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667B1 -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667B1
KR101043667B1 KR1020080109012A KR20080109012A KR101043667B1 KR 101043667 B1 KR101043667 B1 KR 101043667B1 KR 1020080109012 A KR1020080109012 A KR 1020080109012A KR 20080109012 A KR20080109012 A KR 20080109012A KR 101043667 B1 KR101043667 B1 KR 10104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antenna
signal
antenna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954A (ko
Inventor
김혁제
이종문
이윤주
손성호
전순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6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17Measuring dielectric properties, e.g. const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는,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들간 거리와 송신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로부터 신호 감쇠 데이터를 공급받아 다수의 안테나들 중 임의로 선택된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RF 송신 신호의 전력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결정된 RF 송신 신호의 전력을 기초로 RF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토모그래피(tomograph), 단층촬영.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MICROWAVE TOMOGRAPH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2007-F-043-02, 전자파 기반 진단 및 방호 기술 연구].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Microwave Tomography) 기술이란, 500MHz ~ 3000MHz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 신호의 전파(propagation) 특성을 이용하여, 피 측정 물체 내부의 유전율 또는 도전율 분포를 알아내는 기술이다. 피 측정 물체는 내부의 성분을 알고자 하는 임의의 물체일 수도 있고 또는 인체의 일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는 공항 검색대 또는 인체의 암 탐지 등의 응용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면,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는, 전자파 송수신 장치(10)와, 전자파를 노출시키는 탱크(20)로 구성된다. 탱크(20)는 매칭 액체(60)로 채워진다. 매칭 액체(60)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들(30a, 30b, …, 30p)간 간섭을 줄이고, 피 측정 물체(40) 표면에서 RF 신호가 반사되는 것을 억제한다. 탱크(20)는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을 구비한다.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은 원형으로 배열되어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과 전자파 송수신 장치(10)는 RF 케이블들(50a, 50b, …, 50p)로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이하에서 살펴본다. 피 측정 물체(40)가 탱크(20) 안의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 사이에 위치하면, 전자파 송수신 장치(10)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RF 신호를 발생하고, 이 RF 신호를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 중 송신 안테나인 제 1 안테나(30a)로 공급한다. 제 1 안테나(30a)에서 방사된 RF 신호는 매칭 액체(60)와 피 측정 물체(40)를 통과하여, 제 1 안테나(30a)를 제외한 다수의 안테나들(30b,…, 30p)을 통해 전자파 송수신 장치(10)로 수신된다. 이렇게 수신된 RF 신호로부 터 역산란 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피 측정 물체(40) 내부의 유전율 및 도전율 정보를 계산한다.
한편, 매칭 액체(60)에 의해 RF 신호 전달 특성이 주파수와 안테나간 거리에 따라 다른데,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에서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간 위치와 주파수에 따른 RF 신호의 감쇠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탱크(20) 내에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과 매칭 액체(60)만 존재하는 경우에 각각 안테나들(30a, 30b, …, 30p)간 RF 신호의 전달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이 그래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간 위치와 매칭 액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에 있어서, 안테나 번호는, 송신 안테나인 제 1 안테나(30a)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수신 안테나들(30b,…, 30p)을에 번호를 매긴 것이다. 즉, 안테나 번호 1은 제 2 안테나(30b)를, 안테나 번호 2는 제 3 안테나(30c)를, 안테나 번호 15는 제 16 안테나(30p)를 가리킨다.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주파수와 안테나 번호에 따라 송신 안테나(30a)에서 방사되어 1 ~ 15번 안테나로 수신되는 RF 신호의 감쇠가 약 -30dB 에서 -130dB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파수가 높을수록 감쇠가 크게 나타나며,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의 거리가 멀수록 감쇠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용자는 410단계에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에 송신 전력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할 전력이 결정된다. 이후 420단계에서 운용자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에 송신할 주파수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주파수는 운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몇 개의 주파수들 중에서 임의로 하나가 선택된다. 이후, 430단계에서 송신 채널, 즉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 중에서 RF 신호를 송신할 송신 안테나(30a)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410 ~ 430단계를 통해 송신 안테나(30a)를 통해 전송할 신호의 전력, 주파수 및 송신 채널이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면 송신 안테나(30a)에서는 위와 같이 결정된 전력, 주파수 및 송신 채널로 RF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RF 송신 신호가 송신되면, 440단계에서 다른 안테나들(30b,…, 30p)은 모두 수신 안테나로 동작하며, 여기서는 이를 수신 채널로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각 안테나들 즉, 모든 수신 채널들은 송신 채널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동시에 수신한다.
