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711B1 - 인덕션 코일 접착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코일 접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5711B1 KR101045711B1 KR1020080124176A KR20080124176A KR101045711B1 KR 101045711 B1 KR101045711 B1 KR 101045711B1 KR 1020080124176 A KR1020080124176 A KR 1020080124176A KR 20080124176 A KR20080124176 A KR 20080124176A KR 101045711 B1 KR101045711 B1 KR 1010457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uction coil
- container
- support
- fasteni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high-frequency electrical means, i.e.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induction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통해 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이다. 특히, 수평지지바에서 하향된 상태로 위치하는 인덕션코일의 하부에 폐쇄를 위한 용기를 위치시키고 접촉센서나 원터치스위치의 작동을 이용하여 고주파 가열을 하여 인덕션실링지를 융착시키되, 아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인덕션 코일 접착기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코일, 수평지지바, 원터치스위치, 접촉센서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덕션 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통해 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이다. 특히, 수평지지바에서 하향된 상태로 위치하는 인덕션코일의 하부에 폐쇄를 위한 용기를 위치시키고 접촉센서나 원터치스위치의 작동을 이용하여 고주파 가열을 하여 인덕션실링지를 융착시키되, 아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인덕션 코일 접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코일 접착기란 뚜껑을 갖는 용기의 밀폐포장을 위해서 상기 용기의 입구에 인덕션실링지를 융착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종래 이미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융착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 융착기는 특허 등록 제 10-720181호 "휴대용 알루미늄 호일 실링장치"로서 유도코일에서 발생한 고주파에 의해 비 금속성 뚜껑을 투과한 후, 뚜껑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금속성 알루미늄 실링지에 주울열에 의한 열이 발생되고 실링지의 표면에 도포한 열 가소성 접착제를 융착시켜 용기의 입구와 견고한 밀봉의 과정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그런데 그 구성적인 면에서 아주 많이 다른 부분이 있다. 즉 종래 특허의 경우 도시된 도 1과 2에서처럼, 별도의 디지털표시창(113)과 조작버튼(111)을 가진 조작부(110)를 형성한 본체(100)가 있고, 코일유닛(200)이 본체(100)의 하단을 향해서 위치하고 있으며, 그 하단으로 용기거치대(50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별도의 전원스위치(105)와 콘센트결합구(104)로 이루어진 전원입력부(103)가 있다. 또한 도 2에는 용기(20)를 거치할 수 있는 용기거치대(500)가 별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용기거치대(500)는 본체(100)의 측면으로 돌출된 지지봉(105)에 베이스(510)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베이스(510)의 상부로 텝(537)에 스크류 체결되는 고정볼트(539)에 의해 그 위치를 확보하는 슬라이더(530)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530)의 하단으로 지지부재(535)가 형성된 가이더(531)를 구성하여 베이스(510)에 형성된 장공(513)을 타고 상기 슬라이더(5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 고정볼트(539)에 의해 일단 위치가 확보되고 나면,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510)의 상부에는 용기(20)에 따른 별도의 외경표시선(511)을 형성하여 융착을 위한 용기(20)의 다양함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려를 해 놓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등록발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그 구성이 복잡하여 동작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마치 조잡한 기계를 초보자가 제작한 것처럼 그 베이스(510)를 본체(100)에 고정하는 수단도 미미하고, 슬라이더(530)를 장공(513)을 타고 이동시키는 방식 및 용기(20)의 크기에 따라 용 기거치대(500)를 조작하는 방식도 조잡하다. 사실상 특별히 구성될 필요가 없는 다수의 구성을 비치하고 있어서 제작도 어렵다. 실례로 슬라이더(530)의 하단으로 돌출된 지지부재(535)와 가이더(531)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불가능하다. 합성수지를 통해서 금형으로 뜨는 방식을 사용하여도, 장공에 삽입하는 방식도 어려울 뿐더러 이러한 가이드 수단을 더 비치함으로서 발생되는 문제점이 더욱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 도면이나 배경기술에서 제세한 설명은 피한 부분인 코일유닛을 렉기어와 피니언기어를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의 경우도, 그 기계제작의 실현가능성 입장에서 보면, 그 미숙함을 벗어나지 못하여 오히려 부가되는 구성들에 의해서 그 기계의 작동이 더욱 어렵고, 정확성이 없어진다는 점이다.
