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480B1 -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480B1
KR101047480B1 KR1020090014005A KR20090014005A KR101047480B1 KR 101047480 B1 KR101047480 B1 KR 101047480B1 KR 1020090014005 A KR1020090014005 A KR 1020090014005A KR 20090014005 A KR20090014005 A KR 20090014005A KR 101047480 B1 KR101047480 B1 KR 10104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electronic ink
layer
lower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834A (ko
Inventor
이택민
신동윤
김동수
김충환
조정대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1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4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잉크층 적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전자 잉크층을 인쇄기법에 의해 기판에 적층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잉크, 인쇄, EL소자층 병존

Description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by using Electronic ink layer}
본 발명은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전자 잉크층을 인쇄기법에 의해 기판에 적층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 Luminance) 발광소자(이하 "EL발광소자"라 함)는 각종 디스플레이 기기와 휴대폰의 키패드 등에서의 발광소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EL발광소자를 스크린 인쇄 기법이나 잉크젯 인쇄 기법 등의 다양한 인쇄기법을 이용하여 박막의 EL발광소자로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응용하여 박막의 기판 상에 박막 EL발광소자를 소정의 미세패턴 구조로 인쇄함으로써, 박막 EL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발광 기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광기기를 이용한 광고판(1)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 도 1은 종래의 광고판(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에서 나타난 광고판(1)은 기판(1a)상에 EL을 적층한 후 상기 EL에 의해 문자를 발현하는 제1표현부(1b,1d)와 7 segment를 이용한 제2표현부(1c)가 나타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a)은 종이나 광투과성 인쇄시트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판(1a)으로서 광투과성 인쇄시트상에 전통적인 인쇄방법에 의해 표현한 염료 인쇄부(1e)도 병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EL발광소자가 발광하기 위해서는 상기 EL발광 소자가 접촉하는 전극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야 해서 전력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도 1에서 나타난 광고판(1)의 경우 EL을 사용하여 문자나 숫자를 표현하게 되는데, 상기 문자나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요구되므로 전력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잉크층을 인쇄기법에 의해 기판상에 적층하여 전원 소모를 줄이는 한편 이를 이용한 광고판으로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인쇄되는 하부 전극층과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인쇄되는 전자 잉크층과 상기 전자 잉크층상에 인쇄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삭제
상기 기판에 관통되는 도전공과, 상기 기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전공을 통해 상기 투명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과 통전되는 배면 전극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잉크층이 인쇄되는 영역 일측에 EL소자가 인쇄되어 전자 잉크층과 EL소자층이 병존하는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잉크층이 인쇄되는 영역 일측에 형성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향 출력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기판상에 인쇄되는 하부 전극층과,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적층되는 압전 필름과, 상기 압전 필름상에 인쇄되는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는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광투과성 인쇄시트의 저면 일 영역에 차례로 인쇄되는 투명 전극층과 전자 잉크층 그리고 하부 전극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에 일반 염료의 인쇄가 가능한 일반광고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잉크층을 적층하여 사용함에 의해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필요없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잉크층을 인쇄기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면 전극에 의해 상기 전자 잉크층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쇄할 수 있는 기판의 유효 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전자 잉크층에 대해 도 2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 도 2와 도 3은 전자 잉크층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전자 잉크층(I)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캡슐(C)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화이트 파티클(P1)이나 블랙 파티클(P2)이 상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대전되어 특정 전극측으로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상기 화이트 파티클(P1)이 마이너스 전원이 인가되는 측으로 배치되어 있고 블랙 파티클(P2)이 플러스 전원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상기 블랙 파티클(P2)이 상부측으로 향하면(도 3) 그 부분은 특정 그림이나 문자를 표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 잉크층을 이용하는 경우 전원을 계속적으로 인가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자 잉크층은 다수개의 한국 특허 예를 들어 공개번호 제10-2007-112943호, 등록번호 제844861호, 등록번호 제433227호, 미국 특허 US6,222,513등에서 자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잉크층을 인쇄 기법에 의해 전극층에 적층하는 방법으로서 이하 실시예1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10)상에 하부 전극(20)을 적층한 후 상기 하부 전극(20)상에 상기 전자 잉크층(30)을 인쇄하게 된다. 이때, 상 기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잉크층 적층방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전자 잉크층(30)이 인쇄된 후, 상기 전자 잉크층(30)상에 상부 전극(40)이 적층된다.
