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062B1 -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 Google Patents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062B1
KR101045062B1 KR1020090013938A KR20090013938A KR101045062B1 KR 101045062 B1 KR101045062 B1 KR 101045062B1 KR 1020090013938 A KR1020090013938 A KR 1020090013938A KR 20090013938 A KR20090013938 A KR 20090013938A KR 101045062 B1 KR101045062 B1 KR 10104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solution
gas
tank
chlorine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786A (ko
Inventor
김철원
Original Assignee
김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원 filed Critical 김철원
Priority to KR102009001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0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inorganic fibres, e.g. mineral w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반응조의 반응 체적을 최소화시켜 반응 개시 후(가동 후) 신속히 이산화염소가스가 발생 및 배출되도록 하며, 반응용액을 버블링 작용으로 폭기시켜 산수용액과 아염소산염 수용액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이산화염소가스의 발생시간을 단축하고, 정도 높은 원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제조하기 위한 이산화염소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각각 저장되는 용액탱크에서 용액을 인출 공급하는 공급펌프로 이루어지는 용액용입부에서 공급되는 두 용액이 혼합되고, 버블링 작용으로 혼합을 촉진시키며 반응공간이 최소화로 제작된 메인반응조 및 반응시 메인반응조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반응 후 용액이 저장되고 미 반응용액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스를 추가적으로 생성시켜 메인반응조로 흐르게 하는 홀딩조로 이루어지는 반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메인반응조의 반응체적을 최소화하여 수용된 원액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스의 발생 또는 배출시간이 짧아지는 효과가 있다.
반응조, 반응부, 살균수, 이산화염소, 홀딩조, 이젝터

Description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A reaction of a manufacturing device numerical sterilization water}
본 발명은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반응조의 반응 체적을 최소화시켜 반응 개시 후(가동 후) 신속히 이산화염소가스가 발생 및 배출되도록 하며, 반응용액을 버블링 작용으로 폭기시켜 산수용액과 아염소산염 수용액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이산화염소가스의 발생시간을 단축하고, 정도 높은 농도의 살균수를 제조하기 위한 이산화염소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산화염소는 강한 산화력, 살균소독력, 탈취력이 크고 다른 염소 소독 살균제와는 달리 트리할로메탄(THMs), 할로 아세틱 에스드(HAAs), 할로 아세토 나이트릴(HANs) 등 발암성 유기물을 생성하지 않으며 또 다른 유기물과 반응하여 유기염소화합물을 생성하지 않고, 햇볕이나 온도에 의하여 신속히 분해되어 잔류성이 없는 친환경성 살균소독제로 알려져 있다.
즉, 이산화염소는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THMs), 폴리클로로바이페 닐(polychlorobiphenyls, PCBs)과 같은 원하지 않는 살균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넓은 pH범위에 걸쳐 그 효과를 나타내며, 용액에서 해리되지 않고(이온을 형성하지 않고), 빠른 살균 작용을 지니며, 처리 용액에서 축적되지도 않는다. 이산화염소는 그 운반과 저장이 금지되어 있고, 또 그 운반과 저장이 위험하기 때문에 대부분 현지에서 발생장치에 의해 생산되어 진다.
더불어, 강한 산화력과 살균성을 지니고 있는 이산화염소는 융점 -59℃, 비점 11℃이고, 상온에서는 가스상의 물질이며, 상온상압 하에서는 물에 대하여 약 3000ppm(mg/l)의 용해도를 가지며, 공기 중에서는 가스농도 10% 이상에서 폭발성을 가지며, 살균이나 소독용, 탈취용, 표백용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소형의 살균수 제조류에 적합한 이산화염소의 합성 방법으로는 5NaClO2 + 4HCl → 4ClO2 + 5NaCl + 2H2O의 반응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 이산화염소가스를 생성시키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는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며, 반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버블러로 반응용액을 폭기시켜 이산화염소가스의 발생률을 증대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산화염소농도 10ppm의 살균수를 분당 10리터의 유량으로 제조할 경우 물에 용해되는 이산화염소가스의 무게는 1000gr×10/1,000,000 = 0.1gr/분이 된다. 즉, 분당 0.1gr의 이산화염소량으로서 이를 대기압 부피로 환산하면 1mol그 램=67.46gr=22.4ℓ이므로 0.1/67.46 ×22.4ℓ = 33.2cc가 된다.
