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744B1 -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744B1
KR101046744B1 KR1020090001559A KR20090001559A KR101046744B1 KR 101046744 B1 KR101046744 B1 KR 101046744B1 KR 1020090001559 A KR1020090001559 A KR 1020090001559A KR 20090001559 A KR20090001559 A KR 20090001559A KR 101046744 B1 KR101046744 B1 KR 10104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older
hinge shaft
cam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191A (ko
Inventor
김재석
권기수
조필제
Original Assignee
(주)엔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스퍼트 filed Critical (주)엔스퍼트
Priority to KR102009000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7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기 힌지 모듈의 몸체를 구성하는 힌지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고, 시작단부가 상기 제 1 폴더의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시 상기 제 1 폴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힌지 샤프트;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일측면에 회전 요철면이 형성되는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상보되도록 고정 요철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고 고정된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의 배면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직진 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고, 시작단부가 상기 제 2 폴더의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시 상기 제 2 폴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힌지 샤프트;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를 상보적인 회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켜 회전을 분배하는 회전분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HINGE MODU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폴더와 제 2 폴더가 180°이상 개폐되는 전자장치에 사용되며, 각각의 폴더마다 독립적인 힌지 조립체가 구성되며 각 힌지 조립체는 회전분배 수단에 의해 일정한 비율로 회전각이 분배됨으로써 제 1 폴더 및 제 2 폴더가 단차없이 균일한 각도로 180°이상 개폐되도록 작용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 1 폴더 및 제 2 폴더로 구성되어 접철식 구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철식 구성은 미사용시에는 훼손에 민감한 내부 화면 또는 키패드를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사용영역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사용자의 기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폴더와 제 2 폴더가 180° 이상으로 개폐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힌지 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더간에 180° 이상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일의 힌지가 아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폴 더(10,20)에 하나씩의 힌지가 결합된 힌지모듈(30)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힌지모듈(30)에 의한 개폐동작은 먼저, 도 1과 같이 양 폴더(10,20)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폴더(10)를 개방하면, 힌지모듈(30)을 구성하는 양 힌지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폴더(20)에 연결된 힌지는 동작하지 않고 제 1 폴더(10)에 연결된 힌지만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제 1 폴더(10)에 연결된 힌지만 회전한 상태에서 제 1 폴더(10)를 제 2 폴더(20)에 대해 180°로 더 개방하면, 제 2 폴더(20)에 연결된 힌지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 1 폴더(10)에 연결된 힌지만 회동하여 힌지모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하게 되고 그 결과 제 1 폴더(10) 및 제 2 폴더(20)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닫힘 상태에서의 힌지모듈(30)의 높이에 해당하는 단차를 두고 개방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분배 수단을 통해 제 1 폴더 및 제 2 폴더의 개폐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 1 힌지 샤프트 및 제 2 힌지 샤프트에 일정하게 배분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으로 180° 이상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으며, 회전 단속 수단을 통해 특정 각도에서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기어 및 더미 기어 쌍을 이용하여 회전분배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힌지 기어의 구경을 최소화하여 힌지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샤프트와 동축으로 형성되는 회전 캠과 직진 캠을 이용하여 힌지동작에 있어서 힌지 모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하우징 및 힌지 캠 사이에 힌지 스프링을 게재함으로써 힌지 스프링은 탄성을 통해 힌지 포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동작시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폴더에 연결되는 힌지 부품은 독립적인 힌지 하우징 내에 구성하고, 두 개의 힌지 하우징은 단일의 힌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며 힌지 부품고장시 해당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휴대 전자장치의 제 1 폴더와 제 2 폴더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제 1 폴더와 상기 제 2 폴더를 개폐시키는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의 몸체를 구성하는 힌지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고, 시작단부가 상기 제 1 폴더의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시 상기 제 1 폴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힌지 샤프트;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일측면에 회전 요철면이 형성되는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상보되도록 고정 요철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고 고정된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의 배면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 요철면과 상기 회전 요철면이 정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신장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캠 방향으로 후퇴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과 상기 회전 요철면이 부정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캠의 반대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 1 직진 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고, 시작단부가 상기 제 2 폴더의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시 상기 제 2 폴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폴더와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각도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를 상보적인 회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켜 회전을 분배하는 회전분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회전분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힌지 기어에 맞물리는 제 2 힌지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회전분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 1 힌지 기어;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 2 힌지 기어; 및 서로 맞물리는 짝수 개의 기어로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제 1 힌지 기어에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 제 2 힌지 기어와 맞물리는 더미 기어 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1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각도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1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은,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가 