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365B1 -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 - Google Patents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365B1
KR101044365B1 KR1020100082892A KR20100082892A KR101044365B1 KR 101044365 B1 KR101044365 B1 KR 101044365B1 KR 1020100082892 A KR1020100082892 A KR 1020100082892A KR 20100082892 A KR20100082892 A KR 20100082892A KR 101044365 B1 KR101044365 B1 KR 10104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bar
spacing
thickness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림
Original Assignee
한국철강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강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철강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8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는 철근망 사이의 상호 간격 및 거푸집과 철근망 사이의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에 있어서, 철근망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철근망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철근망 간격 유지부;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철근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철근의 외경 보다 작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경이 철근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환형을 이루되, 내경의 중심이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철근을 고정할 수 있는 철근 고정부; 상기 철근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단부가 거푸집에 접촉되어 철근망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피복 두께 유지부; 및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무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 철근 고정부 및 피복 두께 유지부는 직선 형태의 환봉을 벤딩 가공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Wire mesh spacer}
본 발명은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근으로 사용되는 철근망을 배근할 때 철근망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철근망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도 유지할 수 있는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 벽체를 세울 경우 일반적으로 거푸집을 고정하고 그 내부에 철근망을 설치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공법이 많이 사용된다.
이때 거푸집 내에 설치되는 철근망은 상호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양호하게 양생 되고 콘크리트의 강도가 확보되게 된다.
또한 철근망과 거푸집 간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간격을 피복 두께라고 하는데, 좀더 설명하면 철근의 피복 두께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의 부식이나 화재, 열 등으로부터 철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철근을 콘크리트로 감싼 두께를 말한다.
따라서, 철근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의 피복 두께 확보 및 콘크리트의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철근 콘크리트의 구조물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종래 건축현장에서는 철근망과 철근망 사이, 철근망과 거푸집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간격 유지구(Spacer)를 끼워 넣어 철근망의 위치 확보와 큰크리트 타설 중에 작용하는 시공 하중 및 진동에 대하여 철근망이 움직이지 않도록 해준다.
보통 철근망과 철근망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격된 철근 사이에 철근망 간격 유지구를 삽입하고, 철근망과 거푸집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최외측 철근에는 피복 두께 유지구를 따로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별도의 간격 또는 두께 유지구를 따로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시 매우 번거롭고 철근망의 크기가 커지면 간격 유지에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간격 또는 두께 유지구의 재질이 폴리스틸렌계 발포체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어서 콘크리트 타설시 형상이 변형되거나 적절한 위치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철근망에 간격 유지구 또는 두께 유지구를 삽입한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구조물 내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초래하여 적절한 콘크리트 강도를 획득할 수 없어 부실 시공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철근망 간격 유지구와 피복 두께 유지구를 일체로 형성시켜 작업자가 짧은 시간 내에 용이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철근망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철근망 사이의 상호 간격 및 거푸집과 철근망 사이의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에 있어서, 철근망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철근망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철근망 간격 유지부;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철근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철근의 외경 보다 작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경이 철근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환형을 이루되, 내경의 중심이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철근을 고정할 수 있는 철근 고정부; 상기 철근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단부가 거푸집에 접촉되어 철근망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피복 두께 유지부; 및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무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 철근 고정부 및 피복 두께 유지부는 직선 형태의 환봉을 벤딩 가공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환봉이나 