둘째, 이러한 융착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많은 비용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간단한 융착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많은 비용이 발생되면서 그 성능이 우수하다면 이는 감수해야만 하겠지만, 이렇게 기계가 제작되면 그 실현가능성과 활용가능성은 전혀 없는 마치 머릿속의 착상에만 가능한 융착기로 남을 소지가 있다.
셋째, 등록 발명은 사실상 휴대용으로 각각의 작업장소로 들고 다니며 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하나, 그 부피가 상당하고, 휴대하기가 불편하다는 것이다. 즉, 휴대를 위한 목적으로 착상은 하고 있지만 사실상 이를 실현하기는 힘들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덕션 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통해 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로서, 수평지지바에서 하향된 상태로 위치하는 인덕션코일의 하부에 폐쇄를 위한 용기를 위치시키고 접촉센서나 원터치스위치의 작동을 이용하여 고주파 가열을 하여 인덕션실링지를 융착시키되, 아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인덕션 코일 접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인덕션 코일 접착기는, 사각의 지지판(10)의 일측 상부로 곧게 체결 결합되는 4각의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에 관통하는 4각 관통공(31)을 가지고 체결수단(40)을 통해서 지지대(20)와 결합하며, 일측 끝단에 전선(32a)을 통해 전원이 연결되는 인덕션코일(33)을 내장한 원통형의 코일하우징(34)이 그 지지관(35)을 통해서 하단에 결합된 수평지지바(30)와; 상기 수평지지바(30)의 상단 즉, 상기 코일하우징(34) 내부의 인덕션코일(33)과 전력 연결되어, 원통형의 캡(41a) 상부로 설치되는 원터치스위치(40a)와; 상기 지지판(10)의 상부로 접촉센서(50)를 내장한 용기용지그(60)가; 결합되어 인덕션코일(33)을 통해 상기 용기용지그(60)에 위치한 용기(1) 입구(2)에 인덕션실링지(3)를 접착시키는 것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인덕션 코일 접착기에서 상기 4각의 지지대(20)에는, 그 4각의 면을 돌려 가며 표면 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지지바(30)의 4각 관통공(31)은, 그 모서리 부위에 원형의 가이드공(3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20)와 수평지지바(3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40)은, 상기 수평지지바(30)의 4각 관통공(31)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스크류공(41)과; 상기 스크류공(41)에 끼워지되, 일측단에는 회전손잡이(42)를 형성한 스크류볼트(43)가;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볼트(43)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공(41)을 관통하고, 관통공(31)의 내측에 끼워진 지지대(2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인덕션 코일 접착기에서 상기 스크류볼트(43)의 끝단에는 러버캡(45)을 형성하고, 회전손잡이(42)에는 클릭볼을 형성하여 체결을 완성하고; 상기 용기용지그(60)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되, 일측 중심부에 삼각형의 위치홈(61)을 형성한 블록형태 지그판(62)과; 상기 지그판(62)의 좌우측단에 장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63)과; 상기 위치홈(61)의 중심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장형공(64)과; 상기 장형공(64)에 끼워지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체결봉(65)과, 그 중심점에서 돌출된 지지대(66)에 체결된 접촉센서(50)와; 상기 체결봉(65)의 상단에 끼워지는 와셔(68)와 너트(69); 및 상기 지그판(62)의 가이드공(63)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64a)에 끼워지는 체결너트(65a);를 포함하여서 구성되어 상기 체결너트(65a)와 체결볼트(64a)의 죔 작용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1)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인덕션 코일 접착기(100)에는, 선택스위치(80)를 통해서 접촉센서(50)나 원터치스위치(40a) 작동모드의 선택을 유지하는 제어부(81), 상기 제어 부(81)의 작동에 따라 접촉센서(50)가 선택되면 용기용지그(60)에 위치한 용기(1)를 감지하여 제어부(81)로 신호를 송출하는 접촉센서(50)와, 상기 제어부(81)의 작동에 따라 원터치스위치(40a)가 선택되면 원터치스위치(40a)의 가압을 감지하여 제어부(81)로 그 신호를 송출하는 원터치스위치(40a)와, 상기 접촉센서(50)나 원터치스위치(40a)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81)의 제어를 통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인덕션코일(33)이 포함 제어시스템(K)을; 구성하여 접촉센서(50)와 원터치스위치(40a)의 선택작동으로 인덕션코일(33)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인덕션실링지(3)가 용기(1)의 입구에 융착되는 