서로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60°± 5°및 90°± 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 상기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직진 캠, 상기 탄성부재가 수장되고, 상기 제 1 직진 캠의 외주면과 부합되는 내주면을 통해 상기 제 1 직진 캠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1 힌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일측면에 회전 요철면이 형성되는 제 2 회전 캠; 상기 제 2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 2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상보되도록 고정 요철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고 고정된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의 배면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 요철면과 상기 회전 요철면이 정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신장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 캠 방향으로 후퇴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과 상기 회전 요철면이 부정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 캠의 반대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 2 직진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1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과 상기 제 2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2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각도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 철면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1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은,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가 서로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60°± 5°및 90°± 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2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은,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가 서로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제 2 회전 캠이 상기 제 2 직진 캠과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60°± 5°및 90°± 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 상기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직진 캠, 상기 탄성부재가 수장되고, 상기 제 1 직진 캠의 외주면과 부합되는 내주면을 통해 상기 제 1 직진 캠을 고정시키는 제 1 힌지 하우징;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여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 상기 제 2 회전 캠, 상기 제 2 직진 캠, 상기 탄성부재가 수장되고, 상기 제 2 직진 캠의 외주면과 부합되는 내주면을 통해 상기 제 2 직진 캠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2 힌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힌지 케이스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 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FPCB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의 몸체를 구성하는 힌지 케이스; 일단부가 상기 제 1 폴더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 1 힌지 조립체; 및 일단부가 상기 제 2 폴더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폴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 2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힌지 케이스는, 일단부에 상기 제 1 힌지 조립체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힌지 결합구 및 상기 제 2 힌지 조립체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2 힌지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2 힌지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힌지 기어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 1 폴더와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가 서로 상보적인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분배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휴대 전자장치의 제 1 폴더와 제 2 폴더 사이에 게재되는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의 몸체를 구성하는 힌지 케이스; 일단부가 상기 제 1 폴더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 1 힌지 조립체; 및 일단부가 상기 제 2 폴더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폴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 2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힌지 케이스는, 일단부에 상기 제 1 힌지 조립체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힌지 결합구 및 상기 제 2 힌지 조립체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2 힌지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2 힌지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힌지 기어는 각각 상기 제 1 힌지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더미 기어 및 일측이 상기 제 1 더미 기어에 타측이 상기 제 2 힌지 기어에 맞물리는 제 2 더미 기어를 통해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 1 폴더와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가 서로 상보적인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분배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회전분배 수단을 통해 제 1 폴더 및 제 2 폴더의 개폐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 1 힌지 샤프트 및 제 2 힌지 샤프 트에 일정하게 배분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으로 180° 이상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으며, 회전 단속 수단을 통해 특정 각도에서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힌지 기어 및 더미 기어 쌍을 이용하여 회전분배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힌지 기어의 구경을 최소화하여 힌지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힌지 샤프트와 동축으로 형성되는 회전 캠과 직진 캠을 이용하여 힌지동작에 있어서 힌지 모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힌지 하우징 및 힌지 캠 사이에 힌지 스프링을 게재함으로써 힌지 스프링은 탄성을 통해 힌지 포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동작시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은, 각각의 폴더에 연결되는 힌지 부품은 독립적인 힌지 하우징 내에 구성하고, 두 개의 힌지 하우징은 단일의 힌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며 힌지 부품고장시 해당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300)을 적용한 휴대 전자장치의 각도별 제 1 폴더(100) 및 제 2 폴더(200)의 개폐상태 및 개폐각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300)의 부품들의 최종 분해도이고, 도 10은 1차 분해도, 도 11은 2차 분해도, 도 12는 3차 분해도, 도 13은 최종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300)은, 힌지 케이스(301,302), 제 1 힌지 샤프트(311), 제 1 회전 캠(312), 제 1 직진 캠(313), 제 2 힌지 샤프트(321), 회전분배 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 케이스(301,302)는 힌지 모듈(300)의 몸체를 구성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의 편의를 위해 하측 케이스(301) 및 상측 케이스(302)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 케이스(301,302)는 내부에 후술하는 힌지 부품들을 수장하기 적합하도록 구획을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제 1 힌지 샤프트(311)는 적어도 일부가 힌지 케이스(301,30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고, 제 1 폴더(100)의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제 1 폴더(100) 및 제 2 폴더(200)의 개폐시 제 1 폴더(10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제 1 힌지 기어(331) 및 제 1 회전 캠(312)의 회전축으로 기능한다.