한편 상기 전자 잉크층(30)의 인쇄 방법으로서는 패드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플렉소 프린팅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프린팅 방법에 의해 적층 인쇄되거나; 상기 패드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플렉소 프린팅 방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적층 인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잉크층(30)이 하부 전극(20)과 상부 전극(40)사이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자 잉크층(30)이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에 인쇄하여 적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이 달성되는 한 어떠한 인쇄 방법을 사용하거나 혹은 어떠한 전극 형태에 인쇄되든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각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상에 인쇄되는 하부 전극층(120)과 상기 하부 전 극층(120)상에 인쇄되는 전자 잉크층(130)과 상기 전자 잉크층(130)상에 인쇄되는 상부 전극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기판(110)에 관통되는 도전공(111)과, 상기 기판(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전공(111)을 통해 상기 상부 전극층(140) 및 하부 전극층(110)과 통전되는 배면 전극층(1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 잉크층(130)이 인쇄되는 영역 일측에 상기 상부 전극층(140)과 하부 전극층(120)사이에 인쇄되는 유전체층(160) 및 EL소자층(17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자 잉크층(130)과 EL소자층(170)이 병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잉크층(130)이 하부 전극층 (120)의 좌측을 감싸도록 인쇄되어 상기 상부 전극층(140)이 하부 전극층 (120)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유전체층(160)이 상기 하부 전극층(120)의 우측을 감싸도록 인쇄되어 상부 전극층(140)이 하부 전극(120)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는 상기 상부 전극층(140)과 하부 전극층(120)이 직접 통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분명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전극층(140)과 하부 전극층(120)이 공통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전자잉크층(130)과 EL소자층 (170)을 구동하기 위한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을 상호 이 격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분명하다.
한편 상기 전자 잉크층(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 전극층(140)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공(111)은 상기 하부 전극층(120) 인쇄시 상기 도전공(111)에 상기 하부 전극층(120)의 재료가 충진되도록 하여 배면 전극층(150)과 통전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배면 전극층(150) 인쇄시 상기 도전공(111)에 그 재료가 충진되도록 하여 통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쇄할 수 있는 기판(110)의 유효 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키는 한편 상기 전자 잉크층(130)을 사용하여 소모되는 전원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하부 전극층(120), 전자 잉크층(130) 및 상부 전극층(140)의 형상은 상기 배면 전극층(150)과 통전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기판(110)은 종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전자 서적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상기 종이외에도 수지재 필름, 박막 유리 등의 박막 재료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섬유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료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전극층(120)은 전도성 잉크재료를 기판(110)의 일면에 인쇄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잉크재료로는 은, 금, 아연, 그래파이트, 구리, ITO, 카본, 카본나노튜브, 전도성 폴리머 등과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투명 혹은 반투명 혹은 불투명 혹은 반사성이 높은 전도성 잉크재료일 수 있다. 이 하부전극층(120)의 전도성 잉크재료는 기판(110)에 인쇄된 후 UV경화나 열경화 또는 자연경화 방법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하부전극층(1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층(140)은 광투과성 전도성 잉크재료를 전자 잉크층(130) 상부에 적층 인쇄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광투과성 전도성 잉크재료는 미립자인 은, 금, 아연, 그래파이트, 구리, ITO, 카본, 카본나노튜브가 포함된 전도성 잉크재료나, 전도성 폴리머 등과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광투과성을 갖는 전도성 잉크재료를 이용한다.
상기 기판(110)에는 도전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공(111)은 널리 알려진 도구 예를 들어 천공기, 드릴,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공(111)에 상기 하부 전극층(120) 또는 배면 전극층(150)을 각각 기판(110) 일면과 배면에 인쇄하는 과정에서 하부 전극층(120)과 배면 전극층(150)의 전도성 잉크재료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전도성 잉크재료가 기판(110)의 도전공(111)에 충전되어 하부 전극층(120)과 배면 전극층(150) 또는 상부 전극층(140)과 배면 전극층(150)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경화되는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부 전극층(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측이 기판(110)에 형성된 도전공(111)까지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인쇄되어 배면 전극층(150)과 통전될 수 있다.
상기 배면 전극층(150)은 기판(110)의 배면에서 도전공(111)으로부터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향하는 기판(110)의 일 영역까지 전원공급경로를 형성하도록 전도성 잉크재료로 인쇄되어 있다.