것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본 발명 인덕션 코일 접착기는 아주 간단한 구조를 하고 있으면서도 그 작용적인 면에서는 타 기계를 압도할 정도로 정확한 융착을 가능하게 하고, 그 구성적인 결합이 단순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인덕션 코일 접착기는 어느 작업현장으로든 손쉽게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고, 용기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작업환경의 조건 변경이 용이하여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덕션 코일 접착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3 내지 7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각의 지지판(10)의 일측 상부로 곧게 체결 결합되는 4각의 지지대(20)가 있고, 상기 지지대(20)에 관통하는 4각 관통공(31)을 가지고 체결수단(40)을 통해서 지지대(20)와 결합하며, 일측 끝단에 전선(32a)을 통해 전원이 연결되는 인덕션코일(33)을 내장한 원통형의 코일하우징(34)이 그 지지관(35)을 통해서 하단에 결합된 수평지지바(30)가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바(30)의 상단 즉, 상기 코일하우징(34) 내부의 인덕션코일(33)과 전력 연결되어, 원통형의 캡(41a) 상부로 설치되는 원터치스위치(40a)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0)의 상부로 접촉센서(50)를 내장한 용기용지그(6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되어 인덕션코일(33)을 통해 상기 용기용지그(60)에 위치한 용기(1) 입구(2)에 인덕션실링지(3)를 접착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시된 도 7에서처럼, 용기 즉, 다양한 약병, 우유병, 사탕을 담는 용기병 등에 사용되는 용기(1)의 입구(2) 부분을 완전히 폐쇄함으로써, 그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함은 물론 제품의 구입시 이 제품이 새 제품임을 소비자에게 암묵적으로 알려 주기 위한 장치이다. 즉, 바로 이렇게 다양한 용기(1)의 입구(2)에 인덕션실링지(3)를 융착시켜 공기의 유동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융착기(= 접착기: 100)이다. 이 융착기(100)의 경우, 도시된 도 7에서처럼 먼저 용기(1)의 마개나 캡(4)에 인덕션실링지(3)를 끼우게 된다. 이 인덕션실링지(3)란 도시된 것처럼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 상단의 층은 보통 하연색 색감의 PE나 PP 재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되고, 그 다음의 층은 은박지나 알루미늄 층으로서 금속층(b)이 형 성된다. 그리고 최 하단의 층은 열가소성 접착제층(c)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 상단의 층을 본층(a), 다음의 층을 금속층(b), 최하단의 층을 접착제층(c)이라 명명한다. 아무튼 이렇게 3개의 층을 가진 인덕션실링지(3)를 마개나 캡(4)에 끼우고 이 마개나 캡(4)을 용기(1)에 스크류 체결하여 밀봉한 상태로 본 발명의 용기용지그(60)에 용기(1)를 올려놓게 되는데, 바로 이렇게 용기용지그(60)에 용기(1)가 올라서게 되면, 이 상태를 본 발명의 접촉센서(50)는 감지를 하고 후술될 제어부(81)의 제어신호에 따라 인덕션코일(33)의 전원이 올라가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인덕션코일(33)은 고주파를 발생시킬 것이고, 도시된 코일의 하우징을 관통하고 고주파가 용기(1)의 마개나 캡(4)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것이다. 사실상 고주파가 작용하여 은박지나 알루미늄의 금속층(b)이 진동을 하고, 그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그 하단의 접착제층(c)이 용융되는데, 이때 이 용융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1)의 입구(2)에 강하게 접착이 달성되고, 어느 정도 그 열이 식게 되면 접착제층(c)이 경화되어 상기 용기(1)의 입구(2)에 인덕션실링지(3)는 융착 결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실상 소비자가 용기(1)에 들은 제품을 구매하여 그 마개나 캡(4)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인덕션실링지(3)는 용기(1)의 입구(2)에 융착되어 결합된 상태로 그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용기(1)의 형태에 모두 적용되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조절이 가능하게 기체가 구성되는데, 인덕션코일(33)이 내장된 코일하우징(34)은 도시된 수평지지바(30)의 일측 하단에 그 지지관(35)을 통해 서 결합된 상태이다. 이 지지관(35)은 그 내부가 빈 상태이기에 그 빈공간을 통해서 전원이 연결되어 인덕션코일(33)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인덕션코일(33)은 상기 코일하우징(34)에 내장된 상태이기에 하단에서는 인덕션코일(33)이 보이지 않는다. 사실상 인덕션코일(33)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코일하우징(34)을 통과할 수 있고, 금속층(b)만을 전자 충돌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에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약간은 오목하게 용기(1)의 마개나 캡(4)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수평지지바(30)는 도시된 지지대(20)에 견고히 결합되는데, 그 결합은 수평지지바(30)가 필요할 때에 그 상승이나 하강이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40)이 비치되어 있다. 