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021B1 -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021B1
KR101712021B1 KR1020160110163A KR20160110163A KR101712021B1 KR 101712021 B1 KR101712021 B1 KR 101712021B1 KR 1020160110163 A KR1020160110163 A KR 1020160110163A KR 20160110163 A KR20160110163 A KR 20160110163A KR 101712021 B1 KR101712021 B1 KR 10171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dioxide gas
gas
ai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029A (ko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메가 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0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61B2090/081Indication means for contamination or di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를 가스로 변환하여 소독하는 의료용 멸균기에 있어서, 황산 원액이 저장되며, 교체 가능한 황산 카트리지와 아염소산나트륨 원액이 저장된 아염소산나트륨 카트리지 및 기화촉진제 원액이 저장된 기화촉진제 카트리지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원액들을 공급받아 상기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 기화촉진제 원액이 혼합되고, 공기 주입과 함께 두 용액을 버블링 작용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반응조로 이루어진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에서 공급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 상기 예비챔버를 통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받고, 멸균 대상물이 수납되는 메인챔버; 상기 메인챔버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진공펌프; 상기 메인챔버에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후,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정화 반응조와,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가 내장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MEDICAL STERILIZATION USING CHLORINE DIOXIDE GAS}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수술용 기구 및 환자 치료용 기구를 멸균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멸균기는 가압증기, 건열멸균, 자외선, 플라즈마, EO GAS, CLO2 등 크게 6가지 방식이 있으며, 멸균 대상에 따라 각각의 특장점을 갖고 있다.
먼저 가압증기의 멸균기는 침투력이 우수하며, 면제품에 좋으나 금속(탄소강)에 녹과 부식을 일으키고, 기수의 날을 무디게 한다. 또 합성수지에 손상을 주고, 멸균 후 건조과정을 별도로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건열멸균기는 제품 저렴하며, 유리, 건조된 화합물, 분말 제품에 좋으나, 멸균시간이 길고, 온도가 높아 금속성 제품에 변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 멸균기는 금속에 녹이나 부식이 생기지 않고 안정적이나, 침투력이 약하여 포장이 크거나 면제품에 적절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멸균기는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103376호에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고주파 전자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전자파 및 활성산소 발생용 기체가 유입되는 반응챔버와 활성산소가 유입되도록 상기 반응챔버와 연통되는 멸균챔버와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한 고주파 전자파를 상기 반응챔버에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단이 상기 마그네트론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반응챔버에 연결되는 런처(launcher)와 상기 런처(launcher)와 반응챔버를 공간적으로 차단하되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전자파는 투과시키도록, 상기 런처(launcher)의 타측단과 상기 반응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고주파 전자파 투과막과 상기 반응챔버 내의 고주파 전자파가 상기 멸균챔버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반응챔버와 상기 멸균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고주파 전자파 차단부와 상기 반응챔버를 일정진공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상기 반응챔버 내에 유입된 고주파 전자파가 플라즈마를 생성하도록 상기 멸균챔버에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플라즈마 멸균기에 있어서는, 멸균시키고자하는 피멸균물과 플라즈마가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폴리머계통의 의료도구는 변색 또는 물질경화와 같은 성질의 변화를 야기시키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EO GAS 멸균기는 고무제품에 좋고, 규모가 큰 병원용에 적합하나, 멸균 시간이 매우 길고, 멸균 후 하루 정도 환기를 요하며, 독성이 있어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취급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렇게, 병원 및 의료시설에서 전염병 방지 및 병원균의 멸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멸균기는 병원의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의료장비를 멸균 처리하거나 또는 1회용 제품의 철저한 멸균관리를 통해 실시하는데 필요한 절대적인 구비 제품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살균탈취처리를 위한 소요시간이 길어지고, 빈번한 재사용은 불가능하였다. 복잡한 세척 장치를 이용하려고 하면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의료기구류를 안전하고, 쉬우면서도 확실하게 살균이나 탈취처리를 할 수 있는 멸균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 살균이나 탈취처리를 행하는 매우 적합한 매체로서 이산화염소의 수용액이나 가스가 알려져 있다. 이산화염소는, 강력한 표백작용이 있다는 사실이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으며, 많은 제조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정화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기화시킨 이산화염소 가스는, 강렬한 자극적인 냄새 등이 없어 안전하면서도, 대상물에 접촉하여 높은 살균, 탈취, 소독 등의 제반 효과를 발휘한다.