즉, 용해율을 100%로 가정할 경우 분당 10ℓ유량의 살균수 제조를 위해서는 분당 0.1gr 또는 33.2cc의 이산화염소가스의 발생이 필요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아주 적은 원료약액투입유량(분당 2cc미만)이 예상된다.
만일, 5000cc 부피의 반응조 내에 반응 후 액체가 2000cc가 보지되어 있으며 상부공간부피가 3000cc인 상태에서 반응을 위해 약액이 투입될 경우 투입 약액유량에 비해 큰 부피의 액체로 인한 반응을 느리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또한, 이산화염소가스는 공기보다 비중이 약 2.3배 무거운 관계로 발생 후 반응조 상부의 가스배출구로 배출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근래의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는 반응조에서 반응시 오버플로우되는 반응용액을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해야 하는데 이때 오버플로우 배관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반응조 내부와 외기의 유통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배관은 외부로부터 격리를 위해 U트랩설계를 채택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젝터의 흡입진공으로 인하여 반응조 내부가 어느 정도의 진공이 되므로 진공을 극복할 수 있는 액주높이가 필요하여 이를 수용하는 배관 형성을 위하여 오버플로우액 저장탱크까지는 소정높이의 위치차이가 필요하므로 저장탱크를 장치의 하단부에 별도로 위치시키거나 장치 내부에 놓게 될 경우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게 설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메인반응조와 반응 후 용액을 저장하는 용기(홀딩조)를 별도로 두고 메인반응조 용적을 작게하여 수용된 원액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스의 발생시간 및 배출시간이 짧아지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메인반응조에서 반응시 오버플로우되는 반응 용액을 홀딩조로 저장하면서 미 반응용액을 추가적으로 반응시켜 메인반응조로 흐르게 함으로써 이산화염소가스의 생성효율을 증대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더불어,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반응시 버블러를 이용하여 두 용액이 혼합된 반응 용액을 버블링 작용으로 폭기시켜 반응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반응부의 체적을 용기(병)의 체적보다 크게 제작하여 용기(병)의 교환시 비워줄 때까지 반응 용액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히터를 이용하여 반응부의 온도가 이산화염소의 비등점(11℃)이상으로 유지시켜 신속히 가스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살균수를 제조하는 장치의 이산화염소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반응조에 있어서,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각 각 저장되는 용액탱크에서 용액을 인출 공급하는 공급펌프로 이루어지는 용액용입부에서 공급되는 두 용액이 혼합되고, 버블링 작용으로 혼합을 촉진시키며 반응공간이 최소화로 제작된 메인반응조 및 반응시 메인반응조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반응 후 용액이 저장되고 미 반응용액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스를 추가적으로 생성시켜 메인반응조로 흐르게 하는 홀딩조로 이루어지는 반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반응조의 반응체적을 최소화하여 수용된 원액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스의 발생시간 및 배출시간이 짧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인반응조에서 반응시 오버플로우되는 반응 용액을 홀딩조로 저장하면서 미 반응용액을 추가적으로 반응시켜 메인반응조로 흐르게 함으로써 이산화염소가스의 생성효율을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반응시 버블러를 이용하여 두 용액이 혼합된 반응 용액을 폭기시켜 반응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반응부의 체적을 두 가지 약액 용기(병)의 합계 체적보다 크게 제작하여 용기(병)의 교환시 비워줄 때까지 반응 용액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터를 이용하여 반응부의 온도가 이산화염소의 비등점이상으로 유지 시킴으로써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는 상기 용액용입부(10)에서 공급되는 두 용액이 혼합되고, 혼합된 반응 용액에 버블링 작용으로 혼합을 촉진시키는 메인반응조(21) 및 반응시 메인반응조(21)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용액이 저장되어 이산화염소가스를 추가적으로 생성시켜 메인반응조(21)로 흐르게 하는 홀딩조(22)로 이루어지는 반응부(20)로 반응조(100,2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응조(100,200)가 적용되는 살균수 제조장치를 살펴보면, 용액용입부(10), 반응부(20)를 포함하여, 가스용입부(30)로 제조장치(300)가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액용입부(10)는 산수용액(예로써 염산), 아염소산염 수용액(예로써 아염소산 나트륨)이 각각 저장되는 용액탱크(11,12)에서 용액을 인출 공급하는 공급펌프(13,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액탱크(11,12)는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각각 저장된 용기(병)(11a,12a)와, 상기 용기(병)(11a,12a)에 저장된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배출되게 용액배출장홀(11b,12b)이 형성된 용액배출핀(11c,12c)을 구비하 는 용액배출탱크(11d,12d)가 형성된다.