철근을 벤딩 가공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철근망의 간격유지와 피복 두께 유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작업자가 빠른 시간 내에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서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콘크리트 타설시 형상이 변형되거나 적절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구조물의 또 다른 보강근으로 작용하여 콘크리트 강도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를 나타내는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를 나타내는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를 나타내는 외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철근망 간격 유지부(10), 철근 고정부(20), 피복 두께 유지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10)는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봉 또는 빔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거푸집(200) 속에 삽입하는 철근망(100)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철근망(100) 사이의 간격을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10)의 길이는 시공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10)는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직선 형태의 부재가 일반적일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목적을 위해 다른 형태의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철근 고정부(20)는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10)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철근 고정부(20)의 형상은 대략 환형의 고리 형상일 수 있으며 일측이 열린 개구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근 고정부(20)에는 철근(100')이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철근 고정부(20)의 내경은 철근(1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2)는 철근(100')이 삽입되는 통로인데, 상기 개구부(22)의 크기가 철근(10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상기 철근 고정부(20)에 삽입된 철근(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22)의 크기가 철근(100')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철근 고정부(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봉이나 빔과 같은 부재를 벤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22)의 입구가 철근(100')의 직경 보다 작아도 탄성을 가지므로 철근(100')을 상기 개구부(22)에 밀착하고 가압하면 상기 개구부(22)가 벌어지고 철근(100')이 미끄러지면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30)는 상기 철근 고정부(2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거푸집(200) 표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30) 역시 봉 또는 빔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거푸집(200)과 철근망(100)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거푸집(200)과 철근망(100)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고 유지한다.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30)의 길이도 시공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직선 형태의 부재가 일반적일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목적을 위해 다른 형태의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근 고정부(20)와 피복 두께 유지부(30)가 연결되는 부분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또 다르게 도 2에서와 같이 직선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봉이나 빔 부재를 벤딩 가공하여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제작이 간단하고 시간이 절약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모든 구성들은 철근과 동일한 재질과 외형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콘크리트 내부에서 이물질이 아니라 또 다른 보강근으로서의 기능을 일부 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도 1과 도 2에 표시된 것처럼 상기 철근 고정부(20)의 중심과 상기 철근 간격 유지부(10)의 중심선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것은 상기 철근 고정부(20)에 삽입된 철근의 중심이 상기 철근 간격 유지부(10)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철근이 받는 압력이 상기 철근 간격 유지부(10)에 압축력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만일,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철근 간격 유지부(10)는 굽힘 응력을 받아 벤딩될 우려가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30)의 단부에는 고무캡(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30)의 단부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되면 벽체의 외부 표면에 드러날 수 있으므로 상기 고무캡(40)을 미리 씌움으로써 외부에 드러나는 것을 막아줄 뿐 아니라 외기와 접하여서 녹쓸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30)의 단부가 거푸집(200) 표면에 접촉할 때 거푸집(200)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캡(40)은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30)에 부착될 수도 있고, 덧씌워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작업은 거푸집(200) 내에 한 쌍의 철근망(100)을 세운 후 본 발명을 철근망(100)에 고정할 수도 있고, 외부에서 미리 철근망(100)을 본 발명에 의해서 조립한 다음 거푸집(2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철근망(100)에 본 발명을 조립하는 방법은 마주보는 수직방향 철근(100')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밀려 들어가도록 작업자가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면 상기 개구부(22)가 탄성에 의해 벌어지면서 철근(100')이 상기 철근 고정부(2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22)는 복원되어 좁아지며 이로 인해 철근(100')은 빠지지 않는다.
