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313B1 -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313B1
KR101045313B1 KR1020040071315A KR20040071315A KR101045313B1 KR 101045313 B1 KR101045313 B1 KR 101045313B1 KR 1020040071315 A KR1020040071315 A KR 1020040071315A KR 20040071315 A KR20040071315 A KR 20040071315A KR 101045313 B1 KR101045313 B1 KR 10104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optical disc
recorded
record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478A (ko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11B19/041Detection or prevention of read or write e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8Verification, i.e. checking data during or after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에러 발생시 기록동작의 중단없이 기록동작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데이터를 삽입장착된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제 1단계; 상기 기록동작 중에 기록에러 발생시, 해당 데이터 패킷에, 상기 기록에러로 인해 손실된 데이터만큼 더미데이터를 패딩하여 기록하는 제 2단계; 및 입력데이터를 상기 제 2단계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에 이어서 기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예약녹화와 같이 사용자의 외출시에 빈번히 이루어지는 기록동작에 대해서 기록에러로 인해 기록요청한 데이터의 일부가 미기록되는 것을 방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예약 녹화, DVDR, 더미 데이터, 패딩, 앰펙 패킷

Description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record in optical disc driv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광디스크장치(DVDR)에서 이루어지는 기록형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제어방법이 구현된 광디스크장치(DVDR)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도 3의 DVDR에서 이루어지는 기록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디스크 20 : 광픽업
30 : VDR 시스템 40 : 버퍼 메모리
50 : 마이컴 60 : 메모리
본 발명은, 기록에러 발생시 기록동작의 중단없이 기록동작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DVDR(DVD-Recorder)은 외부로부터의 입력데이터, 즉 자체적으로 구비된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입력데이터 또는 신호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어, TV)로부터의 입력데이터(예를 들어, 방송데이터)를 장착된 기록가능 디스크(예를 들어, DVD-R, DVD-RW 등)에 기록할 수 있으며, 또한 삽입된 디스크를 재생하여 신호연결된 외부기기로 제공가능한 시스템이다.
상기 기록가능 디스크 중,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기록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데, 이로 인해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층을 구성하는 혼합물의 혼합비율이 초기의 혼합비율과 달라지게 되어 그 특성을 잃어버림으로써 기록시 에러(기록 Fail)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열화라 하며, 기록가능 디스크의 경우 열화현상 외에도 외부충격, 표면의 스크래치, 먼지 등의 미진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서도 기록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DVDR의 경우에는 기록도중 기록에러가 발생하면 기록동작을 중단하는데, 그 이유는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앰펙(MPEG) IC로부터 출력되는 앰펙 패킷(Packet)의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도중 기록에러가 발생한 경우는 기록에러로 인해 현재의 앰펙 패킷의 일부데이터를 손실하게 되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와 앰펙 IC가 앞으로 보낼 패킷데이터가 연속하지 않기 때문에 기록을 중단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녹화키(REC Key)가 재입력되면 그때 비로써 도 2에서와 같이 기록동작을 재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예약녹화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부재중에 빈번히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예약녹화 도중에 기록에러 발생시, 만약 사용자가 부재중으로 인해 녹화키를 재입력하여 녹화동작을 재개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예약녹화 요청한 프로그램의 일부를 녹화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약녹화와 같이 사용자의 외출상태에서 빈번히 이루어지는 기록동작에 대해서는, 기록에러 발생시라도 기록동작의 중단없이 기록동작을 계속 수행함으로써 기록요청한 데이터의 일부가 미기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 어방법은, 입력데이터를 삽입장착된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제 1단계; 상기 기록동작 중에 기록에러 발생시, 해당 데이터 패킷에, 상기 기록에러로 인해 손실된 데이터만큼 더미데이터를 패딩하여 기록하는 제 2단계; 및 입력데이터를 상기 제 2단계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에 이어서 기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제어방법이 구현된 광디스크장치, 예를 들어 DVDR(DVD-Recorder)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광픽업(20), VDR(Video Disc Record) 시스템(30), 버퍼 메모리(40), 마이컴(50), 메모리(60) 등을 포함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DVDR은, 입력데이터(예를 들어, 방송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이 모두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버퍼 메모리(40)를 사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VDR 시스템(30)은 광디스크(10)에의 기록을 위해 외부로부터의 입력데이터를 지정된 기록포맷으로 엔코딩하는 엔코더와, 광디스크(10)로부터 독출 재생되는 데이터를 지정된 재생포맷으로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기록동작을 수행하는 기록계와, 재생동작을 수행하는 재생계를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60)에는 방송프로그램 안내정보, 즉 각 방송프로그램 명 및 이의 방송일시(방송날짜 및 방송시간), 방송채널, 그리고 각 방송프로그램의 식별코드 등이 저장되는데, 이 정보는 튜너(도면 미도시)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마이컴(50)에 의해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24시간마다) 갱신 저장되며, 상기 마이컴(50)은 예약녹화 동작시 상기 메모리(60)에 저장된 상기 방송프로그램 안내정보를 참조하여 예약녹화 동작을 제어 및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3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기록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기록동작, 예를 들어 입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예약녹화 동작이 요청(S10)된 경우,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메모리(60)의 저장 정보로부터 현재의 일시가 상기 예약녹화 요청된 방송프로그램의 방송일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데이터를 녹화하도록 상기 VDR 시스템(3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VDR 시스템(30)은 입력되는 상기 방송데이터를 앰펙 패킷단위로 출력하고, 상기 광픽업(20)은 상기 앰펙 패킷을 상기 광디스크(10) 상에 기록한다(S11).
이와 같이 상기 VDR 시스템(30)에 의한 녹화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현재 녹화 진행시간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록동작 중에 기록에러가 발생하면(S20) 상기 마이컴(50)은 상 기 녹화 요청된 프로그램의 총 시간(예를 들어, 50분)과 상기 검출된 현재의 녹화 진행시간(예를 들어, 40분)을 확인하여, 만약 상기 확인된 양 시간이 동일한 경우에는(S30) 상기 녹화 요청된 프로그램이 녹화 완료된 것으로 판단, 기록동작을 종료시키게 된다.
그런데, 만약 상기 확인된 양 시간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즉 잔여 녹화시간(예를 들어, 10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녹화 요청된 프로그램이 녹화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기록에러 발생에도 불구하고 기록동작의 중단없이 기록동작을 계속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VDR 시스템(30)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앰펙 패킷단위로 기록동작이 이루어지는 중에, 기록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VDR 시스템(30)은 기록에러 발생을 상기 마이컴(50)에 보고하고, 이에 따른 상기 마이컴(50)의 제어하에 상기 VDR 시스템(30)은 상기 기록에러 발생으로 인해 손실된 데이터만큼 현재의 앰펙 패킷에 더미데이터(Dummy Data)를 패딩(Padding)하여 상기 광디스크(10) 상에 기록하는데(S31), 상기 더미데이터의 생성 및 기록은 현재의 앰펙 패킷에 대해서만 이루어지고, 이후부터의 앰펙 패킷에 대해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더미데이터에 이어서 상기 광디스크(10) 상에 기록한다(S32).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록에러 발생시 사용자의 키(REC Key) 입력 없이도 입력데이터에 대한 기록동작을 계속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한 기록동작은 기록동작의 종료시까지(S40)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실시예는 예약녹화에 대해 설명한 것이고, 예 약녹화가 아닌 일반기록에 대해서는 기록에러시 기록동작을 중단하고 사용자의 키(REC Key) 입력시에 입력데이터에 대한 기록동작을 재수행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일반 기록동작이 대부분 사용자의 감독하에 이루어지는 반면, 예약녹화는 사용자의 외출상태에서 빈번히 이루어지는데 이때에는 사용자가 기록에러 발생을 전혀 알 수 없어 기록에러 발생시에도 키 입력을 통해 기록동작을 재개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은, 기록에러 발생시에는 손실데이터만큼 해당 앰펙 패킷에 더미데이터를 패딩하여 기록하고 이후부터의 앰펙 패킷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예약녹화와 같이 사용자의 외출시에 빈번히 이루어지는 기록동작에 대해서 기록에러로 인해 기록요청한 데이터의 일부가 미기록되는 것을 방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입력데이터를 삽입장착된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제 1단계;
    상기 기록동작 중에 기록에러 발생시, 앰펙(MPEG) 포맷의 데이터 패킷에, 상기 기록에러로 인해 손실된 데이터만큼 더미데이터를 패딩하여 기록하는 제 2단계; 및
    입력데이터를 상기 제 2단계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에 이어서 기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 및 제 3단계의 기록은, 예약녹화인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기록에러 발생시, 상기 입력데이터의 총 시간과 현재의 기록 진행시간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4. 삭제
KR1020040071315A 2004-09-07 2004-09-07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KR10104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315A KR101045313B1 (ko) 2004-09-07 2004-09-07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315A KR101045313B1 (ko) 2004-09-07 2004-09-07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478A KR20060022478A (ko) 2006-03-10
KR101045313B1 true KR101045313B1 (ko) 2011-06-29

