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055B1 -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7055B1 KR101047055B1 KR1020100077973A KR20100077973A KR101047055B1 KR 101047055 B1 KR101047055 B1 KR 101047055B1 KR 1020100077973 A KR1020100077973 A KR 1020100077973A KR 20100077973 A KR20100077973 A KR 20100077973A KR 101047055 B1 KR101047055 B1 KR 101047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t
- unit
- load
- power supply
-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30—Structural combination of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with basic electronic circuits, e.g. with amplifi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8—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galvanomagnetic-effect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전원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류전원에 의해 발생되어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와 이 부하를 통과한 출력전류간의 차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차전류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같거나 이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감도조절부; 및, 상기 감도조절부로부터의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전원과 상기 부하간의 접속을 끊는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전전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류전원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누전차단기는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회로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그리드와 같이 그 망(network)내에서 직류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회로의 보호를 위해서는 종래의 교류전원 감지용 누전차단기를 사용할 수 없다. 이에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회로는 누설 전류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는, 직류전원에 의해 발생되어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와 이 부하를 통과한 출력전류간의 차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차전류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같거나 이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감도조절부; 및, 상기 감도조절부로부터의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전원과 상기 부하간의 접속을 끊는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도조절부로부터의 차단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차단부로 공급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부하의 입력측과 상기 직류전원의 일측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스위치; 상기 부하의 출력측에 상기 직류전원의 타측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2 스위치;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차단전류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소자; 및, 상기 스위칭소자로부터의 차단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열어 상기 부하의 입력측과 상기 직류전원의 일측단자간의 접속을 끊고, 상기 부하의 출력측과 상기 직류전원의 타측단자간의 접속을 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류전원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이를 감압 또는 승압하여 다수의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하고, 이들을 감도조절부, 증폭부 및 스위칭소자에 공급하는 직류-직류 공급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증폭된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의 입력측 및 출력측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잔여 전류를 접지로 방전시키는 방전부; 상기 방전부와 상기 접지사이에 접속된 저항; 및, 상기 잔여 전류 및 상기 저항에 의해 발생된 잔여 전압을 충전하고, 이 충전된 잔여 전압을 상기 직류-직류 공급부로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부는 일정 크기 이상의 잔여 전압이 충전될 때 이 잔여 전압을 상기 직류-직류 공급부로 공급하며; 그리고, 상기 직류-직류 공급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의 잔여 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상기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검출부는 영상변류기(Zero Current Transformer) 또는 홀센서(Hall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는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회로로부터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전류의 누설량에 따라 직류전원과 부하간의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누전시 회로에 남아 있는 잔여 전류를 이용하여 잔여 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직류-직류 공급부에 공급함으로써, 누전에 의해 회로가 차단되어 직류전압이 제공되지 않는 순간에도 직류-직류 공급부가 원할히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전류검출부로서 영상변류기를 구비한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전류검출부로서 홀센서를 구비한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전류검출부로서 영상변류기를 구비한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전류검출부로서 홀센서를 구비한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검출부(101), 감도조절부(102) 및 증폭부(103)를 포함한다.
직류전원(155)은 직류전압(DC)을 생성한다. 이 직류전압에 의해 전류가 발생되며, 이 전류는 직류전원(155)과 부하(111)로 이루어진 폐회로를 따라 흐른다. 이 전류는 부하(111)로 공급되는 입력전류(Ii) 및 이 부하(111)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출력전류(Io)로 구분할 수 있는 바, 외부로 누설되는 전류가 없다면 이 출력전류(Io)와 입력전류(Ii)는 서로 동일해야 한다. 그러나, 회로의 어디엔가 누전이 발생한다면 이 입력전류(Ii)와 출력전류(Io)는 동일하지 않게 된다.
전류검출부(101)는 이 입력전류(Ii)와 출력전류(Io)간의 전류차를 검출한다.
