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512B1 -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512B1
KR101047512B1 KR1020110036663A KR20110036663A KR101047512B1 KR 101047512 B1 KR101047512 B1 KR 101047512B1 KR 1020110036663 A KR1020110036663 A KR 1020110036663A KR 20110036663 A KR20110036663 A KR 20110036663A KR 101047512 B1 KR101047512 B1 KR 10104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hyaluronic acid
esterified
esterified collagen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757A (ko
Inventor
박시내
Original Assignee
(주)다림티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림티센 filed Critical (주)다림티센
Priority to KR102011003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5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12P21/06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produced by the hydrolysis of a peptide bond, e.g. hydrolysate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 유래 콜라겐을 이용하여 에스터화 콜라겐을 만들고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비화학적 가교를 통해서 다공성 막, 필름, 젤, 미세소체 형태의 복합체로 된 유착방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아텔로콜라겐을 에탄올과 반응으로 에스터화하여 양이온 성질을 갖는 아텔로콜라겐을 만들고, 음전하를 갖는 히알루론산과 비화학적 가교방법을 통해 복합체를 만든다. 이는 안전성 및 생체 적합성을 갖고 있으며 생체내에서 완전히 분해 및 흡수된다. 이러한 인체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로 된 유착방지제는 생체내 체류시간이 길어 손상조직을 다른 조직면과 분리시키는 역할 이외에 상처 치유와 조직 복원을 도울 수 있는 유착방지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비화학적 가교를 통해 안전성과 생체적합성을 갖는 유착 방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The method of producing an anti-adhesion using non-chemical cross-linking of the esterified atelocollagen and hyaluronic acid}
본 발명은 돼지 유래 천연 콜라겐을 이용하여 에스터화 콜라겐을 만들고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비화학적 가교를 통해서 다공성막, 필름, 젤, 미세소체 형태의 복합체로 된 유착방지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를 이용한 생체적합성 및 조직과 상처 부위와의 물리적 분리뿐 아니라 상처부위의 재생을 돕는 유착 방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술 후 상처부위와 조직이나 장기 사이에 유착 현상이 발생한다. 조직 유착은 인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일어나며 특히 외과나 산부인과 시술 후에 유착이 발생하는 빈도는 60~90%이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손상된 조직에서 나오는 삼출물의 용해와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섬유조직이 형성되고 섬유아세포와의 결합을 통해 결국 콜라겐의 침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수술 부위의 조직에 발생하는 유착 현상은 수술 후 환자의 회복에 많은 영향을 주며, 유착으로 인한 재수술시 위험성이 높아 사망률과도 관계가 있다.
예방이 필수적인 유착 방지를 위해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미국에서는 조직 유착 현상을 막기 위해서 cellulose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제품화된 것으로는 Interceed™(Jonhson & Johnson Medical Inc.), Seprafilm™(Genezyme Corp.), Integel™(LifeCore Biomedical)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수술 부위로부터 조직을 분리하는 기능에만 맞춰져 있어 유착 방지제로서 효능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환자들은 유착방지를 위해 많은 비용을 감수해야만 한다.
종래의 기술로는 "Methods and compositions based on inhibition of cell invasion and fibrosis by anionic polymers, US Patent 6756362, 2004", 'Water Insoluble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US Patent 5017229,1991", "Lee W M 외, A new anti-adhesion film synthesized from polygalacturonic acid with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crosslinker, Biomaterials, Vol. 26 No. 18, Jun 2005", "Sawada T 외, Cross-linked hyaluronate hydrogel prevents adhesion formation and reformation in mouse uterine horn model, Human Reproduction, Vol. 16, No. 2, Feb 2001", "Shunquing T 외, Agarose/collagen composite scaffold as an anti-adhesive sheet, Biomedical Materials, Vol. 2, No. 3, Jul 2007" 등이 소개되고 있지만 단순히 상처 부위와 조직의 물리적인 분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몸속에서 체류 시간이 짧기 때문에 항유착 효과를 얻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손상 부위에 머물지 못한다.
