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398B1 -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 Google Patents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398B1
KR101045398B1 KR1020100095381A KR20100095381A KR101045398B1 KR 101045398 B1 KR101045398 B1 KR 101045398B1 KR 1020100095381 A KR1020100095381 A KR 1020100095381A KR 20100095381 A KR20100095381 A KR 20100095381A KR 101045398 B1 KR101045398 B1 KR 10104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hanger
support
width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652A (ko
Inventor
박만근
Original Assignee
박만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근 filed Critical 박만근
Priority to KR102010009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85Collapsible clothes racks, e.g. swingable, foldable, extend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78Hook-to-rail connections, with provisions for easy removal of the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바지의 허리띠 봉제선을 기준으로 윗부분이 두껍고 그 아랫부분의 두께가 항상 얇다는 점을 발견하고 그 두께를 이용한 고안품으로서 두손으로 바지의 허리띠 부분을 잡고 걸이수단의 돌출된 지지대 사이로 바지의 허리띠 봉제선 아랫부분을 삽입시키고 두손을 놓으면 허리띠 아랫부분보다 항상 두꺼운 허리띠 봉제선 윗부분이 자연스럽게 지지대에 안착되어 바지가 걸려 있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되 상기 걸이수단은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 할 수 있어 바지 수납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지의 두께에 따라 지지대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하기가 훨씬 용이하게 발명 된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지 걸이에 의하면, 벽 또는 행거 받침대에 의해 고정되어진 가이드바에 결합된 걸이수단의 몸체 전측에 있는 지지대 사이에 두손을 사용하여 바지의 허리띠 체결부의 윗부분을 잡고 삽입하므로 보관을 위한 장착이 극히 용이하다는 것 이외에도 바지를 접지 않고 펼친 상태로 삽입시켜 보관하여 구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삽입 공간부는 전측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보관과 선택적 인출이 극히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A pants hanger which can adjust the width}
본 발명은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바지의 허리띠 봉제선을 기준으로 윗부분이 두껍고 그 아랫부분의 두께가 항상 얇다는 점을 발견하고 그 두께를 이용한 발명품으로서 두손으로 바지의 허리띠 부분을 잡고 걸이수단의 돌출된 지지대 사이로 바지의 허리띠 봉제선 아랫부분을 삽입시키고 두손을 놓으면 허리띠 아랫부분보다 항상 두꺼운 허리띠 봉제선 윗부분이 자연스럽게 지지대에 안착되어 바지가 걸려 있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되 상기 걸이수단은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 할 수 있어 바지 수납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지의 두께에 따라 지지대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하기가 훨씬 용이하게 발명 된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는 상하로 접어서 그 접힌 부분을 공지된 삼각형 형상의 옷걸이에 걸어서 보관하거나, 바지를 펼쳐진 상태에서 거꾸로 돌려 집게형 옷걸이에 고정시켜서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바지를 옷걸이에 걸때도 한손으로는 옷걸이를 잡고 한손으로 바지를 옷걸이에 걸어야하므로 바지걸이에 장착하기에도 매우 불편하고 바지를 상하로 접게 되므로 그 부분에 구김이나 주름이 생겨 바지를 착용할 때 불편한 문제가 있었고, 후자의 경우에도 한손으로 바지를 잡고 한손으로는 집게를 벌려야되므로 장착시 매우 불편하였고 장착후에는 집게에 의해서 바지 단에 집게자국이 남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바지를 보관할 때 구김을 방지하는 한편 집게를 벌리지 않고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바지 걸이가 다수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48371호가 그 대표적인 일예이다.