이 배면 전극층(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전극층(120) 또는 상부 전극층(140)과 도전공(11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배면 전극층(150)의 전도성 잉크재료는 은, 금, 아연, 그래파이트, 구리, ITO, 카본, 카본나노튜브, 전도성 폴리머 등과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투명 혹은 반투명 혹은 불투명 혹은 반사성이 높은 전도성 잉크재료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하부 전극층(120) 및 상부 전극층(140)의 전도성 잉크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기판(110)의 배면에 인쇄된 후, UV경화나 열경화 또는 자연경화 방법에 의해 경화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면 전극층(150)은 기판(110)의 일면에 하부 전극층(120)과 전자 잉크층(130) 그리고 상부 전극층(130)이 먼저 적층 인쇄된 후, 상기 기판(110)의 배면에 배면 전극층(150)을 인쇄하는 순서로 인쇄될 수 있다.
물론, 배면 전극층(150)을 기판(110)의 배면에 미리 인쇄한 후, 기판(110)의 일면에 하부 전극층(120)과 전자 잉크층(130) 그리고 상부 전극층(140)을 적층 인쇄할 수도 있다.
실시예3
본 실시에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하부 전극층(220), 전자 잉크층(230) 및 상부 전극층(240)이 7 세그먼트 형태로 다수개 상호 이격되어 적층되는 한편, 상기 세그먼트 중 특정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전자 잉크층(230)을 구동하는 전자 잉크 제어기(250)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극층(220), 전자 잉크층(230) 및 상부 전극층(240) 한 조가 하나의 세그먼트를 이루며, 상기 세그먼트 7개가 모여서 8자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소위 7 세그먼트가 기판(210)상에 다수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7 세그먼트에 의해 다양한 숫자나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7 세그먼트 중 특정 세그먼트를 구동하기 위해 전자 잉크 제어기(2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잉크 제어기(250)는 컨트롤러(251)와 접속 클램프(252)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 클램프(252)의 삽입부(252a)에 버스 전극(212)이 삽입된다.
상기 버스 전극(212)은 상기 기판(2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한편으로는 상기 상하부 전극층(240,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접속 클램프(252)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251)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자 잉크 제어기(250)를 통해 상기 전자 잉크층(230)을 구동하여 원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도 6 중 특정 세그먼트를 숫자 1로 표시하려고 하는 경우 우측에 나열되어 있는 세그먼트의 전자 잉크층(230)을 구동하며 이를 위해 상기 상하부 전극층(220,240)에 상기 버스 전극(212)을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물론 이러한 구동은 상기 전자 잉크 제어기(25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실시예4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려고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은 상기 실시예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나 음향 출력부(M)를 더 포함하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 잉크층(330)이 인쇄되는 영역 일측에 형성되는 음향 출력부(M)와, 상기 음향 출력부(M)를 제어하는 음향 출력 제어기(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 제어기(360)는 상기 전자 잉크 제어기(350)의 컨트롤러(351) 일측에 배치되는 음향 출력 컨트롤러(361)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잉크 제어기(350)의 접속 클램프(352)와 삽입부(352a)를 공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음향 출력부(M)를 컨트롤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M)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310)상에 인쇄되는 하 부 전극층(M1)과, 상기 하부 전극층(M1)상에 적층되는 압전 필름(M2)과, 상기 압전 필름(M2)상에 인쇄되는 상부 전극층(M3)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 필름(M2)은 피에조 필름 등의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필름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 전극층(M1)과 상부 전극층(M3)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음향 출력 제어기(36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음향을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전 필름(M2)이 상기 하부 전극층(M1)의 좌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후 상기 상부 전극층(M3)이 상기 압전 필름(M2)상에 인쇄도록 하여 상기 하부 전극층(M1)과 상부 전극층(M3)이 직접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실시예5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쇄 시트(410)상에 일반 광고 영역(420)과 디스플레이 영역(430)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상기 평면도의 일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즉,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투과성 인쇄시트(410)의 상면 또는 저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 영역(430)이 형성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상기 광투과성 인쇄시트(410)의 일 영역 즉 상면 또는 하면에 인쇄되는 하부 전극층(433)과 전자잉크층(432) 그리고 투명 전극층(43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상술된 바와 같이 광투광성 인쇄시트(4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반 광고 영역(420)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의 일측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쇄 시트(410)상에 일반 염료의 인쇄가 가능한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반 광고 영역(420)은 일반 염료 인쇄에 의한 것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의해 인쇄시트(410)의 일 영역은 일반 염료의 인쇄에 의한 광고 영역으로 사용하고 타 영역은 상술한 전자 잉크층(432)을 이용한 광고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도 9참조)