유착 방지제의 재료로 expanded poly tetrafluoroethlene(ePTFE), 키토산, polyglycol acid, polyvinly alcohol(PVA), 아가로오스, 콜라겐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ePTFE과 같은 합성소재는 생분해성을 가지지 않아 수술 부위와 조직 사이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생분해성을 가진 물질이라 하더라도 상처부위에 물리적인 막으로 인하여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해서 상처부위의 회복이 더디게 일어날 수 있다. 유착 방지제는 상처부위에 세포외물질(extracellular matrix)의 침투를 막아야 하고 몸 안에서 상처부위가 아물 동안 수 주일에 걸쳐서 분해가 되어야 하며, 상처 부위에 재생을 위한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고 마지막에는 생체내에서 완전히 분해 및 흡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수술 후 조직과의 유착 원인인 삼출물의 흡수뿐 아니라 조직으로부터 상처부위의 보호 및 치료까지 돕는 새로운 유착 방지제의 개발은 수술 후 조직 유착으로 고생하는 환자의 고통뿐 아니라 경제적인 부분까지 상당한 대체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술 후 발생하는 조직 유착 방지뿐 아니라 손상된 조직의 치유를 돕는 환경을 제공하며 생체에 적합한 인체 유래 고분자를 사용하고 비화학적 가교화 방법을 통한 유착 방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착 방지제가 단순히 손상 조직을 다른 조직면과 분리시키는 역할 이외에 조직의 상처 복원을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과 같은 인체 유래 고분자 화합물로 제조함에 있다.
유착 방지제의 재료로 사용하는 콜라겐은 돼지의 진피층으로부터 추출한다. 추출한 콜라겐의 아텔로텝타이드를 제거하여 비면역화 콜라겐을 얻는다. 비면역화 콜라겐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콜라겐의 카르복실기(CHOOH)에 에스터화 반응으로 양이온의 성질을 갖는 에스터화 콜라겐을 만든다. 친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히알루론산은 음이온적 성질을 갖는 인체 유래 고분자이며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있지만 생체내 체류시간이 짧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히알루론산과 에스터화 콜라겐의 비화학적 가교를 이용하여 복합체를 만든다. 이 복합체의 친수성 고분자인 히알루론산은 조직과의 유착을 막는 효과와 더불어 콜라겐과의 비화학적 가교를 통해 생체내에서 조직이 재생될 때까지 체내에 머물며 유착을 방지하고 복합체의 콜라겐은 조직의 상처 재생을 돕는다. 그리고 안전하게 생체내 분해 및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하여 수술 후 조직 유착을 방지하는 효과 및 상처부위의 재생을 돕는 환경을 제공하는 유착 방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콜라겐의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하여 면역반응의 유발을 방지하고 콜라겐의 에스터화 반응을 통하여 양이온의 성질을 갖는 에스터화 콜라겐을 만들어 음이온의 성질인 히알루론산과 비화학적 가교를 통하여 복합체를 얻는다. 이는 생체내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유착 방지의 효과를 최대화 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유착 방지제의 단점을 보안하여 삼출물 흡수와 상처 부위의 재생을 돕는 효과가 있는 우수한 유착 방지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돼지로부터 추출한 콜라겐을 이용하여 콜라겐의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는 비면역화 콜라겐을 만든다.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한 콜라겐은 기존의 콜라겐과는 달리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는다. 또한 에탄올과의 반응을 통해서 콜라겐의 표면에 양이온화 한다. 양이온화 성질을 갖은 에스터화 콜라겐은 음이온적 성질을 갖는 히알루론산과 비화학적 결합으로 화학적 가교 없이 복합체를 만든다.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반응 복합체는 생체적합성을 갖는 유착 방지제로서 수술 후 생기는 조직 유착 방지를 예방한다. 기존의 유착 방지제는 단순히 조직과 상처 부위의 물리적인 분리 수단으로서의 역할에만 중점을 두거나 생체에 적합하지않는 재료로 제조하여 염증반응 등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여 본 발명은 생체에 적합한 재료인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를 통해서 체내 체류 시간이 길고 손상 조직과 주변 조직과의 유착 방지의 효과뿐 아니라 삼출물을 흡수하고 조직의 상처를 도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유착 방지제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한 재료인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를 이용한 유착 방지제로, 종래의 유착 방지막이 갖고 있는 조직과 상처 부위와의 단순한 물리적인 분리가 아니라 상처 부위의 재생을 돕는 유착 방지제 및 그의 제조방법이다. 돼지로부터 추출한 천연 콜라겐을 비면역화 시킴으로서 면역반응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에스터화 콜라겐으로 전환시켜 양이온적 성질을 띠게 하여 음이온적 성질을 갖는 히알루론산과 쉽게 비화학적 가교로 복합체를 형성 한다. 또한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각각이 갖는 생체내 체류 시간보다 더 길고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 유착 방지뿐만 아니라 삼출물의 흡수, 상처 치유회복을 돕는다. 기존의 화학재료나 합성 소재로 화학적 가교화를 통해 만든 유착 방지막과는 달리 생체에 적합한 재료로 비화학적 방법을 통해 제조하여 보다 안전하고 상처부위의 염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유착방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수술 후 유착 방지로 고생하는 환자들에게 확실한 유착 방지의 효과와 더불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유착방지제의 수입대체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도 1은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의 제조