다음으로, 450단계에서는 모든 송신 채널에서 RF 송신 신호의 송신을 완료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앞서 430단계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30a)를 제외한 다른 안테나들이 송신 안테나로서 RF 송신 신호를 송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모든 안테나들(30a, 30b, …, 30p)이 송신 안테나로서 RF 송신 신호를 송신한 경우에는, 460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모든 주파수들을 이용하여 RF 송신 신호를 송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모든 주파수들에 대해서도 RF 송신 신호를 송신한 경우에는 측정을 완료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주파수를 선택하고 그 이후의 단계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위치 및 주파수에 따라 100dB 이상의 신호레벨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자파 송수신 장치(10)에는 매우 넓은 동작 영역(dynamic range) 성능 특성을 가진 수신 장치가 포함되어야 한다. 만약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감쇠가 큰 안테나 위치, 예를 들어 안테나 번호 8(30h)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수신 장치의 잡음 레벨 밑에 존재하게 되고, 감쇠가 적은 안테나 위치, 예를 들어 안테나 번호 1(30b) 또는 안테나 번호 15(30p)로 수신되는 신호는 수신 장치의 포화 레벨 위에 존재하게 되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다. 그리고 매우 넓은 동작 영역 성능 특성을 갖는 수신 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가격 상승과 성능 저하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작 영역 특성이 높은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작 영역 특성이 높은 수신기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적 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들간 거리와 송신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로부터 신호 감쇠 데이터를 제공받아 다수의 안테나들 중 임의로 선택된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RF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연산된 RF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기초로 RF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들 중에서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을 선택하는 제 1 과정과, 송신 채널에서 방사될 RF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송신 전력을 선택하는 제 2 과정과, 선택된 송신 전력을 기초로 RF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RF 송신 신호를 송신 채널을 통하여 방사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사용하면, 동작 영역 특성을 높일 수 있고,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동작 영역 특성 이 높은 수신기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당업자에게 자명한 부분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이며, 각 제조 회사 또는 연구 그룹에서는 동일한 용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용어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500)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전자파 송수신 장치(1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전자파 송수신 장치(10)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전자파 송수신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500)는, 메모리(510)와, 제어부(520)와, 전력 증폭부(530)를 포함한다.
메모리(510)는,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간 거리와 송신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쇠 데이터를 저장한다. 신호 감쇠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 1 안테나(30a)에서 송신된 RF(radio frequency) 신호가 소정 거리로 이격된 제 2 안테나(30b)로 수신되었을 때, 제 2 안테나(30b) 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 신호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로 송신 신호가 감쇠되었는지를 데이터화한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룩 업 테이블 형식으로 메모리(5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감쇠 데이터는 주파수 또는 안테나간 거리에 따라 달라짐은 앞서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다. 이렇게 주파수별 또는 안테나간 거리별 신호 감쇠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제어부(520)가 이 데이터를 요구하면 이를 제어부(520)로 제공한다.
또한, 메모리(510)는, 주파수별 또는 안테나간 거리에 따른 신호 감쇠를 보상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이하에서는 신호 보상 데이터라 칭한다. 신호 보상 데이터는 상술한 신호 감쇠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것으로서, 룩 업 테이블 형식으로 메모리(5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보상 데이터는 주파수별 또는 안테나간 거리에 따른 신호 감쇠량에 근거하여 미리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될 송신 전력을 결정한 데이터이다.
제어부(520)는,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 중에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고, 임의로 선택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간 거리 또는 송신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쇠 데이터를 메모리(520)로부터 제공받아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연산한다. 송신 전력의 연산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송신 주파수가 결정된 상태에서 송신 안테나가 제 1 안테나(30a)로 선택되고, 수신 안테나로 제 2 안테나(30b)가 선택되면, 제 1 안테나(30a)와 제 2 안테나(30b)는 서로 가장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므로 낮은 레벨의 송신 전력을 연산한다. 그리고, 만약 제 8 안테나(30h)가 수신 안테나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제 1 안테 나(30a)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제 8 안테나(30h)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레벨의 송신 전력을 연산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간 거리뿐만 아니라 송신 주파수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연산한다. 임의로 선택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간 거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송신 주파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감쇠가 커지므로 높은 레벨의 송신 전력을 연산하고, 송신 주파수가 낮으면 낮을수록 감쇠가 작아지므로 낮은 레벨의 송신 전력을 연산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메모리(510)로부터 신호 보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신호 보상 데이터에 의한 송신 전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20)는, 송신 주파수와 안테나간 거리 또는 송신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쇠 데이터 또는 신호 보상 데이터를 메모리(510)로부터 제공받아, 송신 신호의 전력을 결정한다.
