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536B1 -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536B1
KR101046536B1 KR1020090027868A KR20090027868A KR101046536B1 KR 101046536 B1 KR101046536 B1 KR 101046536B1 KR 1020090027868 A KR1020090027868 A KR 1020090027868A KR 20090027868 A KR20090027868 A KR 20090027868A KR 101046536 B1 KR101046536 B1 KR 101046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illegal
composition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224A (ko
Inventor
조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코
Publication of KR2009011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 또는 각종 시설물의 외벽에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에 있어서,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 및 알코올 혼합물인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26.6 ~ 80.0중량부, 복합 실리콘(Silicone) 컴파운드 4.0 ~ 11.0중량부, 왁스(Wax) 1.3 ~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된다.
스프레이 조성물, 용제, 우레탄 레진, 복합 실리콘 컴파운드, 왁스

Description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ANTI-STICKING COMPOSITION FOR SPRAY}
본 발명은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구조물 또는 각종 시설물의 외벽에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헤아릴 수 없이 수많은 광고매체를 통해 선전되어지는 광고물을 접하면 살아가고 있고, 광고매체 역시 다양하다.
상기 광고는 영업방법의 한가지 수단으로써, 광고 형태 또한 다양하다.
상기의 광고형태 중 하나가 인쇄물을 통한 광고로써, 인쇄물을 통한 광고는 사람들에게 직접 나누어주는 방법과,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부착하여 광고하는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 인쇄물을 통한 광고는 광고에 다른 비용이 저렴하여 가장 선호하는 광고방법 중의 하나이기도 하나, 인쇄물에 의한 광고는 나누어준 인쇄물이 마구 버려 져 길거리를 지저분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하고,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부착되어지는 인쇄물(이하 "불법광고물" 이라 함)은 도시미관(都市美觀)를 해치게 된다.
상기 불법 광고물은 주로 시야확보가 우수한 지역의 구조물(건물, 다리, 축대, 터널)이나 시설물(가로등, 전신주, 신호등지주)을 그 대상이 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시야확보가 양호한 구조물과 시설물은 광고대로써의 훌륭한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의 외벽이나 시설물의 외측면에 부착되어진 불법 광고물을 방치할 경우, 상기에서 기술한 도시미관(都市美觀)을 해침은 물론 길거리로 덜어져 불법 광고물에 의한 주변 환경을 오염이 가속화되어 각 지방자치단체나 국가에서는 사람을 고용하여 이러한 불법 광고용물을 떼어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불법 광고물을 떼어내는 작업은 임시 방편에 그치게 된다.
그 이유는 불법광고부착물을 떼어낸 자리에 다시 다른 불법광고부착물이 붙기 때문이고, 불법광고부착물의 반복적인 부착은 예산낭비를 불러오는 2차적인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불법 광고물을 근본적으로 부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차단할 수 없도록 제작된 불법 광고물 차단 시트를 구조물이나 시설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차단하고 있다.
구조물과 시설물에 불법 광고물 차단 시트를 설치 사용함으로써,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불법 광고물이 무분별하게 부착되어 야기되었던 도시미관(都市美觀)를 해치거나 불법 광고물이 떨어져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불법 광고물 차단시트를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설치함에 따라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으나, 불법 광고물 차단시트 시공을 위한 예산이 많이 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이 야기 되었다.
상기 불법 광고물 차단시트의 설치 없이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차단하는 방법중의 하나가 부착방지 조성물이고, 기존 부착방지 조성물은 페인트를 바르듯이 브러시등을 이용하여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바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브러시를 이용하도록 된 불법 광고물 부착방지 조성물을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도포시 도포도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등의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불법 광고물 부착방지 조성물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은 입자로 분무하여 구조물이나 시설물의 외벽에 도포하여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의 도포작업시간의 단축함과 함께 노동력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불법 광고물 차단에 따른 예산을 현저하게 줄였을 뿐만 아니라, 불법 광고물의 부착이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불법 광고물 부착으로 구조물이나 시설물을 사후 관리해야 했던 번거러움을 해소시킨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에 있어서,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 및 알코올 혼합물인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26.6 ~ 80.0중량부, 복합 실리콘(Silicone) 컴파운드 4.0 ~ 10.0중량부, 왁스(Wax) 1.3 ~ 6.0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자외선 안정제 또는 유색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첨가제를 더 첨가하며, 그 첨가량은 상기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3 ~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되는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케톤:알코올의 혼합비는 2.0:1.5:1.5 내지 3.0:2.0:2.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은, 작은 입자로 분무하여 구조물이나 시설물의 외벽에 도포하여 불법 광고물의 부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의 도포작업시간의 단축함과 함께 노동력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불법 광고물 차단에 따른 예산을 현저하게 줄였을 뿐만 아니라, 불법 광고물의 부착이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불법 광고물 부착으로 구조물이나 시설물을 사후 관리해야 했던 번거러움을 해소시킨 것에 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은, 용제에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과, 복합 실리콘(Silicone) 컴파운드와, 왁스(Wax)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 및 알코올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들의 혼합비율은 방향족 탄화수소:케톤:알코올 = 2.0:1.5:1.5 내지 3.0:2.0:2.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은, 기능성 복합 실리콘 컴파운드를 기재 면에 도포하여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로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를 사용한다.
