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840B1 -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 Google Patents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840B1
KR101045840B1 KR1020090011703A KR20090011703A KR101045840B1 KR 101045840 B1 KR101045840 B1 KR 101045840B1 KR 1020090011703 A KR1020090011703 A KR 1020090011703A KR 20090011703 A KR20090011703 A KR 20090011703A KR 101045840 B1 KR101045840 B1 KR 101045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electrode
socket
electrode tip
cut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547A (ko
Inventor
방병섭
황정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to KR102009001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8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파워 수공구에 간단히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교체가 용이한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가 소개된다. 소켓은 파워 수공구의 연결구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선단부에는 용접 전극팁이 수용 가능한 인서트홈이 마련된다. 커터는 상기 인서트홈의 안쪽 중앙부에 안착되는 바디와, 이 바디 상에 마련되되, 용접 전극팁과 매칭 가능한 곡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체결구가 커터를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용접전극, 드레싱

Description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WELDING ELECTRODE TIP DRESSING TOOL}
본 발명은 파워 수공구에 간단히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제조에 용접기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용접기, 특히, 차체 패널의 조립에 주로 사용되는 스폿 용접기의 경우, 반복 사용 과정에서 용접 전극팁의 표면 산화가 발생된다.
용접 전극팁의 표면에 발생된 산화 피막은 통전 불량을 야기하기에, 용접팁의 표면을 절삭하는 드레싱 작업이 주기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드레싱 장치의 부피가 크고, 드레싱 장치의 커터가 손상되었을 때 이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파워 수공구에 간단히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커터의 교체가 용이한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는, 파워 수공구의 연결구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선단부에 용접 전극팁이 수용 가능한 인서트홈이 마련된 소켓; 상기 인서트홈의 안쪽 중앙부에 안착되는 바디와, 이 바디 상에 마련되되, 용접 전극팁과 매칭 가능한 곡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커터; 및 상기 커터를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파트들로 구성되며, 이들 파트는 서로 엇갈리게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파트들은 커터의 회전 중심 부근에서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켓의 인서트홈 안쪽에는 바디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이 마련되며, 소켓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체결구를 바디에 관통시켜 커터를 소켓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와 소켓의 각 측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고정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켓의 인서트홈 안쪽에는 바디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소켓의 후단부에는 파워 수공구의 연결구가 끼워지는 장착홈이 소켓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과 장착홈은 스토퍼를 갖는 연결홀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며, 상기 바디에는 체결구의 선단이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에 따르면, 파워 수공구의 연결구에 간단히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커터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용접팁 드레싱 과정 중 블레이드에 의해 깍여져 나온 칩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1 실시예
도 1에서 보듯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는 파워 수공구(10), 예로서, 전동드릴에 끼워져 사용된다. 전동드릴(10)은 사용자가 전동드릴(10)의 손잡이(11)를 잡고 트리거(12)를 잡아당기면, 하우징 내 모터(13)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구, 즉 드릴척(14)에 끼워진 드릴(미도시)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레싱 기구는, 필요시, 드릴 대신 드릴척(14)에 끼워지며, 물론 탈거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드레싱 기구는 드릴척(14)에 끼워지는 소 켓(20), 이 소켓(20) 내에 착탈 가능한 커터(30) 및 체결구(26a)를 구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소켓(20)의 선단부(23)는 단면 처리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소켓(20)은 선단부(23)에 용접 전극(40)의 전극팁(41)이 수용 가능한 인서트홈(25)이 마련되며, 이 인서트홈(25)의 안쪽 중앙부에는 상기 커터(30)의 바디(3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안착홈(24)이 마련된다. 이 안착홈(24) 형성 부위의 소켓(20) 측부에는 소켓(20)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홀(2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26)을 통하여 체결구(26a)가 삽입되며, 도 2에 도시된 고정홀(26)의 반대편 측에는 체결구(26a)의 선단을 소켓(20)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홀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소켓(20)의 후단부는 통상의 기술에 따라 드릴척(14)에 끼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후단부(21) 보다 선단부(23)의 직경이 크며, 이들 사이에는 경사부(22)가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커터(30)는 상기 바디(31)와, 이 바디(31) 상에 마련되어 인서트홈(25)의 입구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블레이드(34)를 구비한다. 바디(31)는 안착홈(24)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방향(즉, 소켓 원주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각진 단면을 가지며, 그 측부에는 체결구(26a)가 관통하는 고정홀(32)이 형성된다. 블레이드(34)는 용접 전극팁(41)의 표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용접 전극팁(41)과 매칭 가능한 곡부(33)를 갖는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34)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2개 이상의 파트들(33a,33b)로 구성되며, 이들 파트(33a,33b)는 동일 직선상에 놓이기 보다는 서로 엇갈리게 놓여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드레싱 중 발생되는 칩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파트들(33a,33b)은 커터(30)의 회전 중심(C) 부근에서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75a,75b)를 가지며, 나아가, 이 중첩부(75a,75b)의 바디(31)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선단 측으로 점차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칩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블레이드(34)의 강성 보강을 위함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체결구(26a)는 통상적인 조임볼트일 수 있다. 이 체결구(26a)는 소켓(20)과, 안착홈(24)에 놓여진 바디(31)의 고정홀(32)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된 나사홀 또는 나사홈에 체결된다. 고정홀들(26,32)에는 나사산 또는 홈이 가공될 수 있을 것이다. 체결구(26a)가 소켓(20)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소켓(20) 회전과정에서 체결구(26a)에 의한 체결력이 저하되어 미세하게나마 커터(30)가 고정 위치로부터 벗어나고, 이로인해 블레이드(34)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체결구(26a)의 체결 및 탈거가 용이하다.
제2 실시예
도 5에서 보듯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는 공압식 파워 수공구(5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51)를 잡고 트리거(52)를 잡아당기면, 수공구(50) 후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연결구, 즉 구동러그(54)에 끼워진 소켓랜치(미도시)가 구동러그(54)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드레싱 기구는, 필요시, 소켓랜치 대신 구동러그(54)에 끼워지며, 물론 탈거 가능하다. 미설명 부호 53은 에어 배출홀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워 수공구에 대하여는 한국 공개특허 제2001-0012200호가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드레싱 기구는 구동러그(54)에 끼워지는 소켓(60), 이 소켓(60) 내에 착탈 가능한 커터(70) 및 체결구(68a)를 구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소켓(60)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소켓(60)은 선단부(63)에 용접 전극(40)의 전극팁(41)이 수용 가능한 인서트홈(65)이 마련되며, 이 인서트홈(65)의 안쪽 중앙부에는 상기 커터(70)의 바디(7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안착홈(64)이 마련된다. 그리고, 소켓(60)의 후단부(61)에는 구동러그(54)가 끼워지는 장착홈(69)이 소켓(60)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64)과 장착홈(69)은 스토퍼(67)를 갖는 연결홀(66)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며, 바디(71)에는 체결구(68a)의 선단이 결합되는 체결홈(72)이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듯이, 커터(7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각진 단면을 갖는 상기 바디(71)와, 이 바디(71) 상에 마련되어 인서트홈(65)의 입구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블레이드(73)를 구비한다. 이 블레이드(73)는 곡부(74: 74a,74)를 가지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엇갈리게 놓여진 2개 이상의 파트들(73a,73b)로 구성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바디(71)의 후단에 체결구(68a)의 선단이 결합되는 체결홈(72)이 마련된다. 미설명부호 75a,75b는 제1 실시예에서의 중첩부에 대응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체결구(68a)는 장착홈(69)로부터 삽입되어 연결홀(66)을 관통하여 바디(71)의 체결홈(72)에 그 선단이 결합된다. 이때, 소켓(60)의 스토퍼(67)는 체결구(68a)의 전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연결홀(66)과 장착홈(69) 사이에는 체결구(68a)의 헤드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홈부(58)가 마련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가 장착된 파워 수공구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의 조립 후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가 장착된 파워 수공구의 개략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의 조립 후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커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파워 수공구 11,51: 손잡이
12,52: 트리거 14: 드릴척
20,60: 소켓 24,64: 안착홈
25,65: 인서트홈 26,32: 고정홀
30,70: 커터 31,71: 바디
33,73: 블레이드 34,74: 곡부
40: 용접전극 41: 용접 전극팁
54: 구동러그