전력 증폭부(530)는, 제어부(520)에서 선택한 송신 전력을 기초로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RF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500)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수신 동작 영역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수신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동작 영역 특성이 높은 수신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 유의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10단계에서는 송신 채널을 선택한다.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에서,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 30p) 중 임의로 하나의 안테나를 송신 안테나로 선택하는 단계이다. 송신 채널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제 1 안테나(30a)부터 제 15 안테나(30p)까지 차례대로 선택되어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안테나(30a)를 송신 채널로 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620단계에서는 수신 채널을 선택한다. 610단계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30a)를 제외한 다수의 안테나들(30b,…, 30p) 중 하나를 수신 안테나로 선택한다. 수신 채널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제 1 안테나(30a)부터 제 15 안테나(30p)까지 차례대로 선택되어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안테나(30b)를 수신 채널로 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630단계에서는 제 1 안테나(30a)에서 방사될 RF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전력을 선택한다. 제 1 안테나(30a)를 통하여 방사될 RF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전력의 선택은, 제어부가 610단계와 620단계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30a)와 수신 안테나(30b) 사이의 거리 또는 송신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쇠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신호 감쇠 데이터는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 또 는 송신 주파수를 기초로 한 데이터이다. 즉, 송신 주파수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가 거리가 멀수록 크다. 따라서 제 1 안테나(30a)와 제 2 안테나(30b)간 거리와 송신 주파수를 고려하여 제 1 안테나(30a)에서 방사될 RF 송신 신호의 주파수와 전력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 1 안테나(30a)가 송신 안테나이고 제 2 안테나(30b)가 수신 안테나인 경우에 선택한 송신 전력은, 제 1 안테나(30a)가 송신 안테나이고 제 8 안테나(30h)가 수신 안테나인 경우에 선택한 송신 전력보다 더 작은 레벨 값을 갖는다. 또한, 송신 주파수와 송신 전력의 선택은 신호 보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640단계에서는 630단계에서 선택된 송신 주파수와 송신 전력을 고려하여 송신 안테나(30a)에서 방사되는 RF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제 1 안테나(30a)가 방사한다.
다음으로, 650단계에서는 620단계에서 선택된 제 2 안테나(30b)를 통하여 제 1 안테나(30a)에서 방사된 RF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660단계에서는 제 2 안테나(30b) 이외의 다른 안테나들(30c,…, 30p)로도 제 1 안테나(30a)에서 방사된 RF 송신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 2 안테나(30b)를 포함한 모든 수신 안테나들(30c,…, 30p)에 대하여 RF 송신 신호가 수신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 2 안테나(30b) 이외의 다른 수신 안테나들(30c,…, 30p) 중 어느 하나의 수신 안테나에서라도 RF 송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면, 620단계로 진행하고, 모든 수신 안테나(30b,…, 30p)가 RF 송신 신호를 수신하였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670단계에서는 제 1 안테나(30a)를 제외한 다른 모든 안테나들(30b,…, 30p)이 송신 채널로 선택되어 RF 송신 신호를 방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 1 안테나(30a)를 제외한 다른 모든 안테나들(30b,…, 30p)이 송신 채널로서 RF 송신 신호를 송신하였다면, 측정을 종료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재측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수신 동작 영역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수신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동작 영역 특성이 높은 수신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적인 이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에서 다수의 안테나들(30a, 30b,…, 30p)의 위치와 주파수에 따른 RF 신호의 감쇠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8)

  1.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에서 각 안테나마다 송신 안테나로 동작 시에 수신 안테나와의 거리와 송신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 중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에 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신호 감쇠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결정된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RF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상기 신호 감쇠 데이터만큼 보상되도록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상기 RF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기초로 상기 RF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
  2.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에서 각 안테나마다 송신 안테나로 동작 시에 수신 안테나와의 거리와 송신 주파수에 따른 신호 보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 중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에 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신호 보상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결정된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RF 송신 신호의 전력을 상기 신호 보상 데이터만큼 보상되도록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상기 RF 송신 신호의 전력을 기초로 상기 RF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
  3.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 중에서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을 선택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송신 채널에서 방사될 RF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송신 전력을 선택하는 제 2 과정과,