이 수지의 특징으로는 내후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연질의 시트나 플라스틱 소지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은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26.6 ~ 80.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실리콘(Silicone) 컴파운드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은 낮은 표면 장력 때문에 발수제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지만 본 제품에 적용된 복합 실리콘 컴파운드는 실리콘의 소수성(Hydrophobicity)과 이형성을 응용한 원료로서 스티커에 사용된 점착제와의 부착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배척하는 성능을 갖는다.
상기 복합 실리콘 컴파운드는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4.0 ~ 10.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왁스(Wax)는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며, 그 혼합량은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3 ~ 6.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첨가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3 ~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안정제 또는 유색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내지 3]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 및 알코올을 혼합한 용제에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과, 복합 실리콘(Silicone) 컴파운드와, 왁스(Wax)와, 자외선 안정제를 혼합하여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조성물을 저장용기(도시하지 않았음)에 담고 밸브를 장착한 후, 분사제를 충진기로 주입하고, 이후 스프레이 헤드를 밸브 위에 장착하여 스프레이 캔을 완성하였다.
상기 분사제는 디메틸에테르(DME:Demethyl Ether)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저장용기는 통상의 스프레이용기와 동일하게 제작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4 내지 6]
분사제를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조성으로 스프레이 캔을 완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 사용된 스프레이 캔은 V 530㎖인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분사제는 120g을 충전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저장용기에 저장하여 사용되어지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에 대한 부착 방지력, 저장 안정성, 도막 부착력, 노즐막힘, 도막 표면상태를 평가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착방지력>
스테인레스 철판 위에 동일한 도막 두께로 스프레이한 다음, 상온에서 3시간 자연경화 후 4cm~6cm 크기로 절단한 투명셀로판 테이프를 경화된 표면에 부착하여, 그 부착여부를 시험하였다.
<도막 부착력>
스테인레스 철판 위에 각 부착방지 스프레이 조성물을 동일한 두께로 스프레이한 다음, 상온에서 3시간 자연 경화 후, 철필로 긁어 긁힘 정도를 상대 비교하였다.
<도료 분사력>
350ml용량의 시료를 연속 분사하여 분사 노즐부의 분사상태를 관찰하였다.
<노즐막힘>
도료분사를 완료한 상태에서 노즐부의 막힘여부를 육안 관찰하였다.
<도막 표면상태>
경화된 표면이 거칠게 되면, 먼지 등이 흡착, 오염되어 미관을 해치고 도막표면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분사 후 경화된 수지 도막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를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과 평가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혼합비는 중량비이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조성 우레탄레진1) 20g 30g 40g 30g 30g 30g
복합실리콘컴파운드 3g 3g 3g 3g 3g 5g
용제 방향족 탄화수소2) 30g 25g 20g 25g 25g 25g
케톤3) 20g 20g 15g 20g 20g 20g
알코올4) 25g 21g 21g 22g 20g 18g
자외선 안정제5) 1g 1g 1g 1g 1g 1g
왁스6) 1g 1g 1g 2g 2g 2g
분사제7) 120g 120g 120g 120g 120g 120g
성능 부착방지력
도막부착력
도료분사력
노즐막힘
도막표면상태
◎ : 매우양호;  ○ : 양호; △ : 보통; X : 불량
1) 우레탄 레진: 열가소성 우레탄레진(자가합성, 불휘발분 30±1%)
2) 방향족 탄화수소 : 톨루엔(Toluene)
3) 케톤 :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4) 알코올 :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부틸셀루솔브(Butyl cellusolve)
5) 자외선 안정제 : 시바스페셜티케미칼사 Tinuvin 292
6) 왁스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7) 분사제 : 디메틸에테르, 액화천연가스
[비교예 1 내지 3]
하기에 나타낸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하였고, 시험방법 또한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조성 우레탄레진1) 10g 30g 30g
복합실리콘컴파운드 3g 5g 8g
용제 방향족 탄수화물2) 30g 25g 20g
케톤3) 46g 20g 15g
알코올4) - 20g 19g
자외선 안정제5) 1g 1g 1g
왁스6) 1g - -
분사제 120g 120g 120g
성능 부착방지력 X X
도막부착력 X X
도료분사력 X X
노즐막힘 X
도막표면상태 X X
◎ : 매우양호;  ○ : 양호; △ : 보통; X : 불량
위 표 1 및 2의 성능 평가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6은 부착방지력, 도막부착력, 도료분사력, 노즐막힘, 도막 표면상태가 모두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성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설명하여보면 비교예1의 경우 우레탄레진을 26.6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 도막부착력이 불량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알코올을 미첨가한 결과 도료분사력이 불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중 왁스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그 결과 도막부착력, 도료분사력, 노즐막힘 등에는 보통의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부착방지력이 불량하고, 그로 인해 도막표면상태가 불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복합실리콘 컴파운드를 본 발명 조성물의 기준치를 초과하여 제조한 것으로, 그 결과를 보면 복합 실리콘 컴파운드를 과잉으로 사용하면 부착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왁스를 첨가하지 않은 결과 전반적인 성능이 불량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복합실리콘컴파운드를 과잉 첨가하면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즉,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부착방지 스프레이 조성물은 부착방지력이 우수하여 광고물 등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설물의 표면에 잘 도포되며 그 표면이 매끄러워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다. 스프레이시 도료분사력에 문제가 발생하지도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첨가제로 자외선안정제만을 사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유색제를 적의 선택하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5)

