체(120)에 가변노즐(160)이 결합되고, 하부고정체(130)에 베이스노즐(140)이 조립구성되게 한 것이다.
이때 베이스노즐(140)은 하부고정체(130) 상에 조립구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가변노즐(160)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도 8에서와 같이 노즐박스(110) 내측에 용접구성된 상부고정체(120) 상에 내면에 나선이 형성된 결합관체(150)를 고정볼트(151)로 체결고정하고, 상기 결합관 체(150)의 내면나선부에, 가변노즐(160) 상단에 구성된 가변노즐 결합체(161)를 나사식으로 결합하되, 가변노즐(160) 하단에 구성된 외면경사부(162)가 베이스노즐(140)의 내면경사부(141)와 근접되게 하여 염액이 분사되는 분출구(101)가 형성되게 한다.
이때 분출구(101)의 간격조정은 가변노즐(160) 상단에 구성된 가변노즐 결합체(161)를 결합관체(150) 내면나선부에 나사결합되게 하는 정도에 따라 조정되게 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제트노즐(100)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노즐박스(110) 내면 상하에 용접구성되는 상부고정체(120)와 하부고정체(130)가 전부분에 걸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할 뿐 아니라 상하고정체(120)(130)의 동심원이 정확히 일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노즐박스(110)를 정밀하게 제작하여도, 상기 노즐박스(110)를 염색조의 헤드부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열변형은 필연적으로 따르게 되고, 노즐박스(110)에 연결되는 배관의 신축에 따라 발생하는 열응력도 노즐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상적인 성능유지가 어려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제트노즐(100)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구조상 제트노즐(100)이 설치되는 위치가 작업용 개폐문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분해, 조작이 어렵고, 가변노즐(160)의 본체길이가 길게 구성되어 있어 결합부위에서 약간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가변노즐(160) 단부에 구성된 외면경사부(162)와 베이스노즐(140)의 내면 경사부(141) 사이에 형성되는 염액분출구(101)에는 더욱 큰 편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O링형상의 정확한 분출구(101)의 형성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더욱이 제트노즐 분출구(101)의 간격조절은 가변노즐(160) 상단에 구성된 가변노즐 결합체(161)가 결합관체(150)와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조정이 되나, 나사의 유격으로 분출구(101)의 전후좌우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제트노즐(100)의 분출구(101)를 통하여 분출되는 염액의 분사량이 일정하지 않고 위치에 따라 유량이 달라지게 되므로 분사수가 회전하게 될 뿐 아니라, 또한 염액공급관을 통하여 노즐박스(110)내로 유입되는 염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노즐박스(110) 내에서 염액이 와류하게 되므로, 염액을 따라 이송하는 피염물, 즉 직물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균염에 장애의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또한 베이스노즐(140)의 내면경사부(141)와 가변노즐(160) 하단에 구성된 외면경사부(162)가 근접하여 구성되는 분출구(101)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분출구(101)를 통하여 분사되는 염액의 분사력이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직물의 이송에 보다 많은 염액을 분사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길이가 짧은 분출구(101)에 기계제작과정에서 발생한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이 걸려 이물질의 단부가 노즐 내측면으로 돌출될 경우 제트노즐(100)을 통과하는 직물에 흠을 발생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트노즐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제트노즐에 구성되는 분출구의 간격을 일정하고 미세한 조정이 용이토록 하고, 저유량, 저압력으로 직물의 빠른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직물의 꼬임과 기포발생을 줄여 보다 