한편, 용기(병)(11a,12a)의 입구에는 용액을 누수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막(11a',1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용액배출핀(11c,12c)이 밀봉막(11a',12a')을 관통하면 용액배출장홀(11b,12b)을 통해 용액배출탱크(11d,12d)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어 내부액체가 아래로 배출되어 탱크내의 액위가 용기(11a,12a) 뚜껑 단에 이르면 공기유입이 차단되어 더 이상 액체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액위가 상승하지 않는다.
즉, 상기 용액배출장홀(11b,12b)은 용액배출핀(11c,12c)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으로, 용기(병)(11a,12a)의 밀봉막(11a',12a')을 관통하여 용기(병)(11a,12a)의 내부공간과 용액배출탱크(11d,12d)의 내부공간을 서로 연통시켜 용기(병)(11a,12a)내의 용액이 용액배출탱크(11d,12d)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며 액위가 'A'레벨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용기(병)(11a,12a)내의 액체가 비워져서 더 이상 액체 배출이 안되는 상태에서 계속 용액배출탱크(11d,12d)의 액을 사용하면 액위가 점점 하강하여 상기 용액배출탱크(11d,12d)의 외주면에 설치된 액위센서(11e,12e)에 의해 용기(병)(11a,12a)의 교체시기를 콘트롤러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펌프(13,14)는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의 공급유량이 미터링 되는 튜브펌프, 다이아프램펌프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공급펌프(13,14)의 오차 범위 내로 흐름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펌프(13,14)는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의 정량 공급을 위한 조절방식으로는 펌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방식, 용액이 흡입되어 배출 유동되는 튜브의 직경을 조절하는 방식, 펌프의 가동을 시간적으로 제어하는 간헐가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간헐가동 방식은 예로써 매 5초마다 1초 가동, 2 ~ 5초 간격으로 가동됨으로써 원하는 시간당 용액의 투입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에 미리 여러 농도에 따른 간헐 자동 모드나 회전수 모드를 프로그램화하여 입력시켜 외부스위치의 조작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100)의 반응부(20)는 메인반응조(21)가 홀딩조(22)의 내부에 설치되며, 양쪽의 압력을 같게 하여 반응 후 용액이 오버플로우 할 수 있도록 서로의 내부공간이 이산화염소가스만 유동되는 가스통기홀(23e)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홀딩조(22)의 외부 일측에는 내부온도가 산수용액과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비등점온도인 11℃ 이하로 내려가면 작동되는 히터(29)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반응조(100,200)의 외부 기온변화로 인한 이산화염소가스 발생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200)의 반응부(20)는 상기 반응부(20)는 메인반응조(21)의 하부에 홀딩조(22)가 별개로 설치되며, 상기 메인반응조(21)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용액은 오버플로우관(23d)을 통해 홀딩조(22)로 유동 되어 저장되고, 홀딩조(22)에서 생성되는 이산화염소가스와 폭기 기체가 가스통기관(23f)를 통해 메인반응조(21)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응부(20)의 메인반응조(21)의 외주면 일측에 오버플로우관(23d)이 형성되어 메인반응조(21)에 공급되는 원액에 의해 증가되는 량의 용액이 홀딩조(22)로 흘러넘치게 되고, 홀딩조(22)로 흘러들어 저장된 용액 중 미 반응용액에서 산수용액과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반응하여 생성된 이산화염소가스는 가스통기관(22a)을 통해 메인반응조(21)로 흐르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반응조(21)는 반응몸체(23)의 상부로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24), 버블러(25)로 구성된다.
