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071B1 - 역고드름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역고드름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071B1
KR101047071B1 KR1020090051240A KR20090051240A KR101047071B1 KR 101047071 B1 KR101047071 B1 KR 101047071B1 KR 1020090051240 A KR1020090051240 A KR 1020090051240A KR 20090051240 A KR20090051240 A KR 20090051240A KR 101047071 B1 KR101047071 B1 KR 10104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zer
icicle
inverted
cold ai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578A (ko
Inventor
윤한나
이훈준
윤마병
Original Assignee
윤한나
윤마병
이훈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한나, 윤마병, 이훈준 filed Critical 윤한나
Priority to KR102009005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07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고 내에서 냉기를 일정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고 상부와 하부 간 소정의 온도차를 두어 용기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이 결빙되면서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역고드름을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내면이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냉동고; 상기 냉동고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온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냉각기; 상기 냉동고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동고 덮개; 상기 냉동고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고와 이격되어 형성되되, 적어도 둘 이상의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진동차단 프레임;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의 하부에 내측으로 적재되되 상기 냉동고의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냉기 유도부;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의 하부에 내측으로 적재되되, 상면에 역고드름 생성용기를 적재할 수 있고 다수의 개구를 형성하는 매쉬 형태로, 상기 냉동고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용기 적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고드름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드름, 역고드름, 솟는 고드름, 승빙, 빙순

Description

역고드름 생성장치{Reverse Icicle Generator}
본 발명은 냉동고 내에서 냉기를 일정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고 상부와 하부 간 소정의 온도차를 두어 용기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이 결빙되면서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역고드름을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고드름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고드름 생성장치는 냉각용 열교환기(22)와 상기 냉각용 열교환기(22)에서 수용액을 냉각하고 얼음 결정 입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제빙 수단(2), 상기 제빙 수단(2)이 생성한 현탁액이 공급되고 그 현탁액으로부터 액체 성분을 분리 배출하여 얼음 결정 입자를 고밀도로 형성함과 동시에 얼음 결정 입자를 성장시키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고드름을 생성하는 고드름 생성 수단(3), 상기 고드름 생성 수단(3)이 생성한 고드름으로부터 농축 용액을 추출해내는 분리 수단(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고드름 생성장치는 수용액을 냉각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얼음 결정을 성장시켜 절단하는 것으로 중력 방향으로 결빙된 고드름을 절단하여 생성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단에서 물을 공급하지 않고 용기에 수용된 물이 중력과 반대 방향인 상방으로 연장되어 역고드름을 생산할 수 있는 역고드름 생성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일정 방향으로 냉기를 유도하고 상부와 하부 간 온도차를 두어 용기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이 결빙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역고드름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역고드름 생성에 적합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일정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상부와 하부 간 온도차를 주기 위한 발열체를 구비한 역고드름 생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면이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냉동고(110);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온도 조절장치(121)가 구비된 냉각기(120); 상기 냉동고(11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동고 덮개(180); 상기 냉동고(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중공 형태로 상기 냉동고(110)의 각 측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세로지지대(131), 상기 세로지지대(131) 상호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며 내측으로 구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로지지대(132)를 포함하는 진동차단 프레임(130);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의 하부에 내측으로 적재되되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냉기 유도부(140);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의 하부에 내측으로 적재되되, 상 기 냉기 유도부(140)의 형성 위치보다 상부에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역고드름 생성용기(160)를 적재할 수 있고 다수의 개구를 형성하는 매쉬 형태로, 상기 냉동고(110)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용기 적재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각기(120)의 각 측면에는 냉기 순환을 위한 팬(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냉동고(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며 바닥면과의 온도차를 크게 하기 위한 발열체(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각기의 작동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상쇄하기 위한 진동방지 프레임을 구성하고 안정한 상승 기류 형성을 위한 팬을 구비하였으며 냉동고 상부와 하부 간 적절한 온도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발열체를 구비하여 역고드름 생성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였다.