이상적인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분출구에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이 걸리더라도 노즐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제트노즐을 통과하는 직물에 흠이 발생되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노즐박스 상단에 구성된 상부고정체에 다수개의 관통공을 등간격으로 뚫어 구성하고, 상기 상부고정체 상에 하부노즐과 상부노즐을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로 체결고정하여 제트노즐이 조립구성되게 하되, 상하부 노즐 사이에 다양한 두께로 구성된 간격유지링을 선택적으로 끼워 상하부노즐 사이에 형성되는 분출구의 간격조정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서, 염액의 회류현상을 방지하여 직물의 꼬임을 방지케 하고, 또한 상하부노즐 사이에 구성되는 분출구가, 하부노즐에 길게 구성된 내부경사면과, 상부노즐에 길게 구성된 외부경사면 사이에 길게 구성되게 하여 분출구를 통하여 분사되는 분사수의 분사력을 좋게 하여 직물이송력을 좋게 할 뿐 아니라,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이 분출구에 걸리더라도 이물질의 단부가 노즐 내부로는 돌출되지 않게 하여 직물에 흠이 발생하지 않게 하며, 노즐박스 내면에는 격판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염액의 회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트노즐을 노즐박스 상단에 구성된 상부고정체 상에 간격유지링을 이용하여 조립구성케 하므로,서 제트노즐에 구성되는 분출구의 간격조정이 간단하면서 이상적인 형태로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직물의 꼬임을 방지케 하며, 또한 제트노즐에 구성되는 분출구의 길이를 대체로 길게 하여 분사수의 분사력을 좋게 하여 균일한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이 분출구에 걸리더라도 이물질의 단부가 노즐내로 돌출되지 않게 하여 직물의 흠발생을 방지케 하며, 노즐박스 내면에 격판을 설치하여 염액의 회류를 방지케 하여 제트노즐로 공급되는 염액이 정숙한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서 이상적인 염색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제트노즐(20) 결합부의 단면구성도로서, 상기 제트노즐(20)은 도 7에서와 같이 고온고압상태에서 염액을 순환시키면서 직물에 염색이 되게 하는 액류염색기(1)의 염색조(2) 헤드부에 설치하여 염액이 염액이송관(3)으로 분사되게 하므로서 염액과 함께 직물이 염색조(2) 내를 순환하면서 염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상기 제트노즐의 조립과 간격조정이 간단하면서 정밀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염액의 회류현상을 방지하고, 직물의 순환율을 높여 이상적인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제트노즐(20)의 조립구조를 설명한다.
염색조(2)의 헤드부 하단에 원통형의 노즐박스(10)를 용접구성하되, 일측에는 염액공급관(4)이 연결되고, 하단에는 염액이송관(3)이 연결구성된다.
상기 노즐박스(10) 상하부에는 상부고정체(11)와 하부고정체(12)를 용접구성하되, 상하부고정체(11)(12) 사이에는 원통형의 내관(13)을 결합구성하고, 내관(13)과 노즐박스(10) 사이에는 격판(14)을 설치하여 내관(13)과 노즐박스(10) 사이에 구성되는 공간부(15)가 구획되게 한다.
상기 격판(14)은 염액공급관(4) 반대측에 마주보게 구성되며, 격판(14) 직상부에는 차단판(16)이 내관(13) 외면에 용접구성되고, 하부고정체(12)에는 플랜지(5)를 통하여 염액이송관(3)이 연결된다.
노즐박스(10) 내면에 용접구성된 상부고정체(11)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7)과 나사공(18)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고정체(11) 상에 하부노즐(50)과 상부노즐(70)로 구성된 제트노즐(20)이 조립구성된다.
하부노즐(50)의 구성은, 본체(51) 중앙부에 내부경사면(52)이 형성된 중공부53)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경사면(52) 아랫쪽에는 안내관(59)이 구성되어 있고, 본체(51) 외측에는 다수개의 관통공(57)과 결합공(58)이 구성되어 있고, 본체(51) 하단부와 측부에는 패킹(54)이 끼워져 있다.
상기 본체(51)에 뚫린 관통공(57)과 결합공(58)은 상부고정체(11)에 뚫린 관통공(17)과 나사공(18)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뚫려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하부노즐(50)을 상부고정체(11) 상에 안치하게 되면 하부노즐(50)에 구성된 관통공(57)과 결합공(58)이, 상부고정체(11)에 구성된 관통공(17) 및 나사공(18)과 일치하게 되고, 본체(51) 하단에 위치한 패킹(54)은 상부고정체(11) 상면과 접하게 된다.