감도조절부(102)는 이 전류검출부(101)로부터 검출된 차전류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에 따라 차단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전류가 임계값과 같거나 또는 이 임계값보다 클 경우, 이 감도조절부(102)는 차단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이 차전류가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이 감도조절부(102)는 차단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 임계값은 인체에 위험한 누설 전류의 양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감도조절부(102)는 차전류의 값을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전압과 전압치로 설정된 임계값을 서로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에 따라 차단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00) 및 직류-직류 공급부(222)를 더 구비한다.
도 2는 전류검출부(101)로서 영상변류기를 구비한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전류검출부(101)는 영상변류기((Zero Current Transformer)가 사용될 수 있다.
차단부(200)는 증폭부(103)로부터의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직류전원(155)과 부하(111)간의 접속을 끊는다. 이를 위해, 이 차단부(200)는 제 1 스위치(SW1), 제 2 스위치(SW2), 스위칭소자(TR) 및 솔레노이드 밸브(232)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SW1)는 부하(111)의 입력측과 직류전원(155)의 일측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스위치(SW2)는 부하(111)의 출력측과 직류전원(155)의 타측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스위칭소자(TR)는 증폭부(103)로부터의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차단전류를 스위칭한다.
솔레노이드 밸브(232)는 스위칭소자(TR)로부터의 차단전류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스위치(SW2)를 열어 부하(111)의 입력측과 상기 직류전원(155)의 일측단자간의 접속을 끊고, 또한 부하(111)의 출력측과 직류전원(155)의 타측단자간의 접속을 끊는다. 증폭부(103)로부터의 차단신호가 없을 경우, 이 제 1 및 제 2 스위치(SW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직류-직류 공급부(222)는 직류전원(155)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이를 감압 또는 승압하여 다수의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하고, 이들을 감도조절부(102), 증폭부(103) 및 스위칭소자(TR)에 공급한다. 이 직류구동전압들은 감도조절부(102), 증폭부(103) 및 스위칭소자(TR)들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압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류전원(155)으로부터의 직류전압에 의해 부하(111)에는 전류가 공급된다. 즉, 이 부하(111)의 입력측에 입력전류(Ii)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 부하(111)의 출력측으로부터는 출력전류(Io)가 발생된다.
영상변류기는 입력전류(Ii)와 출력전류(Io)를 비교하고, 이 입력전류(Ii)와 출력전류(Io)간의 차전류를 검출한다. 이 영상변류기로부터 검출된 차전류는 감도조절부(102)로 공급된다.
그러면, 감도조절부(102)는 이 차전류와 전류치로 설정된 임계값을 서로 비교한다. 또는 이 감도조절부(102)는 이 차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전압과 전압치로 설절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이 감도조절부(102)의 임계값은 누설 전류의 위험 정도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에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전류량에 근거하여 이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이 차전류가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이 감도조절부(102)는 차단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 차전류가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이 감도조절부(102)는 비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비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는 증폭부(103)를 통해 증폭되고, 이 증폭된 비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는 스위칭소자(TR)에 공급된다. 그러면, 이 스위칭소자(TR)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232)로 차단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이 솔레노이드 밸브(232)는 제 1 및 제 2 스위치(SW2)가 모두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차전류가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부하(111)에는 입력전류(Ii)가 공급된다.
반면, 이 차전류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이 감도조절부(102)는 차단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 차전류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이 감도조절부(102)는 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는 증폭부(103)를 통해 증폭되고, 이 증폭된 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는 스위칭소자(TR)에 공급된다. 그러면, 이 스위칭소자(TR)는 턴-온된다. 따라서 이 턴-온된 스위칭소자(TR)를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232)로 차단전류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이 솔레노이드 밸브(232)는 제 1 및 제 2 스위치(SW2)를 모두 열린 상태로 변환한다. 따라서, 차전류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부하(111)에는 더 이상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 스위칭소자(TR)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MOS(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 열거된 트랜지스터들 외에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또 다른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도 있다. 이 스위칭소자(TR)는 그 타입에 따라 하이상태의 차단신호에 의해 턴-온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로우상태의 차단신호에 의해 턴-온될 수도 있다. 즉, 이 스위칭소자(TR)가 MOS 트랜지스터일 경우 이는 N타입 또는 P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스위칭소자(TR)가 N타입일 경우 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는 이 N타입의 스위칭소자(TR)를 턴-온시킬 수 있는 하이상태의 차단신호를 의미하며, 반대로 이 스위칭소자(TR)가 P타입일 경우 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는 이 P타입의 스위칭소자(TR)를 턴-온시킬 수 있는 로우상태의 차단신호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 스위칭소자(TR)를 N타입의 스위칭소자(TR)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는 하이상태의 차단신호를 의미하며, 비액티브상태의 차단신호는 로우상태의 차단신호를 의미한다.
