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164B1 - 양궁안치대 - Google Patents

양궁안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164B1
KR100608164B1 KR1020060057934A KR20060057934A KR100608164B1 KR 100608164 B1 KR100608164 B1 KR 100608164B1 KR 1020060057934 A KR1020060057934 A KR 1020060057934A KR 20060057934 A KR20060057934 A KR 20060057934A KR 100608164 B1 KR100608164 B1 KR 10060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r
arch
leg
arc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순
Original Assignee
장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순 filed Critical 장덕순
Priority to KR102006005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41B5/1453Stands, rests or racks for b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궁안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안치부(80)가 마련되고, 중앙측에 활줄고정구(90)가 구비된 지지대(70)를 포함하는 양궁안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9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지지대(90)에 끼워맞춤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2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숫커플러(300)와, 상기 슬라이딩부(200)의 하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숫커플러(3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암커플러(400)로 구성되는 커플러(500)와; 상기 고정부(100) 둘레에 다리연결부(6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는 복수개의 다리(600)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200) 둘레에 링크연결부(7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다리(600)의 중앙측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다리(600)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링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플러를 사용한 원터치 방식으로서 빠른 시간 내에 누구라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부의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평탄지뿐만 아니라 비평탄지에서도 양궁안치대를 세울 수 있다.
양궁, 안치대

Description

양궁안치대{A placing stand for western style bow}
도 1은 종래의 양궁안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가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가 펼친 상태의 정면도.
도 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가 접힌 상태의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작동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링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지지대 70h:지지대고정홀
80:안치부 90:활줄고정구
90a:활줄걸림편 100:고정부
110:돌출부 120:지지대삽입홀
130:제1고정홀 140:제1결합홀
200:슬라이딩부 210:슬라이딩홀
220:암커플러결합홈 230:제2고정홀
240:제2결합홀 300:숫커플러
310:록킹홈 320:너트부
330:삽입부 400:암커플러
410:암커플러고정홀 420:암커플러몸체
430:슬리브 440:록킹볼
450:스프링 500:커플러
600:다리 610:연결부
620:링크결합홈 650:다리연결부
652, 752:개구부 654, 754:볼트부
700:링크 750:링크연결부
b1:제1볼트 b2:제2볼트
본 발명은 양궁안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러를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서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평탄지뿐만 아니라 비평탄지에서도 세울 수 있는 양궁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궁은 사냥용 또는 경기용으로 사용되며, 현재는 올림픽 경기종목으로 채택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양궁은 정밀하게 제작된 고가의 활로서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에는 림(Limb)이 손상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항상 양궁안치대에 올려 놓아서 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양궁안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21692호에 기재된 '양궁안치대'는 지지대(1)의 하단에는 금속단부(4)를 결합하고, 각 다리(3)의 일단부에는 자석(미도시)을 결합하며, 지지대(1)와 다리(3)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구(6)의 중심에는 지지대결합공(7)을 형성하여 지지대(1)을 결합하도록 하고, 결합구(6)의 주위에는 수직방향의 다리고정공(8)과 수평방향의 다리결합공(9)을 형성하여 다리(3)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양궁을 안치하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양궁안치대는 다리(3)가 결합구(6)로부터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리가 분실될 우려가 있으며, 사용할 때에는 다리(3)를 다리결합공(9)에 결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리(3)를 다리결합공(9)으로부터 빼내어 다리고정공(8)에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다리고정공(8)이나 다리결합공(9)에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면 다리(3)를 결합하기 힘들게 되고, 특히, 다리결합공(9)에 이물질이 들어간 상태에서 다리(3)를 결합하여 양궁을 안치하게 되면, 다리(30)가 다리결합공(9)으로부터 빠지 게 될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양궁안치대가 쓰러지게 되면 양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궁안치대가 쓰러기게 되면 경기에 적합하도록 튜닝(양궁의 조절 및 점검)이 완료된 양궁을 다시 튜닝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양궁안치대는 활줄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대(1)의 하단에 금속단부(4)가 결합되는데, 이 금속단부(4)는 활줄이 걸리는 걸림편(4a)이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들이 양궁안치대에 양궁을 안치 시 활줄이 걸리는 방향으로 