이 종래의 기술을 참조로 하면, 몸체부에 막대형 고정구를 구비하여 이 고정구로 바지의 허리띠 고리를 삽입하여서 바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바지 걸이를 사용하게 되면 전술한 문제 즉, 구김이 생기는 문제, 집게를 벌리는 단점 및 바지 단이 훼손되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막대형 고정구로 바지의 허리띠 고리를 끼우는 일 또한 집게를 벌리는 것 못지않게 고정상의 번거러운 문제가 발생되며, 고정구로 허리띠 고리를 빈번하게 끼우거나 보관 중인 바지를 선택 인출할 때 빼내다 보면 바지고리와 고정구의 안전캡의 잦은 마찰로 인해 고정구의 안전캡이 벗겨지면서 예리한 금속의 끝부분이 돌출되어 옷감이 상하거나 허리띠 고리가 훼손되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특히 바지걸이에 장착할 때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나 그 장점 외에도 바지를 접지 않고 펼친 상태로 보관하여 구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보관과 선택적 인출이 극히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좁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에 있어서, 벽면, 옷장에 직접 부착되거나 지지부재에 부착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전면에서 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바지를 삽입할 수 있는 바지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걸이수단; 및 상기 걸이수단이 무단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양 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걸이수단의 양 측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부로 바지를 펼친 상태에서 삽입시켜 바지 원단 중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허리띠 체결부가 상기 지지대에 자연스럽게 안치되어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재는 벽면, 옷장에 부착되는 보강판재 혹은 바닥에 직립 설치되는 행거받침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의 두께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부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여 바지의 삽입 작용과 인출 작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바지 삽입 공간부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유지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지 걸이에 의하면, 벽 또는 행거 받침대에 의해 고정되어진 가이드바에 결합된 걸이수단의 몸체 전측에 있는 지지대 사이에 두손을 사용하여 바지의 허리띠 체결부의 윗부분을 잡고 삽입하므로 보관을 위한 장착이 극히 용이하다는 것 이외에도 바지를 접지 않고 펼친 상태로 삽입시켜 보관하여 구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삽입 공간부는 전측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보관과 선택적 인출이 극히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걸이수단은 탈부착이 가능하고, 수납공간인 바지 삽입 공간부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바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본 발명품으로 성별, 연령별, 계절별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사용 가능하다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걸이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며, "나"는 걸이수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의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걸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걸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6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걸이의 작용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폭 조절이 가능한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걸이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며, "나"는 걸이수단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100)는 크게 가이드바(110), 걸이수단(120) 및 고정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바(1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 사각형 형상은 물론이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삼각형 및 다각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벽면, 옷장 혹은 지지부재에 볼트, 나사 및 못 등의 고정수단을 매개로 부착 고정될 수 있으며, 볼트나 나사 및 못을 사용하여 고정시킬 경우에는 가이드바(110)를 직접 체결하기 보다는 가이드바(110) 양 단부로 결합되는 브라켓(112)을 통해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착 방식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수단(120)은 상기 가이드바(110)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좌우측으로 관통된 형상을 갖는 몸체(122) 및 상기 몸체(122) 전면에서 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126)로 구성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가이드바(110)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126) 사이에 바지를 삽입할 수 있는 수납공간인 바지 삽입 공간부(128)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바지 삽입 공간부(128)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122)의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126)의 넓이(t,t') 보다 더 돌출된 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두 개의 걸이수단(120)을 서로 밀착시키게 되면 두 돌출부(124)의 만남으로 인해 지지대(126) 사이에는 바지 삽입 공간부(128)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수단(120)은 탈 장착이 가능하므로 이로 인해 상기 바지 삽입 공간부(128)는 사용자의 바지 개수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등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126)는 도 2 및 도3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듯이 평면상 그 두께(t,t')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삽입 공간부(128)의 폭(s,s')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데 이는, 바지의 구조상 앞쪽에는 지퍼가 있고 보관시에는 지퍼부분을 안쪽으로 포개 넣고 바지의 앞주름을 전측이 되도록 하므로 전측이 후측보다 더 두껍게 된다. 