상부노즐(70)의 구성은, 체결공(78)이 뚫린 본체(71) 중앙에 중공부(73)가 형성된 하향돌출관(74)을 구성하고, 상기 하향돌출관(74) 외면에는 외부경사면(72)이 구성되어 있고, 본체(71) 테두리에는 하향절곡편(75)이 구성되어 있다.
상부노즐(70)의 본체(71) 중앙에 구성된 하향돌출관(74)에는 경우에 따라 절개부(77)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절개부(77)의 기능은 염액분출시 염액의 일부가 절개부(77)를 통하여 중공부(73)쪽으로 분출되게 하여 직물의 꼬임방지 및 직물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상부노즐(70)을 하부노즐(50) 상에 조립하게 되며, 이때 상부노즐(70)의 결합공(78)과 하부노즐(50)의 결합공(58) 사이에 간격조절링(21)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상부노즐(70) 결합공(78)에 결합볼트(22)를 끼워 간격유지링(21)과 하부노즐(50)의 결합공(58)을 관통하여 상부고정체(11)에 구성된 나사공(18)에 나사결합되게 하므로서 상하부노즐(50)(70)로 구성된 제트노즐(20)의 결합이 완료되며, 상부노즐(80) 테두리에 구성된 하향절곡편(75)은 하부노즐(50) 본체(51) 외주면에 위치하면서 패킹(54)과 접하여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하부노즐(50)의 본체(51) 내면에 구성된 내부경사면(52)과 상부노즐(70)의 본체(71) 외면에 구성된 외부경사면(72) 사이에 대체로 길게 구성된 분출구(26)가 형성되며, 상기 분출구(26)의 간격조정은 상하부노즐(50)(70) 사이에 끼워지는 간격조절링(21)으로 간단히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구성된 제트노즐(20) 상에는 통기공(81)이 뚫린 노즐커버(80)를 설치하고, 상기 노즐커버(80) 상에는 안내공(91)이 형성된 가이드노즐(90)을 설치하되, 가이드노즐(90)의 안내공(91) 하단에 구성된 내향절곡부(92)와 상부노즐(70) 사이에 공간부(93)가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구성된 액류염색기(1)의 염색조(2) 헤드부에 제트노즐(20)이 조립구성된 노즐박스(10)를 용접구성한 다음 염색조(2) 내에 조제된 염액과 직물을 투입한 다음 고온, 고압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제트노즐을 통하여 염액과 함께 직물이 염색조(2) 내를 순환하면서 염색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20)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먼저 염액공급관(4)을 통하여 염액이 노즐박스(10) 내에 구성된 공간부(15) 내로 유입되면 내관(13)과 노즐박스(10) 사이에 설치된 격판(14)에 의해 와류하지 않게 되고, 또한 내관(13)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16)에 의해 곧바로 상승하지 않고 공간부(15) 내에서 잠시 정체되었다가 염액의 유입압력에 의해 수직상승하게 되므로 염액의 회류현상을 1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수직상승한 염액은 다시 상부고정체(11)와 하부노즐(50)에 구성된 다수개의 관통공(17)(57)을 경유하여 상하부노즐(50)(70) 사이로 유입되면서 염액의 회류현상이 2차적으로 제어되게 한 다음 분출구(26)를 통하여 제트노즐(20) 사이에 구성된 중공부(53)로 회류현상없이 분출된다.