이렇게 조립된 형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물론 본 발명은 다수 개를 상하 및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하여 한 쌍의 철근망(10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평방향 철근에 본 발명을 조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철근망(1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철근망(100)과 양 거푸집(200) 사이의 피복 두께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철근망(100)이 밀리거나 진동하지 않게 되어 안정된 시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철근망 간격 유지부
20 : 철근 고정부 22 : 개구부
30 : 피복 두께 유지부
40 : 고무캡
100 : 철근망 100' : 철근
200 : 거푸집

Claims (4)

  1. 철근망 사이의 상호 간격 및 거푸집과 철근망 사이의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에 있어서,
    철근망(100)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철근망(1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철근망 간격 유지부(10);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10)의 양단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철근(100')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철근(100')의 외경 보다 작은 개구부(22)가 형성되며, 내경이 철근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환형을 이루되, 내경의 중심이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10)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철근(100')을 고정할 수 있는 철근 고정부(20);
    상기 철근 고정부(2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단부가 거푸집(200)에 접촉되어 철근망(100)과 거푸집(2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피복 두께 유지부(30); 및
    상기 피복 두께 유지부(30)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무캡(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철근망 간격 유지부(10), 철근 고정부(20) 및 피복 두께 유지부(30)는 직선 형태의 환봉을 벤딩 가공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82892A 2010-08-26 2010-08-26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 KR10104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92A KR101044365B1 (ko) 2010-08-26 2010-08-26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92A KR101044365B1 (ko) 2010-08-26 2010-08-26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365B1 true KR101044365B1 (ko) 2011-06-29

Family

ID=4440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92A KR101044365B1 (ko) 2010-08-26 2010-08-26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3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106Y1 (ko) * 1990-07-21 1996-03-14 김길자 콘크리트용 철근 심체홀더
KR200234871Y1 (ko) * 2001-03-10 2001-10-08 이상진 철근간격유지구
KR20020034871A (ko) * 2000-10-31 2002-05-09 유겐가이샤 피에덱크 기쥬츠 켄큐쇼 굴곡 모드 수정 진동자
KR100498815B1 (ko) * 2005-01-29 2005-07-01 주식회사 일호 거푸집조립체를 이용한 슬라브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100774286B1 (ko) * 2006-08-28 2007-11-08 삼광선재 주식회사 철근 받침대 제조방법 및 철근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106Y1 (ko) * 1990-07-21 1996-03-14 김길자 콘크리트용 철근 심체홀더
KR20020034871A (ko) * 2000-10-31 2002-05-09 유겐가이샤 피에덱크 기쥬츠 켄큐쇼 굴곡 모드 수정 진동자
KR200234871Y1 (ko) * 2001-03-10 2001-10-08 이상진 철근간격유지구
KR100498815B1 (ko) * 2005-01-29 2005-07-01 주식회사 일호 거푸집조립체를 이용한 슬라브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100774286B1 (ko) * 2006-08-28 2007-11-08 삼광선재 주식회사 철근 받침대 제조방법 및 철근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22153A (ja) 2軸のプレストレス補強を有するセメント−モルタルパネルの機能システム
KR101258188B1 (ko) 건축물 콘크리트벽 단열재 연결장치
KR101750701B1 (ko) 강관버팀보 및 주형보를 이용한 처짐 방지모듈
KR101821630B1 (ko) 전단보강 하프 피씨 슬래브 구조체 및 시공방법
KR101789320B1 (ko) 콘크리트 타설 이동 칸막이폼
JP6960082B2 (ja) コンクリート吹付けによる躯体構築方法
KR100847547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보강용 장치 및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US10640967B2 (en) Structural element for thermal insulation
KR101044365B1 (ko) 철근망의 간격 및 피복 두께 유지구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JP6431708B2 (ja) 二重鉄筋籠構造、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WO2019064404A1 (ja) 鉄筋用スペーサ
KR101460595B1 (ko) 고정 정착장치를 이용한 피에스(p.s) 거더의 제작방법
KR102128291B1 (ko) 철근 콘크리트 천장의 단열재 고정장치
JP2006283287A (ja) 籠体、版状部材の配筋方法および版状部材
JP6324105B2 (ja) コンクリート打継ぎ方法
KR100452976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스틸플레이트 보강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KR101846245B1 (ko) 나선형 횡보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기둥 시공방법
KR101609616B1 (ko) 중공슬래브 형성을 위한 철골 수평 조립체
JP6587802B2 (ja) 配筋用スペーサおよび配筋方法
JP3185863U (ja) クリンプ金網
JP4939372B2 (ja) 中空壁工法
KR102234463B1 (ko) 전단보강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보강 구조
KR102667805B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102178265B1 (ko) 기설 콘크리트 벽체의 내진보강장치 및 내진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