도 2는 에스터화 콜라겐 필름의 제조
도 3은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와(좌) 에스터화 콜라겐 필름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우)
도 4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젤 형태 복합체
도 5는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의 콜라겐 함유량
도 6은 시간에 따른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의 용해성
도 7은 정제수에 18시간 반응 후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과(좌)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의(우) 용해성 비교
도 8은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의 용해성 시험 표(상) 및 그래프(하)
도 9는 에스터화 콜라겐 필름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의 접촉각 측정
본 발명은 종래의 합성 소재를 화학적 가교화로 만든 유착 방지제와는 달리 돼지로부터 추출한 천연 콜라겐에서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하여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아텔로 콜라겐을 얻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스터화 반응을 통해 에스터화 콜라겐을 얻고 히알루론산의 음이온 성질을 가지고 있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임에 착안하여 에탄올과의 반응으로 얻어진 양이온 성질의 에스터화 콜라겐과 비화학적 가교를 통하여 복합체를 만들어 생체 적합성을 갖는 유착 방지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유착 방지제의 제조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하여 다공성막 형태와 필름 형태, 젤 그리고 미세소체 형태 등으로 복합체를 만드는 제조방법에 있다. 그리고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는 유착 방지제로 이용뿐 아니라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재료로 제조한 연골 재생막, 세포 전달체, 인공 피부로 등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제의 제조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돼지 진피층으로부터 추출한 천연콜라겐을 펩신효소로 처리하여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한 아텔로 콜라겐을 얻는 1단계,
65~85wt%의 에탄올용액에 상기 아텔로 콜라겐 0.5~3wt%를 첨가하여 균질성을 갖도록 교반한 다음 0.5M의 초산이나 염산을 이용하여 pH7.4로 조절한 후 4℃에서 일주일간 반응시켜 에스터화 콜라겐 용액을 얻는 2단계,
상기 에스터화 콜라겐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을 제조하는 3단계,
다공성 막, 필름, 젤, 미세소체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된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복합체를 얻는 4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방지제의 제조방법이다.
이상에서 다공성 막, 필름, 젤, 미세소체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복합체는 각각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1) 다공성 막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복합체,
상기 3단계에서 얻어진 에스터화 콜라겐 0.5~3wt%의 정제수용액을 4℃로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반하고 이 교반용액을 박판 평판상에 살포하여 일정두께로 형성시킨 다음 동결건조하여 해면체상의 에스터화 콜라겐의 다공성 막을 제조하고 이 다공성 막을 히알루론산 0.5~5wt%의 정제수 수용액에 침지시켜 24시간 동안 4℃로 유지하여 반응시킨 다음 동결 건조시켜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다공성 막 복합체를 얻게 된다. 이 다공성 막 복합체를 유착방지제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이 다공성 막 복합체를 비화학적 방법인 DHT(dehydrothermal)방법으로 가교화 한다. 여기에서 DHT처리는 다공성 막 복합체를 진공오븐에 넣고 100~12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비화학적 가교방법으로 다공성 막 복합체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로 가교화시켜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필름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복합체,
상기 3단계 공정에서 얻어진 에스터화 콜라겐 0.5~3wt%의 정제수용액을 4℃로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하고 이 교반용액을 박판 평판상에 살포하여 일정두께를 형성시킨 다음 4℃를 유지한 상태에서 에어로 건조시키므로서 에스터화 콜라겐의 필름을 제조하고 이 필름을 히알루론산 0.5~5wt%의 정제수 수용액에 침지시켜 24시간 동안 4℃로 유지하여 반응시킨 다음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 필름 복합체를 얻게 된다. 이 필름 복합체를 유착방지제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막과 마찬가지로 비화학적 방법인 DHT(dehydrothermal)방법으로 가교화시키거나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로 가교화시켜 물성을 향상시킨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필름 복합체를 얻는다.