이때 상하부노즐(50)(70) 사이에 구성된 분출구(26)는 대체로 길게 구성되어 있어 분사수의 직진성을 좋게 할 뿐 아니라 분사력을 향상시켜 제트노즐(20)을 통과하는 피염물, 즉 직물의 이송을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게 되며, 하부노즐(50) 하단에 구성된 안내관(59)는 염액의 직진성을 좋게 하여 직물의 이송을 도우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제트노즐(20)에 구성되는 분출구(26)는 조립구성되는 상하부노즐(50)(70)의 내부경사면(52)와 외부경사면(72) 사이에서 형성되므로 노즐의 가공만 정밀하게 제작되면 분출구(26)의 간격이 전후좌우 위치에 관계없이 정확히 유지되고, 따라서 분출구(26)를 통하여 분출되는 염액도 깔대기 형상으로 고른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염액이송관(3)으로 이송하는 염액의 회류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직물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트노즐(20)에 의해 염액과 함께 직물이 꼬이지 않고 신속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염액이 직물과 접하는 면적이 고르게 형성되고, 동시에 순환횟수가 증가하게 되어 균염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분출구(26)의 간격조정은 상하부노즐(50)(70) 사이에 끼워지는 간격조절링(21)을 통하여 조정된다.
즉 분출구(26)의 간격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합볼트(22)를 풀어 상부노즐(70)을 분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분출구(26) 간격에 맞게 제작된 간격조절링(21)을 끼운 다음, 상부노즐(70)을 덮고, 결합볼트(22)를 죄는 간단한 조작으로 조정이 완료되므로 누구나 쉽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트노즐(20)은 작업용 개폐문(6) 입구부에 설치되어 있어, 제트노즐(20)의 조정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노즐(50)을 구성하는 본체(51) 저면과 측면에는 밀폐용 패킹(54)이 끼워져 있어 밀폐성을 좋게 하므로 염액의 누출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트노즐(20)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노즐(90)은, 하단에 구성된 내향절곡부(92)가 상부노즐(70) 본체(71)와 이격구성되어 있어 제트노즐(20)로 공급되는 직물에 포함된 공기가 이격된 공간부(93)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는 다시 노즐커버(80)의 통기공(81)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직물과 함께 이동하는 공기의 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하는 기능과, 직물이 제트노즐(20) 내로 유입될때 마찰을 감소시켜 직물의 원활한 유입을 유도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부분사노즐(70)을 구성하는 하향돌출관(74) 일측에 절개부(77)를 구성할 경우에는 분출구(26)를 통하여 분사되는 염액의 일부가, 절개부(77)를 통하여 중공부(53)(73)쪽으로 내향분사되면서 제트노즐(20)을 통과하는 직물을 분사압으로 압박하여 직물 내에 잔존하는 공기를 한번더 배출시킬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직물의 직진이동성을 좋게 하여 꼬임이 방지되게 함으로서 효과적인 염색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염색작업 중 기계제작과정에서 발생한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이 제트노즐(20)로 유입되어 분출구(26)에 걸리더라도, 분출구(26)가 길게 구성되어 있어 이물질의 단부가 노즐 내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직물에 발생되는 홈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트노즐은 다양한 형태의 모든 액류염색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2 : 도 1의 분해상태도
도 3 : 본 발명의 요부확대구성도
도 4 : 도 3의 분해상태도
도 5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6 :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의 노즐박스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류염색기의 예시도
도 8 : 종래 제트노즐 구조의 단면도