각종의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류, 병원균류에 대한 그 살균, 멸균 등의 효과는 현저하며, 단시간에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탈취 효과도 강하고, 화학물질냄새나 부패냄새에 대한 탈취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악취발생원인인 미생물의 번식 자체를 저지하는 효과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103376호 (2009.10.01.)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멸균기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투입되는 화합물이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간단하게 교체 가능하며, 생성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수술용기구나 환자치료용 의료기기를 멸균 하는 것으로 단 시간에 효율적으로 강력한 살균성능과 위험성을 해소하고, 취급의 간편성, 저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EO GAS 멸균기를 대체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멸균기로서 여러 종류의 멸균기의 단점을 보안하고 AI균 까지 박멸할 수 있는 탁월한 멸균력과 최저의 유지비 및 내구성을 가진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개시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는, 교체 가능한 황산 카트리지와 아염소산나트륨 카트리지, 기화촉진제 카트리지가 각각 장착되어 공급되는 원액을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하는 가스 반응조가 내장된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에서 공급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 상기 예비챔버를 통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받고, 멸균 대상물이 수납되는 메인챔버; 상기 메인챔버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진공펌프; 상기 메인챔버에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후 잔여 가스를 흡입하여 정제하는 정화 반응조가 내장된 공기정화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는, 황산 원액이 저장된 황산 카트리지; 아염소산나트륨 원액이 저장된 아염소산나트륨 카트리지; 기화촉진제 원액이 저장된 기화촉진제 카트리지; 상기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 기화촉진제 원액을 공급받아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반응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반응조는, 상기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 기화촉진제 원액이 혼합되고, 공기 주입과 함께 황산원액 및 아염소산나트륨 원액을 버블링 작용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반응조는, 측면에 레벨 스위치가 설치되며, 화합물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부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정화 반응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탱크가 마련되고, 공급되는 원액을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하는 가스 반응조가 내장된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에서 공급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 상기 예비챔버를 통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받고, 멸균 대상물이 수납되는 메인챔버; 상기 메인챔버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진공펌프; 상기 메인챔버에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후 잔여 가스를 흡입하여 정제하는 정화 반응조가 내장된 공기정화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저장된 이산화염소 수용액 탱크;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공급받아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반응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반응조는,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수용되고, 공기 주입과 함께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반응조는, 측면에 레벨 스위치가 설치되며, 화합물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부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정화 반응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는, 교체 가능한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저장된 원액을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하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에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흡착제에 흡착되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장기 저장 및 일정량 배출하는 저장소; 상기 저장소에서 공급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 상기 예비챔버를 통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받고, 멸균 대상물이 수납되는 메인챔버; 상기 메인챔버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진공펌프; 상기 메인챔버에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후 잔여 가스를 흡입하여 정제하는 정화 반응조가 내장된 공기정화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저장된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 내부에 공기 주입과 함께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는, 측면에 레벨 스위치가 설치되며, 화합물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제는,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소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구 측에 레벨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부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정화 반응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는, 교체 가능한 1회용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저장된 원액을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하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에서 공급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 상기 예비챔버를 통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받고, 멸균 대상물이 수납되는 메인챔버; 상기 메인챔버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진공펌프; 상기 메인챔버에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후 잔여 가스를 흡입하여 맑은 공기로 정화시키는 교체 가능한 1회용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가 설치된 공기정화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저장된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 내부에 공기 주입과 함께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는, 측면에 레벨 스위치가 설치되며, 화합물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에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맑은 공기로 정화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수술용기구나 환자치료용 의료기기를 멸균 하는 것으로 실온에서 낮은 농도로 수퍼 박테리아를 단 시간에 효율적으로 강력한 멸균성능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멸균기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투입되는 화합물이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간단하게 교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 및 취급의 간편성에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는 저온 멸균기는 1회 멸균 시간을 1시간 이내로 가능하며, 진공, 충진, 멸균, 배기 및 무해의 공정으로 이루어져 저온 멸균 소독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일부를 제외하여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다른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기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멸균기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확산(Constant Diffusion)과 포집력이 우수한 약산성의 황산과 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한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아염소산나트륨(亞鹽素酸-, sodium chlorite, Natriumchlorit)이라함은 화학대사전 자연과학 > 화학 NaClO2=90.45을 가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법
1) 이산화염소를 수산화나트륨과 반응시키면 얻어진다.