본 발명인 역고드름 생성장치는 역고드름 생성의 교육용 기재로 활용할 수 있어 실험 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역고드름이 자연 발생되는 것으로 유명한 마이산 등에서 과학체험 프로그램과 관광 상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공급되는 물 없이 위로 자라는 고드름을 역고드름 이라 한다. 이하에 서는 역고드름의 생성 원리를 언급한 후 본 발명의 역고드름 생성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역고드름은 반드시 용기의 하단부터 얼기 시작해야 만들어 질 수 있다. 물이 담긴 용기의 하단부터 먼저 얼기 시작하면 빙면에서 마지막까지 얼지 않는 작은 구멍(숨구멍)이 생기는데 이 숨구멍이 역고드름 생성의 기초가 된다. 숨구멍으로 올라오는 물은 바깥쪽 부분부터 먼저 얼기 시작하여 역고드름이 만들어진다. 이때 역고드름의 중앙에는 작은 관이 형성되고 이 관을 통해 과냉각수가 계속 올라오면서 결빙되어 역고드름을 성장시킨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관의 끝단 구멍이 막히면 역고드름의 성장이 멈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숨구멍이 형성된 후 물이 계속 솟아올라 역고드름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첫째, 얼음의 체팽창이 발생한다. 숨구멍이 형성된 상태에서 용기의 하단부터 계속 얼게 되면 물이 얼음으로 결빙되면서 증가하는 체적 만큼(약 9 % 정도) 용기 내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흡입 압력에 의해 과냉각수가 숨구멍으로 솟아 올라오게 된다.
둘째, 역고드름 내관의 모세관 효과를 들 수 있다. 역고드름 중앙에는 과냉각수와 기포가 올라오는 작은 관(직경 1mm 정도)이 존재한다. 이 관이 모세관 역할을 하여 역고드름 내관을 따라 과냉각수가 약 1.3㎝ 정도 올라 올 수 있다.
셋째, 물이 응결되면서 생기는 기포에 의한 압력이 발생한다. 물이 얼음으로 상태 변화할 때 물 속의 용존 기체가 빠져 나온다. 이때 물 체적의 약 6.9% 의 기 체(0℃의 증류수 기준)가 빠져 나온다. 이 기체들은 숨구멍을 통해 역고드름의 내관으로 빠져 나가는데 이때 물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여 역고드름의 성장을 돕는다. 이러한 기포에 의한 압력으로 대부분의 역고드름 내부에는 나무뿌리 형상의 기포 자국이 존재하게 된다.
넷째, 숨구멍으로 솟아오르는 물이 최저온도를 이루어 결빙을 돕는다. 물은 4℃ 에서 밀도가 최대가 되므로 숨구멍을 통해 솟아오르는 물은 최소의 밀도를 갖는 물이 된다. 이러한 최소 밀도의 물은 용기 안에서 항상 최저온도(0℃ 부근)를 유지하므로 결빙이 쉽게 될 수 있는 조건을 이루어 역고드름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섯째, 증발에 의한 냉각효과가 있다. 숨구멍을 통해 올라오는 과냉각수는 냉각과 결빙에 의해 역고드름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이러한 역고드름 내관을 통해 올라오는 물이 일부 증발되면서 증발에 의한 냉각효과로 결빙을 돕게 됨으로써 역고드름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역고드름의 형태와 크기는 숨구멍의 형태와 기온, 기류에 따라 달라진다. 기류가 안정되고 빙면의 숨구멍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숨구멍으로 솟아오르는 과냉각수의 압력이 비교적 강한 경우 수직형태의 역고드름이 생성된다. 빙면의 숨구멍이 비스듬하게 발달하거나 일정 방향의 기류가 계속 영향을 줄때 기울어진 형태의 역고드름이 생성될 수 있다. 용기에 물을 넣고 얼리면 중앙부가 팽창하면서 얼게 되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팽창하여 부풀어 오른 중앙 부근에 꼭지 모양의 작은 역고드름이 형성된 것으로 역고드름이 생성되는 동안 온도가 계속 낮아질 때 꼭지 형태 로 생성될 수 있다. 밀려 올라오는 과냉각수의 압력이 약하고, 숨구멍의 틈이 비스듬할 때 결빙되면서 중력에 의해 아래로 굽어지거나 또는 역고드름이 형성되는 동안 기류가 변하여 굽은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용기 하부의 결빙속도가 빨라서 밀려 올라오는 과냉각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온도가 높은 경우(-0∼-3℃) 형성된 역고드름으로 과냉각수가 흘러내리면서 계속 결빙되어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빙면의 숨구멍이 여러 개 존재하고 용기 하부에서 얼음 형성이 활발하여 큰 압력이 작용할 때 2 ~ 3개 이상의 역고드름이 산발적인 형태로 한꺼번에 생길수 있으며 각각의 역고드름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빙면의 숨구멍이 크고 큰 압력이 작용하여 과냉각수가 넘치면서 두껍고 짧은 기둥형 역고드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역고드름 생성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결합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역고드름 생성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해 역고드름이 생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역고드름 생성장치(100)는 냉동고(110), 냉각기(120), 냉동고 덮개(180), 진동차단 프레임(130), 냉기 유도부(140), 용기 적재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팬(122), 발열체(17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고(110)는 외부와 열교환을 차단하도록 내면이 단열 소재로 형성된 냉동 공간이다. 상기 냉동고(110)의 형상은 도 2 및 도 3 에서는 직육면체를 예시하고 있으나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역고드름의 생성을 위해서 상기 냉동고(110)의 내부 온도는 영하 10℃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냉동고(110)의 내면은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고(110) 내부의 바닥면에는 냉각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120)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통상적인 냉각기와 동일하다. 상기 냉각기(120)는 상기 냉동고(110) 내부의 저면에 형성되므로 냉기를 발생시켜 상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120)는 외부에서 미세한 온도까지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장치(1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기(120)는 역고드름을 생성할 수 있도록 영하 20℃ 까지 온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 좋다. 