  1.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에 있어서,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 및 알코올 혼합물인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26.6 ~ 80.0중량부, 복합 실리콘(Silicone) 컴파운드 4.0 ~ 10.0중량부, 왁스(Wax) 1.3 ~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자외선 안정제 또는 유색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첨가제를 더 첨가하며, 그 첨가량은 상기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3 ~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케톤:알코올의 혼합비는 2.0:1.5:1.5 내지 3.0:2.0:2.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
KR1020090027868A 2008-04-16 2009-03-31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 KR101046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921 2008-04-16
KR20080034921 2008-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24A KR20090110224A (ko) 2009-10-21
KR101046536B1 true KR101046536B1 (ko) 2011-07-05

Family

ID=4153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868A KR101046536B1 (ko) 2008-04-16 2009-03-31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862B1 (ko) 2021-03-05 2022-04-28 성도케미칼 (주)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용 상온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1866B1 (ko) 2021-03-05 2022-04-29 성도케미칼 (주) 상온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불법광고물 부착방지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949B1 (ko) * 2017-11-24 2018-08-02 경규호 광고물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202Y1 (ko) * 2005-10-19 2006-01-20 임병호 부착 방지용 투명 도료를 이용한 광고물 부착 방지 도로시설물
KR100554020B1 (ko) 2004-11-15 2006-02-22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부착방지 스프레이 조성물
KR100615512B1 (ko) 2005-09-09 2006-08-28 주식회사 한백 이앤이 광고물 부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광고물 부착방지용 도로시설 구조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020B1 (ko) 2004-11-15 2006-02-22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부착방지 스프레이 조성물
KR100615512B1 (ko) 2005-09-09 2006-08-28 주식회사 한백 이앤이 광고물 부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광고물 부착방지용 도로시설 구조물의 제조방법
KR200406202Y1 (ko) * 2005-10-19 2006-01-20 임병호 부착 방지용 투명 도료를 이용한 광고물 부착 방지 도로시설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862B1 (ko) 2021-03-05 2022-04-28 성도케미칼 (주)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용 상온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1866B1 (ko) 2021-03-05 2022-04-29 성도케미칼 (주) 상온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불법광고물 부착방지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24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985B2 (en) More controllable acoustic spray patch
US5851618A (en) Peelable floor coating systems
US6797051B2 (en) More controllable fibrous patch spray
US20070260011A1 (en) Roof patch composition
US2952192A (en) Marker stripe
US6624232B2 (en) Pavement seal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KR101046536B1 (ko) 스프레이용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제 조성물
KR101738988B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 면의 시공방법
KR100823910B1 (ko) 부착 방지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010645B (zh) 核电站专用水性环氧涂料及其配制方法
CN102746786A (zh) 一种紫外光固化弹性亮光面漆涂料及其生产方法
KR20210085849A (ko) 불법 광고 홍보물 부착 방지를 위한 스프레이 및 부착 방지제 조성물
KR910004676B1 (ko) 벽보물 부착 방지용 도료 조성물
CA1123987A (en) Non-aqueous water-displacing sealant composition for vehicle glass joints and the like
CN111019475A (zh) 一种环氧橘皮防滑地坪漆及其制备方法
KR101251355B1 (ko) 부착방지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3154B1 (ko) 먼지오염 및 스티커부착방지용 코팅제 및 그제조방법
WO2002051897A3 (en) Coating system containing modified crosslinkers
KR101125213B1 (ko) 노면의 미끄럼 방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CN111718632A (zh) 组合式防滑标线及其施工方法
AU635852B2 (en) Composition for paint-removal coatings on substrates
KR20020089664A (ko) 광고물 부착방지제
CN102071654B (zh) 一种路面标志的施工方法
US20110253950A1 (en) Surface Finishing Product and Method for Its Application
KR101044840B1 (ko) 부착 방지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