이 용액을 증발시키면 염소산나트륨이 먼저 결정되고 모액에서 아염소산나트륨을 얻을 수가 있다. 염소산염을 포함하지 않도록 만들려면 과산화나트륨(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과산화수소)에 이산화염소를 작용시킨다.
2) 실험실적 제법 : 수산화바륨과 과산화수소와의 혼합물에 이산화염소를 작용시켜 아염소산바륨을 만들고 이것과 황산나트륨을 반응시켜서 얻어진다.
3) 공업적 제법 : 염소산나트륨의 황산 산성 용액을 이산화황에서 환원시켜 얻어지는 이산화염소를 원료로 하고 이것에 수산화나트륨 및 환원제(예를 들면 탄소)를 가한다. 다시 수산화칼슘을 작용시켜서 만든다.
환원제로는 이외에 과산화수소, 과산화물, 금속 분말, 금속 산화물, 황 등도 이용된다.
2. 성질
무수염과 3수화염이 존재하고 전이 온도는 38℃이다. 무수염은 무색 결정성 분말. 약간의 조해성. 물에 쉽게 녹는다. 무수의 NaClO2는 안정하고 350℃에서 30분간 가열해도 분해되지 않지만 보통 함유되는 수분 때문에 130~140℃에서 분해를 시작한다. 수용액은 알칼리성의 경우 빛에 노출시키지 않으면 안정되지만 산성으로 하면 분해하여 이산화염소(폭발성)를 생성한다. 강한 산화제로 유기물이 혼합하면 폭발하기 쉽지만 유기물이 혼재하지 않으면 충격에 의해서는 폭발하지 않는다. 진한 용액은 황과 서서히 반응하므로 고무와 접촉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3. 용도
1) 펄프의 표백(헤미셀룰로오스를 분해하지 않는다)
2) 섬유 제품, 식품의 표백
3) 수도물의 살균.
보통 수용액을 산성으로 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습식법, 고체에 염소 가스를 작용시켜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를 기체상으로 이용하는 건식법의 두 가지 사용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모두 작용이 온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주의
차고 어두운 곳에 보존. 산화되기 쉬운 물질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100)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110), 공기주입기(120), 예비챔버(130), 메인챔버(140), 진공펌프(150), 공기정화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멸균기(100)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110)에 의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110)는 교체 가능한 황산 카트리지(Cartridge)(112)와 아염소산나트륨 카트리지(Cartridge)(114), 기화촉진제 카트리지(115)가 각각 장착되어 공급되는 황산 원액을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하는 가스 반응조(116)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110)는 황산 원액이 저장된 황산 카트리지(112)와 아염소산나트륨 원액이 저장된 아염소산나트륨 카트리지(114) 및 기화촉진제 카트리지(115)를 교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반응조(116)는 상기 황산 카트리지(112)와 아염소산나트륨 카트리지(114), 기화촉진제 카트리지(115)를 통해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으로 화촉진제 원액을 공급받아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황산 카트리지(112)와 아염소산나트륨 카트리지(114), 기화촉진제 카트리지(115)에서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의 원액 및 기화촉진제 원액이 가스 반응조(116)로 일정량 투입된다.
이때, 상기 가스 반응조(116)에서 황산과 아염소산나트륨, 기화촉진제는 액체상태이다.
이렇게 가스 반응조(116)에 황산과 아염소산나트륨, 기화촉진제가 투입되면 공기주입기(120)에서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110)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 반응조(116)는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과, 기화촉진제 원액이 혼합되고, 공기 주입과 함께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을 버블링 작용으로 혼합을 촉진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반응조(116)는 측면에 레벨 스위치(170)가 설치되며, 화합물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이 레벨 스위치(170)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스위치(170)는 가스 반응조(116)에서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넘을 경우 미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를 표시하며 저장소의 저장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펌프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11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1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반응조(116)와 예비챔버(130) 사이에는 듀얼펌프가 구성되며, 상기 듀얼펌프는 공기주입기(1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스 반응조(116)로 공기 투입하고, 가스 반응조(116)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예비챔버(13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반응조(116)의 하단에는 가스 반응조(116)에 남아 있는 여분의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 기화촉진제 원액의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챔버(140)는 멸균할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고, 멸균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같이 예비챔버(13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고 메인챔버(140)에 멸균할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면 진공펌프(150)는 상기 메인챔버(14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150)에는 박테리아 필터(152)가 구성될 수 있다.