상기 냉동고(110)의 내부 온도를 적정 온도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냉각기(120)에서는 지속적으로 냉기가 발생시키지 않고 간헐적으로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냉기 발생을 중단하다가 냉기 발생을 위해 가동되는 순간 상기 냉각기(1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냉동고(1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본 발명의 역고드름을 생성하는 데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기(120)는 간헐적인 냉기 발생의 경우라도 장치 가동과 중단시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냉각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고 덮개(180)는 상기 냉동고(11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고 덮개(180)를 닫아 상기 냉동 고(110)를 폐쇄할 경우 외부와 열교환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냉동고 덮개(180)의 각 측면에는 밀폐부(181)가 형성되어 상기 냉동고(11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온기가 상기 냉동고(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냉동고 덮개(180)는 열교환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냉동고 덮개(180)를 덮은 경우에 상기 역고드름 생성장치(100) 내부를 관찰하여 역고드름의 생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냉동고 덮개(18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냉동고(1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은 상기 냉동고(1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은 상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중공 형태로 상기 냉동고(110)의 각 측면과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과 상기 냉동고(110)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냉각기(120)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기(120)의 가동 또는 중단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 역고드름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과 상기 냉동고(110)의 내측면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은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세로지지대(131)와 상기 세로지지대(131) 상호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며 내측으로 구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로지지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에서는 상기 냉동고(110)가 직육면체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세로지지대(131)가 각 모서리에 4개가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냉동고(110)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듯이 상기 세로지지대(131)와 상기 가로지지대(132)도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지지대(132)는 상기 세로지지대(131) 상호간을 연결하되 내측으로 구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조물이 고정될 수 있는 걸림턱이나 고리 등 다양한 연결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냉기 유도부(140)는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의 하부에 내측으로 적재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도부(140)의 적재 방향은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고드름이 생성되기 위해서 상기 냉동고(110)의 상부와 하부는 온도차가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냉동고(110)의 크기와 형태, 상기 냉각기(120)의 냉방 능력,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의 크기와 종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냉동고(110)의 하단은 영하 13℃ 이고 상단은 영하 10 ℃ 일때 역고드름의 생성률이 높은 것으로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냉동고(110)의 상단과 하단에 소정의 온도로 차이를 두는 것이 좋다. 이러한 온도 차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냉동고(110)의 내측 상부에는 발열체(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170)는 백열등, 형광등, 열선 등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과 온도 차이를 두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170)는 발열을 통한 온도 차이 발생뿐 아니라 상기 냉동고(1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조명등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도부(140)는 상기 냉동고(110)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냉각기(120)에서 발생한 냉기가 직접 상방으로 올라오지 않도록 막고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과 상기 냉동고(1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냉기를 유도하게 된다. 