금속단부(4)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커플러를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다리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누구라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부의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평탄지뿐만 아니라 비평탄지에서도 세울 수 있는 양궁안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에 안치부(80)가 마련되고, 중앙측에 활줄고정구(90)가 구비된 지지대(70)를 포함하는 양궁안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9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지지대(90)에 끼워맞춤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2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숫커플러(300)와, 상기 슬라이딩부(200)의 하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숫커플러(3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암커플러(400)로 구성되는 커플러(500)와; 상기 고정부(100) 둘레에 다리연결부(6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는 복수개의 다리(600)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200) 둘레에 링크연결부(7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다리(600)의 중앙측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다리(600)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링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숫커플러(300)와 상기 암커플러(400)가 결합 시 상기 고정부(100)의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링크(700)는 양측단의 폭(w1)보다 중앙측의 폭(w2)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다리(600)는 상기 복수개의 링크(700)와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일측의 폭(w3)이 타측의 폭(w4)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다리(600)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줄고정구(90)는 활줄걸림편(90a)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일측에 보조안치부(92)가 힌지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가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가 펼친 상태의 정면도, 도 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가 접힌 상태의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작동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링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궁안치대의 다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양궁안치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안치부(80)가 마련되고, 중앙측에 활줄고정구(90)가 구비된 지지대(70)를 포함하는 양궁안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9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지지대(90)에 끼워맞춤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2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숫커플러(300)와, 상기 슬라이딩부(200)의 하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숫커플러(3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암커플러(400)로 구성되는 커플러(500)와, 상기 고정부(100) 둘레에 다리연결부(6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는 복수개의 다리(600)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200) 둘레에 링크연결부(7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다리(600)의 중앙측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다리(600)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링크(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양궁안치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줄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대(1)의 하단에 금속단부(4)가 결합되는데, 이 금속단부(4)는 활줄이 걸리는 걸림편(4a)이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들이 양궁안치대에 양궁을 안치 시 활줄이 걸리는 방향으로 금속단부(4)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본 실시예의 양궁안치대는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줄고정구(90)의 활줄걸림편(90a)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편하게 활줄을 걸 수 있으며, 활줄고정구(90)의 일측에는 보조안치부(92)가 힌지연결되어 안치부(80)와 함께 보조적으로 양궁을 지지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보조안치부의 일단에 마련된 걸림편이 활줄고정구(90)의 일측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안치부(80)와 함께 양궁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먼저, 지지대(7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부(100)는 지지대(7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어 복수개의 다리(600)가 힌지연결되고, 상측에는 숫커플러(3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원기둥형부재의 상측면 중앙에는 숫커플러(300)와 고정을 하기 위해서 외주면에 나사산 형성된 돌출부(110)가 일체로 형성되며, 돌출부(110)의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만큼 지지대삽입홀(120)이 형성되어 지지대(70)가 삽입되어 끼워맞춤된다.
이때, 고정부(100)의 둘레에는 지지대삽입홀(120)과 연통되는 제1고정홀(130)이 형성되는데, 지지대(70)가 고정부(100)의 지지대삽입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대(70)의 지지대고정홀(70h)과 제1고정홀(130)의 방향을 일치시켜서 제1볼트(b1)로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고정부(100)의 둘레에는 복수개의 제1결합홀(140)이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복수개의 다리(600)와 다리연결부(650)를 개재해서 연결된다.