이같은 상기 진공펌프(150)에 의해 메인챔버(140)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메인챔버(140) 내부로 이산화염소 가스가 투입되어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메인챔버(140)에서 멸균 대상물의 멸균 처리가 완료되면 잔여 이산화염소 가스는 공기정화부(160)에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16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정화 반응조(162)와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1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160)는 정화 반응조(162)가 내장되어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 반응조(162)에서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정화 반응조(162)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하여 정화된 공기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정화 반응조(162)는 공기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공기질 측정기(164)를 통해 확실히 정화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멸균기(100)는 제어부에 의해 각 단계별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멸균기(100)는 이산화염소 가스로 단시간에 슈퍼박테리아 등 병원성 세균과 수술용 기구의 표피에 붙어 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멸균소독을 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210), 공기주입기(220), 예비챔버(230), 메인챔버(240), 진공펌프(250), 공기정화부(260)를 포함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210)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탱크(212)가 마련되고, 공급되는 원액을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하는 가스 반응조(214)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210)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저장된 수용액 탱크(212)를 통해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가스 반응조(214)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반응조(214)는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공급받아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탱크(212)에서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가스 반응조(214)로 일정량 투입된다.
이때, 상기 가스 반응조(214)에서 이산화염소 수용액은 액체상태이다.
이렇게 가스 반응조(214)에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투입되면 공기주입기(220)에서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210)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 반응조(214)에서 이산화염소 수용액과 공기 주입으로 버블링 작용으로 혼합을 촉진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반응조(214)는 측면에 레벨 스위치(270)가 설치되며, 화합물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이 레벨 스위치(270)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스위치(270)는 가스 반응조(214)에서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넘을 경우 미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를 표시하며 저장소의 저장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펌프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21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2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반응조(214)와 예비챔버(230) 사이에는 듀얼펌프가 구성되며, 상기 듀얼펌프는 공기주입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스 반응조(214)로 공기 투입하고, 가스 반응조(214)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예비챔버(23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반응조(214)의 하단에는 가스 반응조(214)에 남아 있는 여분의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챔버(240)는 멸균할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고, 멸균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같이 예비챔버(23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고 메인챔버(240)에 멸균할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면 진공펌프(250)는 상기 메인챔버(24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250)에는 박테리아 필터(252)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250)에 의해 메인챔버(240)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메인챔버(240) 내부로 이산화염소 가스가 투입되어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메인챔버(240)에서 멸균 대상물의 멸균 처리가 완료되면 잔여 이산화염소 가스는 공기정화부(260)에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26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정화 반응조(262)와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2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260)는 정화 반응조(262)가 내장되어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 반응조(262)에서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정화 반응조(262)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하여 정화된 공기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정화 반응조(262)는 공기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공기질 측정기(264)를 통해 확실히 정화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멸균기(100)는 제어부에 의해 각 단계별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멸균기(100)는 이산화염소 가스로 단시간에 슈퍼박테리아등 병원성 세균과 수술용 기구의 표피에 붙어 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멸균소독을 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310), 공기주입기(320), 저장소(330), 예비챔버(340), 메인챔버(350), 진공펌프(360), 공기정화부(370)를 포함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310)는 교체 가능한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가 장착되어 저장된 원액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할 수 있다. 이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이 가스 반응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310)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저장된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를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즉,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는 내부에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에서 이산화염소 수용액는 액체상태이다.
이렇게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에 저장된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공기주입기(320)에서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에서 이산화염소 수용액과 공기 주입으로 버블링 작용으로 혼합을 촉진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는 측면에 레벨 스위치(380)가 설치되며, 화합물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이 레벨 스위치(380)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스위치(380)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에서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넘을 경우 미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를 표시하며 저장소의 저장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펌프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31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소(3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와 저장소(330) 사이에는 듀얼펌프가 구성되며, 상기 듀얼펌프는 공기주입기(3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로 공기 투입하고,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소(33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의 하단에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312)에 남아 있는 여분의 이산화염소 수용액의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저장소(330)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310)에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흡착제(332)에 흡착되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장기 저장 및 일정량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착제(332)는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의 흡착제(332)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착시켜 안전하게 장기 보존이 가능하고 예비챔버(340)로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소(330)에 저장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일정량으로 예비챔버(34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예비챔버(340)는 메인챔버(350)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투입하기 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인챔버(350)는 멸균할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고, 멸균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같이 예비챔버(34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고 메인챔버(350)에 멸균할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면 진공펌프(360)는 상기 메인챔버(35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360)에는 박테리아 필터(362)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360)에 의해 메인챔버(350)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메인챔버(350) 내부로 이산화염소 가스가 투입되어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메인챔버(350)에서 멸균 대상물의 멸균 처리가 완료되면 잔여 이산화염소 가스는 공기정화부(270)에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27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정화 반응조(372)와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37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370)는 정화 반응조(372)가 내장되어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 반응조(372)에서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정화 반응조(372)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하여 정화된 공기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정화 반응조(372)는 공기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공기질 측정기(374)를 통해 확실히 정화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410), 공기주입기(420), 예비챔버(430), 메인챔버(440), 진공펌프(450), 공기정화부(460)를 포함한다.