한편 상기 하부 전극층(433) 저면에 상기 투명 전극층(431)과 전자 잉크층(432) 그리고 하부 전극층(433)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434)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 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이 상기 광투과성 인쇄시트(4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각각 인쇄가능함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 일측에 EL소자를 이용한 EL광고 영역(44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EL 광고영역(440)은 상기 광투과성 인쇄시트(4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적층되는 투명 전극층(441)과, EL소자층(442)과, 유전체층(443) 및 하부 전극층(444)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과 유사 하게 광투광성 인쇄시트(4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의 투명 전극(431) 및 하부 전극(433)을 상기 EL 광고 영역(440)의 투명 전극층(441) 및 하부 전극층(444)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도 1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과 EL광고 영역(440)이 상기 광투과성 인쇄시트(4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각각 인쇄가능함을 보이고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과 EL광고 영역(440)은 병존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고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전자 잉크층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잉크층 적층방법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배면 전극에 대한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도 10 및 도 11은 상기 평면도의 일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300,400: 디스플레이 장치
110,210,310,410 : 기판 111 : 도전공
120,220,320 : 하부 전극층
130,230,432 : 전자 잉크층

Claims (8)

  1. 삭제
  2.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인쇄되는 하부 전극층과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인쇄되는 전자 잉크층과 상기 전자 잉크층상에 인쇄되는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관통되는 도전공과, 상기 기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전공을 통해 상기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과 통전되는 배면 전극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잉크층이 인쇄되는 영역 일측에 상기 상부 전극층과 하부 전극층사이에 인쇄되는 유전체층 및 EL소자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자 잉크층과 EL소자층이 병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종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층, 전자 잉크층 및 상부 전극층은 7 세그먼트 형태로 다수개 상호 이격되어 적층되는 한편, 상기 세그먼트 중 특정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전자 잉크층을 구동하는 전자 잉크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잉크층이 인쇄되는 영역 일측에 형성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향 출력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기판상에 인쇄되는 하부 전극층과,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적층되는 압전 필름과, 상기 압전 필름상에 인쇄되는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적층되는 수지재의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090014005A 2009-02-19 2009-02-19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005A KR101047480B1 (ko) 2009-02-19 2009-02-19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005A KR101047480B1 (ko) 2009-02-19 2009-02-19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834A KR20100094834A (ko) 2010-08-27
KR101047480B1 true KR101047480B1 (ko) 2011-07-07

Family

ID=4275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005A KR101047480B1 (ko) 2009-02-19 2009-02-19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02B1 (ko)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825A (ja) * 2004-05-13 2005-12-22 Mitsubishi Pencil Co Ltd 表示部を有する筆記具又は塗布具
KR20070112943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자잉크 패널과 이를 구비한 전자잉크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825A (ja) * 2004-05-13 2005-12-22 Mitsubishi Pencil Co Ltd 表示部を有する筆記具又は塗布具
KR20070112943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자잉크 패널과 이를 구비한 전자잉크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02B1 (ko)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US9436320B2 (en) 2012-12-12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nit
USRE47802E1 (en) 2012-12-12 2020-01-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nit
USRE49756E1 (en) 2012-12-12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834A (ko)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921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ddressable and static electronic displays
EP216073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ddressable and static electronic displays, power generating or other electronic apparatus
US7972031B2 (en) Addressable or static light emitting or electronic apparatus
CN107492561A (zh) 显示装置以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CN108110030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30034272A (ko) 터치윈도우
JP2016090783A (ja) 表示パネル、表示パネルの作製方法、情報処理装置
KR101047480B1 (ko) 전자 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08961B1 (ko) 전자 잉크를 이용한 전자 서적
JP2005235567A (ja) 有機el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US2010025217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ddressable and Static Electronic Displays, Power Generating Or Other Electronic Apparatus
KR101008963B1 (ko) 전자잉크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132668A (ja) 電光看板及び電光看板装置
EP2153429B1 (en) Luminous advertisement sheet
KR101018027B1 (ko) 주문형 발광 시트
KR100793860B1 (ko) El세그먼트 표시소자
KR100858984B1 (ko) El 발광서적
KR100955076B1 (ko) 박막 el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66598B1 (ko) El소자 인쇄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2004227873A (ja) Elを用いた表示体構成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TWI322637B (ko)
KR100794963B1 (ko) El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20434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 제조방법
KR20100069890A (ko) 필름형 광고 장치
JP2011095652A (ja) 情報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