이때, 다리연결부(650)는, 일단면에는 개구부(652)가 형성되되, 이 개구 부(652)의 양면에는 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타단면의 중심부에는 볼트부(65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복수개의 제1결합홀(140)에 각각 결합된다. 고정부(100)와 다리(600)의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다리(600)에 대한 설명 시 함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지지대(90)에 끼워맞춤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딩부(200)는 다리(600)의 중앙측에 힌지연결되는 링크(700)의 일측이 연결되어 지지대(70)에 끼워맞춤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원기둥형부재의 중심 상측에 슬라이딩홀(210)이 형성되어, 이 슬라이딩홀(210)에 지지대(70)가 끼워맞춤되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만큼 슬라이딩홀(210)의 반경보다 크도록 암커플러결합홈(220)이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암커플러(400)와 결합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부(200)의 중심 상측에는 슬라이딩홀(210)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부(200)의 중심 하측에는 암커플러결합홈(220)이 형성되어, 하방에서 상방으로 폭이 좁은 2단구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00)의 둘레에는 암커플러결합홈(220)과 연통되는 제2고정홀(230)이 형성되는데, 암커플러(400)와 암커플러결합홈(220)이 결합 시 암커플러(400)의 암커플러고정홀(410)과 제2고정홀(230)의 방향을 일치시켜서 제2볼트(b2)로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부(200)의 둘레에는 복수개의 제2결합홀(240)이 형성되어 복 수개의 링크(700)의 일측과 링크연결부(750)를 개재해서 연결된다.
이때, 링크연결부(750)는 다리연결부(650)와 마찬가지로, 일단면에는 개구부(752)가 형성되되, 이 개구부(752)의 양면에는 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타단면에는 볼트부(75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복수개의 제2결합홀(240)에 각각 결합된다. 슬라이딩부(200)와 링크(700)의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링크(700)에 대한 설명 시 함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고정부(10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숫커플러(300) 및 슬라이딩부(200)의 하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숫커플러(3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암커플러(400)로 구성된 커플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커플러는 공기나 가스 등의 기체, 기름이나 물 등의 액체를 이동하기 위한 파이프 등을 연결하기 위해서 일측 파이프의 끝단에는 숫커플러(300)를 결합하고, 타측 파이프의 끝단에는 암커플러(400)를 결합하여, 일측파이프와 타측파이프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플러(400)는 암커플러몸체(420), 슬리브(430), 록킹볼(440), 스프링(450)로 이루어지고, 숫커플러(300)의 삽입부(330) 둘레에는 록킹볼(440)이 끼워지는 록킹홈(310)이 형성되어, 암커플러(400)와 숫커플러(300)가 서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양궁안치대는 공지의 커플러를 적용, 즉,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의 상측에는 숫커플러(300)를 고정결합하고, 슬라이딩부(200)의 하측에는 암커플러(400)를 고정결합하여, 슬라이딩부(200)가 상하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슬라이딩부(200)의 암커플러(400)와 고정부(100)의 숫커플 러(300)가 결합 및 분리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고정부(100)의 상측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10)와 숫커플러(300)의 너트부(320)가 결합하게 되고, 슬라이딩부(200)의 암커플러결합홈(220)에 암커플러(400)가 결합하게 된다.
즉, 돌출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숫커플러(300)의 너트부(320)가 결합하여 고정되고, 슬라이딩부(200)의 하측면 중심에 형성된 암커플러결합홈(220)에 암커플러몸체(420)의 상측이 결합되어 각각 고정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00)의 상측에는 숫커플러(300)가 고정결합되고, 슬라이딩부(200)의 하측에는 암커플러(400)가 고정결합되며, 슬라이딩부(200)가 지지대(70) 상에서 최하단으로 슬라이딩한 때에 숫커플러(300)의 삽입부(330)가 암커플러(400)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록킹볼(440)이 록킹홈(310)에 끼워짐으로써 숫커플러(300)와 암커플러(400)가 결합된다.
