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086B1 - 스탠드큐바 - Google Patents

스탠드큐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086B1
KR101047086B1 KR1020090004113A KR20090004113A KR101047086B1 KR 101047086 B1 KR101047086 B1 KR 101047086B1 KR 1020090004113 A KR1020090004113 A KR 1020090004113A KR 20090004113 A KR20090004113 A KR 20090004113A KR 101047086 B1 KR101047086 B1 KR 10104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upport
bar
rotation
c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786A (ko
Inventor
백종대
Original Assignee
백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대 filed Critical 백종대
Priority to KR102009000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0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큐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다리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를 결합 또는 분리할 필요가 없어 다리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사용할 때마다 다리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다리와 센터부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될 염려가 없고, 이물질 삽입에 의해 스탠드큐바가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큐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회동로드와 상기 고정캡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다리; 상기 회동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하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양궁 핸들을 거치하는 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를 제공한다.
스탠드큐바, 양궁안치대, 상부 스탑퍼, 하부 스탑퍼, 회동홈

Description

스탠드큐바{Stand queue bar}
본 발명은 스탠드큐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다리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를 결합 또는 분리할 필요가 없어 다리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사용할 때마다 다리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다리와 센터부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될 염려가 없고, 이물질 삽입에 의해 스탠드큐바가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큐바에 관한 것이다.
양궁은 일정한 거리 밖에 있는 과녁이나 표적을 겨냥하여 화살로 쏘아 맞히는 경기이다. 양궁을 뜻하는 단어 archery는 여러 민족이 사용하는 활을 뜻하기도 하나, 한국 고유의 국궁과 구별하기 위해 양궁이라고 한다. 양궁은 옛 조상이 사용하던 국궁과 그 발상과 유래는 비슷하나 전세계적으로 그 민족의 풍토나 풍습에 따라 사용방법이나 모양에 특징을 가지며, 지중해형, 몽골형, 해양형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현재 양궁은 올림픽 경기종목으로 채택되어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양궁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매우 정밀하게 제작되며 고가인 관계로, 상대 방이 경기하는 중과 같이 활을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 림(limb)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항상 스탠드큐바에 거치해 놓아 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탠드큐바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스탠드큐바는 지지대(1)의 하단에 금속단부(4)를 결합하고, 각 다리(3)의 일단부에는 자석(미도시)을 결합하며, 지지대(1)와 다리(3)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구(6)의 중심에는 지지대 결합공(7)을 형성하여 지지대(1)를 결합하도록 하였다. 또한, 결합구(6)의 주위에는 수직 방향의 다리고정공(8)과 다리결합공(9)을 형성하여 다리(3)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스탠드큐바는 다리(3)가 결합구(6)로부터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다리를 분실할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시에는 다리(3)를 다리결합공(9)에 결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다리(3)를 다리결합공(9)으로부터 빼내어 다리고정공(8)에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다리고정공(8)이나 다리결합공(9)에 이물질이 삽입되면 다리(3)를 결합하기 어렵게 되고, 다리결합공(9)에 이물질이 들어간 상태에서 다리(3)를 결합하여 양궁을 거치하게 되면 다리(3)가 다리결합공(9)으로부터 빠지게 될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스탠드큐바가 쓰러지면 경기에 적합하도록 튜닝된 양궁을 재튜닝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다리를 결합 또는 분리할 필요가 없어 다리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사용할 때마다 다리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다리와 센터부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될 염려가 없고, 이물질 삽입에 의해 스탠드큐바가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큐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탠드큐바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회동로드와 상기 고정캡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다리; 상기 회동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하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양궁 핸들을 거치하는 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로드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결합부는 상기 회동로드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결합부는 상기 회동로드가 회동하기 위한 회동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홈은 상기 회동로드와 연결된 지지파이프의 상부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상부 스탑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스탑퍼는 상기 회동로드보다 간격이 넓고 상기 지지파이프보다 간격이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홈은 상기 회동로드와 연결된 지지파이프의 하부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하부 스탑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결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파이프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드 가능한 활줄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탠드큐바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 삽입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회동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지지파이프와 결착되는 결착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 파이프와, 상기 회동로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다리; 상기 회동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하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양궁 핸들을 거치하는 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로드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가 삽입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다리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리를 결합 또는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리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사용할 때마다 다리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와 센터부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될 염려가 없고, 이물질 삽입에 의해 스탠드큐바가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잇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큐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다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센터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큐바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다리(100), 센터부(200), 지지대(300), 안치부(400), 및 활줄 고정부(500)를 포함하 여 형성된다.