상기 반응몸체(23)는 반응부(20)의 메인반응조(21)는 용액저장공간(23a)이 형성된 하부에 가스유입공간(23b)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입공간(23b)으로 연통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가스공급홀(23c)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오버플로우관(23d)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가스통기홀(23e)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홀(23c)은 반응몸체(23)의 두께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파이프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가스통기홀(23e)은 메인반응조(21)와 홀딩조(22)의 가스가 존재하는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상기 플랜지(24)는 반응몸체(23)의 상부를 이루며 홀딩조(22) 상부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용액공급홀(24a) 및 가스배기홀(24b)이 관통되어 용액저장공간(23a)으로 연통되며, 상기 반응몸체(23)의 가스공급홀(23c)에 연결되는 가스유입 홀(24c)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액공급홀(24a)은 공급펌프(13,14)에 연결된 용액관(13a,14a)이 삽입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가스배기홀(24b)은 이젝터(33)에 연결된 가스관(33a)이 삽입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스유입홀(24c)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기체관(24c')이 결합된다.
상기 버블러(25)는 다수개의 버블홀(25a)가 형성된 채로 반응몸체(23)의 가스유입공간(23b)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기체관(24c')을 통해 가스유입홀(24c), 가스공급홀(23c)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가 버블홀(25a)을 통화하면서 발생되는 기포로 버블링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딩조(22)는 홀딩몸체(26), 버블러(27), 액위센서(28)로 구성된다.
상기 홀딩몸체(26)는 반응부(20)의 홀딩조(22)는 메인반응조(21)를 감싸며 오버플로우관(23d)으로 흘러넘치는 반응 후 용액이 저장되는 용액저장공간(26a)이 형성된다.
상기 버블러(27)는 홀딩몸체(26)의 용액저장공간(26a)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기체관(24c')을 통해 가스유입홀(24c), 가스공급홀(23c)로 공급되는 공기로 버블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버블러(27)는 홀딩몸체(26)의 바닥에 가스공급홀(23c), 가스유입홀(24c)로 공급되는 공기가 기체관(24c')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유입공간(27a)이 형성된 상부로 버블작용을 발생시키도록 다수개의 버블홀(27b)이 형성된다.
상기 액위센서(28)는 홀딩몸체(26)의 외부에 설치된 액위센서고정구(28a)에 결합되며, 홀딩몸체(26)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액의 최고수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홀딩조(22)에 설치된 액위센서(28:알람경고레벨에 의해 감지되는 레벨)까지의 용적은 산수용액이 저장된 용기(11a)나 아염소산염 용액이 저장된 용기(12a) 중 어느 한 쪽을 교체할 때 홀딩조(22)의 액체를 비워내게 되고 다음에 비울 때까지의 액체를 보지해야 하므로 용기(11a,12a)의 합계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버플로우관(23d)은 반응부(20)의 메인반응조(21)의 반응몸체(23)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메인반응조(21)에서 불어나는 반응용액이 홀딩조(22)의 내부로 흘러넘쳐 유동된다.