먼저, 본 실시예서는 이산화염소가스를 물에 용해하여 1회용 카트리지에 충진하여 제작된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를 멸균할 때마다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는 것이다.
또한 멸균 작업을 마친 이산화염소 가스의 특성을 소멸시키기 위하여 티오황산소다를 카트리지에 충진시켜 이산화염소 카트리지(412)와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462)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멸균기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는 활성탄(414)의 포기장치로 기화기능을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410)는 교체 가능한 1회용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가 장착되어 저장된 원액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로 전환할 수 있다. 이 1회용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는 가스 반응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는 내부에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410)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저장된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를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는 1회용으로 1회의 멸균 처리 후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에서 이산화염소 수용액은 액체상태이다.
이렇게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에 저장된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공기주입기(420)에서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에서 이산화염소 수용액과 공기 주입으로 버블링 작용으로 혼합을 촉진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는 측면에 레벨 스위치(470)가 설치되며, 화합물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이 레벨 스위치(470)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 또는 작동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스위치(470)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에서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넘을 경우 미리 용량을 확인하여 경고를 표시하며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펌프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41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4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410)와 예비챔버(430) 사이에는 듀얼펌프가 구성되며, 상기 듀얼펌프는 공기주입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로 공기 투입하고,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예비챔버(23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의 하단에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에 남아 있는 여분의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챔버(440)는 멸균할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고, 멸균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같이 예비챔버(43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고 메인챔버(440)에 멸균할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면 진공펌프(450)는 상기 메인챔버(44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450)에는 박테리아 필터(452)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450)에 의해 메인챔버(440)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메인챔버(440) 내부로 이산화염소 가스가 투입되어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메인챔버(440)에서 멸균 대상물의 멸균 처리가 완료되면 잔여 이산화염소 가스는 공기정화부(460)에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460)는 메인챔버(440)에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후 잔여 가스를 흡입하여 맑은 공기로 정화시키는 교체 가능한 1회용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462)와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4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462)는 1회용으로 1회의 공기정화 처리 후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1회용인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462)와 이산화염소 수용액 카트리지(412)는 멸균 때마다 동시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462)는 공기정화부(460)에 내장되어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맑은 공기로 정화할 수 있다.
상기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462)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하여 정화된 공기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462)는 공기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공기질 측정기(464)를 통해 확실히 정화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멸균기(100)는 제어부에 의해 각 단계별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멸균기(100)는 이산화염소 가스로 단시간에 슈퍼박테리아등 병원성 세균과 수술용 기구의 표피에 붙어 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멸균소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멸균기(100)는 제어부에 의해 각 단계별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멸균기(100)는 연속동작이 가능하며,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는 저온 멸균기(100)는 1회 멸균 시간을 1시간 이내로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멸균기(100)는 이산화염소 가스로 단시간에 슈퍼박테리아등 병원성 세균과 수술용 기구의 표피에 붙어 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멸균소독을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멸균기 110: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120:공기주입기 130:예비챔버
150:진공펌프 160:공기정화부
164:공기질 측정기 170:레벨 스위치
210: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212:이산화염소 수용액 탱크
214:가스 반응조
220:공기주입기 230:예비챔버
240:메인챔버 250:진공펌프
252:박테리아 필터 260:공기정화부
262:정화 반응조 264:공기질 측정기
270:레벨 스위치 310: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320:공기주입기 330:저장소
340:예비챔버 350:메인챔버
360:진공펌프 370:공기정화부
372:정화 반응조 374:공기질 측정기