(3) 젤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복합체,
상기 3단계 공정에서 얻어진 에스터화 콜라겐 0.5~3wt% 정제수 수용액과 0.5~5wt% 히알루론산 수용액의 일정량을 4℃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각각 주사기에 주입하여 각각의 용액을 동시에 함께 주사하여 혼합균질화 시키므로서 젤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복합체를 얻게 된다.
(4) 미세소체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복합체,
히알루론산 0.5~5wt% 수용액을 50rpm~1000rpm의 속도로 교반 유지시키면서 그 위에 상기 3단계 공정에서 얻어진 에스터화 콜라겐 0.5~3wt%의 수용액을 1㎖/min ~ 50㎖/min의 속도로 점적하고 히알루론산과 에스터화 콜라겐의 복합체형성이 잘 되도록 4℃에서 24시간 반응시킨 다음 정제수로 여분의 히알루론산을 제거하여 미세소체 형태의 복합체만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미세소체복합체를 얻게 된다.
이상에서 아텔로 콜라겐 다공성 막이나 필름을 형성함에는 공정상 큰 차이가 없고 다공성 막을 동결건조하므로서 해면상의 다공성 막을 형성할 수 있고 필름은 에어로 건조하므로서 다공성 막에 비해 조직이 치밀하고 밀도가 크다.
또한 상기에서 다공성 막 복합체, 필름 복합체, 미세소체 복합체를 가교화시키는 방법 중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로 가교화시키는 방법은 고농도(94~96wt%)의 에탄올용액에 EDC 10~100m ㏖을 용해시킨 용액에 상기 복합체들을 침지하여 24시간 4℃로 유지하여 반응시킨 다음 정제수로 세척하여 여분의 EDC를 제거하고 동결건조 시키므로서 가교된 각 복합체를 얻게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방지제를 실시예를 들어 제조하여 복합체의 콜라겐 함유량시험, 용해성시험, 접촉각 측정시험을 알아보기로 한다.
에스터화 콜라겐 제조
(1) 75wt%의 에탄올용액에 2wt%의 아텔로 콜라겐을 첨가 균질성을 갖도록 첨가한 다음 0.5M의 초산으로 pH7.4로 유지되게 조절한 후 4℃로 유지 일주일간 반응시켜 에스터화 콜라겐용액을 얻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막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복합체 제조
(1) 상기 실시예(1)의 에스터화 콜라겐 1.5wt%의 정제수 수용액을 4℃로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을 얻는다.
도 1은 동결건조 후에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 상태도.
(2) 2wt%의 히알루론산 정제수 수용액에 상기 다공성 막을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4℃를 유지하면서 반응시킨 다음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다공성 막 복합체를 얻는다.
(3) 상기 다공성 막 복합체를 비화학적 방법인 DHT(dehydrothermal)방법으로 가교화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공성 막 복합체를 진공오븐에 넣고 100~20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가교화하거나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로 가교화 한다.
여기서 EDC 가교방법은 95%의 에탄올용액에 EDC 10~100m ㏖을 용해시킨 용액에 다공성 막을 침지하며 24시간 4℃로 유지하여 반응시킨 다음 정제수로 여분의 EDC를 세척하고 동결건조시킨 다공성 막 복합체를 얻게된다.
필름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복합체 제조
(1) 상기 실시예(1)의 에스터화 콜라겐 2wt%의 정제수 수용액을 4℃로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교반용액을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평판상에 살포하여 일정두께를 형성시킨 다음 4℃로 유지하여 에어로 건조시켜 에스터화 콜라겐 필름을 얻는다.
도 2는 에스터화 콜라겐 필름의 상태도.
(2) 2wt%의 히알루론산 정제수 수용액에 상기 필름을 침지하여 24시간 4℃를 유지하면서 반응시킨 다음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필름 복합체를 얻는다.
(3) 실시예(2) 의 (2),(3)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필름 복합체를 얻는다.
도 3은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반응필름 복합체의 상태도.
젤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복합체 제조
(1) 상기 실시예(1)의 에스터화 콜라겐의 2wt%의 정제수 수용액 및 2wt%의 히알루론산 정제수 수용액을 각각 다른 주사기에 주입하여 각각의 주사용액을 동시에 주사하여 혼합시키므로서 젤 복합체를 얻는다.
도 4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젤 복합체 상태도.