제 1 힌지 회전 캠(31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하여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일측면에 회전 요철면이 형성된다.
제 1 직진 캠(313)은 제 1 회전 캠(312)의 회전 요철면와 마주하는 면에 제 1 회전 캠(312)의 회전 요철면와 상보되도록 고정 요철면이 형성되고,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되되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고 고정된 각도를 유지하고, 고정 요철면의 배면이 탄성부재(316)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 요철면과 회전 요철면이 정합하는 경우 탄성부재(316)의 신장에 의해 제 1 회전 캠(312) 방향으로 후퇴하고 고정 요철면과 회전 요철면이 부정합하는 경우 탄성부재(316)의 수축에 의해 제 1 회전 캠(312)의 반대 방향으로 전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데, 제 1 폴더(100)가 개방되면, 이에 따라 제 1 힌지 샤프트(311)가 회전하고, 동축으로 결합된 제 1 회전 캠(312)이 회전하고, 제 1 회전 캠(312)의 회전 요철면의 회전에 따라 제 1 직진 캠(313)의 고정 요철면과의 어긋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직진 캠(313)이 전진하다가 특정 각도에서 다시 회전 요철면간의 정합이 발생하면 제 1 진진 캠(313)은 탄성부재(316)에 의해 다시 후퇴하게 된다. 이때 정합이 발생하는 각도 및 탄성부재(316)의 탄성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제 1 폴더(100)와 제 2 폴더(200)의 정지 각도 및 조작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회전 캠(312)의 회전 요철면 및 제 1 직진 캠(313)의 고정 요철면은, 적어도 두 개의 각도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각도에서 제 1 폴더(100) 및 제 2 폴더(200)가 단계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데 제 1 회전 캠(312)의 회전 요철면 및 제 1 직진 캠(313)의 고정 요철면은, 상기 제 1 폴더(100) 및 상기 제 2 폴더(200)가 서로 닫힌 상태에서의 제 1 회전 캠(312)이 제 1 직진 캠(313)과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제 1 회전 캠(312)이 제 1 직진 캠(313)과 60°± 5°및 90°± 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을 반복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후술하는 회전분배 수단(330)의 작용에 의해 제 1 폴더(100) 및 제 2 폴더(200)는 각각 120° 및 180°에서 단계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제 2 힌지 샤프트(321)는 일부가 힌지 케이스(301,30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고, 시작단부가 제 2 폴더(200)의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제 1 폴더(100) 및 제 2 폴더(200)의 개폐시 제 2 폴더(200)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회전 분배 수단(330)은,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종단부 및 제 2 힌지 샤프트(321)의 종단부와 연결되어 제 1 폴더(100)와 제 2 폴더(200)의 개폐각도에 따라 제 1 힌지 샤프트(311) 및 제 2 힌지 샤프트(321)를 상보적인 회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켜 회전을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분배 수단(330)은 예컨데 복수의 연속되는 기어장치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가장 단순하게는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 1 힌지 기어(331) 및 제 2 힌지 샤프트(321)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제 1 힌지 기어(331)에 맞물리는 제 2 힌지 기어(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 1 힌지 기어(331) 및 제 2 힌지 기어(332)의 구경을 보다 작게 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짝수 개의 기어로 구성되고 일측은 제 1 힌지 기어(331)에 맞물리고 타측은 제 2 힌지 기어(332)와 맞물리는 더미 기어 쌍(334)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립의 편의 및 힌지모듈(300)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힌지 모듈(300)은 제 1 힌지 샤프트(311)가 관통하여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중단부, 제 1 회전 캠(312), 제 1 직진 캠(313), 탄성부재(316)가 순차적으로 수장되고, 제 1 직진 캠(316)의 외주면과 부합되는 내주면을 통해 제 1 직진 캠(313)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1 힌지 하우징(314)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샤프트(311)와 관계되는 힌지 부품들을 제 1 힌지 하우징(314)에 안정정으로 수납함으로써 힌지모듈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부품의 모듈화를 통해 힌지모듈(300)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1 힌지 샤프트(311)를 중심으로 제 1 회전 캠(312) 및 제 1 직진 캠(313)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힌지 샤프트(321) 역시 제 1 힌지 샤프트(311)와 동일하게 제 2 회전 캠(322) 및 제 2 직진 캠(323)을 동일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제 2 힌지 하우징(324)을 통해 제 2 힌지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회전 캠에 의한 작용은 제 1 회전 캠(312) 및 제 1 직진 캠(31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힌지모듈(300)의 최종 