즉, 용기(1)가 그 높이가 클 경우에는 상기 수평지지바(30)가 그 수준을 높여야만 하기에 상기 지지대(20)를 타고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바(30)를 체결하고, 만일 용기(1)가 낮은 경우라면 상기 수평지지바(30)를 하향시켜 용기(1)의 높이에 맞춘 상태에서 그 체결수단(40)으로 지지대(20)에 체결을 하여 사용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4각의 지지대(20)에는, 그 4각의 면을 돌려 가며 표면 홈(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지지대(20)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을 경우에 그 모양을 부각시키는 역할도 하지만, 더 견고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본 발명의 지지대는 목재나 기타 다른 금속제 및 합성수지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바(30)의 4각 관통공(31)은, 그 모서리 부위에 원형의 가 이드공(32)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평지지바(30)가 그 관통공(31)으로 상기 지지대(20)의 외주면을 타고 하향하거나 상향을 할 때, 그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모서리 부위를 원형으로 터 놓은 가이드공(32)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가이드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면, 혹시 지지대(20)의 모서리와 관통공(31)의 모서리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매끈하게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서 이미 간략하게 상기 지지대(20)와 수평지지바(3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40)을 설명하였지만, 도시된 도 3과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즉, 체결수단은 상기 수평지지바(30)의 4각 관통공(31)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스크류공(41)이 있고, 상기 스크류공(41)에 끼워지되, 일측단에는 회전손잡이(42)를 형성한 스크류볼트(43)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볼트(43)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공(41)을 관통하고, 관통공(31)의 내측에 끼워진 지지대(2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지지바(30)에 형성된 관통공(31)이 상기 지지대(20)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을 하다가 적당한 위치를 잡고자 한다면, 그 위치에서 상기 스크류볼트(43)를 회전시켜 전진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스크류볼트(43)의 끝단은 상기 수평지지바(30)에 형성된 스크류공(41)을 타고 전진하여 관통공(31)에 끼워진 지지대(20)의 일측 면을 강하게 조일 것이고, 이 강한 조임작용을 통해서 상기 수평지지바(30)는 그 위치를 고수하는 방식이다. 물론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지지바(30)에 형성된 상 기 스크류볼트(43)에 형성된 회전손잡이(42)를 잡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볼트(43)는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지지대(20)의 일측면을 가압하고 있던 작용을 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평지지바(30)를 적당한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을 하고 나서 다시 회전손잡이(42)를 회전시켜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류볼트(43)의 끝단에는 러버캡(45)을 형성하고, 회전손잡이(42)에는 클릭볼을 형성하여 체결을 완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크류볼트(43)의 끝단에 러버캡(45)을 끼우게 되면, 상기 스크류볼트(43)의 끝단과 지지대(20)의 일측면에 작용되는 마찰력을 더욱 향상시켜 그 체결수단(40)의 체결작용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상기 스크류볼트(43)의 끝단에 의해 상기 지지대(20)가 긁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42)에 형성시킨 공지된 클릭볼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손잡이(42)와 지지대(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클릭볼을 내장하여 일정한 회전력 보다 큰 힘이 작용된다면, 상기 회전손잡이(42)는 공회전을 하며, 더 이상의 회전을 통해 스크류볼트(43)의 전진을 방지하기에 스크류볼트(43)의 끝단에 의해 지지대(20)의 마찰면이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기 용기용지그(60)는, 도시된 도 3 내지 5에서처럼,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되, 일측 중심부에 삼각형의 위치홈(61)을 형성한 블록형태 지그판(62)이 있고, 상기 지그판(62)의 좌우측단에 장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63)이 있으며, 상기 위치홈(61)의 중심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장형공(64)이 있다. 