미세소체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복합체 제조
(1) 2wt% 히알루론산 정제수 수용액을 50rpm~1000rpm 속도로 교반을 유지하면서 교반용액 위에 주사기나 분별깔때기를 이용 상기 실시예(1)의 2wt%의 에스터화 콜라겐 정제수 수용액을 1㎖/min ~ 50㎖/min의 속도로 점적하여 4℃를 유지하여 24시간 반응시킨 다음 정제수로 세척하여 여분의 히알루론산을 제거한 미세소체 형태의 복합체만을 얻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미세소체 복합체를 얻는다.
(2) 상기 미세소체 복합체를 실시예(2)의 (3)의 방법과 같이 DHT방법으로 가교화 시키거나 EDC로 가교화시킨 미세소체 복합체를 얻는다.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과 다공성 막 복합체의 콜라겐 함유량 시험
1.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을 실시 예 (2)의(1)에 따라서 만들고 실시 예 (2)의(2)에 따라서 다공성 막 복합체를 제조한다.
2. 0.5M 초산을 이용하여 복합체를 녹인다.
3. 초산으로 녹인 복합체의 용액에 Sircol dye를 넣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 한다.
4. 1000g 이상 10분 동안 원심분리 한다.
5. 상등액은 버리고 펠렛(pellet)만을 취한다.
6. 취한 펠렛에 0.5 M NaOH를 넣어 펠렛을 녹인다.
7. 위 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측정한다.
8. 측정한 수치와 표준곡선(Standard curve)으로부터 복합체에 함유하고 있는 콜라겐의 함유량을 계산한다.
그 결과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높은 복합체일수록 콜라겐 함유량이 낮다. 이는 히알루론산이 높을수록 에스터화 콜라겐과 보다 많이 결합하여 복합체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에스터화 콜라겐 막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에 함유하고 있는 콜라겐의 함유량을 측정한 표.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과 다공성 막 복합체의 용해성 시험
1.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 막을 실시 예 (2)의(1)에 따라서 만들고 실시 예 (2)의(2)에 따라서 다공성 막 복합체를 제조한다.
2. 제조한 다공성 막 복합체의 무게를 측정한다.
3. 정제수에 프로핀파라벤 0.006wt%과 메틸파라벤 0.054wt%를 첨가하고 다공성 막 복합체를 정제수에 넣는다. 정제수에 넣은 복합체를 37℃에서 반응시킨다.
4. 일정 시간 동안 반응한 복합체를 꺼내서 동결건조 후 무게를 측정한다.
5. 복합체의 용해성은 정제수의 반응하기 전의 무게와 반응 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산한다.
그 결과 에스터화 콜레겐은 정제수에 반응 시 용해되지만 다공성 막 복합체는 용해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높은 복합체일수록 용해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는 에스터화 콜라겐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보다는 히알루론산과 복합체를 이룸으로써 물성이 증가하고 생체내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6은 에스터화 콜라겐 막만을 정제수에 반응한 형상이다. 도 7은 복합체를 이루지 않은 에스터화 콜라겐 막과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에 대한 용해성을 비교한 상태이다. 정제수에 18시간 반응 후 관찰하였다. 도 8은 에스터화 콜라겐의 막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의 용해성 시험의 결과 표이다.
에스터화 콜라겐 필름과 필름 복합체의 접촉각 측정
1. 실시 예 (3)의(1)에 따라서 에스터화 콜라겐 필름을 만들고, 실시 예 (3)의(2)에 따라서 필름 복합체를 만든다.
2. 복합체 표면에 정제수를 떨어뜨려 접촉각을 측정한다.(접촉각 장비: First ten Angstroms 100)
그 결과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친수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는 에스터화 콜라겐 필름과 히알루론산 복합체의 접촉각 측정 결과이다.

Claims (7)

  1. 돼지로부터 추출한 천연콜라겐을 펩신효소로 처리하여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한 아텔로 콜라겐을 얻는 1단계,
    65~85wt%의 에탄올용액에 상기 아텔로 콜라겐 0.5~3wt%를 첨가하여 균질성을 갖도록 교반한 다음 0.5M의 초산이나 염산을 이용하여 pH7.4로 조절한 후 4℃에서 일주일간 반응시켜 에스터화 콜라겐용액을 얻는 2단계,
    상기 에스터화 콜라겐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을 제조하는 3단계,
    상기 에스터화 콜라겐 0.5~3wt%의 정제수용액을 4℃로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반하고 이 교반용액을 박판평판상에 살포하여 일정두께로 형성시킨다음 동결건조하여 해면체상의 에스터화 콜라겐 다공성막을 제조하고 이 다공성막을 히알루론산 0.5~5wt%의 정제수 수용액에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4℃로 유지하여 반응시킨 다음 동결건조시켜서된 에스터화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다공성막 복합체를 얻는 4단계,
    상기 다공성막 복합체를 DHT(dehydrothermal)방법으로 가교화하거나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로 가교화 처리한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다공성막 복합체를 얻는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방지제의 제조방법.