상기 냉기 유도부(140)는 상기 냉동고(110)의 상하단 간 온도 차이를 두고 동시에 냉기를 상술한 공간으로 유도하여 상승 기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냉기 순환을 돕기 위해 상기 냉각기(120)의 각 측면에는 냉기 순환을 위한 팬(1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122)은 냉기의 상승 기류 형성을 도와 역고드름 형성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122)은 공기의 흐름을 유동시키는 통상의 팬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냉기 유도부(140)는 투명한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냉기를 유도하고 상기 냉동고(110)의 상단과 하단간 온도 차이를 둘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 적재부(150)는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의 하부에 내측으로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적재부(150)는 상면에 역고드름을 생성하기 위한 역고드름 생성용기(160)를 적재할 수 있고 다수의 개구를 형성하는 매쉬(mesh)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적재부(150)의 개구를 통해 상기 냉각기(120)에서 발생한 냉기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의 모든 위치에 냉기가 접촉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용기 적재부(150)는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냉동고(110)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다. 설계에 따라 복층 으로 상기 용기 적재부(150)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역고드름 생성용기(160)를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적재부(150)에는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가 적재되므로 상기 용기 적재부(150)는 상기 냉기 유도부(140)가 형성된 위치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기 유도부(140)를 통해 상승 기류를 형성한 냉기가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와 접촉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는 플라스틱, 사기, 스테인레스 스틸 등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에서 역고드름 생성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에 수용하는 물질은 증류수가 바람직하다. 다른 물질에 의해서도 역고드름이 발생할 수 있으나 불순물이 포함된 경우 결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냉동고(110)에는 상기 냉동고(110) 내부의 기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도면 미도시)와 연속적으로 기온과 수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MBL 실험장치(도면 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속적인 온도 변화를 관측하면서 역고드름 생성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상기 역고드름 생성장치(100)를 이용하여 역고드름이 생성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에 증류수를 2/3 정도 넣고 상기 냉각기(120)를 가동시켜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의 바닥면을 영하 -12∼-15℃ 정도로 냉각시키면 밑바닥부터 얼기 시작한다. 장치의 설계에 따라 적정 온도는 달라질 수 있으 므로 상기 온도 조절장치(121)를 이용하여 상기 냉동고(1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차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170)를 활용할 수 있으며 냉기 유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팬(122)을 구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냉동고 덮개(180)를 통해 관찰하면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에 수용된 증류수의 수면은 살얼음 상태로 결빙된 반면에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의 바닥면은 두꺼운 얼음층으로 결빙되고 바닥면의 중앙 부근에서 기포가 생성되어 올라온다. 물이 결빙되면서 물속의 기포가 빠져 나오는데 살얼음 상태로 결빙된 빙면의 약한 부분인 숨구멍으로 물과 함께 기포가 올라오면서 역고드름이 성장한다. 이때 결빙되는 역고드름에서 기포가 빠져 나가지 못하고 함께 얼면 역고드름 내부에 기포가 포착될 수 있다. 상기 역고드름 생성용기(160)에 수용된 증류수가 결빙되면서 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팽창된 물은 상술한 숨구멍을 통해 흘러나온다. 숨구멍을 통해 조금씩 흘러나오는 물이 냉기에 의해 냉각되면서 역고드름이 성장한다. 역고드름 내의 기포들은 숨구멍을 통해 상승하는 과냉각수가 유동하도록 관 형태의 통로를 형성한다. 과냉각수의 상승과 냉각이 반복되면서 역고드름이 성장하게 되며 역고드름의 통로 끝단이 결빙에 의해 막히면 성장을 멈추게 된다. 도 4 에서 상기 역고드름 생성장치(100)를 이용하여 역고드름이 생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 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고드름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역고드름 생성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결합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역고드름 생성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해 역고드름이 생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빙 수단 3 : 고드름 생성 수단
5 : 분리 수단 22 : 냉각용 열교환기
100 : 역고드름 생성장치
110 : 냉동고
120 : 냉각기 121 : 온도 조절장치
122 : 팬
130 : 진동 차단 프레임 131 : 세로지지대
132 : 가로지지대 140 : 냉기 유도부
150 : 용기 적재부 160 : 역고드름 생성용기
170 : 발열체 180 : 냉동고 덮개
181 : 밀폐부

Claims (3)

  1. 내면이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냉동고(110);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온도 조절장치(121)가 구비된 냉각기(120);
    상기 냉동고(11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동고 덮개(180);