Family

ID=3712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315A KR101045313B1 (ko) 2004-09-07 2004-09-07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269A (ko) * 1998-02-18 1999-09-15 윤종용 실시간 데이터 기록을 위한 선형 대치 결함 관리 처리 방법
KR20040046282A (ko) * 2002-11-26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75216A (ko) * 2003-02-20 200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269A (ko) * 1998-02-18 1999-09-15 윤종용 실시간 데이터 기록을 위한 선형 대치 결함 관리 처리 방법
KR20040046282A (ko) * 2002-11-26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75216A (ko) * 2003-02-20 200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478A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8536B1 (en) Catching up real-time video recording after a playback pause
US7181131B2 (en) Changing a playback speed for video presentation recorded in a progressive frame structure format
US7620299B2 (en) Data recording device for recording data in basic recording units
US7233735B2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built-in storage medium
KR101045313B1 (ko)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제어방법
US7734964B2 (en)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488661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管理方法
US6985416B1 (en) Buffer optimization for simultaneous encoding-decoding and pause-catch-up for real time DVD recorder
KR20050087151A (ko) 방송프로그램의 녹화방법
EP1549059A2 (en) Optical disk apparatus
JP4367366B2 (ja) 録画再生装置
KR100690123B1 (ko) 기록매체상에서 영상신호 기록공간을 확보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90128B1 (ko) 기록매체상에서 영상신호 기록공간을 확보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90127B1 (ko) 기록매체상에서 영상신호 기록공간을 확보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11864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녹화 데이터 기록 위치 선택 방법
KR100892974B1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멀티 경로 데이터 스트림 관리방법
KR100699630B1 (ko) 광디스크 장치의 무신호 구간 녹화 관리방법 및 재생방법및 편집방법
KR100563690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유저 선호 정보 전송 및 기록방법
KR100575518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재생 제어 정보 관리방법
KR100643435B1 (ko)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녹화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056522A (ko)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KR20060130457A (ko) 디지털 레코더에서의 녹화 모드 변경방법
US20060198604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KR20060030736A (ko) Vcr/dvd-rw 콤보 시스템에서 vcr 비디오신호의 dvd 디스크 복사 방법
JP2006085793A (ja) 情報記録媒体の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