  2. 돼지로부터 추출한 천연콜라겐을 펩신효소로 처리하여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한 아텔로 콜라겐을 얻는 1단계,
    65~85wt%의 에탄올용액에 상기 아텔로 콜라겐 0.5~3wt%를 첨가하여 균질성을 갖도록 교반한 다음 0.5M의 초산이나 염산을 이용하여 pH7.4로 조절한 후 4℃에서 일주일간 반응시켜 에스터화 콜라겐용액을 얻는 2단계,
    상기 에스터화 콜라겐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을 제조하는 3단계,
    상기 3단계 공정의 에스터화 콜라겐 0.5~3wt%의 정제수용액을 4℃로 유지하면서 24시간 교반한후 이 교반용액을 박판 평판상에 살포하여 일정두께를 형성시킨 다음 4℃를 유지한 상태에서 에어로 건조시켜 에스터화 콜라겐필름을 제조하고 이 필름을 히알루론산 0.5~5wt%의 수용액에 침지하여 24시간 4℃로 유지하여 반응시킨 다음 동결건조시킨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필름 복합체를 얻는 4단계,
    상기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필름 복합체를 DHT(dehydrothermal)방법으로 가교화하거나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로 가교처리한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필름복합체를 얻는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방지제의 제조방법.
  3. 돼지로부터 추출한 천연콜라겐을 펩신효소로 처리하여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한 아텔로 콜라겐을 얻는 1단계,
    65~85wt%의 에탄올용액에 상기 아텔로 콜라겐 0.5~3wt%를 첨가하여 균질성을 갖도록 교반한 다음 0.5M의 초산이나 염산을 이용하여 pH7.4로 조절한 후 4℃에서 일주일간 반응시켜 에스터화 콜라겐용액을 얻는 2단계,
    상기 에스터화 콜라겐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에스터화 콜라겐을 제조하는 3단계,
    히알루론산 0.5~5wt% 수용액을 50rpm~1000rpm의 속도로 교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에스터화 콜라겐 0.5~3wt%의 수용액을 1ml/min ~ 50ml/min의 속도로 점적하고 4℃에서 24시간 반응시킨 다음 정제수로 여분의 히알루론산을 제거한 후 미세소체를 동결건조시킨 미세소체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를 얻는 4단계,
    상기 미세소체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를 DHT(dehydrothermal)방법으로 가교화하거나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로 가교처리한 미세소체 형태의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복합체를 얻는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방지제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DHT(dehydrothermal)의 가교처리방법은 다공성막 복합체를 진공오븐에 넣고 100~20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비화학적 가교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제의 제조방법.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처리가교방법은 다공성막 복합체 또는 필름복합체를 94~96wt%의 에탄올용액에 EDC 10~100m Mol을 용해시킨 용액에 침지하여 반응시킨 다음 정제수로 세척하여 여분의 EDC를 제거하고 동결건조시킨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제의 제조방법.
  6.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DHT(dehydrothermal)의 가교처리방법은 미세소체 복합체를 진공오븐에 넣고 100~20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비화학적 가교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제의 제조방법.
  7.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처리 가교방법은 미세소체 복합체를 94~96%의 에탄올용액에 EDC 10~100m Mol을 침지하여 반응시킨 다음 정제수로 세척하여 여분의 EDC를 제거하고, 미세소체의 경우 동결건조시켜 복합체를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터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제의 제조방법.