그러므로 바지걸이의 지지대 사이의 폭도 후측보다 전측이 넓어야 보관시에 자연스럽게 안치된다. 뿐만 아니라 그 폭의 차이로 인해 바지의 삽입과 인출 작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의 작용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지 삽입 공간부(128)의 폭(s,s')이 전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더라도 그 전측의 넓이(s)는 바지의 상단부에 형성된 허리띠 체결부의 두께보다 넓지 않도록 형성하게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그리고, 바지는 춘추복, 하복 혹은 동복에 따라 그 두께도 상이해지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114)를 구비하게 되는데, 바지 삽입 공간부(128)의 폭 보다 더 두꺼운 바지를 수납할 경우 인위적으로 바지 삽입 공간부(128)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2)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간격유지구(11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간격유지구(114)는 좌우측으로 관통됨은 물론이고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데, 걸이수단(120)의 몸체(122) 사이에 체결되어서 지지대(126) 사이에 형성된 바지 삽입 공간부(128)를 넓히게 되는 것으로, 몸체(122)와 몸체(122) 사이를 이격되게 한 뒤 그 사이에 간격유지구(114)의 개방된 하측을 벌려서 체결하면 쉽게 장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장치(130)는 상기 걸이수단(120)이 무단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바(110)의 양 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걸이수단(120)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바(110)로 결합되도록 좌우로 관통된 형상의 클립(132)과, 상기 클립(132)의 상면에서 볼트 결합된 후 가이드바(110)의 상면에 밀착되어 클립(132)의 유동을 방지하는 나비볼트(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구(114)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장치(130)의 구속력을 해제한 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수단(120)의 몸체(122)를 서로 이격시켜 그 사이에 간격유지구(114)를 장착하게 되며, 이후 다시 고정장치(130)의 구속을 통해서 걸이수단(1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10), 걸이수단(120) 및 고정장치(130)로 구성된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100)는 목재나 플라스틱 혹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100)의 사용 상태 및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걸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걸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걸이의 작용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100)는 가이드바(110)가 벽면, 옷장 등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지만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140) 즉, 벽면 및 옷장 등에 부착되는 보강판재(142) 혹은 바닥에 직립 설치되는 행거받침대(14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판재(142)는 벽면이나 옷장 등에 부착될 때 볼트, 못, 나사 및 양면테이프 등의 고정수단(150)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된 보강판재(142)의 전면에 부착되는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100)의 가이드바(110) 또한 동일한 고정수단(150) 혹은 브라켓(1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거받침대(144)는 바닥에 직립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되 금속이나 플라스틱 및 목재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110)는 상기 행거받침대(144)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행거받침대(144)에 끼움되며 일측에는 대략 U자 형상의 안치구(146)가 형성된 고정구(145)의 안치구(146)에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100)가 상기 지지부재(140)를 매개로 설치되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200)를 걸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통상 바지(200)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는 허리띠 체결부(210)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제작되며, 그 부분에는 간헐적으로 허리띠 고리(220) 또한 부착된다.
그러므로, 바지(200)를 길게 펼친 상태에서 허리띠 체결부(210) 하측 원단 부분을 지지대(126)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바지 삽입 공간부(128)로 삽입시켜서 놓게 되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된 허리띠 체결부(210) 양측이 바지 삽입 공간부(128) 양 측면에 구비된 지지대(126)의 상면에 자연스럽게 안치되면서 바지(200)는 길게 펼쳐진 상태로 보관되는데, 이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도 6과 같다.
즉, 도 6의 "가"를 참조로 하면,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100)의 걸이수단(120)인 몸체(122) 전측에 형성된 바지 삽입 공간부(128)로 바지(200)를 삽입시키되 허리띠 체결부(210) 보다 얇게 형성된 부분 즉, 허리띠 체결부(210)의 하측 호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바지 삽입 공간부(128)는 전측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삽입과정 혹은 인출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200)의 삽입과정이 완료되면 허리띠 체결부(210)의 양측이 바지 삽입 공간부(128) 양 측에 구비된 지지대(126)의 상면에 자연스럽게 안치되면서 보관됨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바지 삽입 공간부(128)에도 바지(200)를 각각 보관시키게 되면 여러 벌의 바지를 보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이수단(120)은 고정장치(130)를 가이드바(11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쉽게 탈 장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보관할 바지 개수에 따라 필요한 만큼 더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폭 조절을 통해서 적절한 