도 3은 전류검출부(101)로서 홀센서를 구비한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전류검출부(101)는 홀센서(Hall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도 3에서의 제 1 스위치(SW1), 제 2 스위치(SW2), 스위칭소자(TR), 솔레노이드 밸브(232) 및 직류-직류 공급부(222)는 도 2에서의 제 1 스위치(SW1), 제 2 스위치(SW2), 스위칭소자(TR), 솔레노이드 밸브(232) 및 직류-직류 공급부(222)와 동일하다.
이 도 3의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의 동작은 도 2의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와 동작과 실상 동일하다. 단, 차전류를 검출하는데 있어, 도 3의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와 도 2의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차이점을 나타낸다. 즉, 도 3에서의 전류검출부(101)는 홀센서로서, 이 홀센서는 제 1 홀센서(101a)와 제 2 홀센서(101b)로 구분된다. 제 1 홀센서(101a)는 부하(111)의 입력측에 공급되는 입력전류(Ii)를 검출하고, 제 2 홀센서(101b)는 부하(111)의 출력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이 홀센서는 제 1 홀센서(101a)로부터의 입력전류(Ii)와 제 2 홀센서(101b)로부터의 출력전류(Io)의 차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차전류를 감도조절부(102)로 공급한다. 이 이후의 동작은 상술된 도 2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는 직류전원(155)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직류전압이 충전된 배터리(401)와 이 배터리(401)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사용하는 부하(402)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배터리(401)로부터의 직류전압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량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되면 이 배터리(401)로부터의 전류가 부하(402)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교류전압(AC)을 직류전압(DC)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501)와 이 교류/직류 변환기(501)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사용하는 부하(502)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교류/직류 변환기(501)로부터의 직류전압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량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되면 이 교류/직류 변환기(501)로부터의 전류가 부하(502)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SG)와 이 스마트 그리드(SG)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변환기(604)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스마트 그리드(SG)로부터의 직류전압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량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되면 이 스마트 그리드(SG)로부터의 전류가 직류/교류 변환기(604)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 스마트 그리드(SG)는 전기의 생산, 운반, 소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인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으로, 이 스마트 그리드(SG)내의 전력생산 수단으로서 연료전지, 풍력, 태양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연료전기(601), 풍력(602), 태양열(603) 등을 통해 생성된 전원은 직류전압으로서 직류/교류 변환기(604)를 통해 부하(606)(사용자)로 공급된다. 이때, 직류/교류 변환기(604)와 부하(606) 사이에는 교류전원 감지용 누전차단기(605)가 설치된다. 이 교류전원 감지용 누전차단기(605)는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량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되면 이 직류/교류 변환기(604)로부터의 전류가 부하(111)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가 적용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충전기(701)와 이 충전기(701)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사용하는 부하(702)(친환경 자동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충전기(701)로부터의 직류전압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량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되면 이 충전기(701)로부터의 전류가 부하(702)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400)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의 직류-직류 전원부와 이 직류-직류 전원부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경하는 직류/교류 변환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직류-직류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분압 및 승압하여 자동차 내부에 필요한 각종 직류전압들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직류/교류 변환기로부터의 교류전압은 자동차 내부의 모터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방전부(801), 충전부(802) 및 저항을 더 구비한다.