KR1020110036663A 2011-04-20 2011-04-20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KR10104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663A KR101047512B1 (ko) 2011-04-20 2011-04-20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663A KR101047512B1 (ko) 2011-04-20 2011-04-20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784A Division KR101047510B1 (ko) 2009-04-07 2009-04-07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757A KR20110058757A (ko) 2011-06-01
KR101047512B1 true KR101047512B1 (ko) 2011-07-08

Family

ID=4439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663A KR101047512B1 (ko) 2011-04-20 2011-04-20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479B1 (ko) 2014-11-21 2015-06-26 세원셀론텍(주) 의료용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고농도 콜라겐 제조방법
CN106420392A (zh) * 2016-11-04 2017-02-22 北京湃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凝冻状态的胶原蛋白凝露
KR102350526B1 (ko) * 2018-08-16 2022-01-17 (주)메디제이 응집성이 개선된 창상피복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1437444B (zh) * 2020-04-12 2021-03-12 南方医科大学 一种抗肠粘连双层生物凝胶制备方法及双层生物凝胶
CN117205366B (zh) * 2023-11-07 2024-01-02 南京东万生物技术有限公司 面部填充用胶原蛋白-透明质酸复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35A (ko) * 2000-10-10 2002-04-17 성재갑 히알루론산의 가교결합형 아마이드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US20060057182A1 (en) 2004-09-10 2006-03-16 Medtronic Xomed, Inc. Flexible bioresorbable hemostatic packing and stent having a preselectable in-vivo residence time
KR20060077327A (ko) * 2004-12-30 2006-07-05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조직 재생 촉진 효과를 갖는 생분해성 유착방지막 및 이의제조방법
KR100875136B1 (ko) 2008-04-16 2008-12-22 주식회사 다림바이오텍 돼지 유래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을 이용한 접착성 지혈제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35A (ko) * 2000-10-10 2002-04-17 성재갑 히알루론산의 가교결합형 아마이드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US20060057182A1 (en) 2004-09-10 2006-03-16 Medtronic Xomed, Inc. Flexible bioresorbable hemostatic packing and stent having a preselectable in-vivo residence time
KR20060077327A (ko) * 2004-12-30 2006-07-05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조직 재생 촉진 효과를 갖는 생분해성 유착방지막 및 이의제조방법
KR100875136B1 (ko) 2008-04-16 2008-12-22 주식회사 다림바이오텍 돼지 유래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을 이용한 접착성 지혈제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757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On-demand dissolvable self-healing hydrogel based on carboxymethyl chitosan and cellulose nanocrystal for deep partial thickness burn wound healing
Alizadeh et al.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gelatin/chitosan scaffold prepared by a combined freeze-drying/leaching method
Jiang et al. Feasibility study of tissue transglutaminase for self-catalytic cross-linking of self-assembled collagen fibril hydrogel and its promising application in wound healing promotion
KR101047512B1 (ko)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WO1985004413A1 (en) Biodegradable matrix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Wang et al. Shape-recoverable hyaluronic acid–waterborne polyurethane hybrid cryogel accelerates hemostasis and wound healing
Hasannasab et al. Immobilization of bromelain and ZnO nanoparticles on silk fibroin nanofibers as an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burn dressing
CN109125808A (zh) 一种可生物降解的胶原基角膜替代物及其制备方法
KR101678402B1 (ko) 창상치료용 알긴산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An et al. Injectable thioketal-containing hydrogel dressing accelerates skin wound healing with the incorpo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nd growth factor release
KR102473363B1 (ko) 스프레이형 하이드로젤 창상 피복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프레이형 하이드로젤 창상 피복제
Cheng et al. Highly absorbent silk fibroin protein xerogel
Tang et al. Multifunctional hydrogels for wound dressings using xanthan gum and polyacrylamide
Pelegrino et al. Chitosan-Based Nanomaterials for Skin Regeneration.
KR101303284B1 (ko) 히알루론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7510B1 (ko) 에스터화 아텔로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유착 방지제 제조방법
WO2016085923A1 (en) Process for preparing tissue regeneration matrix
Rong et al. Fetal milieu-simulating hyaluronic acid-dopamine-chondroitin sulfate hydrogel promoting angiogenesis and hair regeneration for wound healing
CN107397980A (zh) 一种组织修复膜涂覆用防粘连组合物及其使用方法
WO2021059298A1 (en) Acellular artificial skin substitute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Ionescu et al. Gelatin‐Based Versus Alginate‐Based Hydrogels: Providing Insight in Wound Healing Potential
Seifi et al. A novel multifunctional chitosan-gelatin/carboxymethyl cellulose-alginate bilayer hydrogel containing human placenta extract for accelerating full-thickness wound healing
JPWO2003094985A1 (ja) 人工細胞外マトリ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Rijal et al. Biomaterials for diabetic wound-healing therapies
KR20190114060A (ko) 생분해성 고분자 하이드로겔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