또한 상기 장형공(64)에 끼워지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체결봉(65)과, 그 중심점에서 돌출된 지지대(66)에 체결된 접촉센서(50)가 있고, 상기 체결봉(65)의 상단에 끼워지는 와셔(68)와 너트(69)가 있으며, 상기 지그판(62)의 가이드공(63)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64a)에 끼워지는 체결너트(65a)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체결너트(65a)와 체결볼트(64a)의 죔 작용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1)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용기용지그(60)는 용기(1)의 높이를 제어하고자 함이 아니고, 용기(1)의 지름이나 그 폭이 다양하기에 다양한 크기의 용기(1)에 적용하여 정확한 융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일정한 크기의 용기(1)에 인덕션실링지(3)를 융착시키고자 한다면, 그 크기에 맞추어 먼저 용기용지그(60)를 조정해야만 한다. 상기 용기용지그(60)는 상기 지지판(10)의 상단에 도시된 위치홈(61)을 가진 지그판(62)이 있다. 그리고 그 지그판(62)의 좌우측에는 도시된 가이드공(63)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판(62)의 상부로 돌출된 체결볼트(64a)가 상기 가이드공(63)의 상부로 돌출되어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위치홈(61) 즉, 삼각형의 형태로 공간부를 제공하는 위치홈(61)에 융착을 위한 용기(1)를 끼우고,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하우징(34)의 정 중앙에 상기 용기(1)의 입구(2)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그판(62)을 가이드공(63)의 방향으로 조절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적당한 위치가 확보되면 상기 체결볼트(64a)의 상부에 별도의 체결너트(65a)를 체결하여 상기 체결볼트(64a)에 의해 상기 지그판(62)이 상기 지지판(10)에 견고히 체결되어 쉽게 가이드공(63)을 타고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센서(50)의 경우,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그판(62)의 중심부 즉, 위치홈(61) 중앙 상부로 2개의 장형공(6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형공(64)의 하단에서부터 "ㄷ"자형의 체결봉(65)이 끼워져 그 체결봉(65) 끝단에 와셔(68)와 너트(69)를 통해 견고히 체결하는 방식으로 사용을 한다. 즉, 그 용기(1)의 지름과 크기에 따라서 상기 위치홈(61)에 적당하게 위치할 때, 상기 용기(1)의 외주면이 상기 체결봉(65)의 지지대(20)에 결합된 접촉센서(5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센서(50)를 조절하여 상기 장형공(64)에서 일정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 본 발명 인덕션 코일 접착기(100)가 사용되는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이 그 용기(1)에 따라서 작동되는 형태가 다양한데, 이러한 모든 작용을 가장 편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시스템(K)이다. 도시된 도 6에서처럼, 본 발명은 선택스위치(80)를 통해서 접촉센서(50)나 원터치스위치(40a) 작동모드의 선택을 유지하는 제어부(81)가 있고, 상기 제어부(81)의 작동에 따라 접촉센서(50)가 선택되면 용기용지그(60)에 위치한 용기(1)를 감지하여 제어부(81)로 신호를 송출하는 접촉센서(50)가 있으며, 상기 제어부(81)의 작동에 따라 원터치스위치(40a)가 선택되면 원터치스위치(40a)의 가압을 감지하여 제어부(81)로 그 신호를 송출하는 원터치스위치(40a)가 있다. 또한 상기 접촉센서(50)나 원터치스위치(40a)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81)의 제어를 통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인덕션코일(33)이 포함 제어시스템(K)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접촉센서(50)와 원터치스위치(40a)의 선택작동으로 인덕션코일(33)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인덕션실링지(3)가 용기(1)의 입구에 융착되는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원터치스위치(40a) 그리고 접촉센서(50)를 통해서 작동되는 모습이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먼저 원터치스위치(40a)는 융착시켜야만 하는 용기가 많지 않고, 여러가지 기구적인 조절을 하지 않고 간단하게 수동으로 융착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접촉센서(50)는 대량으로 많은 량의 동일한 형태의 용기(1)를 융착시키기 위해서 사용을 하는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원터치스위치(40a)와 함께 내장될 수 있는 선택스위치(80)를 작동시켜 먼저 작동의 모드를 선택한다.