개수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이수단(120)으로부터 형성된 바지 삽입공간부(128)는 몸체(122)와 몸체(122)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114)에 의해서 보관할 바지 두께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간격유지구(114)를 더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변형을 통해서 적절한 바지 삽입 공간부(128)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바지(200)의 두께 차이를 이용하여 바지 삽입 공간부(128)에 삽입시키면 보관이 완료되므로 아주 간단하면서도 구김 없이 바지를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지 삽입 공간부(128)가 전측이 넓게 형성되므로 보관과정과 선택 인출이 용이하며, 한정된 공간 내에서 여러 벌의 바지(200)를 보관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특히 걸이수단(120)에는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바지 삽입 공간부(128)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114)가 체결될 수 있으므로 바지 두께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바지도 동시에 수납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110 : 가이드바
112 : 브라켓 114 : 간격유지구
120 : 걸이수단 122 : 몸체
124 : 돌출부 126 : 지지대
128 : 바지 삽입 공간부 130 : 고정장치
132 : 클립 134 : 나비볼트
140 : 지지부재 142 : 보강판재
144 : 행거받침대 145 : 고정구
146 : 안치구 150 : 고정수단
200 : 바지 210 : 허리띠 체결부
220 : 허리띠 고리

Claims (4)

  1.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에 있어서,
    벽면, 옷장에 직접 부착되거나 지지부재에 부착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전면에서 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바지를 삽입할 수 있는 바지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걸이수단; 및
    상기 걸이수단이 무단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양 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걸이수단의 양 측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부로 바지를 펼친 상태에서 삽입시켜 바지 원단 중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허리띠 체결부가 상기 지지대에 자연스럽게 안치되어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벽면, 옷장에 부착되는 보강판재 혹은 바닥에 직립 설치되는 행거받침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두께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부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여 바지의 삽입 작용과 인출 작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바지 삽입 공간부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유지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KR1020100095381A 2010-09-30 2010-09-30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KR10104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381A KR101045398B1 (ko) 2010-09-30 2010-09-30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381A KR101045398B1 (ko) 2010-09-30 2010-09-30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246 Division 2009-11-16 2009-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652A KR20110058652A (ko) 2011-06-01
KR101045398B1 true KR101045398B1 (ko) 2011-06-30

Family

ID=4439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381A KR101045398B1 (ko) 2010-09-30 2010-09-30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99B1 (ko) * 2013-10-23 2016-02-03 백철 대검집
KR102169402B1 (ko) 2019-05-09 2020-10-23 (주)태원트레이딩 다중 옷걸이 홀더
KR20220132977A (ko) 2021-03-24 2022-10-04 (주)태원트레이딩 바지걸이 기능을 가진 옷걸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296U (ko) * 1986-06-23 1988-02-17 이인재 치마걸이 겸용 바지걸이
KR19990024228U (ko) * 1997-12-11 1999-07-05 윤이용 바지 걸이대
JP2001299555A (ja) 2000-04-26 2001-10-30 Otsuka Chem Co Ltd 衣服類吊り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296U (ko) * 1986-06-23 1988-02-17 이인재 치마걸이 겸용 바지걸이
KR19990024228U (ko) * 1997-12-11 1999-07-05 윤이용 바지 걸이대
JP2001299555A (ja) 2000-04-26 2001-10-30 Otsuka Chem Co Ltd 衣服類吊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652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8054A2 (en) Adjustable clothes hanger
KR101045398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바지 걸이
US5137149A (en) Hang-up storage device for apparel belts
US2805013A (en) Garment hanger
US20230404307A1 (en) Ventilating hanger
JP2013510638A (ja) ズボンラック
US5950884A (en) Suspender hanging assembly
KR101848305B1 (ko) 어깨부분 변형 방지 옷걸이
KR200463529Y1 (ko) 바지 걸이
KR20110005053U (ko) 바지 걸이
JP2013087408A (ja) 伸縮ポケット
JP2010264073A (ja) ドアを利用した収納装置
KR200406828Y1 (ko) 옷걸이
KR200449127Y1 (ko) 길이 가변형 옷걸이
KR20090123250A (ko) 일체형 상하의 옷걸이
CN107198411A (zh) 可调节宽度的引出式衣柜衣夹
JP5241647B2 (ja) ズボン掛け
KR20090028488A (ko) 측면 해제 버클
JP3786199B2 (ja) カーテン吊り具及びカーテン
US2707952A (en) Suspensory
KR20220002438U (ko) 길이가 늘어나는 넥옷걸이.
US20070272717A1 (en) Necktie hanger
JP2004230121A (ja) 横向きクリップ付き衣料用ハンガー
KR20130111116A (ko) 이중바 구조로 바지의 구김과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옷걸이
KR20180066609A (ko) 부피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