조립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힌지 케이스(301,302)는 일단부에 제 1 폴더(100) 및 제 2 폴더(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FPCB(미도시)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슬롯(304)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휴대 전자장치의 제 1 폴더(100)와 제 2 폴더(200) 사이에 게재되는 힌지모듈(300)에 있어서, 힌지 모듈(300)은 힌지 케이스(301,302), 제 1 힌지 조립체(310), 제 2 힌지 조립체(320), 회전분배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 케이스(301,302)는 힌지 모듈(300)의 몸체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힌지 조립체(310)는 일단부가 제 1 폴더(100)와 결합하여 제 1 폴더(10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힌지 샤프트(311)를 포함하며 제 2 힌지 조립체(320)는 일단부가 제 2 폴더(200)와 결합하여 제 2 폴더(20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힌지 샤프트(321)를 포함한다.
이때 힌지 케이스(301,30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제 1 힌지 조립체(310)가 삽입 결합되되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힌지 결합구(305) 및 제 2 힌지 조립체(320)가 삽입 결합되되 제 2 힌지 샤프트(321)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2 힌지 결합구(306)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각각 모듈화된 제 1 힌지 조립체(310) 및 제 2 힌지 조립체(320)로 힌지를 구성하여 개별적으로 힌지 케이스(301,302)에 삽입결합함으로써 조립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힌지모듈(300)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힌지 모듈(300)은 회전력을 각 힌지 조립체(310,320)에 일정하게 배분하기 위해, 제 1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제 1 힌지 샤프트(311)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1 힌지 기어(331) 및 제 2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제 2 힌지 샤프트(321)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2 힌지 기어(33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 1 힌지 기어(331) 및 제 2 힌지 기어(332)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하여 제 1 폴더(100)와 제 2 폴더(200)의 개폐에 따라 제 1 힌지 샤프트(311) 및 제 2 힌지 샤프트(321)가 서로 상보적인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분배 수단(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분배수단(330)은 제 1 힌지 기어(331) 및 제 2 힌지 기어(332) 사이에 개재되는 더미 기어 쌍(334)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 및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폴더(100) 및 제 2 폴더(200)가 닿여진 경우 즉, 서로 0°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의 내부 힌지부품의 상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상태에서 제 1 회전 캠(312) 및 제 2 회전 캠(322)은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각도로 개방되는 경우 회전분배 수단(330)의 작용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 캠(312) 및 제 2 회전 캠(322)은 각각 서로 상보적인 회전방향으로 60°씩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각도로 개방되는 경우 회전분배 수단(330)의 작용에 의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 캠(312) 및 제 2 회전 캠(322)은 각각 서로 상보적인 회전방향으로 90°씩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분배 수단(330)에 의한 작용은 양 폴더(100,200)가 180°이상인 270° 또는 360°를 이룰 때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작용하여 어느 각도에서나 일정하게 폴더가 개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폴더 0°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폴더 120°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폴더 180°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폴더 0°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폴더 120°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폴더 180°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폴더 270°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폴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최종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1차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2차 분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3차 분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최종 조립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0°개방시 내부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120°개방시 내부 구조도.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모듈의 180°개방시 내부 구조도.