도 9 : 도 8의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액류염색기 (2)--염색조
(3)--염액이송관 (4)--염액공급관
(5)--플랜지 (6)--작업용 개폐문
(10)--노즐박스 (11)--상부고정체
(12)--하부고정체 (13)--내관
(14)--격판 (15)--공간부
(16)--차단판 (17)--관통공
(18)--나사공 (20)--제트노즐
(21)--간격조절링 (22)--결합볼트
(26)--분출구 (50)--하부노즐
(51)--본체 (52)--내부경사면
(53)--중공부 (54)--패킹
(57)--관통공 (58)--결합공
(59)--안내관 (70)--상부노즐
(71)--본체 (72)--외부경사면
(73)--중공부 (74)--하향돌출관
(75)--하향절곡편 (77)--절개부
(78)--결합공 (80)--커버
(81)--통기공 (90)--가이드노즐
(91)--안내공 (92)--내향절곡부
(93)--공간부

Claims (5)

  1. 액류염색기(1)의 염색조(2) 헤드부에 상하부고정체(11)(12)가 용접구성된 노즐박스(10)를 설치하고, 상기 노즐박스(10) 내에 제트노즐(20)이 설치되는 통상의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노즐박스(10) 내면에 상부고정체(11)와 하부고정체(12)를 용접구성하되, 상하부고정체(11)(12) 사이에 내관(13)을 설치하여, 노즐박스(10)와 내관(13)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부고정체(11)에는 관통공(17)과 나사공(18)을 뚫어 구성하고, 상부고정체(11) 상에 하부노즐(50)을 안치하되, 하부노즐(50)은 본체(51) 중앙에 내부경사면(52)이 형성된 중공부(53)를 구성하고, 본체(51) 외주면에는 관통공(57)과 결합공(58)을 구성하여, 하부고정체(11)에 구성된 관통공(17) 및 나사공(18)과 일치되게 하고, 하부노즐(50) 상에 상부노즐(70)을 안치하되, 상부노즐(70)은 본체(71) 중앙에 중공부(73)가 형성된 하향돌출관(74)을 구성하고, 본체(71) 외주면에는 결합공(78)을 구성하여 하부노즐(50)의 결합공(58)과 일치되게 하고, 상기 하향돌출관(74) 외면에는 외부경사면(72)이 구성되게 하여 하부노즐(50)에 구성된 내부경사면(52)과 상부노즐(70)에 구성된 외부경사면(72)에 의해 분출구(26)가 길게 형성되게 하고, 하부노즐(50)과 상부노즐(70)에 구성된 결합공(58)(78) 사이에는 간격조절링(21)이 위치되게 한 다음, 상부노즐(70)에 구성된 결합공(78)에 결합볼트(22)를 끼워 간격조절링(21)과 결합공(58)을 관통하여 상부고정체(11)의 나사공(18)에 나사결합되게 하여 상하부노즐(50)(70)이 조립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제트노즐(20)을 구성하는 분출구(26)의 간격조정이 상하부노즐 사이에 끼워진 간격조절링(21)의 교체로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노즐(71) 상부에 안내공(91)과 내향절곡부(92)로 구성된 가이드노즐(90)을 설치하되, 내향절곡부(92)의 하단부는 상부노즐(70)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공간부(93)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제트노즐(20) 내로 유입되는 직물의 마찰을 감소시켜 원활한 유입을 유도케 함과 동시에, 직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가 공간부(9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고정체(11)(12) 사이에 설치된 내관(13)과 노즐박스(10) 사이에 격판(14)을 설치하여, 공간부(15)가 분리구성되게 하고, 내관(13) 상부에는 차단판(16)을 설치하여 공간부(15) 상단 일부가 차단되게 함으로서, 노즐박스(10) 내로 유입된 염액이 회류현상없이 제트노즐(20)로 유입안내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제트노즐(20)을 구성하는 상부노즐(70)의 하향돌출관(74) 일측에 절개부(77)를 구성하여, 분출구(26)로 분출되는 염액 일부가 절개부(77)를 통하여 분출되게 하므로서, 직물의 직진이동성을 좋게 하여 꼬임을 방지케 함과 동시에, 직물에 포함된 공기의 효과적인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KR1020090090804A 2009-09-25 2009-09-25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KR10104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04A KR101048318B1 (ko) 2009-09-25 2009-09-25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04A KR101048318B1 (ko) 2009-09-25 2009-09-25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349A KR20110033349A (ko) 2011-03-31
KR101048318B1 true KR101048318B1 (ko) 2011-07-14