다리(100)는 지면에 접촉하여 스탠드큐바를 지지한다. 다리(100)는 센터부(2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다리(100)는 지지파이프(102), 회동로드(104), 고정캡(106), 및 탄성부재(108)를 포함한다.
지지파이프(102)는 중공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금속재질(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파이프(102)의 일단에는 회동로드(104)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고정캡(106)이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파이프(10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08)가 삽입된다.
회동로드(104)는 지지파이프(102)의 일단에 일부가 삽입된다. 회동로드(104)는 센터부(200)에 구비된 회전축(204)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동로드(104)의 일단은 회전축(204)에 끼워지고, 타단에는 탄성부재(108)가 결합된다. 회동로드(104)는 센터부(200)의 회동홈(202)을 가이드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고정캡(106)은 지지파이프(102)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지파이프(102)의 타단을 밀폐한다. 고정캡(106)에는 탄성부재(108)가 고정된다. 고정캡(106)은 용이한 성형을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08)는 회동로드(104)와 고정캡(106)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08)의 일단은 회동로드(104)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캡(106)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8)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부재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센터부(200)는 다리(100)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212)와 지지대(300)가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부(220)를 구비한다.
다리결합부(212)는 회동홈(202), 회전축(204), 상부 스탑퍼(stopper)(206), 하부 스탑퍼(208), 고정홈(210)을 포함한다.
회동홈(202)은 회동로드(104)가 회동하기 위해 형성되며, 회동로드(104)의 회전에 있어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회동로드(104)는 회동홈(202) 전체를 통과할 수 있으나, 지지파이프(102)는 회동홈(202)의 일부만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다리(100)를 상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지파이프(102)를 당겨 지지파이프(102)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회동로드(104)를 노출시켜야 한다. 회동홈(202)에는 상부 스탑퍼(206)와 하부 스탑퍼(208)가 구비된다.
상부 스탑퍼(206)는 지지파이프(102)의 상부방향 회동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상부 스탑퍼(206)는 회동로드(104)보다 간격이 넓고 지지파이프(102)보다는 간격이 좁게 설계된다. 상부 스탑퍼(206)가 지지파이프(102)의 상부방향 회동을 제한함으로써, 양궁이 안치된 상태에서 다리(100)가 더이상 상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하부 스탑퍼(208)는 지지파이프(102)의 하부방향 회동을 제한한다. 일례로, 하부 스탑퍼(208)는 회동홈(202)의 하단을 폐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0)은 다리결합부(212)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지지파이프(102)를 위로 접을 경우 지지파이프(102)를 다리결합부(212)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대(300)는 센터부(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지지대(30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금속재질(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치부(400)는 지지대(3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양궁 핸들을 안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안치부(400)는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활줄 고정부(500)는 지지대(300)의 외주면에 끼워져 활줄을 고정시킨다. 다양한 양궁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활줄 고정부(500)는 지지대(300)의 외주면을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큐바의 사용상태도이다.
스탠드큐바를 지면에 설치하기 전에는 도 6과 같이 다리(100)를 위로 접어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다.
스탠드큐바를 지면에 설치할 때에는 다리(100)의 지지파이프(102)를 잡아당겨 지지파이프(102) 내부의 회동로드(10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재(108)는 신장된 상태이고 탄성부재(108) 내부에는 복원력이 저장된다. 지지파이프(102)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없이 다리(100)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동로드(104)가 상부 스탑퍼(206)와 하부 스탑퍼(208)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지지파이프(102)를 놓아, 지지파이프(102)에 가해졌던 인장력을 제거한다. 이때, 탄성부재(108)가 복원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었던 회동로드(104)의 일부가 다시 지지파이프(102) 내부로 삽입된다. 상부 스탑퍼(206)와 하 부 스탑퍼(208)의 사이에 지지파이프(102)가 삽입됨으로써 다리(1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스탠드큐바의 사용이 완료된 후 다리(100)를 상부 방향으로 접을 때에는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큐바 다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탄성부재(162)의 결합관계가 변경된 점 이외에는 도 4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리(150)는 지지파이프(152), 회동로드(154), 슬라이딩 파이프(156), 스프링(162)를 포함한다.
회동로드(154)는 슬라이딩 파이프(156)가 삽입되는 슬라이드부(155)와, 슬라이드부(155)의 단부에 구비되어 스프링(162)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160)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파이프(155)는 회동로드(154)의 슬라이드부(155)에 끼워져 슬라이드부(155)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슬라이딩 파이프(155)의 외주면에는 지지파이프(152)와 결착되는 결착부(158)가 형성된다.
스프링(162)은 슬라이딩 파이프(155)와 스프링 지지부(160) 사이에 위치하여 회동로드(154)의 단부, 즉 스프링 지지부(160)로부터 슬라이딩 파이프(155)를 탄성지지한다.
사용자가 지지파이프(152)를 잡아당기면 지지파이프(152)와 결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파이프(155)가 스프링 지지부(16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62)을 압축시킨다. 이때, 스프링(162) 내부에는 복원력이 저장된다. 사용자가 지지파이프(152)를 놓으면 스프링(162)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파이프(155)를 밀어내어 지지파이프(152)가 회동로드(15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양궁 관련 제조업, 특히 양궁을 거치하는 기구의 제조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탠드큐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큐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다리의 단면도,
도 5는 센터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큐바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큐바 다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50 - 다리 102 - 지지파이프
104 - 회동로드 106 - 고정캡
108 - 탄성부재 200 - 센터부
212 - 다리결합부 220 - 지지대 결합부
300 - 지지대 400 - 안치부
500 - 활줄 고정부