방전부(801)는 증폭부(103)로부터의 증폭된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111)의 입력측 및 출력측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잔여 전류를 접지로 방전시킨다.
저항은 방전부(801)와 접지사이에 접속되어 방전부(801)로부터 접지로 흐르는 잔여 전류에 따른 전압을 발생시킨다.
충전부(802)는 잔여 전류 및 저항(R)에 의해 발생된 잔여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하고, 이 충전된 잔여 전압을 상기 직류-직류 공급부(222)로 공급한다.
여기서, 충전부는 일정 크기 이상의 잔여 전압이 충전될 때 이 잔여 전압을 상기 직류-직류 공급부(222)로 공급한다.
이때, 직류-직류 공급부(222)는 충전부로부터의 잔여 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상기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차단시 회로에 남아 있는 잔여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하기 위한 잔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전에 의해 회로가 차단되어 직류전압이 제공되지 않는 순간에도 직류-직류 공급부(222)가 원할히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방전부(801), 충전부(802) 및 저항(R)은 도 2 및 도 3의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55: 직류전원 101: 전류검출부
102: 감도조절부 103: 증폭부
111: 부하 DC: 직류전압
Ii: 입력전류 Io: 출력전류
102: 감도조절부 103: 증폭부
111: 부하 DC: 직류전압
Ii: 입력전류 Io: 출력전류
Claims (7)
- 직류전원에 의해 발생되어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와 이 부하를 통과한 출력전류간의 차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차전류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같거나 이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감도조절부; 및,
상기 감도조절부로부터의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전원과 상기 부하간의 접속을 끊는 차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조절부로부터의 차단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차단부로 공급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부하의 입력측과 상기 직류전원의 일측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스위치;
상기 부하의 출력측에 상기 직류전원의 타측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2 스위치;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차단전류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소자; 및,
상기 스위칭소자로부터의 차단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열어 상기 부하의 입력측과 상기 직류전원의 일측단자간의 접속을 끊고, 상기 부하의 출력측과 상기 직류전원의 타측단자간의 접속을 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이를 감압 또는 승압하여 다수의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하고, 이들을 상기 감도조절부, 증폭부 및 스위칭소자에 공급하는 직류-직류 공급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증폭된 차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의 입력측 및 출력측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잔여 전류를 접지로 방전시키는 방전부;
상기 방전부와 상기 접지사이에 접속된 저항; 및,
상기 잔여 전류 및 상기 저항에 의해 발생된 잔여 전압을 충전하고, 이 충전된 잔여 전압을 상기 직류-직류 공급부로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일정 크기 이상의 잔여 전압이 충전될 때 이 잔여 전압을 상기 직류-직류 공급부로 공급하며; 그리고,
상기 직류-직류 공급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의 잔여 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상기 직류구동전압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부는 영상변류기(Zero Current Transformer) 또는 홀센서(Hall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7973A KR101047055B1 (ko) | 2010-08-12 | 2010-08-12 |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7973A KR101047055B1 (ko) | 2010-08-12 | 2010-08-12 |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7055B1 true KR101047055B1 (ko) | 2011-07-06 |
Family
ID=4492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7973A KR101047055B1 (ko) | 2010-08-12 | 2010-08-12 |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705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91544A (zh) * | 2013-01-21 | 2013-05-08 | 中国人民解放军63963部队 | 直流漏电检测电路 |
KR101348578B1 (ko) | 2012-07-24 | 2014-01-16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점화기의 누설전류 감지 및 알림장치 |
CN105004965A (zh) * | 2014-04-23 | 2015-10-28 | 国家电网公司 | 直流电力传输线路故障的检测方法和装置 |
CN105158634A (zh) * | 2015-09-23 | 2015-12-16 | 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 | 一种可拓展型信号级防雷器断线、碰线、交叉短路及直流阻抗的测量电路系统 |