Family

ID=4393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804A KR101048318B1 (ko) 2009-09-25 2009-09-25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67U (ko) * 2019-05-30 2020-12-09 (주)우양기계 염색효율 향상과 초저욕비 달성이 가능한 액류염색기용 이중노즐
KR20220062786A (ko) 2020-11-09 2022-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동 원단 꼬임 방지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9828B (zh) * 2012-09-14 2017-02-22 佛山市三技精密机械有限公司 染色机的间断式喷嘴
CN105332191A (zh) * 2015-10-28 2016-02-17 无锡市惠泽通用机械有限公司 染色机用可调型喷嘴
KR200487564Y1 (ko) * 2016-11-16 2018-10-05 (주)우양기계 원단에 따른 직경 변환이 용이한 액류염색기용 노즐
CN110130023B (zh) * 2019-06-20 2024-02-13 无锡同华染整机械有限公司 可调式染布机喷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073Y1 (ko) * 1991-05-31 1993-06-30 강신철 액류 염색기용 사각분사노즐
JPH1181126A (ja) 1997-08-29 1999-03-26 Komatsu Seiren Kk 液流染色機における処理液の噴射装置
KR200185772Y1 (ko) * 1999-12-10 2000-06-15 김송락 염색기의 노즐
KR200200979Y1 (ko) * 1998-09-01 2001-04-02 김송락 염색기의 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073Y1 (ko) * 1991-05-31 1993-06-30 강신철 액류 염색기용 사각분사노즐
JPH1181126A (ja) 1997-08-29 1999-03-26 Komatsu Seiren Kk 液流染色機における処理液の噴射装置
KR200200979Y1 (ko) * 1998-09-01 2001-04-02 김송락 염색기의 노즐
KR200185772Y1 (ko) * 1999-12-10 2000-06-15 김송락 염색기의 노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67U (ko) * 2019-05-30 2020-12-09 (주)우양기계 염색효율 향상과 초저욕비 달성이 가능한 액류염색기용 이중노즐
KR200492796Y1 (ko) 2019-05-30 2020-12-11 (주)우양기계 염색효율 향상과 초저욕비 달성이 가능한 액류염색기용 이중노즐
KR20220062786A (ko) 2020-11-09 2022-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동 원단 꼬임 방지 염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349A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318B1 (ko) 액류염색기용 제트노즐구조
KR20130124608A (ko) 저액비 액류 염색기용 노즐
BRPI0712853B1 (pt) Bocal de aspersão de líquido de cone pleno
KR20150042208A (ko) 분사 노즐 장치, 특히 캐스트 스트랜드 분사용 분사 노즐 장치
KR20170108777A (ko) 디스펜서 및 그것을 갖는 분사 장치
CN105420961A (zh) 喷雾染色机
KR101184632B1 (ko) 저액비 액류 염색기
CN111744975A (zh) 冷却装置及冷却方法
KR200464258Y1 (ko) 방제장치
JPH02119963A (ja) 気体流体で液体を送り出す噴射装置
KR102154396B1 (ko) 유체 분출기
KR101561599B1 (ko) 워터제트직기용 분사노즐
KR101819613B1 (ko) 유체 분사장치
KR20060131269A (ko) 수압을 이용한 과일 이동 세척장치 및 그 구성방법
US4081000A (en) Weft insertion nozzle arrangement for a weaving machine
KR20170075846A (ko) 냉각장치
JP2010091176A (ja) 空気流による乾燥方法
JP6401481B2 (ja) ノズル管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洗浄装置
JP6511665B2 (ja) レーザー加工装置
KR101867682B1 (ko) 냉각장치
US20060113184A1 (en) Lead frame plating apparatus
BR102015013148A2 (pt) bocal de pulverização com cone pleno
KR200492796Y1 (ko) 염색효율 향상과 초저욕비 달성이 가능한 액류염색기용 이중노즐
KR20190039731A (ko)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
KR102005416B1 (ko) 웨이퍼 보관용기의 세정용 노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