Claims (13)

  1. 휴대 전자장치의 제 1 폴더와 제 2 폴더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제 1 폴더와 상기 제 2 폴더를 개폐시키는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의 몸체를 구성하는 힌지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고, 시작단부가 상기 제 1 폴더의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시 상기 제 1 폴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힌지 샤프트;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일측면에 회전 요철면이 형성되는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상보되도록 고정 요철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고 고정된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의 배면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 요철면과 상기 회전 요철면이 정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신장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캠 방향으로 후퇴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과 상기 회전 요철면이 부정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 캠의 반대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 1 직진 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장되고, 시작단부가 상기 제 2 폴더의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 의 개폐시 상기 제 2 폴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폴더와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각도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를 상보적인 회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켜 회전을 분배하는 회전분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배 수단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힌지 기어에 맞물리는 제 2 힌지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배 수단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 1 힌지 기어;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종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 2 힌지 기어; 및
    서로 맞물리는 짝수 개의 기어로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제 1 힌지 기어에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 제 2 힌지 기어와 맞물리는 더미 기어 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1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은,
    적어도 두 개의 각도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1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은,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가 서로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60°± 5°및 90°± 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 상기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직진 캠, 상기 탄성부재가 수장되고, 상기 제 1 직진 캠 의 외주면과 부합되는 내주면을 통해 상기 제 1 직진 캠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1 힌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일측면에 회전 요철면이 형성되는 제 2 회전 캠;
    상기 제 2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 2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와 상보되도록 고정 요철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와 동축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고 고정된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의 배면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 요철면과 상기 회전 요철면이 정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신장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 캠 방향으로 후퇴하고 상기 고정 요철면과 상기 회전 요철면이 부정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 캠의 반대 방향으로 전진하는 제 2 직진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1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과 상기 제 2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2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은, 적어도 두 개의 각도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1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은,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가 서로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60°± 5°및 90°± 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 캠의 회전 요철면 및 상기 제 2 직진 캠의 고정 요철면은,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가 서로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제 2 회전 캠이 상기 제 2 직진 캠과 이루는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캠이 상기 제 1 직진 캠과 60°± 5°및 90°± 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에서 서로 부합하도록 요철면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 상기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직진 캠, 상기 탄성부재가 수장되고, 상기 제 1 직진 캠 의 외주면과 부합되는 내주면을 통해 상기 제 1 직진 캠을 고정시키는 제 1 힌지 하우징;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가 관통하여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중단부, 상기 제 2 회전 캠, 상기 제 2 직진 캠, 상기 탄성부재가 수장되고, 상기 제 2 직진 캠의 외주면과 부합되는 내주면을 통해 상기 제 2 직진 캠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2 힌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케이스는,
    일단부에 상기 제 1 폴더 및 상기 제 2 폴더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FPCB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12. 휴대 전자장치의 제 1 폴더와 제 2 폴더 사이에 게재되는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의 몸체를 구성하는 힌지 케이스;
    일단부가 상기 제 1 폴더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 1 힌지 조립체; 및