KR20160013717A (ko) * | 2014-07-28 | 2016-02-0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누설전류 검출 장치 및 방법 |
KR101972304B1 (ko) * | 2018-04-19 | 2019-04-2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전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9031A (ja) | 1997-04-28 | 1998-11-17 | Tempearl Ind Co Ltd | 交直両用漏電検出器 |
JP2000002738A (ja) | 1998-06-17 | 2000-01-07 | Shihen Tech Corp | 直流漏電検出装置 |
KR20040037767A (ko) * | 2002-10-30 | 2004-05-07 | 한국전력공사 | 저압 1상용 과전압 누전차단기 |
KR20070033264A (ko) * | 2005-09-21 | 2007-03-26 |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 과전류 검출장치 |
-
2010
- 2010-08-12 KR KR1020100077973A patent/KR101047055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9031A (ja) | 1997-04-28 | 1998-11-17 | Tempearl Ind Co Ltd | 交直両用漏電検出器 |
JP2000002738A (ja) | 1998-06-17 | 2000-01-07 | Shihen Tech Corp | 直流漏電検出装置 |
KR20040037767A (ko) * | 2002-10-30 | 2004-05-07 | 한국전력공사 | 저압 1상용 과전압 누전차단기 |
KR20070033264A (ko) * | 2005-09-21 | 2007-03-26 |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 과전류 검출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8578B1 (ko) | 2012-07-24 | 2014-01-16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점화기의 누설전류 감지 및 알림장치 |
CN103091544A (zh) * | 2013-01-21 | 2013-05-08 | 中国人民解放军63963部队 | 直流漏电检测电路 |
CN105004965A (zh) * | 2014-04-23 | 2015-10-28 | 国家电网公司 | 直流电力传输线路故障的检测方法和装置 |
KR20160013717A (ko) * | 2014-07-28 | 2016-02-0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누설전류 검출 장치 및 방법 |
KR101595658B1 (ko) * | 2014-07-28 | 2016-02-19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누설전류 검출 장치 및 방법 |
CN105158634A (zh) * | 2015-09-23 | 2015-12-16 | 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 | 一种可拓展型信号级防雷器断线、碰线、交叉短路及直流阻抗的测量电路系统 |
KR101972304B1 (ko) * | 2018-04-19 | 2019-04-2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7055B1 (ko) | 직류 누설전류 검출장치 | |
KR101987352B1 (ko) | 이차전지 보호 집적 회로, 이차전지 보호 장치 및 전지팩 | |
JP5050415B2 (ja) | 2次電池の充放電回路および電池パック | |
US877973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n overcurrent protection and interface circuit between an energy source and a load | |
EP2363936B1 (en) | Reverse connection protecting device and backup power supply comprising the same | |
CN1988315B (zh) | 电池状态监测电路和电池装置 | |
US9768627B2 (en) | Overcharge protection apparatus with minimized power consumption | |
US10601231B2 (en) |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for a high 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 |
JP4616222B2 (ja) |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充電式電源装置 | |
US9948086B2 (en) | Protection of a power supply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n parallel against an external short circuit | |
KR20080060177A (ko) |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
US20020109483A1 (en) |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a charging-type power-supply unit | |
KR20140108143A (ko) |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
JP6370137B2 (ja) |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 |
KR20120025993A (ko) |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
KR20150127853A (ko) | 배터리 보호 ic 및 배터리 장치 | |
JP2019106870A5 (ja) | 二次電池保護集積回路 | |
CN102270867A (zh) | 电池状态监视电路以及电池装置 | |
CN102195318A (zh) | 电池状态监视电路以及电池装置 | |
KR20140078910A (ko) | 배터리 과충전 감지 장치 | |
US20110273145A1 (en) | Charge control circuit | |
US20140167702A1 (en) |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 |
KR20150032818A (ko) |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
JP5265934B2 (ja) | 充放電制御回路 | |
CN116780685A (zh) | 充放电控制电路及包括其的电池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801 | Dismissal of trial |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004 Effective date: 201211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