    상기 냉동고(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중공 형태로 상기 냉동고(110)의 각 측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세로지지대(131), 상기 세로지지대(131) 상호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며 내측으로 구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로지지대(132)를 포함하는 진동차단 프레임(130);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의 하부에 내측으로 적재되되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냉기 유도부(140);
    상기 진동차단 프레임(130)의 하부에 내측으로 적재되되, 상기 냉기 유도부(140)의 형성 위치보다 상부에 상기 냉동고(110)의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역고드름 생성용기(160)를 적재할 수 있고 다수의 개구를 형성하는 매쉬 형태로, 상기 냉동고(110)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용기 적재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고드름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120)의 각 측면에는 냉기 순환을 위한 팬(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고드름 생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고(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며 바닥면과의 온도차를 크게 하기 위한 발열체(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고드름 생성장치.
KR1020090051240A 2009-06-10 2009-06-10 역고드름 생성장치 KR10104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40A KR101047071B1 (ko) 2009-06-10 2009-06-10 역고드름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40A KR101047071B1 (ko) 2009-06-10 2009-06-10 역고드름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578A KR20100132578A (ko) 2010-12-20
KR101047071B1 true KR101047071B1 (ko) 2011-07-06

Family

ID=4350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240A KR101047071B1 (ko) 2009-06-10 2009-06-10 역고드름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030B1 (ko) * 2014-01-17 2016-03-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천에서의 솟는 고드름 증산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530A (ja) 1997-07-30 1999-02-26 Muhiyou Kobo Kk つらら状飲料用氷の製造装置とつらら状飲料用氷の製造方法
KR100374814B1 (ko) * 2000-11-24 2003-03-04 송준헌 장식용 고드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530A (ja) 1997-07-30 1999-02-26 Muhiyou Kobo Kk つらら状飲料用氷の製造装置とつらら状飲料用氷の製造方法
KR100374814B1 (ko) * 2000-11-24 2003-03-04 송준헌 장식용 고드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578A (ko) 201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3686T3 (es) Nucleación controlada durante la operación de congelación de ciclo de secado por congelación utilizando distribución de cristales de hielo a presión diferencial a partir de congelado condensado
US4550575A (en) Ice bowl freezing apparatus
US201900292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reezing biopharmaceutical fluid
KR101047071B1 (ko) 역고드름 생성장치
RU201413406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отовки льда
FR2979981A1 (fr) Dispositif de transport de chaleur a pompage capillaire
EA201300969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методом перекристаллизации и теплообменная емкость (варианты)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2679660A (zh) 冰箱
ES2666832T3 (es) Sistema y método para producir hielo en bloques tratado con sustitución de nitrógeno
ES2377974T3 (es) Aparato de refrigeración doméstico con compartimiento de almacenamiento evacuable
US2768507A (en) Freezing apparatus for making ice blocks
ES2910106T3 (es) Contenedor de transporte
Libbrecht et al. An investigation of laboratory-grown ice spikes
CN103184510A (zh) 单晶炉的热场
KR101584533B1 (ko) 제빙기
RU2005132791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WO20220673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ice having improved melting characteristics
JP2002213848A (ja) 製氷容器および製氷装置
RU2009101494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US868439A (en) Water-cooling apparatus.
JP2011038581A (ja) 液化ガス噴射装置
JP7430896B2 (ja) 製氷方法および製氷装置
US1884428A (en) Method of making frozen brine
JP2018121585A (ja) 凝縮器、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2001272145A (ja) 製氷装置付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