    선택된 상기 송신 전력을 기초로 상기 RF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상기 RF 송신 신호를 상기 송신 채널을 통하여 방사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채널로 방사된 상기 RF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 중에서 상기 송신 채널과 상기 수신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수신 채널로 상기 RF 송신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 중에서 상기 송신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송신 채널로 상기 RF 송신 신호가 방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6 과정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상기 송신 채널과 상기 수신 채널간 거리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상기 송신 주파수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송신 주파수 또는 상기 송신 채널과 상기 수신 채널간 거리에 따른 신호 감쇠 데이터를 이용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의 결정은, 상기 송신 주파수 또는 상기 송신 채널과 상기 수신 채널간 거리에 따른 신호 보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109012A 2008-11-04 2008-11-04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104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12A KR101043667B1 (ko) 2008-11-04 2008-11-04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12A KR101043667B1 (ko) 2008-11-04 2008-11-04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54A KR20100049954A (ko) 2010-05-13
KR101043667B1 true KR101043667B1 (ko) 2011-06-24

Family

ID=4227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012A KR101043667B1 (ko) 2008-11-04 2008-11-04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60B1 (ko) * 2016-03-28 2019-07-09 주식회사 경우 센서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291A (ja) * 1992-03-24 1993-10-19 Komatsu Ltd 物体の材質検出装置
JP2000121576A (ja) * 1998-10-15 2000-04-28 Hilti Ag 媒体の電磁波吸収容量測定方法及び媒体内の異物検出センサ
JP2004170432A (ja) * 2004-01-26 2004-06-17 Electronic Navigation Research Institute 誘電率の測定方法及び誘電率測定装置
KR100852446B1 (ko) 2000-10-16 2008-08-14 슈바르테, 루돌프 신호 파형의 진폭 및 위상을 감지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291A (ja) * 1992-03-24 1993-10-19 Komatsu Ltd 物体の材質検出装置
JP2000121576A (ja) * 1998-10-15 2000-04-28 Hilti Ag 媒体の電磁波吸収容量測定方法及び媒体内の異物検出センサ
KR100852446B1 (ko) 2000-10-16 2008-08-14 슈바르테, 루돌프 신호 파형의 진폭 및 위상을 감지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JP2004170432A (ja) * 2004-01-26 2004-06-17 Electronic Navigation Research Institute 誘電率の測定方法及び誘電率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54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2546B2 (en) Multichannel absorberless near field measurement system
US7672640B2 (en) Multichannel absorberless near field measurement system
US20190036621A1 (en) Compact system for characterizing a device under test (dut) having integrated antenna array
US4931798A (en) Electromagnetic anechoic chamber with an inner electromagnetic wave reflection surface and an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small ball disposed in the chamber
US201803069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integrated radar systems
JP2021509171A (ja) 第2のデバイスの既知のロケーションに基づいて第1のデバイスのロケーションを求めるミリ波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60280B1 (ko) 흡수재를 구비하지 않은 다중채널 근접장 측정 시스템
US201802054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beam forming for estimating direction of terminal
KR20190093124A (ko) Esa 계측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04870A1 (en) Plane Wave Generation Within A Small Volume Of Space For Evaluation of Wireless Devices
JP2007526576A (ja) 共振構造の少なくとも1つの特性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10720965B2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asurement system
US11131701B1 (en) Multi-probe anechoic chamber for beam performance testing of an active electronically steered array antenna
US101103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with respect to a far-field region
US76752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ttenu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mpacting an electromagnetic shield
KR101043667B1 (ko) 마이크로웨이브 토모그래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Ziółkowski et al. The influence of propagation environment on the accuracy of emission source bearing
US10830860B2 (en) Electronic apparatus, wireless reception method, and wireless system
RU2594345C1 (ru)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дальности действия и увеличения точности измерения расстояния системы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JP5250058B2 (ja) 無線端末送受信性能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90115272A (ko) 전자파잔향실에서의 복사성 내성 평가를 위한 전기장 형성 장치 및 방법
Togawa et al. Reflectivity measurements in anechoic chambers in the microwave to millimeter range
Cacciola et al. Impact of transmit interference on receive sensitivity in a bi-static active array system
JP2005241421A (ja) 妨害排除能力試験装置
US113813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optimum position of a device under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