한편, 상술한 숫커플러(300)와 암커플러(400)의 결합위치는 서로 상호 교환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말하면, 숫커플러(300)의 위치에 암커플러(400)가 결합되고, 암커플러(400)의 위치에 숫커플러(30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100) 둘레에 다리연결부(6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는 복수개의 다리(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리(600)는 지지대(70)를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 둘레에 다리연결부(6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3개의 다리(600)로 구성된다. 이는, 3개의 다리(600)로 지면을 3점지지함으로써 평평한 지형뿐만 아니라 곡면형태의 지형에서도 지지대(7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링크에 대한 설명시 더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다리연결부(650)의 볼트부(654)는 고정부(100)의 제1결합홀(140)에 결합되고, 다리연결부(650)의 일단면에 형성된 개구부(652)의 양면에 형성된 홀과 다리(600)의 일측에 형성된 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다리(600)의 일측이 개구부(652)에 삽입된 후 핀으로 힌지연결된다. 이때, 다리(600)의 일측이 다리연결부(650)의 개구부(6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6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리(600)는 도 5a 내지 도 5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700)와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일측의 폭(w3)이 타측의 폭(w4)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 및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600)가 접힌 상태에서 공간을 최소화하여 이동할 때나 보관 시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일측이 고정부(100) 둘레에 링크연결부(7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다리(600)의 중앙측에 힌지연결되어, 다리(6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링크(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링크(700)는 일측이 고정부(100)의 둘레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다리(600)의 중앙측에 형성된 링크결합홈(620)에 힌지연결되어, 슬라이딩부(200)가 지지대(70)의 상부로 슬라이딩 시에는 다리(600)가 접힌 상태가 되도록 하고, 슬라이딩부(200)가 지지대(70)의 하부로 슬라이딩 시에는 다리(600)가 펼친 상태가 되게 하 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700)의 일측이 링크연결부(750)를 개재해서 슬라이딩부(200)의 둘레에 연결되고, 링크(700)의 타측이 다리(600)의 중앙측에 형성된 링크결합홈(650)에 끼워져 연결된다.
즉, 링크연결부(750)의 볼트부(754)는 슬라이딩부(200)의 제2결합홀(240)에 결합되고, 링크연결부(750)의 일단면에 형성된 개구부(752)의 양면에 형성된 홀과 링크(700) 일측에 형성된 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링크(700) 일측을 개구부(752)에 삽입한 후 핀으로 힌지연결된다.
또한, 링크(700)의 타측은 다리(600)의 중앙측에 형성된 링크결합홈(620)에 끼워진 후, 이 링크결합홈(620)의 양면에 형성된 홀과 링크(700)의 타측에 형성된 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여 핀으로 힌지연결된다.
한편, 링크(700)는 도 5a 내지 도 5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의 폭(w1)보다 중앙측의 폭(w2)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링크(700)가 다리(600)를 지지할 때 강풍이 불거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견고하게 다리(600)를 지지하여 양궁안치대가 견고하게 세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고정부(100), 슬라이딩부(200), 복수개의 다리(600), 복수개의 링크(700)는 모두 알루미늄 합금을 열처리 하여 가공하였기 때문에 쉽게 휘거나 부러지지 않는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양궁안치대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플러(400)와 숫커플러(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플러(400)의 슬리브(430)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숫커플러(300)의 삽입부(330)가 암커플러(400)의 삽입홈(460)에 삽입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0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동작시켜 삽입홈(460)에 삽입부(330)가 삽입되면, 슬라이딩부(200)와 힌지연결된 링크(700)에 의해서 다리(600)가 펼쳐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30)를 놓으면 스프링(450)의 탄성에 의해서 슬리브(43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록킹볼(440)이 록킹홈(310)에 끼워져서 암커플러(400)와 숫커플러(3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리를 접는 작동은 상술한 동작의 역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플러(400)와 숫커플러(300)의 결합이 완료된 시점에서 고정부(100)의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d)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개의 다리(600), 바람직하게는 3개의 다리(600)로 구성된 본 실시예의 양궁안치대가 다리(600)가 펼쳐진 상태, 즉, 암커플러(400)와 숫커플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100)의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3점지지함으로써 평평한 지형에서 뿐만 아니라 곡면형태의 지형에서도 양궁안치대를 세워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플러를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다리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누구라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궁안치대는 일체형이므로 분실의 우려가 적다.
또한, 암커플러와 숫커플러가 결합하여 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부의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평평한 지형에서뿐만 아니라 곡면형태의 지형에서도 양궁안치대를 세울 수 있다.