상기 가스용입부(30)는 정유량조절밸브(31), 원수감지수단(32)을 통해 유동되는 원수에 반응부(20)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가스를 진공력으로 흡입한 후, 원수에 혼입시키는 이젝터(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스용입부(30)의 원수감지수단(32)은 플로우스위치, 압력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원수감지수단(32)은 사용처(수도꼭지)에서 살균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개방시키면 플로우스위치나 압력스위치에서 원수의 흐름이나 유동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조장치(30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원수흐름감지수단(32) 중 플로우스위치의 경우 원수의 유량이 설정 수치 이하의 상태로 유동될 경우 이를 감지하는 기능을 주어 공급펌프(13,14)의 작동을 중지시켜 일정용량의 이산화염소가스가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에 용해되어 일정농도 이상의 과도한 이산화염소농도를 갖는 살균수 제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100)가 적용된 제조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도면상 미도시)를 ON시킨 상태에서 수도전밸브(70)를 오픈하면 수도관내의 물이 흐르게되며 이젝터(33)에 의해 기체 흡입구 쪽에 진공이 형성되고, 형성된 진공에 의해 메인반응조(21) 상단의 가스토출구로 메인반응조(21) 내의 기체가 이젝터(33) 쪽으로 빨려가게 되어 메인반응조(21)와 이에 통기된 홀딩조(22)의 내부압력은 대기압보다 낮게되어 외부의 공기가 버블러(25,28)를 통하여 폭기된다, 동시에 콘트롤러는 공급펌프(13,14)를 구동하여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동시에 반응부(20)의 메인반응조(21) 내부로 공급한다.
즉, 상기 용액탱크(13,14)와 공급펌프(13,14), 반응부(20)는 용액이 흐르는 용액관(13a,14a)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용액관(13a,14a)은 메인반응조(21)를 구성하는 플랜지(24)의 용액공급홀(24a)를 관통하여 반응몸체(23)의 용액저장공간(23a) 내부로 낙하한다.
이때, 상기 튜브펌프, 다이아프램펌프 중 하나로 구성된 공급펌프(13,14)에 의해 예를 들어 1ppm, 5ppm, 10ppm, 20ppm 등의 다수 농도를 갖는 살균수를 생산하기 위한 용액의 공급량이 정확히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반응부(20)의 메인반응조(21) 내부로 공급되면 반응 체적이 작은 메인반응조(21)의 내에서 이산화염소가스가 발생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기체관(24c')으로 공급되어 버블러(25)의 버블홀(25a)을 통과하면서 버블링 작용으로 메인반응조(21) 내의 액체를 활발히 유동시켜 높은 반응효율로 반응이 일어나게 이산화염소가스가 발생된다.
그리고, 반응 체적이 작은 메인반응조(21) 내에 용액이 공급됨에 따라 산수용액과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혼합된 반응 후 용액이 오버플로우관(23d)을 통해 흘러 넘쳐 홀딩조(22)의 용액저장공간(26a)에 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홀딩조(22)로 유입되어진 용액은 버블러(27)의 버블홀(27b)을 가스가 통과할 때 발생되는 기포로 버블작용을 일으켜 용액을 유동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홀딩조(22)에서 발생되어진 이산화염소가스와 버블기체는 가스통기홀(23e)을 통해 메인반응조(21)로 흐르게 된다.
더불어, 상기 버블러(25,27)는 압력차로 외부로부터 기체관(24c')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 기포를 발생시켜 반응효율이 증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블러(25,27)의 버블홀(25a,27b)에 가스를 통과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이유는 용액의 반응효율의 증대와, 반응시 생성되는 이산화염소가스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폭기시켜 농도를 희석함으로써 폭발의 위험을 제거하며, 폭기된 기체와 더불어 이산화염소가스가 이젝터(33)로 신속히 빨려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반응부(20)의 메인반응조(21)와 홀딩조(22)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와 폭기 기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젝터(33)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며, 흡입된 이산화염소가스는 정유량조절밸브(31)와 원수흐름감지수단(32)을 순차적으로 거쳐 유동되는 원수 혼입된다.
이때, 상기 이젝터(33)는 반응부(20)의 메인반응조(21)의 상부로 관으로 연결되어 이산화염소가스를 흡입하게 되며, 이젝터(33)의 내부를 관통하여 흐르는 정유량조절밸브(31)에 의해 조절된 일정유량의 원수에 이산화염소가스를 혼입시키면 물에 용해되어 수도전밸브(70)로 부터 원하는 이산화염소농도를 가지는 살균수가 얻어진다.