Claims (6)

  1. 파워 수공구의 연결구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선단부에 용접 전극팁이 수용 가능한 인서트홈이 마련된 소켓;
    상기 인서트홈의 안쪽 중앙부에 안착되는 바디와, 이 바디 상에 마련되되, 용접 전극팁과 매칭 가능한 곡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커터; 및
    상기 커터를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의 인서트홈 안쪽에는 바디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소켓의 후단부에는 파워 수공구의 연결구가 끼워지는 장착홈이 소켓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장착홈은 스토퍼를 갖는 연결홀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며, 상기 바디에는 체결구의 선단이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파트들로 구성되며, 이들 파트는 서로 엇갈리게 놓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트들은 커터의 회전 중심 부근에서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11703A 2009-02-13 2009-02-13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KR101045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703A KR101045840B1 (ko) 2009-02-13 2009-02-13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703A KR101045840B1 (ko) 2009-02-13 2009-02-13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547A KR20100092547A (ko) 2010-08-23
KR101045840B1 true KR101045840B1 (ko) 2011-07-01

Family

ID=4275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703A KR101045840B1 (ko) 2009-02-13 2009-02-13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8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158B1 (ko) * 1996-07-26 1999-06-15 양재신 스폿 용접기용 팁 드레서
KR20070057967A (ko) * 2004-10-20 2007-06-07 쎄코 툴스 에이비 교체형 절삭 인서트를 구비하는 절삭 공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158B1 (ko) * 1996-07-26 1999-06-15 양재신 스폿 용접기용 팁 드레서
KR20070057967A (ko) * 2004-10-20 2007-06-07 쎄코 툴스 에이비 교체형 절삭 인서트를 구비하는 절삭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547A (ko)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5850T3 (es) Herramienta combinada de perforación y achaflanado
CA2723718C (en) Anvil assembly for a power tool
US6641467B1 (en) Power tool
US20140353931A1 (en) Hydraulic chuck with a reduction sleeve
US7651303B2 (en) Conduit reamer tool element
US9302329B2 (en) Bi-directional quick change tool-less lever and wedge actuated collet chuck, system and/or method for using the same
CN203236446U (zh) 电动工具
CN110125858A (zh) 用于冲击扳手的砧座
WO2018052118A1 (ja) コアドリル
WO2013075599A1 (zh) 防抱死的内锥钻夹头
KR101045840B1 (ko) 용접 전극팁 드레싱 기구
RU2510312C1 (ru) Сверло
JP3206680U (ja) 刃具保持装置
US20130161049A1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impact tool
US10391672B2 (en) Drilling tool
US7828630B2 (en) Tool body
JP4272455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切削工具
WO2012154283A1 (en) Dual blade hole saw
JP3766287B2 (ja) 電極研磨装置
KR20130017970A (ko) 절삭헤드가 분리가능한 드릴공구
JP6448113B2 (ja) 切削工具
JP5752635B2 (ja) ハンドヘルド型ナットランナー
CN104552183B (zh) 手持式电动工具
JP2022076797A (ja) 補助ハンドルおよび電動工具システム
CN204525389U (zh) 手持式动力工具的快速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