Claims (11)

  1.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회동로드와 상기 고정캡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다리;
    상기 회동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하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양궁 핸들을 거치하는 안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로드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결합부는 상기 회동로드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결합부는 상기 회동로드가 회동하기 위한 회동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홈은 상기 회동로드와 연결된 지지파이프의 상부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상부 스탑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탑퍼는 상기 회동로드보다 간격이 넓고 상기 지지파이프보다 간격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홈은 상기 회동로드와 연결된 지지파이프의 하부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하부 스탑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결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파이프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드 가능한 활줄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10.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에 삽입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회동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지지파이프와 결착되는 결착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 파이프와, 상기 회동로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다리;
    상기 회동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하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양궁 핸들을 거치하는 안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로드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가 삽입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큐바.
KR1020090004113A 2009-01-19 2009-01-19 스탠드큐바 KR10104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113A KR101047086B1 (ko) 2009-01-19 2009-01-19 스탠드큐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113A KR101047086B1 (ko) 2009-01-19 2009-01-19 스탠드큐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86A KR20100084786A (ko) 2010-07-28
KR101047086B1 true KR101047086B1 (ko) 2011-07-06

Family

ID=4264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113A KR101047086B1 (ko) 2009-01-19 2009-01-19 스탠드큐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124A (ko) 2019-10-28 2021-05-07 채지우 보우 스탠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585U (ko) * 1994-02-03 1995-09-18 박경래 양궁 안치대
KR100608164B1 (ko) * 2006-06-27 2006-08-02 장덕순 양궁안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585U (ko) * 1994-02-03 1995-09-18 박경래 양궁 안치대
KR100608164B1 (ko) * 2006-06-27 2006-08-02 장덕순 양궁안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124A (ko) 2019-10-28 2021-05-07 채지우 보우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86A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086B1 (ko) 스탠드큐바
US20150297977A1 (en) Billiards playing aid
RU2008121871A (ru) Узел подпорки для теннисной сетки для одиночной игры
US20110240807A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US20120091019A1 (en) Bag for emplacing a combinatorial billiard cue
US2997300A (en) Device for use in jumping
CN208761266U (zh) 一种卷芯管防护装置
CN102396858B (zh) 结合结构简单且不生锈而长期使用的雨伞
US2814520A (en) Golf ball retriever
US7947886B2 (en) Guitar slide holder
KR101759578B1 (ko) 볼 수거 장치
KR20110010830U (ko) 수목지지대
CN207862805U (zh) 一种施工警示装置
JP3214407U (ja) レゾネータとエンドピンとの接続固定用ホルダ
US6343995B1 (en) Billiard cue tip cover
KR200299475Y1 (ko) 풀통 뚜껑
KR20130002248U (ko) 장구용 받침대
CN205517891U (zh) 一种调试管架
EP3519063B1 (fr) Dispositif de mesure de paramètres de jeu et raquett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KR200323616Y1 (ko) 골프 티
CN201600879U (zh) 胡琴琴皮保护器
CN107397485A (zh) 一种具有吸水功能的便捷肥皂盒
Mora et al. The recent evolution of glaciers in the Spanish Pyrenees
KR101237281B1 (ko) 신발 솔을 구비한 우산
KR200268774Y1 (ko) 플루트 꽂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