    일단부가 상기 제 2 폴더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폴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 2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힌지 케이스는, 일단부에 상기 제 1 힌지 조립체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힌지 결합구 및 상기 제 2 힌지 조립체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2 힌지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2 힌지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힌지 기어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 1 폴더와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가 서로 상보적인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분배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13. 휴대 전자장치의 제 1 폴더와 제 2 폴더 사이에 게재되는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의 몸체를 구성하는 힌지 케이스;
    일단부가 상기 제 1 폴더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폴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 1 힌지 조립체; 및
    일단부가 상기 제 2 폴더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폴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2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 2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힌지 케이스는, 일단부에 상기 제 1 힌지 조립체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1 힌지 결합구 및 상기 제 2 힌지 조립체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 2 힌지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타단부에 동축으로 결합하는 제 2 힌지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힌지 기어 및 상기 제 2 힌지 기어는 각각 상기 제 1 힌지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더미 기어 및 일측이 상기 제 1 더미 기어에 타측이 상기 제 2 힌지 기어에 맞물리는 제 2 더미 기어를 통해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 1 폴더와 상기 제 2 폴더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가 서로 상보적인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분배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KR1020090001559A 2009-01-08 2009-01-08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KR10104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559A KR101046744B1 (ko) 2009-01-08 2009-01-08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559A KR101046744B1 (ko) 2009-01-08 2009-01-08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91A KR20100082191A (ko) 2010-07-16
KR101046744B1 true KR101046744B1 (ko) 2011-07-05

Family

ID=4264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559A KR101046744B1 (ko) 2009-01-08 2009-01-08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66B1 (ko)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9201464B2 (en) * 2011-11-28 2015-12-01 Lenovo (Beijing) Co., Ltd. Terminal apparatus
CN103148087B (zh) * 2012-01-11 2015-11-25 联想(北京)有限公司 铰链装置和具有铰链装置的折叠设备
US9500013B2 (en) 2013-07-25 2016-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y for a computing device
KR102499448B1 (ko) * 2016-07-21 202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29618B1 (ko) * 2020-05-06 2021-11-22 노기창 폴더블 힌지장치
CN113931923B (zh) * 2021-09-30 2023-11-21 联想(北京)有限公司 连接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302A (ko) * 1997-03-04 1998-11-25 오가사와라도시아끼 힌지기구 및 힌지유니트
KR19990036878A (ko) * 1997-10-08 1999-05-25 야마다 미쯔요시 힌지장치
KR20040041914A (ko) * 2002-11-12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302A (ko) * 1997-03-04 1998-11-25 오가사와라도시아끼 힌지기구 및 힌지유니트
KR19990036878A (ko) * 1997-10-08 1999-05-25 야마다 미쯔요시 힌지장치
KR20040041914A (ko) * 2002-11-12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91A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744B1 (ko) 휴대 전자장치의 힌지 모듈
US10296044B2 (en) Hinged device
US20160370829A1 (en) Hinge device applicable to soft display screen
US7155266B2 (en) Hinge for fold phone
US8005521B2 (en) Portable terminal
KR101856780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에서 기어 캠 장착 장치
US7155781B2 (en) Electronic instrument
US20160370828A1 (en) Hinge device applicable to soft display module
TWI588374B (zh) 雙軸鉸鏈及應用此雙軸鉸鏈的終端機器
JP4360593B2 (ja) ヒンジ構造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
WO2004059183A1 (ja) 角度保持機能付ヒンジ装置とそれを用いた折り畳み式電子機器
KR102310158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1111688A (zh) 折叠式携带设备和铰链装置
JP6616079B2 (ja) 閉鎖機構を有する聴覚装置
KR102432149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4215614B2 (ja) 携帯端末用ヒンジ
US7590428B2 (en) Hinge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hinge unit
JP2013231284A (ja) ヒンジ構造
US20020198016A1 (en) Simple hinge wireless mobile device flip enclosure
KR100686095B1 (ko) 힌지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4199721B2 (ja) ヒンジ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KR1006085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 힌지 구조
KR101045543B1 (ko) 스윙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60032721A (ko) 클릭감이 있는 스위블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75B1 (ko) 이동단말기의 힌지 토오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