먼저 작업자는 융착되어야만 하는 용기(1)의 형태가 다양하고 그 크기가 다를 경우에는 원터치스위치(40a) 모드를 선택스위치(80)를 통해서 선택을 한다. 그리고 용기(1)를 용기용지그(6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코일하우징(34)의 상단에 위치하는 원터치스위치(40a)를 클릭하는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81)는 모드를 원터치스위치(40a) 방식으로 이해를 하고 원터치스위치(40a)가 클릭되는 순간에만 전원을 인덕션코일(33)에 통전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물론 고주파가 발생되면 상기 인덕션코일(33)의 하단에 위치한 용기(1)의 입구(2)는 인덕션실링지(3)가 융착되어 밀봉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용기(1)의 형태가 일정한 상태로 다수의 용기(1)를 융착시키고자 한다면, 상기 용기(1)의 높이와 크기, 지름 및 형태에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40)을 통해서 상기 수평지지바(30)의 위치를 확보하고, 상기 가이드공(63)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용지그(60)의 위치 및 접촉센서(50)의 위치를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스위치(80)를 상기 접촉센서(50) 모드로 전환을 한다. 그러면 용기(1)가 상기 용기용지그(60)의 위치홈(61)에 위치되고, 그 외주면을 통해서 지그판(62)에 결합된 접촉센서(50)를 가압하는 작용이 발생되면, 그 제어부(81)의 작동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인덕션코일(33)이 고주파를 발생시키게 한다. 그리고 그 작동되는 고주파에 따라 상기 용기(1)의 입구(2)에는 인덕션실링지(3)가 융착되어 밀봉이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등록고안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등록고안의 용기거치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코일 접착기의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코일 접착기의 모습을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코일 접착기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코일 접착기의 제어방식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코일 접착기에 의해 용기가 접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지지판 20; 지지대
30; 수평지지바 31; 관통공
32a; 전선 33; 인덕션코일
34; 코일하우징 40; 체결수단
41; 스크류공 42; 회전손잡이
43; 스크류볼트 45; 러버캡
60; 용기용지그 61; 위치홈
62; 지그판 63; 가이드공
64; 장형공 65; 체결공
66; 지지대 50; 접촉센서
68; 와셔 69; 너트
80; 선택스위치 81; 제어부
Claims (7)
- 인덕션 코일 접착기에 있어서,사각의 지지판(10)의 일측 상부로 곧게 체결 결합되는 4각의 지지대(20)와;상기 지지대(20)에 관통하는 4각 관통공(31)을 가지고 체결수단(40)을 통해서 지지대(20)와 결합하며, 일측 끝단에 전선(32a)을 통해 전원이 연결되는 인덕션코일(33)을 내장한 원통형의 코일하우징(34)이 그 지지관(35)을 통해서 하단에 결합된 수평지지바(30)와;상기 수평지지바(30)의 상단 즉, 상기 코일하우징(34) 내부의 인덕션코일(33)과 전력 연결되어, 원통형의 캡(41a) 상부로 설치되는 원터치스위치(40a)와;상기 지지판(10)의 상부로 접촉센서(50)를 내장한 용기용지그(60)가; 결합되어 인덕션코일(33)을 통해 상기 용기용지그(60)에 위치한 용기(1) 입구(2)에 인덕션실링지(3)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4각의 지지대(20)에는,그 4각의 면을 돌려 가며 표면 홈(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평지지바(30)의 4각 관통공(31)은,그 모서리 부위에 원형의 가이드공(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지지대(20)와 수평지지바(3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40)은,상기 수평지지바(30)의 4각 관통공(31)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스크류공(41)과;상기 스크류공(41)에 끼워지되, 일측단에는 회전손잡이(42)를 형성한 스크류볼트(43)가;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볼트(43)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공(41)을 관통하고, 관통공(31)의 내측에 끼워진 지지대(2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스크류볼트(43)의 끝단에는 러버캡(45)을 형성하고, 회전손잡이(42)에는 클릭볼을 형성하여 체결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용기용지그(60)는,일정한 두께로 형성하되, 일측 중심부에 삼각형의 위치홈(61)을 형성한 블록형태 지그판(62)과;상기 지그판(62)의 좌우측단에 장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63)과;상기 위치홈(61)의 중심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장형공(64)과;상기 장형공(64)에 끼워지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체결봉(65)과, 그 중심점에서 돌출된 지지대(66)에 체결된 접촉센서(50)와;상기 체결봉(65)의 상단에 