또한, 링크의 중앙측 폭이 넓게 형성되어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하기 때문에 강한 바람에도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다리 일측의 폭이 타측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다리를 접은 상태에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활줄고정구의 활줄걸림편이 양측으로 형성되므로 활줄을 걸기가 편하다.
또한, 열처리된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므로 사용자들이 다리를 밟더라도 쉽게 휘거나 부러지지 않는다.

Claims (6)

  1. 상단에 안치부(80)가 마련되고, 중앙측에 활줄고정구(90)가 구비된 지지대(70)를 포함하는 양궁안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9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지지대(90)에 끼워맞춤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2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숫커플러(300)와, 상기 슬라이딩부(200)의 하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숫커플러(3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암커플러(400)로 구성되는 커플러(500)와;
    상기 고정부(100) 둘레에 다리연결부(6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는 복수개의 다리(600)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200) 둘레에 링크연결부(750)를 개재해서 힌지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다리(600)의 중앙측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다리(600)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링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안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커플러(300)와 상기 암커플러(400)가 결합 시 상기 고정부(100)의 하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d)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안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700)는 양측단의 폭(w1)보다 중앙측의 폭(w2)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안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리(600)는 상기 복수개의 링크(700)와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일측의 폭(w3)이 타측의 폭(w4)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안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리(600)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안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줄고정구(90)는 활줄걸림편(90a)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일측에 보조안치부(92)가 힌지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안치대.
KR1020060057934A 2006-06-27 2006-06-27 양궁안치대 KR10060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934A KR100608164B1 (ko) 2006-06-27 2006-06-27 양궁안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934A KR100608164B1 (ko) 2006-06-27 2006-06-27 양궁안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164B1 true KR100608164B1 (ko) 2006-08-02

Family

ID=3718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934A KR100608164B1 (ko) 2006-06-27 2006-06-27 양궁안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1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086B1 (ko) * 2009-01-19 2011-07-06 백종대 스탠드큐바
KR200473187Y1 (ko) * 2014-03-04 2014-06-13 장덕순 회전식 양궁 안치대
KR102175650B1 (ko) 2019-11-07 2020-11-06 장덕순 안치대
KR20210050124A (ko) * 2019-10-28 2021-05-07 채지우 보우 스탠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086B1 (ko) * 2009-01-19 2011-07-06 백종대 스탠드큐바
KR200473187Y1 (ko) * 2014-03-04 2014-06-13 장덕순 회전식 양궁 안치대
KR20210050124A (ko) * 2019-10-28 2021-05-07 채지우 보우 스탠드
KR102339816B1 (ko) * 2019-10-28 2021-12-14 채지우 보우 스탠드
KR102175650B1 (ko) 2019-11-07 2020-11-06 장덕순 안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7012B1 (en) Lower joint folding preventing device for one touch type dome shaped tent
US6216717B1 (en) Collapsible tent frame
KR100608164B1 (ko) 양궁안치대
US6193263B1 (en) Seat positioning frame of a stroller
US7210491B2 (en) Umbrella structure
US20160206112A1 (en) Foldable bed frame structure
US20090314323A1 (en) Adjustable support assembly for a collapsible canopy
US6095596A (en) Folding chair structure
US20060051159A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foldable structure
US7118079B2 (en) Telescope with foldable and extendable base
US20020167142A1 (en) Foldable handle for a skateboard or a ski board
GB2482745A (en) Foldable tent structure
JP5894744B2 (ja) 組み立て式テント
US6471173B1 (en) Foldable frame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top plate used for furniture
US6547221B1 (en) Knock-down grind rail for skateboards and rollerblades
US20090302186A1 (en) Tree stand
EP1493361A1 (en) A child support arrangement
US6076205A (en) Playpen with detachable frame sections
CN201535086U (zh) 帐篷伸缩套杆弹簧扣
US20070164173A1 (en) Collapsible garbage bag supporter
KR20120002743U (ko) 등산 지팡이의 길이 조절장치
KR100781097B1 (ko) 등산용 절첩식 테이블
US20100176267A1 (en) Stand set
KR20180087642A (ko) 접이식 테이블
US20110138529A1 (en) Combinative Toilet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