380:레벨 스위치 410: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420:공기주입기 430:예비챔버
440:메인챔버 450:진공펌프
460:공기정화부 464:공기질 측정기
470:레벨 스위치

Claims (3)

  1. 이산화염소를 가스로 변환하여 소독하는 의료용 멸균기에 있어서,
    황산 원액이 저장되며, 교체 가능한 황산 카트리지와 아염소산나트륨 원액이 저장된 아염소산나트륨 카트리지 및 기화촉진제 원액이 저장된 기화촉진제 카트리지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원액들을 공급받아 상기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 기화촉진제 원액이 혼합되고, 공기 주입과 함께 황산 원액과 아염소산나트륨 원액을 버블링 작용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반응조로 이루어진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에서 공급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장하는 예비챔버;
    상기 예비챔버를 통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받고, 멸균 대상물이 수납되는 메인챔버;
    상기 메인챔버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진공펌프;
    상기 메인챔버에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후, 이산화염소 가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정화 반응조와,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화학 반응화로 정화된 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질 측정기가 내장되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에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흡착제에 흡착되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장기 저장 및 일정량 배출하는 저장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에는
    상기 메인챔버에서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 후 잔여 가스를 흡입하여 맑은 공기로 정화시키는 교체 가능한 1회용 티오황산소다 카트리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KR1020160110163A 2016-08-29 2016-08-29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KR10171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63A KR101712021B1 (ko) 2016-08-29 2016-08-29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63A KR101712021B1 (ko) 2016-08-29 2016-08-29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351A Division KR20160053458A (ko) 2014-11-04 2014-11-04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029A KR20160106029A (ko) 2016-09-09
KR101712021B1 true KR101712021B1 (ko) 2017-03-03

Family

ID=5693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63A KR101712021B1 (ko) 2016-08-29 2016-08-29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91B1 (ko) * 2021-04-19 2021-10-19 주식회사 엔에이치 이동형 살균가스 발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79B1 (ko) 2007-11-14 2008-09-3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방법
JP2012046375A (ja) * 2010-08-26 2012-03-08 Amatera:Kk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放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40B1 (ko) 2008-03-28 2009-10-27 마이다스시스템주식회사 플라즈마 멸균기
KR101045062B1 (ko) * 2009-02-19 2011-06-29 김철원 살균수 제조장치의 반응조
KR101131607B1 (ko) * 2009-05-29 2012-03-30 최병현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79B1 (ko) 2007-11-14 2008-09-3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방법
JP2012046375A (ja) * 2010-08-26 2012-03-08 Amatera:Kk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放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91B1 (ko) * 2021-04-19 2021-10-19 주식회사 엔에이치 이동형 살균가스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029A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rti et al. Recent advances in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echnology: A review
KR101761728B1 (ko) 살균 방법 및 장치
US6096266A (en) Method for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microbial contaminated materials
KR100371073B1 (ko) 액체 이산화탄소 및 uv-조사를 사용하는 살균법
US20060037869A1 (en) Scented electrolysis product
KR20060066056A (ko) 개량된 오존 살균 방법
KR20120028413A (ko)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20160053458A (ko)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KR101712021B1 (ko)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KR101824245B1 (ko) 의료용 멸균기의 일회용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6047699B2 (ja) オゾン含有水溶液の製造方法、製造装置およびオゾン含有水溶液
WO2020183696A1 (ja) 滅菌方法及び滅菌装置
CN111036612A (zh) 侵入式医疗器材清洗消毒灭菌装置
WO2016104335A1 (ja) オゾン水消毒方法およびオゾン水消毒機
KR20090078892A (ko) 오존살균수 및 산소수 제조장치
US20070110611A1 (en) Method of Disinfecting Items In a Vacuum Using Ozone
Dusseau et al. Sterilization: Gaseous Sterilization
Lambert Radiation sterilization
KR200490394Y1 (ko)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용 공급케이블
Dusseau1 et al. Gaseous sterilization
US20230141766A1 (en) Sterilizing method and sterilizer
GB2364914A (en) Sterilisation
AU2013201185B2 (en) Ster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MX2013012958A (es) Un esterilizador que utiliza peroxido de hidrogeno con un sistema integrado con filtros a base de luz ultravioleta y un compuesto seleccionado de permanganato de potasio en combinacion con carbon activado y/o dioxido de manganeso entre otros, y un proceso de esterilizacion.
Thorogood A History of Isolator and Containment Technology, Part 5: Development and use of sterilising agents with associate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