더불어, 상기 원수흐름감지수단(32)을 구성하는 플로우스위치가(Flow Switch)가 적용된 것으로, 전원을 인가하고 작동스위치를 ON시키면 즉시 가동 대기상태에 들어간다. 이때 수도전밸브(70)를 오픈하면 수돗물이 토출되면서 수도관내의 물(원수)이 흐르게 된다. 원수흐름감지수단(32)에 의해 일정유량이상의 흐름이 감지되면 콘트롤러에 신호를 전달하여 공급펌프(13,14)를 가동토록 하며 수도전밸브(70)를 닫아 흐름이 정지되게 되면 이를 원수흐름감지수단(32)의 플로우스위치가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전달하여 공급펌프(13,14)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수도전밸브(70) 조작에 의해 자동적인 펌프가동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반응부의 다른 예에 따른 살균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용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종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반응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액용입부 11,12 : 용액탱크
13,14 : 공급펌프 20 : 반응부
21 : 메인반응조 22 : 홀딩조
23 : 반응몸체 23a : 용액저장공간
23b : 가스유입공간 23c : 가스공급홀
23d : 오버플로우관 23e : 가스통기홀
24 : 플랜지 24a : 용액공급홀
24b : 가스배기홀 24c : 가스유입홀
24c' : 기체관 25 : 버블러
26 : 홀딩몸체 26a : 용액저장공간
27 : 버블러 28 : 액위센서
29 : 히터 30 : 가스용입부
31 : 정유량조절밸브 32 : 원수감지수단
33a : 가스관 100,200 : 반응조
300 : 제조장치

Claims (6)

  1. 살균수를 제조하는 장치의 이산화염소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반응조에 있어서,
    산수용액, 아염소산염 수용액이 각각 저장되는 용액탱크(11,12)에서 용액을 인출 공급하는 공급펌프(13,14)로 이루어지는 용액용입부(10)에서 공급되는 두 용액이 혼합되고, 두 용액을 버블링 작용으로 혼합을 촉진시키도록 제작된 메인반응조(21) 및 반응시 메인반응조(21)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반응 후 용액이 저장되고 미 반응용액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스를 추가적으로 생성시켜 메인반응조(21)로 흐르게 하는 홀딩조(22)로 이루어지는 반응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20)는 메인반응조(21)를 홀딩조(22)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의 내부공간이 기체만 유통되는 가스통기홀(23e)을 통해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20)는 메인반응조(21)의 하부에 홀딩조(22)가 별개로 설치되며, 상기 메인반응조(21)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용액은 오버플로우 관(23d)을 통해 홀딩조(22)로 유동되고, 홀딩조(22)에서 생성되는 이산화염소가스는 가스통기관(23f)를 통해 메인반응조(21)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20)의 메인반응조(21)는 용액저장공간(23a)이 형성된 하부에 가스유입공간(23b)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입공간(23b)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연통되는 가스공급홀(23c)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오버플로우관(23d)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가스통기홀(23e)이 형성된 반응몸체(23)와,
    상기 홀딩조(22)에 결합되게 반응몸체(23)의 상부에 일체로 플랜지(24)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4)에는 하나 이상의 용액공급홀(24a) 및 가스배기홀(24b)이 용액저장공간(23a)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반응몸체(23)의 가스공급홀(23c)에 연결되는 가스유입홀(24c)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반응몸체(23)의 가스유입공간(23b)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스공급홀(23c), 가스유입홀(24c)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버블링 작용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버블홀(25a)이 형성된 버블러(25)를 메인반응조(21)의 내부 바닥에 위치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20)의 홀딩조(22)는 메인반응조(21)를 감싸며 오버플로우관(23d)으로 흘러넘치는 용액이 저장되는 용액저장공간(26a)이 형성된 홀딩몸체(26)와,
    상기 홀딩몸체(26)의 바닥에 가스공급홀(23c), 가스유입홀(24c)로 공급되는 공기가 기체관(24c')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유입공간(27a)이 형성된 상부로 버블작용을 발생시키도록 다수개의 버블홀(27b)이 형성되어 설치되는 버블러(27)와,
    상기 홀딩몸체(26)의 외부로 용액의 최저수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액위센서(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조(22)의 외부 일측에는 내부온도가 반응적정온도인 11℃ 이하로 내려가면 작동되는 히터(29)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KR1020090013938A 2009-02-19 2009-02-19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KR10104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938A KR101045062B1 (ko) 2009-02-19 2009-02-19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938A KR101045062B1 (ko) 2009-02-19 2009-02-19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86A KR20100094786A (ko) 2010-08-27