끼워지는 와셔(68)와 너트(69); 및상기 지그판(62)의 가이드공(63)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64a)에 끼워지는 체결너트(65a);를 포함하여서 구성되어 상기 체결너트(65a)와 체결볼트(64a)의 죔 작용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1)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인덕션 코일 접착기(100)에는,선택스위치(80)를 통해서 접촉센서(50)나 원터치스위치(40a) 작동모드의 선택을 유지하는 제어부(81), 상기 제어부(81)의 작동에 따라 접촉센서(50)가 선택되면 용기용지그(60)에 위치한 용기(1)를 감지하여 제어부(81)로 신호를 송출하는 접촉센서(50)와, 상기 제어부(81)의 작동에 따라 원터치스위치(40a)가 선택되면 원터치스위치(40a)의 가압을 감지하여 제어부(81)로 그 신호를 송출하는 원터치스위치(40a)와, 상기 접촉센서(50)나 원터치스위치(40a)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81)의 제어를 통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인덕션코일(33)이 포함된 제어시스템(K)을; 구성하여 접촉센서(50)와 원터치스위치(40a)의 선택작동으로 인덕션코일(33)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인덕션실링지(3)가 용기(1)의 입구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코일 접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176A KR101045711B1 (ko) | 2008-12-08 | 2008-12-08 | 인덕션 코일 접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176A KR101045711B1 (ko) | 2008-12-08 | 2008-12-08 | 인덕션 코일 접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5704A KR20100065704A (ko) | 2010-06-17 |
KR101045711B1 true KR101045711B1 (ko) | 2011-06-30 |
Family
ID=4236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4176A KR101045711B1 (ko) | 2008-12-08 | 2008-12-08 | 인덕션 코일 접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571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8875A (ko) * | 2021-01-05 | 2022-07-12 | 영진기업 주식회사 | 소음저감 튜브 융착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1190B1 (ko) | 2005-07-04 | 2006-06-19 | 최기석 | 용기 덮개 접합장치 |
-
2008
- 2008-12-08 KR KR1020080124176A patent/KR1010457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1190B1 (ko) | 2005-07-04 | 2006-06-19 | 최기석 | 용기 덮개 접합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8875A (ko) * | 2021-01-05 | 2022-07-12 | 영진기업 주식회사 | 소음저감 튜브 융착장치 |
KR102435920B1 (ko) | 2021-01-05 | 2022-08-24 | 영진기업 주식회사 | 소음저감 튜브 융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5704A (ko) | 2010-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58675B2 (ja) | 飲料保持装置 | |
CN104108529A (zh) | 饮料用容器 | |
KR101045711B1 (ko) | 인덕션 코일 접착기 | |
JP2016515072A5 (ko) | ||
CN102307790B (zh) | 用于容器的封闭件 | |
US20080156803A1 (en) | Beverage containing assembly | |
WO2015186206A1 (ja) | マイクロチューブアレイ用のシーラー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シーラーマット | |
US20090049804A1 (en) | Portable Aluminum Foil Sealing Apparatus | |
CN209335533U (zh) | 装配机 | |
US20140010589A1 (en) | Mechanism for fastening the cover of a vacuum sealing machine | |
JP2009292492A (ja) | バリア性を有するスパウト | |
TW201408375A (zh) | 點膠裝置及點膠方法 | |
CN102554382B (zh) | 动量轮壳体密封焊接方法及实施该方法的焊接装置 | |
CA2201908A1 (en) | Self-supporting pourable substance package | |
CN205697401U (zh) | 一种豆浆机 | |
JP3219209U (ja) | 研磨用具 | |
JP2009046174A (ja) | 充填装置 | |
CN211412546U (zh) | 一种多样化高固定自动点胶机 | |
CN208431233U (zh) | 一种采用聚丙烯槽体的安装换能设备 | |
CN207404037U (zh) | 一种液体奶包装用的快速密封装置 | |
CN111993482A (zh) | 一种具有端部粘连功能的铝塑复合管切割装置 | |
CN213361268U (zh) | 智能水龙头 | |
KR102045422B1 (ko) |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마감장치 | |
KR101733709B1 (ko) | 고체풀 홀더 | |
CN113124625B (zh) | 制冷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