KR101045062B1 true KR101045062B1 (ko) 2011-06-29

Family

ID=4275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938A KR101045062B1 (ko) 2009-02-19 2009-02-19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425A (ko) * 2019-08-20 2021-03-03 씨트론 주식회사 휴대형 살균가스 발생장치
KR20210125257A (ko) * 2020-04-08 2021-10-18 천석태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722B1 (ko) * 2014-10-14 2016-03-14 한국환경시스템 주식회사 저비용 고효율의 이산화염소 연속 발생장치 및 방법
KR101712021B1 (ko) * 2016-08-29 2017-03-03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1503A (ja) * 1996-09-04 1998-03-31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50016034A (ko) * 2003-08-04 2005-02-21 가부시키가이샤 와키타 이산화염소 제조장치
KR100956516B1 (ko) 2009-01-21 2010-05-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산화염소가스의 연속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1503A (ja) * 1996-09-04 1998-03-31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50016034A (ko) * 2003-08-04 2005-02-21 가부시키가이샤 와키타 이산화염소 제조장치
KR100956516B1 (ko) 2009-01-21 2010-05-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산화염소가스의 연속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425A (ko) * 2019-08-20 2021-03-03 씨트론 주식회사 휴대형 살균가스 발생장치
KR102306113B1 (ko) 2019-08-20 2021-09-28 씨트론 주식회사 휴대형 살균가스 발생장치
KR20210125257A (ko) * 2020-04-08 2021-10-18 천석태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
KR102349309B1 (ko) 2020-04-08 2022-01-07 천석태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86A (ko)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056B1 (ko) 살균수 제조장치
US2005015281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fficient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AU2008337695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using chlorine dioxide
US6855307B2 (en) Pressurized solution feed system for introducing hypochlorous acid to a fluid stream
US60428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sing chlorine dioxide
KR101045062B1 (ko)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US949280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KR101162535B1 (ko) 소독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친환경 살균소독제인 이산화염소수의 제조장치
KR20050016034A (ko) 이산화염소 제조장치
US20160250365A1 (en) An Unpowered Pressurized Chlorine Dioxide Automatic Generating and Mixing Disinfection Device
WO2006090869A1 (ja) 次亜塩素酸又は亜塩素酸を主成分とした殺菌水の生成方法及び装置
KR100884330B1 (ko) 순수한 이산화염소수 제조 장치 및 이산화염소수 제조 방법
US20150273096A1 (en) Chlorine dioxide gas generator
KR20070105343A (ko) 세정액을 제조 및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96649B1 (ko) 순수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US9206063B2 (en) Immersion reactor
KR101162536B1 (ko) THMs등이 생성되지 않는 녹색 친환경 살균소독제인 이산화염소 수용액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3544A (ko)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JP2797070B2 (ja) 連続静的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239003A (ja)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161142A (ja) 殺菌水の連続生成装置
KR100860779B1 (ko)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방법
KR102565677B1 (ko) 대기압이 작용된 반응조와 용해조를 이용한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0264606A (ja)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251971B1 (ko) 동력원 없는 감압 방식 원료 공급 및 반응으로 폭발 위험성을 제거한 이산화염소 가스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